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03B1 - 운동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03B1
KR102362003B1 KR1020197022266A KR20197022266A KR102362003B1 KR 102362003 B1 KR102362003 B1 KR 102362003B1 KR 1020197022266 A KR1020197022266 A KR 1020197022266A KR 20197022266 A KR20197022266 A KR 20197022266A KR 102362003 B1 KR102362003 B1 KR 102362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element
pressing
element rolling
rolling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607A (ko
Inventor
가즈토 홈마
겐이치 하세베
도시히사 마에다
준이치 사카이
노부유키 마키
가오루 호시데
Original Assignee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48Ball or roller bearings with thin walled races, e.g. tracks of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2Elastic or yielding linear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1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adjustable for alignment or pos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e.g. a carriage or part thereof, provided between the legs of a U-shaped guide rail or t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12Arrangements for adjusting play
    • F16C29/123Arrangements for adjusting play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018Screw mechanisms with both screw and nut being driven, i.e. screw and nut are both rot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와 전동체 구름 주행 홈 및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별개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에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조립 장착하는 때에 용이하게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의 간극을 적절한 양으로 조정할 수 있는 운동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립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한 궤도 부재와, 상기 벽부의 사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전동체 구름 주행 홈에 대응하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부재가 조립 장착되는 이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운동 안내 장치이며, 상기 안내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압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 부재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과 함께,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하는 설치면과,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나사부에 체결된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설치된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하는 관통구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위치 조정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안내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정 폭을 가지고, 긴 구멍 또는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 내에 연장되는 체결 수단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체이다.

Description

운동 안내 장치{MOTION GUIDING DEVICE}
본 발명은 운동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본적인 성능을 크게 저감시키지 않고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운동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와, 그 기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립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한 궤도 부재와, 벽부의 사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전동체 구름 주행 홈에 대응하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이동 부재와, 이동 부재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됨과 함께, 나선상의 나사용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나사축을 구비한 액추에이터로서의 운동 안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운동 안내 장치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궤도 부재, 이동 부재 및 나사축과 같은 주된 부재를 강재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강재를 사용하면 운동 안내 장치의 중량이 증대하게 되고, 구동 속도를 향상시켜서 고택트화를 도모하려고 하면 중량을 가능한 한 경량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량을 경량화를 위하여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궤도 부재, 이동 부재 및 나사축 등의 주된 부재를 구성하면, 전동체로부터의 부하를 적절하게 받을 수 없어, 정격이 저하되어버린다.
이러한 상반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를 알루미늄 등의 경량의 금속으로 구성함과 함께, 전동체가 구름 주행하는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및 나사축 등은 강재로 구성하고, 이들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형성한 부재를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에 조립한다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운동 안내 장치의 정격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운동 안내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와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에 조립할 때의 위치 조정이 어려워,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조정하는 것은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서로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각 부재의 교차의 쌓아 올림에 의해, 그 간극의 양이 각 운동 안내 장치마다 상이하게 되어버려, 직경이 상이한 전동체로부터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의 간극에 따른 적절한 전동체를 선정하는 볼 조정 공정이 필요하였다. 이 볼 조정 공정은, 다수의 볼로부터 최적의 직경의 볼을 선정한다고 하는 매우 번잡한 공정이기 때문에, 고비용이 되고, 볼 조정 공정을 폐지함으로써 제조 비용의 억제를 도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궤도 부재에 부착하는 구조에 있어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니어 가이드 장치와 같이, 레일 하우징에 레일 부재를 탄성체를 통해 부착함으로써 레일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 특허 제453105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리니어 가이드 장치는, 이러한 구조의 경우, 레일 부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지만, 레일 부재의 위치 결정 후, 접착제의 접착력만으로 레일 부재를 레일 하우징에 조립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까지 시간이 걸리는 것에 더하여, 최적의 직경의 볼을 선정하는 볼 조정 공정이 여전히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와 전동체 구름 주행 홈 및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별개의 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궤도 부재나 이동 부재에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을 조립 장착하는 때에 용이하게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의 간극을 적절한 양으로 조정할 수 있는 운동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립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한 궤도 부재와, 상기 벽부의 사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전동체 구름 주행 홈에 대응하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부재가 조립 장착되는 이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운동 안내 장치이며, 상기 안내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압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 부재를 폭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과 함께,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하는 설치면과,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나사부에 체결된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설치된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하는 관통구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위치 조정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안내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정 폭을 가지고, 긴 구멍 또는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 내에 연장되는 체결 수단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부재에 설치된 안내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압 부재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압 부재의 반력에 의해 자동으로 안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여 전동체 구름 주행 홈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운동 안내 장치의 조립성이 대폭으로 향상되고, 볼 조정 공정을 폐지함으로써 비용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볼 조정 공정의 폐지에 수반하여, 복수의 교차의 볼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서, 당해 볼의 관리가 불필요하게 됨으로써, 보다 제조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이동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 부재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 부재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이동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 부재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운동 안내 장치에 사용되는 안내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궤도 부재(10)와, 궤도 부재(10)를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 장착된 이동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궤도 부재(10)의 상면에는 커버(2)가 설치되어 있어 운동 안내 장치(1)의 내부에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동 부재(20)는 궤도 부재(10)와 커버(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안내 대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부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11)와, 기부(11)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립 설치하는 한 쌍의 벽부(12, 12)를 구비하고 있다. 벽부(1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 1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 17)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 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궤도 부재(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구동 부재(14)가 설치됨과 함께 구동 부재(14)에 의해 회전력이 부여되는 나사축(30)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구동 부재 설치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나사축(30)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단부벽(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14)는 전동 모터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는 강재 등의 경질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궤도 부재(10)는 강재보다도 경량의 부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다.
