KR102362903B1 -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903B1
KR102362903B1 KR1020210010482A KR20210010482A KR102362903B1 KR 102362903 B1 KR102362903 B1 KR 102362903B1 KR 1020210010482 A KR1020210010482 A KR 1020210010482A KR 20210010482 A KR20210010482 A KR 20210010482A KR 102362903 B1 KR102362903 B1 KR 10236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5594A (ko
Inventor
이종열
신민섭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케이
Publication of KR2021009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8Ophiopogon (Lilytur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A food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material extracts and a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종래 한방에서 황금의 뿌리를 해열, 이뇨, 지사 및 이담제로 이용하였다.
맥문동(Broadleaf Liriope, Liriope platyphylla)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 동북아시아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폭넓게 분포한다. 씨방상위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글고 일찍 과피(果皮)가 벗겨지므로 종자가 노출되며 자흑색(紫黑色)이다. 종래 한방에서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강장, 진해, 거담제 및 강심제로 이용하였다.
고삼(Sophora flavescen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도둑놈의지팡이, 너삼, 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종래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이기도 하였다.
백선피는 운향과의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의 뿌리 껍질을 일컫는 것으로서 종래 습열로 인한 피부발진, 피부미란, 습진, 풍진, 가려움증과 급성간염으로 인한 황달, 습열성 하지마비에 쓰며 해수, 인후건조, 번갈에도 사용되었다. 약리작용으로 해열작용과 피부 진균 억제 작용이 알려진 바 있다.
황백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서, 하지 전후에 나무줄기에서 껍질을 벗겨내어 조피(거친 껍질)를 제거하거나 썰어서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 황백은 혈당저하 작용, 폐렴쌍구균, 인형결핵균, 포도상구균 등의 발육저지, 종양세포의 번식 저지 및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복용 시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키고, 식욕의 항진도 가져오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다수의 염증 또는 항산화 관련 증상 또는 질환과 관련하여 천연물 유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한 요구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는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천연소재로 알려진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연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고삼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선피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백선피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백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황백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또는 95 내지 105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황금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 내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0.5 내지 5 v/v%, 구체적으로 1 내지 4 v/v%,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v/v%, 예를 들어 2 v/v% 또는 3 v/v%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각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예를 들어 상온에서 냉침, 가열 또는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이거나, 또는 상기 액상물에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의 경우, 공지의 건조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 또는 동결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은 40 내지 55℃, 구체적으로 47 내지 52℃, 예를 들어 50℃의 온도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은 60 내지 80시간, 구체적으로 68 내지 75시간, 예를 들어 72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47 내지 52℃의 온도에서 68 내지 7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들은 상기 추출물들의 중량비, 조성물 내 함량, 추출 용매,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조건에서 추출하거나 상기 건조 방법에 따라 용매를 건조시키는 경우, 활성산소 저해능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NO 합성 저해능이 높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능이 높아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개체의 피부 관련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용어 "치료"는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개체의 피부 관련 질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고, NO 합성을 저해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 효능을 나타내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바,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산화 효능, 항염 효능, 피부 미백 효과를 통해,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피부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피부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건선,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 백반증, 무좀, 비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 염증, 건선 및 아토피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와 함께 대표되는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로서,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피부 습진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및 항산화제의 감소로 인하여 활성산소(ROS, Reactive Oyxgen Species)에 의한 손상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라 항산화제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유효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N.Sivaranjani etc. 2013; 7(12): 2683-2685).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용, 완선/백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고, 항산화, 항염증,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세균, 세포 재생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산소 저해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추출물 2 v/v% 기준으로 활성산소에 의한 DCFH로부터 DCF 전환률이 미처리 대조군 대비 41 내지 80% 또는 41 내지 70%, 구체적으로 43 내지 50% 또는 51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 44 내지 48% 또는 64 내지 6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NO 합성을 저해하거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2 v/v%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1로 산출되는 NO 합성 저해능이 65 내지 99.9%, 구체적으로 67 내지 75% 또는 95 내지 99%일 수 있다.
[수학식 1]
NO 합성 저해능(%) = {1-(시료 첨가 시 NO 합성량의 기울기)}/(시료 무 첨가 시 NO 합성량) * 100
또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의 생성량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2 v/v%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2로 산출되는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5 내지 30%,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예를 들어 12 내지 16%일 수 있다.
