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15B1 -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15B1
KR102362015B1 KR1020187036813A KR20187036813A KR102362015B1 KR 102362015 B1 KR102362015 B1 KR 102362015B1 KR 1020187036813 A KR1020187036813 A KR 1020187036813A KR 20187036813 A KR20187036813 A KR 20187036813A KR 102362015 B1 KR102362015 B1 KR 102362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art
tab
profiled sealing
flange
gla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328A (ko
Inventor
로맹 곤느
요앙 마치조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9001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2Trim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3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ssembled from two or more parts
    • B60J10/23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ssembled from two or more parts the parts being joined along their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 B60J10/26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the surface being primarily decor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Gasket Se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패널(1)에 관한 것이고, 유리 패널은 글레이징형 요소(2),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4)을 포함하고, 스트립은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기부(40) 및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41)를 가지며, 기부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위에 위치되고, 플랜지(41)가, 기부(40)에 대향되는 일 단부(44)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45)을 포함하고, 그러한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고 그리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에서 개방되나 내측부 면(33)에서 개방되지 않는 홀(30)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글레이징형 요소(glazed element),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trim)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에 관한 것으로서, 트림은,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횡단면에서 기부 및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갖는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기부는, 트림이 글레이징에 피팅될(fitted) 때,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위에 위치되고, 트림은 중간 고정 요소 없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응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문헌 전체를 통해서, "트림"이라는 표현은 글레이징의 부속물, 특히 세장형 형상의 부속물을 나타내고; 이는 차량 차체의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트림은, 외측으로부터 볼 때, 글레이징의 연부를 시각적으로 경계 짓기 위해서 이용되고; 이는 종종 밝은 금속성("크롬처리된") 외관 또는 착색된 외관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가요성 중합체로 제조되고 글레이징의 주변부에 존재하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부착된 중간 클립 상에 체결된 클립인, U-형상의 프로파일로 만들어진 트림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프랑스 특허출원 제FR 2 340 217호는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문헌에서, 중간 클립은 클립 체결부이다.
다른 곳으로부터, 특히 유럽 특허출원 제EP 1 944 182호에서 제시된 특정의 대안적인 형태로부터, 중간 클립 없이, 트림을 프로파일링된 비드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한 문헌은, 특히 화살표 머리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유지 요소가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에 미리 형성된 홀 내로 도입될 수 있고, 이러한 홀은 밀봉 부분의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지 요소는, 그 최종 위치에서, 유지 요소를 수용하는 홀이 더 크기 때문에 밀봉 요소와 단지 부분적으로 접촉되어, 밀봉 부분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개시하고: 그러한 문헌은 밀봉 부분의 유지 부분 아래에 공동 또는 채널을 제공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이러한 공동/채널은, 유지 요소의 머리의 일부가 밀봉 부분의 재료와 접촉되지 않는다는 것을 필수적으로 의미한다.
그러한 문헌은 또한, 밀봉 부분이 무엇보다도 그 자체에 만들어지고, 이어서 유지 요소는, 그 머리가 공동/채널 내에 놓이도록, 천공부를 통해서 도입되는 것을 설명하고; 이는, 이러한 공동/채널이 존재할 수 있게 보장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제공할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밀봉 부분의 제조가 매우 복잡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지 해결책은, 글레이징의 주변부와 인접 차체 사이에서 이용 가능한 공간이 작을 때, 채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지 수단을 이용한 트림의 고정은 충분히 신뢰될 수 없고: 몇 개의 유지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유지 요소를 홀 내로 도입하기 위해서 동일한 방향의 이동 그러나 반대 부호의 이동을 적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트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다른 곳에서, 실제로, 트림의 내측부 면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에 부착되도록, 이러한 내측부 면과 이러한 외측부 면 사이에 접착-촉진 층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층의 적용은 제조 방법을 더 복잡하게 하고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플랜지가, 기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된 탭을 포함하고, 그러한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및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된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통과하고, 천공된 탭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아래로 또는 글레이징형 요소 아래로 접혀지는, 본원에서 전술한 유형의 글레이징이 특허출원 WO 2015/015119로부터 종래 기술로서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문헌에 따라, 트림의 천공된 탭은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제조된 후에,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에 위치된 홀의 유입구를 통해서 도입되고, 이어서 이러한 탭은 밀봉 부분의 내측부 면을 통해서 홀로부터 다시 나타나고, 그에 따라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이러한 내측부 면에 대해서 또는 글레이징형 요소의 내측부 면에 대해서 굽혀질 수 있고 트림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아래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이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위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유지된다.
