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507B1 -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507B1
KR102361507B1 KR1020210066350A KR20210066350A KR102361507B1 KR 102361507 B1 KR102361507 B1 KR 102361507B1 KR 1020210066350 A KR1020210066350 A KR 1020210066350A KR 20210066350 A KR20210066350 A KR 20210066350A KR 102361507 B1 KR102361507 B1 KR 10236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parking fee
vehicles
parking 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국윤철
우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6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30Parking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차량들을 대상으로 차량 식별과정을 통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 및 주차요금을 정산함으로써, 적은 유지 및 관리 비용으로도 차량의 주차를 효율좋게 관리할 수 있고, QR 코드를 기반으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의 주차면들을 모두 촬영하여, 주차면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들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입력된 주차 차량들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을 각각 식별하고, 각 차량의 입차 및 출차시간을 계수하여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차 차량의 차주가 개인 휴대 단말기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UNMANNED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FOR PARKING SPACE SHARING SERVICE}
본 발명은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차량들을 대상으로 차량 식별과정을 통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 및 주차요금을 정산함으로써, 적은 유지 및 관리 비용으로도 차량의 주차를 효율좋게 관리할 수 있고, QR 코드를 기반으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는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은, 차량의 입차와 출차를 단속하기 위한 주차차단기와, 입차와 출차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해당 차량번호의 차량에 대한 입차 및 출차 시간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산출된 차량의 입차, 출차 시간을 이용하여 출차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주차요금기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주차요금 정산기는, 현금, 전자카드, 신용카드 등을 이용한 결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에 대한 차량의 입차와 출차, 그리고 주차요금까지 자동화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주차 관리원 없이도 주차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장의 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은,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과정에서 현금, 신용카드 등을 사용하므로, 사용하기가 여전히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신용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고가의 신용카드용 주차요금 정산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소규모의 주차장, 예를 들면, 소규모 상가 주차장, 일반 공동주택 주차장 등에서는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은, 입차,출차 차량을 한 대씩 일일이 촬영하고, 촬영된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한 다음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구조이므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주차장의 입구 및 출구가 다수일 경우, 입출구 마다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구조이므로,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무인 주차관제 시스템은, 차량의 입출차와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기능만 수행하므로, 보안기능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보안장비, 예를 들면, CCTV 및 관리장치를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주차요금 정산기 없이도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이 가능하도록 한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주차요금 정산기 없이도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차요금 정산기의 구입과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요금 정산기의 구입과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규모 상가 주차장, 일반 공동주택 주차장 등과 같은 소규모의 주차장에서도 비용 부담없이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요금을 정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주차를 적은 비용으로 효율좋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차 차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보안장비 없이도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의 주차면들을 모두 촬영하여, 상기 주차면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들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된 주차 차량들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을 각각 식별하고, 각 차량의 입차 및 출차시간을 계수하여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하는 제어부와;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차 차량의 차주가 개인 휴대 단말기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주차장의 주차면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들을 한꺼번에 촬영하여, 모든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한꺼번에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주차면들의 주차 차량들의 영상데이터에서 각 차량들의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주차 차량들을 각각 구분하고, 추출한 각 차량의 차량번호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감시하여 각 차량의 입차와 출차 시간을 측정하는 영상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영상데이터 분석부에서 주차장의 각 차량에 대한 입차 및 출차시간이 계수되면, 계수된 입차 및 출차시간을 미리 내장된 연산로직으로 처리하여 해당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하는 주차요금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차주가 개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주차요금 결제를 신청할 시에,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간을 시점으로 해당 차량의 출차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주차장 출차 차량의 주차정보와 주차요금정보를 제공받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차장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와 무선 접속될 수 있는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를 구비하는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와 무선 접속될 시에,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상기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 결제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QR 코드 인식 방법을 통해 주차장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와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는, 주차요금 결제용 QR 코드를 생성하여 주차장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는, QR 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로 상기 주차요금 결제용 QR 코드를 스캔할 시에,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와의 접속 시, 