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341B1 -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341B1
KR102361341B1 KR1020190155760A KR20190155760A KR102361341B1 KR 102361341 B1 KR102361341 B1 KR 102361341B1 KR 1020190155760 A KR1020190155760 A KR 1020190155760A KR 20190155760 A KR20190155760 A KR 20190155760A KR 102361341 B1 KR102361341 B1 KR 10236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vehicle body
vehic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994A (ko
Inventor
김광섭
곽성복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3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6Devices holding the wing by magnetic or electromagnetic attr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는, 양단부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된 형태로 절곡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된 도어브라켓; 일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절곡부가 끼워지는 지지단이 타단부에 구비되는 차체브라켓; 상기 차체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이 상대회동하도록,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단에 축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차체브라켓에 설치되어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절곡부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강제하는 자력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잠금장치모듈이 도어 내측에서 전면 배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어의 조립공정에 대한 효율화와 도어의 슬림화 및 경량화가 함께 도모될 수 있고, 도어의 내부가 드러나도록 분해하지 않고도 차체에서 도어 자체를 단순 분리하여 간이하고 신속하게 힌지장치에 대한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VEHICLE DOOR HINGE DEVICE THAT IS LOCKED BY MAGNETIC FORCE}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수 구성인 도어 힌지장치의 작동을 전자기력으로 억제하여 차량용 도어의 개폐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량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여 이를 연결 또는 폐쇄하는 구성으로, 주행 중에는 도어를 닫아 외부의 소음, 비 먼지, 바람 등을 차단하고, 측면 충돌시에는 사이드 구조물과 함께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윙 도어 방식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대부분의 승용차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도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바깥쪽으로 열리게 되는데 문 옆에 장애물이 있거나 공간이 좁으면 승객이 타고 내리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스윙 방식의 종래 차량용 도어 힌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전방에 경첩구조로 설치되어 차체에 대하여 단순히 도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지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는 도어 내측에 설치되는 별도의 부피물인 잠금장치모듈(20)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잠금장치모듈(20)은, 차체에 결합되는 고정걸쇠(24)와, 이에 대하여 걸림과 걸림해제 작동을 하며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래치조립체(22)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걸쇠(24)에 대한 래치조립체(22)의 걸림과 걸림해제는 모터 등의 구동력에 의해 당김작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케이블(26)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 잠금장치모듈(20)은 래치조립체(22)와 이에 연결된 구동케이블(26)과, 구동케이블(26)을 당기고 풀어주는 모터 등을 일일이 도어 내측에 배치하고 수작업으로 고정하는 조립공정과, 차체에 고정걸쇠(24)를 결합하는 공정 등의 적지않은 조립공수가 요구된다는 점에서 자동차 제조공정의 효율을 저해하는 일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종래 잠금장치모듈(20)을 도어 내측에 배치함으로 인해 도어 자체의 두께가 자연히 증가할 수밖에 없어 도어의 경량화를 저해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물이자 과다한 조립공수가 요구되는 종래의 잠금장치모듈을 도어 내측에서 배제하여 조립공정의 효율화와 도어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함께 이룰 수 있고, 차량용 도어의 개폐를 기계식이 아닌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양단부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된 형태로 절곡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된 도어브라켓; 일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절곡부가 끼워지는 지지단이 타단부에 구비되는 차체브라켓; 상기 차체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이 상대회동하도록,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단에 축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차체브라켓에 설치되어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절곡부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강제하는 자력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자력잠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형성된 강자성 소재의 작용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력잠금부와 상기 작용단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에는,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는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며 접촉하는 상보적 형상의 요철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단의 접촉면에 대향된 반대편에는, 상기 자력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을 강제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도어브라켓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잠금부는, 상기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감지부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브라켓에 대하여 도어브라켓이 상대회동하도록 축결합되는 힌지축과, 차체브라켓에 설치되어 마주하게 되는 절곡부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도어의 닫힘을 강제하는 자력잠금부가 각각 마련됨으로 인해, 종래 잠금장치모듈이 도어 내측에서 전면 배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도어의 조립공정에 대한 효율화와 도어의 슬림화 및 경량화가 함께 도모될 수 있고, 도어의 내부가 드러나도록 분해하지 않고도 차체에서 도어 자체를 단순 분리하여 간이하고 신속하게 힌지장치에 대한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와 도어의 개방과 폐쇄시 변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를 기준으로 도어의 개방과 폐쇄시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스윙 방식의 종래 차량용 도어 힌지와 잠금장치모듈이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와 도어의 개방과 폐쇄시 변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종단면도, 