그러한 트림은, 탭 또는 탭들이 굽혀진 후에 매우 양호하게 유지되나, 이러한 해결책은 구현하기가 복잡하고, 희망하는 것보다 높은 불량률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천공된 탭을 수용하는 홀의 장소에서의 몰드의 복잡성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하고, 신속하고 그리고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그리고 특히 글레이징의 주변부와 인접 차체 사이의 이용 가능 공간이 작을 때, 밀봉 부분에 제거 가능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트림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별한 목적은, 글레이징이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는 동안, 트림이 글레이징으로부터 탈착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해결책의 산업적 구현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 그리고 매우 낮은 불량률로 매우 신뢰 가능하게 생산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트림이 적어도 하나의 탭을 구비하게 하고, 몰딩에 의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제조 중에, 이러한 탭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로, 완전히 통과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통합되게 하는, 해결책에 의존하며; 탭을 보유하는 트림에 대한 그리고 탭이 고정되도록 통합되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대한 이러한 탭의 위치는 변경될 수 없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탭은,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와 함께, 모두가 트림에 포함되고; 탭은,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와 함께, 트림의 기부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당한 장점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로 완전히 통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탭이 트림을 위한 이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로의 기계적 부착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트림의 내측부 면과 그에 대면되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사이에 접착-촉진 층을 제공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트림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사이에 접착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 가장 넓은 의미에서, 제1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청구항은 유리한 대안적인 형태를 기술한다. 이러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형 요소,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을 포함하고, 트림은,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횡단면에서 기부 및 기부로부터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갖는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기부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글레이징은, 트림의 플랜지가, 기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주목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침투하고, 그러한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과 전체적으로 접촉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가,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단부로부터 바로 아래로 하단부까지, 그 전체 높이에 걸쳐, 양 측면 상에서 그리고 그 전체 두께에 걸쳐, 탭의 전체 표면과 닿도록, 이러한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탭을 수용하는 홀은 탭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그러한 형상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가 이러한 지점에서 절단되는 경우에,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그러한 탭은 전체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존재한다.
탭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과 전체적으로 접촉되는 것으로 설명될 때, 이는 또한, 역으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탭과 전체적으로 접촉된다는 것을 물론 의미하고;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매립되며; 그러한 탭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공동 또는 채널은 존재하지 않는다.
트림은, 중간 고정 요소가 없이 그리고 트림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사이의 접착을 촉진하는 층이 없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트림의 제거 불가능하고 순수하게 기계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고 탭이 통과하여 이러한 밀봉 부분에 침투하게 하는 홀의 개념은, 이러한 외측부 면에서, 홀의 내부 섹션이 이러한 지점에서 탭의 외부 섹션과 매우 정확하게 동일하다는 사실을 참조한다.
탭은, 그 전체 길이를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내측에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의 홀의 내부 섹션과 동일한 외부 섹션을 가질 수 있으나; 탭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측에서, 기계적으로, 보다 잘 유지되도록,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내측에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의 홀의 내부 섹션보다 큰 탭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섹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부는 그 폭을 따라서 편평하거나 약간 곡선화될 수 있고; 플랜지는 그 폭을 따라 편평하거나 약간 곡선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랜지는 기부의 횡방향 단부에서, 즉 기부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따라서, 트림을 횡단면에서 관찰할 때, 기부로부터 플랜지를 구분하는 것은, 2개의 그리고 각각의 단부 사이의, 뚜렷한 엘보, 즉 기부 또는 플랜지의 잠재적인 전체 곡률보다 큰, 상당한 각도 변화의 존재이다. 그에 따라, 트림은 더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탭은 중실형이고(solid); 천공되지 않으며; 탭의 두께를 통과하는, 개구, 즉 홀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한 경우에,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로 이러한 홀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한 탭 또는 각각의 탭은 바람직하게 플랜지의 계속이고, 그에 따라 트림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만들고; 이러한 탭 또는 각각의 탭은 바람직하게 플랜지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트림은 바람직하게 단순한 (절반으로 굽혀지지 않은) 접힌 금속 시트로 제조된 금속의 하나의 단편이다.
바람직하게, 탭 또는 각각의 탭은 편평하고 탭을 보유하는 트림의 플랜지의 계속으로 놓이고, 이는, 플랜지에 연결되는 곳의 그 두께가 이러한 지점에서의 플랜지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계속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트림이 충분히 신뢰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탭 또는 각각의 탭이 반전된 T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T의 몸통(trunk)은 플랜지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매우 큰 힘을 인가하지 않고 탭을 제거할 수 없으며, 이는, 홀 및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손상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고정을 더 개선하기 위해서, 이러한 탭 또는 각각의 탭이 반전된 T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 탭에 의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트림의 유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T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branch)가 몸통을 향해서 모따기되고, 바람직하게 T의 양 분지가 각각 몸통을 향해서 모따기 되고, 및/또는
- 탭에 의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트림의 유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T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가 플랜지를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를 가지고, 및/또는
- 밀봉 부분이 몰딩될 때 밀봉 부분의 재료가 더 용이하게 확전될 수 있도록, T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는 플랜지의 단부에 대향되는 연부 상에서 플랜지의 단부에 평행하다.