상기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현재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목록 및; 차량의 목록 중, 출차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을 상기 차량의 목록에 대응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다수의 선택버튼 중, 출차 차량에 대응하는 특정 선택버튼을 차주가 눌러서 터치하였을 시에, 출차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및;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버튼을 상기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출차 차량의 차주가 상기 결제버튼을 눌러서 터치하였을 시에, 해당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a) 입력된 카메라 정보로부터 주차면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 (b) 주차면 영역내의 진입차량에 대해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 (c) 차량 식별결과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d) 사용자가 단말기로 QR 코드를 촬영한 후 요금정산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e) 입차 정보 및 출차를 위한 선택 데이터로부터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단계(S50), (f) 출차 완료후 사용자 단말기에 출차 처리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를 기반으로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주차요금 정산기 없이도 손쉽게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주차요금 정산기 없이도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차요금 정산기의 구입과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요금 정산기의 구입과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 상가 주차장, 일반 공동주택 주차장 등과 같은 소규모의 주차장에서도 비용 부담없이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주차 차량들을 한꺼번에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주차 차량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으므로, 입출차 차량을 한 대씩 촬영하여 차량의 입출차 정보와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무인 주차장을 적은 비용으로 효율좋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면에 주차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차 차량을 관리하는 구조이므로,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별도의 보안장비 없이도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카메라가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로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서 차량의 식별 및 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10)는, 고해상도의 씨씨디(CCD) 또는 씨모스(CMOS) 카메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자창의 일측부분에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10)는, 주차장의 주차면(A)들을 모두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차면(A)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B)들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주차된 차량(B)들의 번호판(B-1) 영상데이터를 한꺼번에 모두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0)는, 주차장의 일측부분에 설치되어 있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주차면(A)에 주차된 차량 모두를 촬영할 수 있는 높이와 각도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카메라(10)는, 주차장의 주차된 모든 차량의 번호판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면(A)이 주차장의 양쪽에 마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카메라(10)는, 양쪽의 주차면(A)을 촬영할 수 있도록 양방향 촬영구조로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카메라(10)에서 획득한 주차 차량들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주차된 차량들의 실시간 주차정보를 확보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춘 일종의 컴퓨터로서, 상기 카메라(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영상데이터 분석부(22)를 갖추고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 분석부(22)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카메라(10)에서 입력된 주차 차량들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여,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을 구분하고,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과 출차시간을 계수한다.
특히,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의 영상데이터를 내장된 로직으로 처리하여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의 번호판(B-1)을 각각 구분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각 주차면(A)의 주차 차량들의 영상데이터에서, 각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주차 차량들을 각각 구분한다.
그리고 추출한 각 차량의 차량번호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감시하고, 추적 및 감시 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입차와 출차 시간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각 주차면(A)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차량번호가 추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추출된 시간을 시점으로 해당 차량의 입차시간이 결정된다.
그리고 각 주차면(A)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 추출된 차량번호가 없어진 것으로 확인되면, 없어진 시간을 시점으로 해당 차량의 출차시간이 결정된다.
한편, 영상데이터 분석부(22)는, 각 주차면(A)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처리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 추출된 차량번호가 없어지지 않더라도, 해당 주차번호의 차량 차주가 개인휴대 단말기(50)를 통해 주차요금 결제를 신청할 경우, 주차요금 결제 시간을 시점으로 해당 차량의 출차시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영상데이터 분석부(22)는, 카메라(10)에서 획득한 영상데이터와 미리 내장된 로직을 통해, 주차장의 각 주차면(A)에 주차된 차량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으며, 구분된 각 차량의 입차와 출차 시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통해 차량번호(객체)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차량번호(객체)의 변화와 유무를 통해 차량의 이동을 인식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주차요금 연산부(24)를 더 구비한다.
상기 주차요금 연산부(24)는, 주차요금 연산로직으로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영상데이터 분석부(22)에서 주차장의 각 차량에 대한 입차 및 출차시간이 계수되면, 계수된 입차 및 출차시간을 미리 내장된 연산로직으로 처리하여 해당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한다. 따라서, 해당 차량의 주차장 출차 시에, 주차요금의 정산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서버(30)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Hard Disk Drive)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서버(30)는,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한 주차장의 영상데이터 및, 제어부(20)에서 분석한 영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또한, 수집하고 저장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20)에서 필요에 따라 저장한 데이터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는, 주차요금 결제서버(42)를 구비한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주차장 자체컴퓨터 또는 인터넷의 중앙컴퓨터에 구축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20)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차 차량의 주차정보 및 주차요금정보를 제공받는다.