[수학식 2]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100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항 아토피 피부염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귀 두께 측정, 림프절 무게 측정, 임상 증상의 확인, 피부자극지수 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일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제제화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윤활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점안제 형태로 제조 시 공지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어 "개체"는 피부 관련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동물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상기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부피 기준으로 0.1 내지 10 mg/mL, 구체적으로 1 내지 5 mg/mL,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4 mg/mL의 농도로 투여될 수 있고, 투여되는 개체의 중량 기준으로 100 내지 1000 mpk, 구체적으로 300 내지 800 mpk, 보다 구체적으로 400 내지 600 mpk의 농도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되는 것일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적으로 투여되거나 다른 피부 관련 질환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공지의 피부 관련 질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개체", "투여", "예방", "치료", "피부 관련 질환"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연소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황백", "피부 관련 질환", "약학적 조성물", "예방", "치료"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는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전부 포함하되, 상기 추출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각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추출된 황금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여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공지의 건조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 또는 동결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0 내지 55℃, 구체적으로 47 내지 52℃, 예를 들어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60 내지 80시간, 구체적으로 68 내지 75시간, 예를 들어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은 47 내지 52℃의 온도에서 68 내지 75시간 동안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온도, 시간 및 추출 용매 조건에서 추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건조 방법에 따라 건조되는 경우, 활성산소 저해능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NO 합성 저해능이 높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능이 높아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식품 또는 식품첨가제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맥문동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삼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고삼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선피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백선피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백 추출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황백 추출물을 50 내지 150 중량부, 구체적으로 80 내지 12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 90 내지 110 중량부 또는 95 내지 105중량부, 예를 들어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황금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150 내지 2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조성물 내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0.5 내지 5 v/v%, 구체적으로 1 내지 4 v/v%, 더욱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v/v%, 예를 들어 2 v/v% 또는 3 v/v%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의 각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부틸렌글리콜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예를 들어 상온에서 냉침, 가열 또는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이거나, 또는 상기 액상물에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상기 건조의 경우, 공지의 건조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 또는 동결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은 40 내지 55℃, 구체적으로 47 내지 52℃, 예를 들어 50℃의 온도에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은 60 내지 80시간, 구체적으로 68 내지 75시간, 예를 들어 72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47 내지 52℃의 온도에서 68 내지 75시간 동안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들은 상기 추출물들의 중량비, 조성물 내 함량, 추출 용매, 추출 온도, 추출 시간, 조건에서 추출하거나 상기 건조 방법에 따라 용매를 건조시키는 경우, 활성산소 저해능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NO 합성 저해능이 높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능이 높아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용어 "예방"은 일 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개체의 피부 관련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 조성물은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 저해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나타낼 수 있고, NO 합성을 저해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여 항염 효능을 나타내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바,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산화 효능, 항염 효능, 피부 미백 효과를 통해,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피부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피부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건선,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 백반증, 무좀, 비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 염증, 건선 및 아토피 피부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일 수 있다.
상기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은 천식, 알레르기 비염, 만성 두드러기와 함께 대표되는 알레르기 질환 중 하나로서,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피부 습진 질환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는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 및 항산화제의 감소로 인하여 활성산소(ROS, Reactive Oyxgen Species)에 의한 손상이 더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에 따라 항산화제가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에 유효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N.Sivaranjani etc. 2013; 7(12): 2683-2685).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용, 완선/백선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고, 항산화, 항염증, 항진균, 항바이러스, 항세균, 세포 재생 효과 및 미백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활성산소 저해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추출물 2 v/v% 기준으로 활성산소에 의한 DCFH로부터 DCF 전환률이 미처리 대조군 대비 41 내지 80% 또는 41 내지 70%, 구체적으로 43 내지 50% 또는 51 내지 70%, 더욱 구체적으로 44 내지 48% 또는 64 내지 68%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염증 효과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NO 합성을 저해하거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2 v/v%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1로 산출되는 NO 합성 저해능이 65 내지 99.9%, 구체적으로 67 내지 75% 또는 95 내지 99%일 수 있다.
[수학식 1]
NO 합성 저해능(%) = {1-(시료 첨가 시 NO 합성량의 기울기)}/(시료 무 첨가 시 NO 합성량) * 100
또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melanin)의 생성량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2 v/v% 기준으로 아래 수학식 2로 산출되는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5 내지 30%, 구체적으로 10 내지 20%, 예를 들어 12 내지 16%일 수 있다.