고정을 충분히 신뢰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탭은 바람직하게 플랜지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 및 플랜지의 단부로부터 측정된 높이의 0.5배 내지 2배의 길이를 갖는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내측부 면 상에서, 탭에 대면되는 보스(boss)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탭이 매립되는 밀봉 부분의 부피는 더 크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탭의 유지가 보다 양호하다.
이러한 보스의 전체적인 폭은 각각의 측면 상에서 약 1.5 내지 4 mm(즉, 전체적으로 약 3 내지 8 mm)만큼 탭의 전체 폭(L)보다 넓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재료의 경제성을 동시에 달성하면서 탭을 확실히 고정한다.
기계적 유지 효과를 더 개선하기 위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바람직하게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플랜지와 접촉되고, 바람직하게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플랜지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과 접촉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특히 그 전체 높이에 걸쳐 플랜지와 접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그 전체 높이에 걸쳐 플랜지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바람직하게, 기부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사이의 어떠한 접착-촉진 층의 개재도 없이, 기부의 내측부 표면과 접촉된다.
기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하는 플랜지는 적어도 각각 세장형 판 형상을 갖는다. 기부는 바람직하게, 개구가 없는, 중실형이고;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개구가 없는, 중실형이다.
기부 및 적어도 하나의 탭을 적어도 포함하는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직각에 근접하는 0이 아닌 각도로 서로에 대해서 배향되고; 이러한 각도는, 트림을 횡단면에서 볼 때, 60°내지 120°사이일 수 있고; 이러한 각도가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서, 트림은, 횡단면에서, 단일 플랜지와 기부 사이에서 둥근 모서리 각도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L 형상을 갖는다.
트림이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2개의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할 때, 플랜지와 기부 사이의 각도는 직각에 가까울 수 있는 0이 아닌 각도이고; 각각의 각도는, 트림을 횡단면에서 볼 때, 60°내지 120°일 수 있고; 각각의 각도가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서, 트림은, 횡단면에서, 각각의 플랜지와 기부 사이에서 둥근 각도를 가지는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U는 뒤집혀서 또는 U의 중공형 부분이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향해서 대면되게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위에(이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의 또는 위를 의미한다)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트림의 U의 기부의 내측부 면의 일부가, 특히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보스의 외측부를 향해서 가장 먼 부분을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의 일부와 접촉된다.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은 기부로부터 연장되고; 기부 및 플랜지 또는 플랜지들은 그에 따라 함께 결합되어 트림을 형성한다.
트림이 2개의 플랜지를 포함할 때, 원위 플랜지는, 장착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로부터 가장 먼 트림의 플랜지이다.
제1의, 독립적인, 대안적 형태에 따라, 횡단면에서 볼 때, 특히 탭이 존재하는 지점에서, 트림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탭을 포함하는 제1 플랜지 및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에 형성되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공동에 침투하는 제2 플랜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인, 이러한 제2 플랜지는,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인 이러한 공동으로, 배압 지지부(back pressure support)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의 대안적 형태에서, 제2 플랜지가 근위적일 수 있고, 이는, 장착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에 가장 근접하는 플랜지를 의미하고, 제1 플랜지가 원위 플랜지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장착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로부터 가장 먼 플랜지일 수 있고, 그에 따라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 내에 보다 용이하게 매립되나; 이는 반대쪽에서 마찬가지로 달성될 수 있다.
제2의, 독립적인, 대안적 형태에 따라, 횡단면에서 볼 때, 특히 탭이 존재하는 지점에서, 트림은 전체적으로 L 형상을 가지며, 기부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에 형성되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공동에 침투한다. 그에 따라, 이러한 공동은 마찬가지로 배압 지지부를 형성한다.
독립적인 제3의 대안적인 형태에서, 횡단면에서 볼 때, 특히 탭이 존재하는 지점에서, 트림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 제1 플랜지가, 기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적어도 전술한 탭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침투하고, 그러한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고, 그리고
- 제2 플랜지가, 기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탭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침투하고, 제2 탭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과 전체적으로 접촉된다.
이러한 3가지 대안적인 형태는 상호 배타적이 아닌데, 이는 트림이 하나의 지점에서 하나의 대안적인 형태를 그리고 그 길이를 따라 다른 지점에서 다른 대안적인 형태를, 또는 그 길이를 따라 다른 지점에서 또 다른 대안적인 형태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트림이 하나의 지점에서 또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2개 초과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트림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략적으로 기부의 중간에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과 관련된 다른 2개와 같은 측면 상에서, 제3 플랜지가 기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제3 플랜지가 본 발명에 따른 탭 또는 몇 개의 탭을 구비할 수 있다. 가능하게는, 이러한 제3 플랜지 만이 본 발명에 따른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그러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형 요소,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적어도 하나의 트림을 포함하고, 트림은,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횡단면에서, 기부 및 기부로부터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갖는 형상을 가지며, 그러한 방법은, 플랜지가, 기부에 대향되는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을 포함하는 것, 그리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몰딩에 의해서, 탭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게 글레이징형 요소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바람직하게, 탭을 수용하기 위한 그리고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나 내측부 면 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몰딩 시에 형성되는, 홀을 갖는다.