이동 부재(20)는 궤도 부재(10)에 형성된 벽부(12, 12)의 사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 장착되어 있다. 이동 부재(20)는 궤도 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장착된 나사축(30)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관통 구멍(21)에는, 나사축(3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부재(22)가 플랜지부(23)를 통해 조립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20)에는, 궤도 부재(10)에 조립 장착된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에 형성된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을 구름 주행하는 전동체(26)가 무한 순환하도록 조립 장착된 안내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부재(24)는 벽부(12, 12)에 대응하도록 이동 부재(20)의 폭 방향으로 한 쌍 마련되어 있고, 이동 부재(20)에 형성된 설치면(20a)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쪽 안내 부재(24)는 이동 부재(20)에 가압 부재(40)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40)는 고무 튜브 등의 탄성체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공의 고무 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압 부재(40)는 탄성력에 의해 안내 부재(24)를 벽부(12)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이 가압력은,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 사이의 간극이 이들 사이를 구름 주행하는 전동체(26)의 직경에 따라서 적절한 간극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어, 당해 간극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안내 부재(24)는 이동 부재(20)의 가압 부재(40)의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이동 부재(20)의 상면)으로부터 볼트 등의 체결 수단(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안내 부재(24)는 이동 부재(20)에 대하여 가압 부재(40)의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체결 수단(2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체결 수단(25)의 체결력이 가압 부재(40)의 가압력에 영향을 줄 일 없이 상술한 가압 부재(40)에 의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안내 부재(24)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안내 부재(24)는 체결 수단(25)에 의해 설치면(20a)에 고정될 때까지는 설치면(20a)을 따라서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 장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가압 부재(40)의 가압력에 의해 안내 부재(24)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40)는 안내 부재(24)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에 상하에 한 쌍씩, 합계 4군데에 설치된다면 바람직하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으로부터의 거리가 대략 등거리로 되도록 상하에 가압 부재(40)가 배치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부재(40)가 설치된 안내 부재(24)를 이동 부재(20)에 고정하는 체결 구멍(25a)은 긴 구멍 또는 볼트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압 부재(40)에 의해 위치 조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안내 부재(24)를 체결할 수 있도록 조정 폭을 갖게 하고 있다.
도 5 및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24)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이 형성된 안내 부재 본체(27)와,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과 연속하는 방향 전환 홈(29b) 및 그 방향 전환 홈(29b)과 연속하는 전동체 복귀 통로(29a)가 형성된 무한 순환 구성 부재(2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무한 순환 구성 부재(29)의 방향 전환 홈(29b)을 덮어서 방향 전환로를 구획 형성하는 단부 부재(28)가 설치 수단(28a)에 의해 양단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한 순환 구성 부재(29)에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압 부재(40)를 설치하는 설치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부재(24)는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의 사이를 구름 주행하는 전동체(26)가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의 일단까지 이르면, 방향 전환 홈(29b)을 통하여 전동체 복귀 통로(29a)를 통과하여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의 타단부로 복귀됨으로써 전동체(26)의 무한 순환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안내 부재 본체(27)는 강재 등의 경질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동 부재(20)나 무한 순환로 구성 부재(29)는 강재보다도 경량의 부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 부재(24)의 단부에 설치한 단부 부재(28)는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축(30)과 너트(22)는 볼 나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볼 나사 장치는, 외주면에 소정의 리드로 나선상의 나사용 전동체 구름 주행 홈(31)이 형성됨과 함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형성된 나사축(30)과, 그 나사축(30)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나사축(30)에 형성된 나사용 전동체 구름 주행 홈(31)과 대향하는 나사용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너트(22)와, 나사용 전동체 구름 주행 홈(31)과 나사용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사이에 복수의 볼 나사용 전동체를 배열하여 나사축(30)과 너트(22)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또한, 너트(22)는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외형 직사각 형상 등의 통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이렇게 구성된 볼 나사 장치는, 나사축(30)과 너트(22)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너트(22)가 나사축(3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구동 부재(14)의 회전에 의해 회전시켜진 나사축(30)의 회전 운동이 너트(22)의 직진 운동으로 변환된다. 