한편, 이러한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에서 접속할 수 있다. 특히, QR 코드 (Quick Response Code)기반의 인식 방법으로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측에서 생성한 주차요금 결제용 QR 코드(70)를 사용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카메라로 찍어서 스캔하면, 스캔한 QR 코드(70)의 정보로 주차요금 결제서버(42)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장측에서는, 생성된 QR 코드(70)를 주차장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는 개인 휴대 단말기(50)에 QR 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50a)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에는 QR 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50a)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정산하기 위해 개인 휴대 단말기(50)로 주차장의 고유 QR 코드(70)를 스캔하면, 주차요금 결제서버(42)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에 접속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주차요금 결제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주차요금 결제화면에 현재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주차요금 결제화면에 주차 차량의 목록을 표시하되, 주차 차량의 사진과, 차량번호 및, 입차시간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차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주차 차량의 목록의 각 주차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54)을 표시하며, 상기 선택버튼(54)을 사용자가 눌러서 터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결제화면이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사용자 주차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과 최종 결제금액을 표시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에서 제공된 사용자 주차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버튼(56)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결제버튼(56)을 눌러서 터치하면, 해당 차량의 주차요금이 결제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결제완료 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자신의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한편, 사용자가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결제버튼(56)을 눌러서 터치하면, 주차요금 결제신호가 무선 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주차요금 결제서버(42)에 전송된다.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는, 이렇게 전송된 주차요금 결제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거래 금융사에 주차요금을 청구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거래 금융사는, 소정의 절차에 따라 주차요금의 신청을 승인하고, 추후 주차장측에 사용자의 주차요금을 지급한다. 이로써, QR 코드를 기반으로 한 주차요금의 결제가 완료된다.
온라인 거래에 대한 금융 결제 방법 및 구조는 이미 공지된 내용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2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내장된 로직을 통해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과 사용자가 주차요금을 결제한 차량을 대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과 사용자가 주차요금을 결제한 차량을 대조하여,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 중, 주차요금을 미결제한 차량을 선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주차장측에서 주차요금을 미결제한 차량에 대해 사후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모니터(80)와 오디오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80)는,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주차장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주차장측 사용자가 주차장의 주차 및 관리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파손, 사건, 사고 및 위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오디오장치(90)는, 마이크(Mic), 앰프(Amplifier), 스피커(Speake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차장측 사용자가 주차장에 실시간으로 음성 방송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파손, 사건, 사고 및 위급상황 발생 시에, 경고방송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은, (a) 입력된 카메라 정보로부터 주차면 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10), (b) 주차면 영역내의 진입차량에 대해 차량을 식별하는 단계(S20), (c) 차량 식별결과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30), (d) 사용자가 단말기로 QR 코드를 촬영한 후 요금정산 웹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40), (e) 입차 정보 및 출차를 위한 선택 데이터로부터 주차요금을 계산하는 단계(S50), (f) 출차 완료후 사용자 단말기에 출차 처리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입력된 카메라 정보부터(도 10a) 주차면의 영역을 지정한다(도 10b).
도 10b에서 빨간선은 주차면 영역, 노란선은 이면 주차영역, 파란선은 기준선, 숫자는 주차면 개수를 나타낸다.
도 10b는 3개의 주차면 영역을 지정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주차면 영역의 개수는 가감될 수 있다.
이어서 주차면 영역내의 진입차량에 대해 차량을 식별한다. 이때 식별된 차량은 녹색 박스로 표시되고, 확률값도 같이 표시된다(도 10c).
여기서 상기 차량판별은 딥 러닝(Deep Learning) 기술의 콘볼루션 신경망(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볼루션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의 한 종류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콘볼루션 계층(Convolutional layer)과 통합 계층(Pooling layer), 완전하게 연결된 계층(Fully connected layer)들로 구성된 신경망을 말한다.