그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바람직하게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플랜지와 접촉되게, 그리고 바람직하게 플랜지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과 접촉되게 글레이징형 요소 상에 몰딩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바람직하게 몰딩에 의해서 기부의 내측부 표면과 접촉되게 글레이징형 요소 상에 형성되고; 기부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사이에 접착-촉진 층이 개재되지 않는다.
탭이 내부에 존재하는 밀봉 부분 내의 홀은, 특히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이 캡슐화 기술(encapsula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제조될 때, 몰딩에 의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제조 중에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가 트림을 포함하는 몰딩 공동 내로 도입될 때, 이러한 재료는 전체적으로 탭과 접촉되거나, 심지어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부분과 접촉된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를 비제한적인 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글레이징을 외측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글레이징을 내측에서 본, 도 1의 글레이징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상에서의 단면적인 그리고 원근적인 부분도이다.
도 4는 플랜지(3)의 트림을 도시하고 동일 플랜지 상의 몇몇 탭을 보여주는 부분적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탭의 3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2개의 플랜지 상에 탭을 가지는, 트림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의 형태에 대한, 도 4와 동일한 부분적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각각의 도면 내의 개별적인 요소는 축척에 따라 도시되었으나,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서, 도 3을 제외하고 배경 내의 요소는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글레이징(1), 그리고 특히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글레이징은 글레이징형 요소(2), 글레이징형 요소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직접 고정된 트림(4)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부착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경우에, 한편으로 트림(4)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고정된, 이러한 2개의 요소들 사이의, 중간 고정 구성요소가 없다.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1)은 모터 차량의 고정된 후방 측면 창 글레이징(후방 쪽창(rear quarterlight))이다. 이는, 글레이징형 요소(2)의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가요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프로파일링된 밀봉 (또는 비드) 부분(3)의 일부가 피팅된 글레이징형 요소(2)를 포함한다.
또한 하나(또는 초과)의 부속물 그리고 특히 글레이징을 부착하기 위한 하나(또는 초과)의 부속물(25)을 포함할 수 있는 글레이징(1)은, 차량의 내측부 공간(I)과 차량 외측의 외측부 공간(E)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는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글레이징형 요소(2)는 외측부 공간(E)을 향해서 대면되는 외측부 면(22), 내측부 공간(I)을 향해서 대면되는 내측부 면(23), 및 주변 연부 면(21)을 갖는다.
글레이징형 요소는 하나의 재료의 시트로 제조되는 것을 의미하는 단일체일 수 있고, 또는 적층형 글레이징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접착 재료의 층이 사이에 삽입된 몇 개의 재료의 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복합체일 수 있다. 재료의 시트(들)가 무기질, 특히 유리, 또는 유기질, 특히 플라스틱일 수 있다.
차량 글레이징의 경우에, 글레이징은 일반적으로, 그 주변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식 밴드(미도시)를 갖는다.
글레이징형 요소가 유기 재료로 제조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는, 본 발명의 구현 전에, 글레이징형 요소를 제조하는 재료를 몰딩 장치 내에서 몰딩함으로써 제조되었고, 그러한 몰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몰딩 부품 및 고정된 몰딩 부품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는 하나의 가동형 몰드 부품을 포함하고, 몰드 부품들은, 몰딩 단계 중에, 몰드가 폐쇄될 때, 협력하여 몰딩 공동을 형성하고, 몰딩 공동은, 횡단면에서, 글레이징형 요소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종종, 유기 재료로 제조된 글레이징형 요소는 편평하지 않고 곡선형이다.
글레이징형 요소가 무기 재료로 제조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는, 본 발명의 구현 전에, 무기 재료를 편평한 시트로 용융시키고, 이어서 이러한 시트를 절단하고 가능하게는 이러한 시트를 굽히고 및/또는 템퍼링함으로써, 제조되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글레이징형 요소(2)는 단일체형 글레이징이다. 도시된 글레이징은 고정된 글레이징이나, 본 발명은 또한 가동형 글레이징에 적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차량의 외측(E)을 향해서 대면되는 외측부 면(32), 및 차량의 내측(I)을 향해서 대면되는 내측부 면(33)을 갖는다.