횡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를 기준으로 도어의 개방과 폐쇄시 작동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스윙 방식의 종래 차량용 도어 힌지와 잠금장치모듈이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Z축,위쪽), 하(아래쪽), 좌우(Y축,옆쪽 또는 측방), 전(X축, 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100)는, 종래 잠금장치모듈(20)을 도어(10) 내측에서 전면 배제하여 도어(10)의 조립공정에 대한 효율화, 도어(10)의 슬림화 및 경량화를 함께 도모하는 한편, 도어(10)의 잠금기능에 대한 유지관리가 간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10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브라켓(110), 차체브라켓(120), 힌지축(130), 자력잠금부(140), 요철부(150a,150b) 및 제어부(18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60) 및 작동감지부(170) 등을 더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위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브라켓(110)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10)에 고정되어 도의 회전과 함께 회동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고정편(114), 중앙부의 절곡부(112) 및 작용단(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고정편(114)은, 도어브라켓(11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도어(10)의 전방 두께면에 밀착된 상태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도어(10)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절곡부(112)는, 후술할 힌지축(130)에 의해 차체브라켓(120)과 축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도어고정편(114) 사이의 중앙부에서 차체(30)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작용단(116)은, 차체(30)에 대한 도어(10)의 닫힘시 후술할 자력잠금부(140)와 면대 면으로 접촉하도록 절곡부(112)에서 연장형성되는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힌지축(130)을 기준으로 도어브라켓(110)(도어(10))과 함께 회동할 때 자력잠금부(140)와의 간섭이 없는 크기의 판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어된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잠금부(140)와 면대 면으로 접촉하도록 작용단(116)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절곡부(112)만이 있는 경우와 대비시 작용단(116)과 자력잠금부(140) 간의 자기력의 작용 즉, 인력의 작용은 더욱 강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력잠금부(140)와 작용단(116) 간에 작용하게 되는 자기력 즉, 인력으로 인해 도어브라켓(110)의 회동이 억제되면, 결국 도어(10)는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차체브라켓(120)은, 도어브라켓(110)과의 힌지결합을 매개로 차체(30) 프레임에 도어(10)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고정편(124) 및 지지단(12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체고정편(124)은, 차체브라켓(12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차체(30)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단(122)은, 후술할 힌지축(130)에 의해 도어브라켓(110)의 절곡부(112)와 축결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절곡부(112)가 내측에 배치되도록 차체고정편(124)의 타단부에서 양측부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축(130)은, 차체브라켓(120)에 대하여 도어브라켓(110)이 상대회동하도록, 절곡부(112)를 관통하며 지지단(122)에 축결합되는 원기둥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관통된 절곡부(112)와 힌지축(130) 사이에는 회전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 또는 부싱이 개재될 수 있다.
자력잠금부(140)는, 도어(10)의 개폐에 따라 회동하는 절곡부(112)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도어(10)의 닫힘을 강제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닫힘상태에서 절곡부(112)와 마주하는 차체브라켓(1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잠금부(140)는, 상용화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져 후술할 제어부(180)에 의한 제어전원의 인가를 통해 강자성체인 작용단(116)(또는 절곡부(112))을 향하여 제어된 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180)는, 차량에 탑재된 각종 장치나 동력계에 제어전원을 인가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한편, 각 장치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차량용 ECU(electronic control unit)나 별도로 구비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등과 같이 모듈화된 정보처리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구체적으로 주차상태, 주행속도나 노면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자력잠금부(140)의 자력 세기와 그 방향을 다양하게 가변시키는 제어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차량이 노면상태가 열악한 비포장도로를 주행하거나 차량 주행속도에 비례하여 차량의 진동이 증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이러한 주행 환경과 속도에 대응한 강한 인력이 도어브라켓(110)의 작용단(116)에 작용할 수 있도록 자력잠금부(140)에 소정의 제어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도어(10)는, 종래와 같은 별도의 잠금장치모듈(20)이 없더라도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차량의 도난 방지는 물론이고, 차량의 안전한 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요철부(150a,150b)는, 작용면의 확장(증대)을 통해 자력잠금부(140)와 작용단(116) 간에 작용하게 되는 자기력을 강화하는 한편, 도어(10)의 닫힘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요철부(150a,150b)는, 도 1의 확대도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잠금부(140)와 작용단(116)이 접하는 접촉면에서 서로 맞물리며 접촉하는 상보적 형상의 홈과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부(150a,150b)는, 자력잠금부(140)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작용단(116)의 요철부(150a)와 자력잠금부(140)의 요철부(150b)가 서로 맞물리며 계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요철부(150a,150b)를 구성하는 홈과 돌기는, 도 1의 확대도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3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힌지축(130)에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빗살무늬 형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영구자석(160) 및 작동감지부(17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60)은, 상술한 자력잠금부(140)와의 관계에서 절곡부(112)(또는 작용단(116))에 더욱 강한 인력이 작용하거나 또는 척력이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이로 인해 도어(10)의 닫힘 또는 열림이 강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구자석(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단(116)의 접촉면에 대향된 반대면에 설치되어 자력잠금부(140)에서 발생된 자기력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상용화된 네오듐 자석일 수 있다.