[수학식 2]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100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항 아토피 피부염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귀 두께 측정, 림프절 무게 측정, 임상 증상의 확인, 피부자극지수 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이 치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약 15 중량%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담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부형제 또는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상기 첨가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른 성분들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도, 상기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또는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 예방, 회복, 또는 개선에 관한 조절 기능이 생체에 충분히 발현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용어 "개체"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동물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섭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품 조성물", "개체", "예방", "개선", "피부 관련 질환"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천연소재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황백", "피부 관련 질환", "식품 조성물", "예방", "개선" 등은 전술한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소재는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전부 포함하되, 상기 추출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각각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추출된 황금 추출물 100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추출하여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공지의 건조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 또는 동결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분무 건조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0 내지 55℃, 구체적으로 47 내지 52℃, 예를 들어 5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60 내지 80시간, 구체적으로 68 내지 75시간, 예를 들어 7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은 47 내지 52℃의 온도에서 68 내지 75시간 동안 물과 유기용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온도, 시간 및 추출 용매 조건에서 추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건조 방법에 따라 건조되는 경우, 활성산소 저해능이 높아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며, NO 합성 저해능이 높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능이 높아 항염 효과가 우수하고,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높아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활성산소 저해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NO 합성 저해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NO 생성량 평가(NO assay)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 1 mg/mL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 3 mg/mL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실시예 7-1의 조성물의 용량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실시예 7-3의 조성물의 용량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계획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중 체중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중 임상증상 결과(사진)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중 피부자극지수를 확인한 결과(A) 및 귀 두께를 측정한 결과(B)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예인 조성물의 항아토피 효능 평가 중 림프절 무게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넓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부합되게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약제 추출물 제조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 각각을 부틸렌글리콜 및 물 혼합액에 50℃의 온도에서 72시간 가열하여 교반한 후 여지로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냉장보관한 후 이를 다시 감압여과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를 4℃의 온도에서 냉장보관 하였다.
실시예 2. 추출물 함유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을 아래 표 1의 중량대로 칭량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교반한 후 여지로 다시 감압 여과하고,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조성비를 달리한 비교예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황백
실시예 2 100g 100g 100g 100g 100g
비교예 100g 100g 200g 100g 100g
실시예 3. DCFH-DA측정에 따른 항산화 활성 평가
세포 내 활성산소(ROS)를 측정하기 DCFH-DA(2',7'-dichlorofluorescin-diacetate)를 이용한 형광측정법을 수행하였다. DCFH-DA는 비극성 분자로서, 쉽게 세포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에스테라제(esterase)에 의해 비형광성 극성분자인 DCFH로 분리된 후 세포 내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경우, 형광성 DCF로 전환되는데 이를 형광측정기(fluorometer)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DMEM(10% FBS 첨가, 1% 항생제 포함) 배지에서 37 ℃, CO2 5% 조건으로 배양하고 Well당 약 1 x 105 세포를 96 well에 각각 분주한 후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을 0, 0.5, 1 및 2 v/v%로 처리하고 배양하였다.
그 다음, 산화 스트레스 유발 물질인 H2O2 1mM을 첨가하고, DCFH-DA(stock 20mM) 20μM를 가한 후 spectro-fluoro meter(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nm)로 37℃에서 90분 동안 형광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조성물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2 v/v%를 각각 처리한 후 형광반응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결과에서 활성산소 저해능(%)은 미처리 대조군(control, 0 v/v %) 대비 실험군의 형광 강도를 %를 계산하여 수치화 하였다.