프로파일링된 부분(3)의 중합체 재료가 열가소성(PVC, TPE, 등), 폴리우레탄 또는 심지어 EPDM 유형과 같은 합성 고무,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바람직하게 "캡슐화"로 알려진 제조 방법의 구현에 의해서 제조되는데, 이는 그러한 방법이, 글레이징의 내측부 면을 수용하는 하나의 몰딩 요소 및 글레이징의 외측부 면을 수용하는 하나의 몰딩 요소인, 2개의 몰딩 요소 사이에서, 몰딩 장치 내에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을 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기 때문이고, 이러한 2개의 몰딩 요소는 몰딩 단계 중에 서로 폐쇄되는 한편 동시에 그 사이에 몰딩 공동을 생성하고, 몰딩 공동은, 이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몰딩하는 단계 중에,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로 충진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바람직하게 글레이징(1)의 전체 주변부 주위에 배열되나, 이러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은 글레이징의 주변부의 단지 일부 상에 또는 글레이징의 임의 부분 상에 매우 양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트림(4)은, 글레이징형 요소(2)의 적어도 하나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이러한 경우에, 글레이징형 요소의 3개의 연부: 하단 연부, 후방 연부 및 상단 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트림(4)은, 횡단면에서, 기부(40) 및 기부로부터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41)를 갖는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기부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위에 위치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그에 따라, 트림(4)은 프로파일링된 밀봉부의 외측부 면(32)의 일부 그리고 특히, 기부(40) 아래에서, 전체 트림(4)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방향 보스(31)를 덮는다.
글레이징의 미적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서, 차량의 외측으로부터 보일 수 있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부분이 트림(4)에 의해서 은폐된다.
트림은 미리 제조되고; 트림이 제조되고, 그리고 글레이징에 부착되기 전에 성형될 수 있다. 트림은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강 및 특히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림 형성 재료는 바람직하게 80.103 MPa 내지 500.103 MPa의 탄성 계수를 가지며, 그에 따라 큰 강성도를 나타낸다.
트림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다: 횡단면에서, 트림은 중앙 기부(40) 및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41, 41')를 갖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플랜지(41) 또는 이러한 플랜지들(41, 41')은 여기에서 (각각) 기부(40)의 하나의 횡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형상은 뒤집혀 배치되고, 기부가 가장 위에 위치되거나, 더 구체적으로 여기에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 상에 위치되어 보스(31)를 덮는다. 따라서, 트림의 내측부 면(42)은, 적어도 보스(31)의 외측을 향해서 가장 먼 부분을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과 접촉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횡단면(이는, 트림의 긴 방향에 대해서 횡방향을 의미한다)에서 볼 때, 트림의 원위 플랜지(41)가,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45) 그리고 바람직하게 몇 개의 탭(45)을 포함한다.
이러한 탭(45)(그리고 바람직하게 이러한 탭들(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30)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또한 이러한 탭(45)(그리고 바람직하게 이러한 탭들(45))은,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단부(44)로부터 그리고 탭(또는 탭들)의 전체 높이에 걸쳐,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고; 이러한 탭(45)(그리고 바람직하게 이러한 탭들(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매립된다.
탭(들)(또는 그 각각)이 내부에 은폐되는 홀은, 탭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탭(또는 탭들)(45)을 보유하는 플랜지(41)는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트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위치된다.
탭(45), 그리고 바람직하게 각각의 탭(45)이 중실형이고 그에 따라 개구를 가지지 않으며, 또는 다시 말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부(3)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지 않는다.
몇 개의 탭(45)이 있을 때, 트림(4)을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고정하기 위해서, 탭(45)의 각각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30) 내에 위치되고, 각각의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된다.
홀(30), 또는 각각의 홀(30)은 바람직하게 몰딩에 의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제조 중에 형성된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탭(45), 또는 각각의 탭은,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연장부 내에 있고, 여기에서 바람직하게 탭을 보유하는 플랜지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트림은, 이러한 경우에 금속의 단일 단편으로서, 두께가 예를 들어 0.4 mm 내지 2 mm인 단순한(이중으로 굽혀지지 않은) 금속 시트로 제조되고, 이는 이어서 굽혀진다.
도 3은, 비례적으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두께가 탭(45)이 내부에 존재하는 구역의 외측에서 비교적 얇고, 탭(45)이 내부에 존재하는 구역에서 더 두껍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내측부 면(33) 상에서, 탭(45)에 대면되는 국소적인 보스(35)를 가지고, 탭(45)에 대면되어서만, 보다 많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재료를 계획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재료 내에서 탭을 더 잘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스(35)는, 글레이징을 차체 개구부 내로 결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접착제(미도시)의 두께를 위한 단부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 면(21)과 인접 차체(미도시) 사이의 이용 가능 공간이 작은 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장점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이러한 보스(35)의 전체 폭은 각각의 측면 상에서 약 2 mm만큼 탭의 전체 폭(L)보다 넓다.
도 3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탭(45), 또는 각각의 탭은, 바람직하게 플랜지(41)의 단부(44)로부터 측정된 그 높이(w)의 0.5배 내지 2배의 길이(L)를 가지며; 여기에서 비율은 1:1이다.