상기 CNN은, 2차원 데이터의 학습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며, 영상 내 객체 분류, 객체 탐지 등에 활용되는 모델이다.
차량 식별결과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으면 이를 삭제하고,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차번, 날짜, 입차시간정보를 주차 DB에 저장한다(도 10d).
그리고 차량을 출차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말기로 QR 코드를 촬영한 후, 요금정산 웹 서버에 접속하도록 한다.
상기 웹 서버는, 출차 차량 이미지 찾기, 요금 지불방법 선택(카드전용, 마일리지 적립 등)의 기능을 갖는다.
주차 요금 계산은 입차 정보와 출차를 위해 선택된 데이터로부터 처리되고, 출차 처리된 결과는 출차 완료 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를 기반으로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주차요금 정산기 없이도 손쉽게 차량의 주차요금 정산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주차요금 정산기의 구입과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소규모 상가 주차장, 일반 공동주택 주차장 등과 같은 소규모의 주차장에서도 큰 비용 부담없이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주차 차량들을 한꺼번에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근거로 주차 차량들의 정보를 분석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차량의 입출차를 확인하고, 주차요금을 정산할 수 있으므로, 입출차 차량을 한 대씩 촬영하여 차량의 입출차 정보와 주차요금을 정산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a무인주차장을 효율좋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주차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차 차량을 관리하는 구조이므로,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 및 감시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보안장비 없이도 주차 차량에 대한 보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카메라(Camera) 20: 제어부
22: 영상데이터 분석부 24: 주차요금 연산부
30: 데이터 수집서버(Server) 40: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
42: 주차요금 결제서버 50: 사용자 개인 휴대 단말기
50a: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인식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52: 디스플레이부 54: 선택버튼(Button)
56: 결제버튼 60: 무선 통신 네트워크(Network)
70: QR 코드(Code) 80: 모니터(Monitor)
90: 오디오장치 A: 주차면
B: 차량 B-1: 번호판

Claims (13)

  1. 주차장의 주차면(A)들을 모두 촬영하여, 상기 주차면(A)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B)들의 영상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입력된 주차 차량들의 실시간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주차장에 입차 및 출차한 차량을 각각 식별하고, 각 차량의 입차 및 출차시간을 계수하여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하는 제어부(20)와;
    주차장으로부터의 출차 차량의 차주가 개인 휴대 단말기(50)로 주차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10)는,
    주차장의 주차면(A)들에 주차된 모든 차량(B)들을 한꺼번에 촬영하여, 모든 차량(B)의 영상데이터를 한꺼번에 획득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된 주차면(A)들의 주차 차량(B)들의 영상데이터에서 각 차량(B)들의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주차 차량(B)들을 각각 구분하고, 추출한 각 차량(B)의 차량번호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감시하여 각 차량(B)의 입차와 출차 시간을 측정하는 영상데이터 분석부(22)와;
    상기 영상데이터 분석부(22)에서 주차장의 각 차량(B)에 대한 입차 및 출차시간이 계수되면, 계수된 입차 및 출차시간을 미리 내장된 연산로직으로 처리하여 해당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연산하는 주차요금 연산부(2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차주가 개인 휴대 단말기(50)를 통해 주차요금 결제를 신청할 시에, 상기 주차요금 결제 시간을 시점으로 해당 차량의 출차시간을 결정하며,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주차장 출차 차량의 주차정보와 주차요금정보를 제공받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60)를 통해 주차장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와 무선 접속될 수 있는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를 구비하는 주차요금 결제서버(42)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요금 결제서버(42)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와 무선 접속될 시에, 미리 설정된 로직을 통해 상기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 결제를 유도하며,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QR 코드 인식 방법을 통해 주차장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와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는,
    주차요금 결제용 QR 코드를 생성하여 주차장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는,
    QR 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카메라로 상기 주차요금 결제용 QR 코드를 스캔할 시에,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출차 차량의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와의 접속 시, 상기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현재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목록 및;
    차량의 목록 중, 출차 차량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을 상기 차량의 목록에 대응하여 표시하며,
    상기 모바일 무선 주차요금 결제부(40)의 주차요금 결제 홈페이지는,
    상기 다수의 선택버튼 중, 출차 차량에 대응하는 특정 선택버튼을 차주가 눌러서 터치하였을 시에, 출차 차량에 대한 주차요금 및;
    주차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버튼(56)을 상기 차주측 개인 휴대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하고;
    출차 차량의 차주가 상기 결제버튼(56)을 눌러서 터치하였을 시에, 해당 출차 차량의 주차요금을 결제하며,
    상기 제어부(20)는,