또한, 나사축(30) 및 너트(22)는 강재 등의 경질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고, 플랜지부(23)는 강재보다도 경량의 부재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구성된다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이동 부재(20)에 설치된 안내 부재(24)의 적어도 어느 한쪽은, 안내 부재(24)의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이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안내 부재(24)를 벽부(12)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40)를 설치하여 이동 부재(20)에 형성된 설치면(20a)에 조립되고, 안내 부재(24)는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체결 고정되므로,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고, 당해 조정 후의 위치 고정을 이동 부재(20)의 상면으로부터 체결 고정에 의해 행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간극 조정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볼 조정 공정 등의 번잡한 공정을 삭감하여 제조 비용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가압 부재(40)는 안내 부재(24)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적어도 한 쌍씩, 예를 들어 합계로 4군데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안내 부재(24)를 안내 부재(24)의 양단으로부터 가압함으로써 가압력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 사이의 간극의 자동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가압 부재(40)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으로부터 가압 부재(40)가 설치되는 설치 홈(41)까지의 거리가 대략 등거리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의 홈폭 방향의 중심점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임의의 점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한 쌍의 설치 홈(41, 41)이 등거리에 배치되어 있다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가압 부재(40)의 가압력을 적절하게 안내 부재(24)에 전달할 수 있어,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 사이의 간극의 자동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중공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실의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가압력을 약화시킴으로써 과대한 가압력의 부여를 방지하여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과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24a) 사이의 간극의 자동 조정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운동 안내 장치(1)는 벽부(12)는 전동체 구름 주행 홈(16)이 형성된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가 설치되고, 적어도 안내 부재(24),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17) 및 나사축(30)은 강재로 형성되고, 궤도 부재(10) 및 이동 부재(20)는 강재의 경량의 부재로 형성되므로, 정격하중의 확보와 경량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될 일은 없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40)는 탄성체 등으로 구성하여 이동 부재(20)와 안내 부재(24) 사이에 개재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행했지만, 가압 부재(40)를 경사면을 갖는 쐐기 부재로서 구성하고, 그 쐐기 부재를 체결 수단(25)에 의해 세게 조이는 구성으로 하면, 경사면을 따라 안내 부재(24)의 위치 조정을 행할 수 있어, 체결 수단(25)의 조임량에 의해 안내 부재(24)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볼 나사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궤도 부재(10)와 이동 부재(20)로 이루어지는 운동 안내 장치로서 구성해도 상관없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확하다.
1: 운동 안내 장치
10: 궤도 부재
11: 기부
12: 벽부
16: 전동체 구름 주행 홈
17: 구름 주행 홈 구성 부재
20: 이동 부재
24: 안내 부재
24a: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
25: 체결 수단
30: 나사축
40: 가압 부재

Claims (5)

  1.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폭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기립 설치함과 함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벽부를 구비한 궤도 부재와,
    상기 벽부의 사이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함께, 상기 전동체 구름 주행 홈에 대응하는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 부재가 조립 장착되는 이동 부재로 이루어지는 운동 안내 장치이며,
    상기 안내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부하 전동체 구름 주행 홈이 마련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가압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 부재에는, 상기 안내 부재가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 부재를 폭 방향을 따라서 자동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함과 함께,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하여 고정 가능하게 하는 설치면과, 상기 가압 부재가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관통구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나사부에 체결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체결 고정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설치된 상기 안내 부재를 상기 이동 부재에 고정하는 관통구는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위치 조정이 행해졌을 경우에 상기 안내 부재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조정 폭을 가지고, 긴 구멍 또는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안내 부재에 설치하기 위해 상기 관통구 내에 연장되는 상기 체결 수단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압 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안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안내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양단은 상기 가압 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안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한 쌍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안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한 쌍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안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안내 장치는 상기 체결 수단이 상기 관통구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폭방향으로 위치 조정된 초기 조립 상태와, 상기 안내 부재가 상기 관통구에 삽입된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 폭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 상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안내 장치.