탭(45)은 반전된 T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T의 몸통은 플랜지(41)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그에 따라, 탭이 내부에 놓이는 홀 그리고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을 손상시키지 않고, 탭(45)을 그리고, 그에 따라, 트림(4)을 제거할 수 없다.
도 5 내지 도 7은 전체적으로 반전된 T 형상의 실시예의 다양한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 도 5에서, T의 분지들이 직선형이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높이이고,
- 도 6에서, T의 분지가 몸통을 향해서 모따기되고, 이는 분지가 몸통 만큼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 도 7에서, T의 분지 각각이, 플랜지(41)를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49),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평행6면체형 치형부를 가지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그 각각이 몇 개의 치형부를 갖는다.
이러한 대안적인 형태들은 물론 하나의 분지 또는 양 분지 상에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절대적인 용어로서, L 형상의 탭(45)을 생성할 수 있고,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은 T와 같이 성형되나 단지 하나의 분지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나; 이는 이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에 의한 트림의 유지에서 불균형을 생성한다.
트림(4)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 매립된 탭(45)(또는 탭들(45))에 의해서 내측부 면(33)에 대해서 유지된다.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기부(40)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사이의 접착-촉진 층의 개재 없이 심지어 트림(4)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사이의 접착-촉진 층의 개재 없이, 기부(40)의 내측부 표면(43)과 접촉된다.
보다 더 양호한 유지를 위해서, 플랜지(41)는 바람직하게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접촉되고, 바람직하게 그 전체 높이에 걸쳐 접촉된다. 이러한 접촉은 바람직하게 플랜지(41)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 상에서 이루어진다.
트림이 그 길이를 따라 직선형일 수 있다. 그러나, 트림이 그 길이를 따라 곡선화되는 것 그리고 글레이징형 요소의 2개의 인접 측면들 상에 또는 심지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레이징형 요소의 3개의 측면들 상에, 또는 심지어 글레이징형 요소 전체 주위에 존재하는 것도 완전히 가능하다.
이어서, 트림은, 트림을 구비하는 글레이징형 요소의 각각의 측면 상에 적어도 2개의 탭(45)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에서 3 차원적으로 유지되도록, 공간 내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탭에 의해서 달성되는 유지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또한, 특히 탭이 존재하는 지점에서의 횡단면에서 볼 때, 그리고 바람직하게 트림의 길이 전부를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라, 트림(4)이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고, 제1 플랜지(41)는 적어도 하나의 탭(45)을 포함하고 트림의 U의 제2 플랜지(47)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에 형성된 공동(34)에 침투하고, 그러한 공동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제1의 대안적인 형태에서, 이러한 제2 플랜지(47)는 탭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제2 플랜지(47)는 바람직하게, 장착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에 가장 근접한 U의 근위 플랜지이고, 이어서 제1 플랜지(41)는, 장착될 때 글레이징형 요소로부터 가장 먼 U의 원위 플랜지이며, 그에 따라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에서 탭(45)을 수용하기 위한 더 큰 공간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형태에서, 트림(4)이 전체적으로 L 형상을 가지도록 계획할 수 있고, 기부(40)는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에 형성된 공동에 침투하고, 이러한 공동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다.
도 8은, 횡단면에서 볼 때 탭이 존재하는 지점에서, 본 발명의 제2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트림(4)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 제1의 대안적인 형태와 관련하여, 제1 플랜지(41)는,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제1 탭(4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고, 그리고
- 제1의 대안적인 형태와 달리, 제2 플랜지(41')는,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제2 탭(4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2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제2 탭(45')은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된다.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 내의 탭의 유지를 개선하기 위해서, 탭(45 및 45')이 바람직하게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다(이는, 서로 대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2)

  1. 글레이징형 요소(2),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4)을 포함하는 글레이징(1)으로서, 트림은, 상기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횡단면에서, 기부(40) 및 상기 기부로부터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41)를 갖는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기부는,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위에 위치되는, 글레이징(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1)는, 상기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45)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탭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상기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30)을 통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상기 탭(45)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내측부 상에서, 상기 탭(45)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섹션이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의 외측부 면(32) 상의 상기 홀(30)의 내부 섹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45)은 반전된 T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T의 몸통은 상기 플랜지(41)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45)은 반전된 T의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고, T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가 몸통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깎이거나, 또는 T의 적어도 하나의 분지가 상기 플랜지(41)를 향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형부(4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탭(45)은 상기 플랜지(41)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 및 상기 플랜지(41)의 단부(44)로부터 측정된 그 높이의 0.5배 내지 2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내측부 면(33) 상에서, 상기 탭(45)에 대면되는 보스(3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트림(4)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탭(45)을 포함하는 제1 플랜지(41) 및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공동(34)에 침투하는 제2 플랜지(4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트림(4)은 전체적으로 U 형상을 가지며,