구분 활성산소 저해능(%)
미처리 대조군 0%
실시예 2-1(2 v/v %) 46.7%
실시예 2-2(3 v/v %) 65.30%
비교예(2 v/v %) 40.90%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 역시 증가하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 v/v%에서 가장 우수한 ROS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추출물 중 고삼 추출물을 2배 포함하는 비교예 조성물에 비하여도 우수한 효과가 있어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NO 합성 저해능 평가
NO는 많은 세포들이 분비하는 병리적인 2차 신호전달 물질이며, COX의 활성을 조절하고 염증반응에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Raw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NOS로부터 생성되는 NO를 측정하여 염증 반응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 세포에 실시예 2의 조성물을 0, 0.5, 1 및 2 v/v%처리한 후 NO 정량 Kit를 이용하여 아래 수학식 1의 기준으로 NO 합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LPS만 처리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NO 합성 저해능(%) = {1-(시료 첨가 시 NO 합성량의 기울기)}/(시료 무 첨가 시 NO 합성량) * 100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농도 증가에 따라 항염증 효과가 증가하며, 하기 표 3을 살펴보았을 때, 3 v/v %에서 가장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조성물 2 v/v % 처리하여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NO 합성 저해능(%)
미처리 대조군(LPS only) 0%
실시예 2-1(2 v/v%) 69.3%
실시예 2-2(3 v/v%) 98%
비교예 65%
상기 결과에서 추출물 중 고삼 추출물을 2배 포함하는 비교예 조성물에 비하여도 우수한 효과가 있어 실시예 2의 조성물이 우수한 항염증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세포 내 멜라닌 생성량 측정을 통한 미백 효능 평가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의 멜라닌 형성 세포 B15-F1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형성 세포를 well에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실시예 2의 조성물 0, 0.5, 1 및 2 v/v% 및 비교예의 조성물 2 v/v%를 처리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 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닌형성세포의 멜라닌 생성저해율(%)은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멜라닌 생성 저해율(%) = {(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첨가 시 멜라닌 양)}/(시료 무첨가 시 멜라닌 양)*100
구분 멜라닌 생성 저해율(%)
미처리 대조군(LPS only) 0%
실시예 2-1(2 v/v %) 14.5%
비교예 0%
상기 결과로부터. 실시예 2의 조성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여 미백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조성에 미백 효과가 전혀 없음에도 실시예 2 조성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이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에 특이적으로 유효한 미백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추출 조건에 따른 효능 평가
본 발명의 조성이 추출 방법에 따라 효능이 달라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 표 5와 같이 추출 온도 및 시간을 달리하여 각각 항산화 및 항염 효과가 있을지 확인하였다.
구분 온도 시간
실시예 6-1 50℃ 72시간
실시예 6-2 60℃ 96시간
실시예 6-3 100℃ 1시간30분
항산화 및 항염 효능 평가는 상기 실시예 3 및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시료는 2 v/v%인 것을 사용하였다.
구분 활성산소 저해능(%) NO 합성 저해능(%)
미처리 대조군 0% 0%
실시예 6-1 62% 74.10%
실시예 6-2 34.70% 61.10%
실시예 6-3 41.50% 40.8.%
그 결과는 상기 표 6과 같았으며, 50℃에서 72시간 추출하는 조건에서, 항산화 및 항염증에 대한 유효성분이 높게 추출되어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세포 독성 평가(MTT assay)
세포의 대사 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비색 분석법으로서, 이를 수행하였다. 대조군의 세포 생존율을 100%로 보고 시험물질을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여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세포 생존율 70% 이하부터 독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 각질형성세포 (HaCaT)에서의 세포 독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7과 같이, 용매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부틸렌 글리콜과 물 대신 증류수 100% 또는 30%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고, 건조 방법도 그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해 동결 건조 외 분무 건조를 수행하였다. 이 후, 제조된 실시예 7의 조성물을 0, 1, 3, 10 및 30 mg/mL의 용량으로 각각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구분 용매 건조방법 비고
실시예 7-1 증류수 100% 분무건조 부유물 있음
실시예 7-2 증류수 100% 동결건조 -
실시예 7-3 증류수 70% + 에탄올 30% 분무건조 부유물 있음
실시예 7-4 증류수 70% + 에탄올 30% 동결건조 부유물 있음
그 결과, 10 mg/mL 이하에서는 실시예 7-1 내지 7-4 모두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1은 도 4A, 실시예 7-2는 도 4B, 실시예 7-3은 도 4C, 실시예 7-4는 도 4D임).
실시예 8. NO 생성량 평가(NO assay)
NO는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생성하는 물질로서, 배양액에 방출된 NO의 농도를 NaNO2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염증유발물질인 LPS (0.1μg/mL)의 NO 생성량은 30μM 내외로서, 이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LPS (0.1 μg/mL) 존재 하에서 상기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들을 각각 0, 0.1, 0.3, 1, 3 mg/mL를 처리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7-2의 조성물은 NO 생성량 감소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으며, 실시예 7-3 및 7-4의 조성물은 3 mg/mL 이상에서 NO 생성량이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7-1의 조성물은 1 mg/mL 이상에서 NO 생성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9.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평가(RT-PCR)
(1)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1 mg/mL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염증성 사이토카인 (iNOS, COX-2, TNF-α, IL-6, IL-1β)은 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발현량이 증가하므로, 상기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을 1 mg/mL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억제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내 mRNA를 추출하여 RT-PCR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실시예 7-1의 조성물이 가장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실시예 7-3의 조성물, 그 다음은 실시예 7-4의 조성물, 실시예 7-2의 조성물 순이었다(도 6). 구체적으로, 각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가장 발현 억제 효과가 큰 조성물 2개를 표시하면 하기 표 8과 같았다.