    미리 내장된 로직을 통해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과, 주차요금을 결제한 차량을 대조하여, 주차장에서 출차한 차량 중, 주차요금을 미결제한 차량을 선별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된 주차장의 영상데이터를 표시하여, 주차장측 사용자가 주차장의 주차 및 관리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80)와;
    주차장측 사용자가 주차장에 실시간으로 음성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장치(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한 주차장의 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20)에서 분석한 영상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며, 필요시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서버(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66350A 2021-05-24 2021-05-24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KR102361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350A KR102361507B1 (ko) 2021-05-24 2021-05-24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350A KR102361507B1 (ko) 2021-05-24 2021-05-24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507B1 true KR102361507B1 (ko) 2022-02-14

Family

ID=8025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350A KR102361507B1 (ko) 2021-05-24 2021-05-24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94B1 (ko) * 2023-08-02 2023-12-15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Ptz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검출 및 차량 번호 인식기술을 활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229A (ko) * 2010-10-15 2012-04-25 지엘시스텍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주차관리방법
KR20170012714A (ko) * 2015-07-22 2017-02-03 주식회사 경신 Cctv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정보 제공 장치
KR101873438B1 (ko) * 2017-04-19 2018-07-02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20190046616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지엠케이정보통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19101544A (ja) * 2017-11-29 2019-06-24 株式会社駐車場綜合研究所 駐車場サーバ、駐車料金精算システム、プログラム
KR101998052B1 (ko) * 2019-03-22 2019-07-0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빅데이터 기반 객체 인식을 이용한 전방위 카메라 1대 다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JP2020144654A (ja) * 2019-03-07 2020-09-10 アマノ株式会社 駐車場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9229A (ko) * 2010-10-15 2012-04-25 지엘시스텍주식회사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주차관리방법
KR20170012714A (ko) * 2015-07-22 2017-02-03 주식회사 경신 Cctv카메라를 이용한 주차정보 제공 장치
KR101873438B1 (ko) * 2017-04-19 2018-07-02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주차 요금 결제 시스템
KR20190046616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지엠케이정보통신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JP2019101544A (ja) * 2017-11-29 2019-06-24 株式会社駐車場綜合研究所 駐車場サーバ、駐車料金精算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20144654A (ja) * 2019-03-07 2020-09-10 アマノ株式会社 駐車場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98052B1 (ko) * 2019-03-22 2019-07-0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빅데이터 기반 객체 인식을 이용한 전방위 카메라 1대 다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94B1 (ko) * 2023-08-02 2023-12-15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Ptz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검출 및 차량 번호 인식기술을 활용한 주차 관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88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8502698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383870B1 (ko)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리 방법
JP71868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40140578A1 (en) Parking enforcement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enforcement
JP2020119615A (ja) 顔照合システム、顔照合装置、顔照合方法、及び記録媒体
CN110853391A (zh) 智能共享停车系统
JP720875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125404A1 (en) Face recognition business model and method for identifying perpetrators of atm fraud
JP2019061686A5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CN112037076A (zh) 一种地产交易风险控制方法、系统、平台、设备及介质
KR102361507B1 (ko) 주차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무인 통합 주차관제 시스템
CN114694385A (zh) 停车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M495593U (zh) 停車場管理系統
JP7112221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TWI760521B (zh) 智慧商店購物系統及使用其之購物方法
KR101249450B1 (ko) 주차요금 징수 시스템
CN115861916A (zh) 异常停车行为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7220530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522969B (zh) 停車場管理系統
JP2006338386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20020032475A (ko) 주차요금 정산 장치 및 그 기록매체
JP7480642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7433659B2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TWM563633U (zh) 車輛管理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