    - 제1 플랜지(41)가, 상기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상기 탭(45)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1 탭(45)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상기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상기 탭(45)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고, 그리고
    - 제2 플랜지(41')가, 상기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탭(4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탭(45')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내에 존재하는 한편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상기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고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는 홀을 통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에 침투하고, 상기 제2 탭(45')은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과 전체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그 높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플랜지(41)와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플랜지(41)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상기 기부(40)의 내측부 표면(43)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11. 제1항 또는 제2항의 글레이징(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글레이징은 글레이징형 요소(2),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 및 적어도 하나의 트림(4)을 포함하고, 트림은, 상기 글레이징형 요소의 연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횡단면에서, 기부(40) 및 상기 기부로부터 0이 아닌 각도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41)를 갖는 형상을 가지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1)는, 상기 기부(40)에 대향되는 단부(44)에서, 적어도 하나의 탭(45)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몰딩에 의해서 상기 탭(45)과 전체적으로 접촉되게 상기 글레이징형 요소(2)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은 상기 탭(45)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프로파일링된 밀봉 부분(3)의 외측부 면(32) 상으로 개방되나 내측부 면(33) 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몰딩 시에 형성되는 홀(3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7036813A 2016-05-30 2017-05-11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KR102362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4841A FR3051730B1 (fr) 2016-05-30 2016-05-30 Vitrage a joint profile et enjoliv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FR1654841 2016-05-30
PCT/FR2017/051136 WO2017207885A1 (fr) 2016-05-30 2017-05-11 Vitrage a joint profile et enjoliv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328A KR20190015328A (ko) 2019-02-13
KR102362015B1 true KR102362015B1 (ko) 2022-02-11

Family

ID=5632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813A KR102362015B1 (ko) 2016-05-30 2017-05-11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046163B2 (ko)
EP (1) EP3463954B1 (ko)
JP (1) JP6916817B2 (ko)
KR (1) KR102362015B1 (ko)
CN (1) CN107667026B (ko)
BR (1) BR112018073853A2 (ko)
CA (1) CA3024759A1 (ko)
ES (1) ES2902178T3 (ko)
FR (1) FR3051730B1 (ko)
HU (1) HUE057152T2 (ko)
MA (1) MA45273A (ko)
MX (1) MX2018014809A (ko)
PL (1) PL3463954T3 (ko)
PT (1) PT3463954T (ko)
RU (1) RU2736291C2 (ko)
WO (1) WO20172078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9459B1 (fr) * 2018-12-10 2020-11-13 Hutchinson Kit et procédé d’habillage d’un rail de porte d’un véhicule
USD949680S1 (en) * 2019-05-03 2022-04-26 George J. Partsch, IV Protective device for an edge of a glass obje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670A1 (en) * 2007-01-12 2010-01-21 O'sullivan Tony Fastening strip for use with a seal for sealing a window
JP2015157493A (ja) 2012-06-11 2015-09-03 旭硝子株式会社 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及び枠体付き車両窓用構造体並びに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の組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4017A (en) * 1975-03-10 1978-06-14 Shiroki Corp Device for mounting a windshield surround
FR2340217A1 (fr) 1976-02-03 1977-09-02 Renault Montage d'enjoliveurs sur pare-brise colles
DE2716071C2 (de) * 1977-04-09 1985-01-24 Audi Nsu Auto Union Ag, 7107 Neckarsulm Einfassung einer durch Klebung an einem Rahmen befestigte Glasscheibe, insbesondere Windschutz- oder Heck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DE2821095A1 (de) * 1978-05-13 1979-11-15 Scherer Plastic Werk Zierleiste
JPH027730Y2 (ko) * 1980-10-30 1990-02-23
FR2649762B1 (fr) * 1989-07-17 1991-10-31 Itw De France Attache
JP2523211Y2 (ja) * 1991-02-12 1997-01-22 東海興業株式会社 モール付自動車用固定窓材
FR2687964B1 (fr) * 1992-03-02 1997-06-13 Profil Enjoliveur de pavillon de vehicule automobile.