구분 iNOS COX-2 TNF-α IL-6 IL-1β
실시예 7-1 O O O O O
실시예 7-2 - - - - -
실시예 7-3 - O O O -
실시예 7-4 O - - - O
(2)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3 mg/mL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또한, 상기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을 3 mg/mL 처리하였을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억제되는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내 mRNA를 추출하여 RT-PCR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실시예 7-1의 조성물이 가장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실시예 7-3의 조성물, 그 다음은 실시예 7-2의 조성물, 실시예 7-4의 조성물 순이었다(도 7). 구체적으로, 각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가장 발현 억제 효과가 큰 조성물 2개를 표시하면 하기 표 9와 같았다.
구분 iNOS COX-2 TNF-α IL-6 IL-1β
실시예 7-1 - O O - O
실시예 7-2 O - - O -
실시예 7-3 O O - O -
실시예 7-4 - - - - O
(3) 실시예 7-1의 조성물 용량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실시예 7-1의 조성물이 가장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실시예 7-1의 조성물의 용량의존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TNF-α를 제외하고는 전부 용량이 커질수록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력이 우수하였고, TNF-α를 제외 하고는 전부 3 mg/mL 처리하는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거의 대부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8).
(4) 실시예 7-3의 조성물 용량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억제 평가
실시예 7-3의 조성물이 실시예 7-1의 조성물 다음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여, 실시예 7-3의 조성물의 용량의존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TNF-α를 제외하고는 전부 용량이 커질수록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력이 우수하였고, TNF-α를 제외 하고는 전부 3 mg/mL 처리하는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거의 대부분 억제됨을 확인하였다(도 9).
실시예 10. 항아토피 효능 평가
in vivo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쥐를 준비하였다. 쥐들을 4일 간 적응시킨 후, 쥐의 털들을 제거하였고, 털을 제거하고 하루 뒤, 1% DNCB(2, 4-dinitrochlorobenzene)로 감작시키고, DNCB 감작시키고 이틀 뒤, 1% DNCB로 한 번 더 감작시켰다. 2번 째 DNCB 감작시키고 3일 뒤부터 0.6% DNCB를 털이 제거된 부위에 이틀 간격으로 총 8 회 도포하였다. 2회째 DNCB 도포 후 다음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500 mpk, 대조군으로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 mpk와 0.9% saline 1 mpk를 경구투여하였다. 이 후, 그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털 제거한 날, 2번 째 DNCB 감작시킨 날, 처음 DNCB 도포한 다음 날, 그리고 상기 조성물 투여 이틀 차부터 4일 간격으로 총 6회 피부자극평가(Dermatitis score), 귀의 두께 측정, 체중 측정, 임상증상 평가(사진)를 수행하였고, 조성물 투여 후 13일 후 쥐들은 희생시켰다. 이 후, 희생시킨 쥐의 림프절(lymph node)의 무게를 쟀다(하기 표 10 및 도 10).
시험군 아토피 유도 투여물질 투여경로 N수
Normal - 0.9% saline 1 mpk 경구 8
Control 1% DNCB 감작
+
0.6% DNCB 도포
0.9% saline 1 mpk 8
Dexamethasone Dexamethasone 1 mpk 8
LK1 실시예 7-1 500 mpk 8
LK2 실시예 7-2 500 mpk 8
LK3 실시예 7-3 500 mpk 8
LK4 실시예 7-4 500 mpk 8
체중 측정 결과,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투여군이 Control군 대비 체중이 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1).
또한, 임상증상을 환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한 결과,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투여군이 모두 Control군 대비 환부가 개선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실시예 7-3의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Control군 대비 환부가 보다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2).
또한, 2 주간 경구투여 후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피부자극지수로 평가한 결과,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투여군 모두 Control군 대비 지수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7-3의 조성물은 덱사메타손보다도 낮은 피부자극지수가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A).