KR1020197022266A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KR102362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99636 2015-10-07
JP2015199636A JP6177294B2 (ja) 2015-10-07 2015-10-07 運動案内装置
PCT/JP2016/076588 WO2017061231A1 (ja) 2015-10-07 2016-09-09 運動案内装置
KR1020187008795A KR20180039171A (ko)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795A Division KR20180039171A (ko)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607A KR20190092607A (ko) 2019-08-07
KR102362003B1 true KR102362003B1 (ko) 2022-02-10

Family

ID=58487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266A KR102362003B1 (ko)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KR1020187008795A KR20180039171A (ko)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795A KR20180039171A (ko) 2015-10-07 2016-09-09 운동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6575B2 (ko)
JP (1) JP6177294B2 (ko)
KR (2) KR102362003B1 (ko)
CN (1) CN108026965B (ko)
DE (1) DE112016004620T5 (ko)
TW (1) TWI651477B (ko)
WO (1) WO2017061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4852B4 (de) * 2019-04-04 2023-06-07 Deckel Maho Pfronten Gmbh Führungsvorrichtung, Präzisionsauflager für eine Linearschiene und Justierverfahren
DE102020204569B4 (de) 2020-04-09 2022-11-10 Festo Se & Co. Kg Linearbewegungseinheit
EP3910207B1 (en) * 2020-05-14 2023-07-26 SMC Corporation Actuator
JP7248959B2 (ja) * 2020-05-14 2023-03-30 Smc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TWI828227B (zh) * 2022-07-11 2024-01-01 銀泰科技股份有限公司 線性滑塊及致動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6715U1 (ko) * 1992-05-18 1992-07-30 Nadella-Waelzlager Gmbh, 7000 Stuttgart, D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9661A (en) * 1955-05-26 1960-03-22 Dexter & Company High Wycombe Rectilinear ball bearings
US3008774A (en) * 1959-03-23 1961-11-14 Beaver Prec Products Inc Ball way construction
US3398999A (en) * 1966-08-15 1968-08-27 Ex Cell O Corp Linear motion ball bearing assembly
US3608985A (en) * 1970-04-02 1971-09-28 Sundstrand Corp Bearing pack and mounting therefor
DE4228720A1 (de) * 1992-08-28 1994-03-03 Schaeffler Waelzlager Kg Tragschiene für ein Linearführungssystem
JP4503866B2 (ja) * 2000-03-13 2010-07-14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及びこの転がり案内装置を用いた駆動装置
JP2004232783A (ja) * 2003-01-31 2004-08-19 Toshiba Mach Co Ltd 直線案内装置
EP1808608B1 (en) 2004-09-08 2010-05-05 THK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linear guide device and track rail for the linear guide device
JP2006112458A (ja) * 2004-10-12 2006-04-27 Nsk Ltd リニアガイド装置
EP2436940A4 (en) 2009-05-28 2013-05-01 Famco Co Ltd ADJUSTABLE PRELOAD TYPE LINEAR GUIDING SYSTEM
DE102010034929B4 (de) * 2010-08-20 2018-02-22 Microm International Gmbh Verfahren und Einstellwerkzeug zur Einstellung der Vorspannung von Wälzkörperführungen
JP5478538B2 (ja) * 2011-02-28 2014-04-23 Ckd株式会社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予圧調整機構
CN102182761A (zh) * 2011-05-13 2011-09-14 大连泷孚中天精机有限公司 致动一体化滑块
JP5914000B2 (ja) * 2012-01-16 2016-05-11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06715U1 (ko) * 1992-05-18 1992-07-30 Nadella-Waelzlager Gmbh, 7000 Stuttgart,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6965B (zh) 2020-07-10
TWI651477B (zh) 2019-02-21
JP2017072196A (ja) 2017-04-13
US10876575B2 (en) 2020-12-29
KR20190092607A (ko) 2019-08-07
JP6177294B2 (ja) 2017-08-09
CN108026965A (zh) 2018-05-11
TW201719054A (zh) 2017-06-01
WO2017061231A1 (ja) 2017-04-13
KR20180039171A (ko) 2018-04-17
US20180283449A1 (en) 2018-10-04
DE112016004620T5 (de)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003B1 (ko) 운동 안내 장치
US6476525B2 (en) Linear actuator
KR101926323B1 (ko) 액추에이터
US8313239B2 (en) Adjustable preload type linear guide system
TWI518258B (zh) Uniaxial actuator
KR102244969B1 (ko) 직동 안내 장치 및 직동 안내 장치의 제조 방법
EP1925852A1 (en) Rolling element screw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1518695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22091092A (ja) ボール循環案内装置及び割りナット
JP3126874U (ja) 誤差吸収機構付直線案内装置
KR20190084996A (ko) 볼 스크루 드라이브용 나사산 너트
JP2014040896A (ja) ボールね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変速機
JP6322422B2 (ja) アクチュエータ
CN110939653A (zh) 直线导轨副以及导轨机构
JP5803220B2 (ja) 直動案内装置
JP2014163483A (ja) 直動案内装置
JP2005282855A (ja) ねじ軸循環式ボールね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