US5453309A (en) * 1992-11-23 1995-09-26 Silvatrim Associates Extruded molding trim for vehicles, appliances and the like
DE10259843B3 (de) * 2002-12-19 2004-08-26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Dichtungsanordnung, insbesondere zum Abdichten von Fensterscheiben eines Kraftfahrzeuges
FR2886219B1 (fr) * 2005-05-26 2007-07-06 Saint Gobain Dispositif de fixation d'un profile enjoliveur sur un cordon profile
US7950186B2 (en) * 2006-11-09 2011-05-31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Clip-on inner panel seal assembly
DE202010009720U1 (de) * 2009-03-17 2011-02-10 Pilkington Italia S.P.A. Fahrzeugverkleidung mit einer daran montierten Zierleiste
GB0914571D0 (en) * 2009-08-20 2009-09-30 Pilkington Group Ltd Vehicle glazing
WO2011063405A1 (en) * 2009-11-23 2011-05-26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Mechanical snap retainer assembly for weatherseal
DE202010001223U1 (de) * 2010-01-20 2010-04-01 Richard Fritz Gmbh + Co. Kg Scheibeneinheit
FR2965229B1 (fr) * 2010-09-28 2015-02-27 Saint Gobain Vitrage a joint profile encapsule et piece rapportee fixee au joint, element de fixation de la piece rapportee pour le vitr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DE202010013082U1 (de) * 2010-12-08 2012-03-16 Richard Fritz Gmbh + Co. Kg Scheibeneinheit und deren Herstellung
US9027284B2 (en) * 2012-05-15 2015-05-12 Henniges Automotive Sealing Systems North America, Inc. Sealing member
JP5999435B2 (ja) * 2013-03-29 2016-09-28 豊田合成株式会社 モール部材の製造方法
FR3009806B1 (fr) * 2013-08-01 2017-01-27 Saint Gobain Vitrage a joint profile et enjoliveur, enjoliv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CN203854581U (zh) * 2014-03-20 2014-10-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三角窗亮条结构
CN203958027U (zh) * 2014-05-23 2014-11-26 宁波信泰机械有限公司 一种门框上亮条端部安装结构及其专用金属片
FR3029853B1 (fr) * 2014-12-12 2018-04-13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a joint profile, enjoliveur et noyau et procede de fabrication du vitrage.
CN204623088U (zh) * 2015-05-20 2015-09-09 建新赵氏集团有限公司 具有装饰膜的密封条组件
ES2633279T3 (es) * 2015-07-10 2017-09-20 Cooper Standard GmbH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a pieza de material compuesto y pieza de material compuesto
JP6850646B2 (ja) * 2017-03-22 2021-03-3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フレームモ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670A1 (en) * 2007-01-12 2010-01-21 O'sullivan Tony Fastening strip for use with a seal for sealing a window
JP2015157493A (ja) 2012-06-11 2015-09-03 旭硝子株式会社 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及び枠体付き車両窓用構造体並びに枠体付き車両窓用板状体の組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3954A1 (fr) 2019-04-10
RU2018145732A (ru) 2020-07-09
CA3024759A1 (fr) 2017-12-07
FR3051730A1 (fr) 2017-12-01
PT3463954T (pt) 2022-01-27
HUE057152T2 (hu) 2022-04-28
CN107667026A (zh) 2018-02-06
RU2018145732A3 (ko) 2020-07-09
US11046163B2 (en) 2021-06-29
MA45273A (fr) 2019-04-10
KR20190015328A (ko) 2019-02-13
EP3463954B1 (fr) 2021-12-01
MX2018014809A (es) 2019-03-14
US20200324634A1 (en) 2020-10-15
ES2902178T3 (es) 2022-03-25
JP6916817B2 (ja) 2021-08-11
RU2736291C2 (ru) 2020-11-13
CN107667026B (zh) 2020-08-28
FR3051730B1 (fr) 2018-06-29
PL3463954T3 (pl) 2022-01-31
JP2019520251A (ja) 2019-07-18
WO2017207885A1 (fr) 2017-12-07
BR112018073853A2 (pt)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151B1 (ko) 장식 프로파일 섹션을 성형 밴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KR101952146B1 (ko) 캡슐화된 프로파일된 결합부와 결합부에 부착된 삽입부를 구비한 유리 패널, 유리 패널을 위해 삽입부를 부착하는 요소, 및 유리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US8479449B2 (en) Sealing, trimming and guiding strip
US20090223135A1 (en) Sealing strip for vehicle window and method of making it
US5779956A (en) Method for molding a glass run channel corner assembly
KR102066888B1 (ko) 봉지화된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밀봉부에 고정된 부착되는 부품을 갖는 글레이징, 글레이징의 부착되는 부품을 위한 고정 요소 및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US8001727B2 (en) Sealing molding with insert for forming closeout surface
KR101804414B1 (ko) 추가 부분을 글레이징 또는 프로파일된 림에 고정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글레이징
KR102455191B1 (ko) 압출된 시일부, 트림, 및 코어를 갖는 글레이징 및 상기 글레이징의 제조 방법
KR102215793B1 (ko) 구조 가스켓 및 트림 요소를 갖는 유리 패널, 트림 요소, 및 유리 패널의 제조 방법
JP6446555B2 (ja) 複合部品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複合部品
JP2009542509A (ja) シール構造材
KR102362015B1 (ko) 프로파일링된 밀봉부 및 스트립을 가지는 유리 패널, 및 유리 패널 제조 방법
GB2419371A (en) Sealing, trimming or guiding strips
JP2019510671A (ja) 乗用車のbピラー用シーリング兼カバーストリップ
JP4964563B2 (ja) 自動車ドアのシール構造
JP3991692B2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9507052A (ja) ウインドウモ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