또한, 귀 두께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7-1, 7-3 및 7-4의 조성물 투여군의 경우 귀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B).
또한, 쥐를 희생시킨 후 림프절 무게 측정 결과, 실시예 7-1 내지 7-4의 조성물 투여군 모두 Control군 대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4).
종합적으로, 실시예 7-3의 조성물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고삼 추출물, 백선피 추출물 및 황백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피부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 및 비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이고, 상기 조성물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0.5 v/v% 내지 5 v/v%인, 식품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1 내지 10 mg/mL의 농도로 투여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00 내지 1000 mg/kg(mpk)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것인, 식품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식품 또는 식품첨가제용 조성물인, 식품 조성물.
  10. 황금, 맥문동, 고삼, 백선피 및 황백을 각각 추출하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혼합은, 추출된 황금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맥문동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고삼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백선피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 및 황백 추출물 5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고,
    상기 피부 관련 질환은 피부 주름, 광노화증, 흑화증, 피부 색소침착증, 피부화상, 피부 염증, 피부암,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아토피 피부염, 원형탈모증, 및 비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환이고, 상기 조성물은 황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분무 건조인,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40 내지 55℃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60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물,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10010482A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62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9461 2020-01-23
KR1020200009461 2020-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594A KR20210095594A (ko) 2021-08-02
KR102362903B1 true KR102362903B1 (ko) 2022-02-15

Family

ID=769929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4A KR102362901B1 (ko)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10010482A KR102362903B1 (ko)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10010478A KR102362902B1 (ko)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동물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4A KR102362901B1 (ko)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478A KR102362902B1 (ko) 2020-01-23 2021-01-25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동물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54917A1 (ko)
EP (1) EP4094771A4 (ko)
JP (1) JP2023511684A (ko)
KR (3) KR102362901B1 (ko)
CN (1) CN115335070A (ko)
WO (1) WO202115008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16B1 (ko) * 2017-05-04 2017-11-20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54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하니로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2378B1 (ko) * 2005-05-17 2007-07-24 김정진 생약재를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262813B1 (ko) * 2009-12-15 2013-05-09 서정희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07648341A (zh) * 2010-12-28 2018-02-02 卡梅迪斯有限公司 用于治疗和预防感染的植物提取物
KR101978145B1 (ko) * 2011-11-25 2019-05-15 (주)아모레퍼시픽 황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차전자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CN102641423B (zh) * 2012-04-19 2013-12-04 渠淑敏 一种治疗急性荨麻疹的中成药组合物
KR101760418B1 (ko) * 2014-01-23 2017-07-21 문주성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24313B1 (ko) * 2014-06-30 2021-03-09 (주)아모레퍼시픽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N106692404A (zh) * 2015-11-17 2017-05-24 周丽 一种治疗婴幼儿湿疹的中药组合物
KR20170136378A (ko) * 2016-06-01 2017-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42786B1 (ko) * 2016-09-01 2018-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KR101782268B1 (ko) * 2016-09-01 2017-09-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약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용 조성물
CN111632080A (zh) * 2020-07-29 2020-09-08 贾生玮 一种治疗药疹皮炎的配方及制备方法及应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16B1 (ko) * 2017-05-04 2017-11-20 이종열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4917A1 (en) 2022-11-10
JP2023511684A (ja) 2023-03-22
KR102362901B1 (ko) 2022-02-15
EP4094771A4 (en) 2023-10-25
KR20210095593A (ko) 2021-08-02
WO2021150088A1 (ko) 2021-07-29
CN115335070A (zh) 2022-11-11
EP4094771A1 (en) 2022-11-30
KR20210095594A (ko) 2021-08-02
KR102362902B1 (ko) 2022-02-15
KR20210095592A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31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038611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26119B1 (ko) 백수오, 한속단 및 참당귀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0939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2003861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050397A2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03745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948332B1 (ko) 큰까치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50352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34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KR102362903B1 (ko) 천연소재 추출물 함유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602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1986B1 (ko) 참나무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73345B1 (ko) 병풀, 컴프리,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02269B1 (ko) 시링가레시놀(Syringaresinol)과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0082B1 (ko) AMPK을 활성화시키는 HM-chrom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230046054A (ko)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79333A (ko) ‘자심’ 감자 외피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