작동감지부(170)는, 힌지축(130)에 설치되어 도어브라켓(110)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작동감지부(1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브라켓(110)의 회전방향(도어(10)의 닫힘방향, 열림방향)을 인식 내지 감지하여 상술한 제어부(18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용화된 수단이면 충분하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일례로서 작동감지부(170)는, 힌지축(130)과 연결되어 저속의 회전을 고속의 회전으로 변환할 수 있는 고속의 기어모듈(미도시)과, 이와 연결되어 고속의 회전운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발전기 구조의 전기생성모듈(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작동감지부(17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80)는 이와 연결되어 작동감지부(17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자력잠금부(140)에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함으로써, 도어(10)의 원활한 개폐와 사용자 편의 등을 위한 다양한 제어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작동감지부(17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도어(10)가 닫히는 방향의 회전인 경우, 제어부(180)는 절곡부(112)(작용단(116) 또는 영구자석(160))에 대한 자력잠금부(140)의 인력이 강하게 작용하도록 자력잠금부(140)에 제어전원을 인가하여 신속한 도어(10)의 폐쇄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와 달리 제어부(180)는, 도어(10)의 폐쇄시 차체(30)에 대한 충격이나 충격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절곡부(112)(작용단(116) 또는 영구자석(160))에 대하여 자력잠금부(140)가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자력잠금부(140)에 제어전원을 인가하다가 도어(10)와 차체(30)가 서로 인접하게 되면, 자력잠금부(140)가 인력을 서서히 발생시키도록 제어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도어(10)의 폐쇄작동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작동감지부(170)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가 도어(10)가 열리는 방향의 회전인 경우, 제어부(180)는 신속하게 절곡부(112)(작용단(116) 또는 영구자석(160))에 대하여 자력잠금부(140)가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신속하고 편한 도어(10)의 열림작동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하면, 도어브라켓(110)의 절곡부(112)(작용단(116) 또는 영구자석(160))와 자력잠금부(140)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도어(10)의 개폐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가변됨으로써, 주행 중이거나 주차중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 등이 한층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도어 20: 잠금장치모듈
22: 래치조립체 24: 고정걸쇠
26: 구동케이블 30: 차체
100: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110: 도어브라켓 112: 절곡부
114: 도어고정편 116: 작용단
120: 차체브라켓 122: 지지단
124: 차체고정편 130: 힌지축
140: 자력잠금부 150a,150b: 요철부
160: 영구자석 170: 작동감지부
180: 제어부

Claims (6)

  1. 양단부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된 형태로 절곡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된 도어브라켓; 일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절곡부가 끼워지는 지지단이 타단부에 구비되는 차체브라켓; 상기 차체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이 상대회동하도록,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단에 축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차체브라켓에 설치되어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절곡부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강제하는 자력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자력잠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형성된 강자성 소재의 작용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자력잠금부와 상기 작용단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에는,
    상기 힌지축에 직교하는 방향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며 접촉하는 상보적 형상의 요철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양단부가 차량의 사이드 도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돌출된 형태로 절곡형성된 절곡부가 형성된 도어브라켓; 일단부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절곡부가 끼워지는 지지단이 타단부에 구비되는 차체브라켓; 상기 차체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도어브라켓이 상대회동하도록,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며 상기 지지단에 축결합되는 힌지축; 및 상기 차체브라켓에 설치되어 마주하게 되는 상기 절곡부에 대한 제어된 자기력의 작용으로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강제하는 자력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닫힘시 상기 자력잠금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형성된 강자성 소재의 작용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용단의 접촉면에 대향된 반대편에는,
    상기 자력잠금부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대응하여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닫힘 또는 열림을 강제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도어브라켓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작동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잠금부는,
    상기 도어의 원활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작동감지부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전원을 가변적으로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KR1020190155760A 2019-11-28 2019-11-28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KR10236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60A KR102361341B1 (ko) 2019-11-28 2019-11-28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60A KR102361341B1 (ko) 2019-11-28 2019-11-28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94A KR20210066994A (ko) 2021-06-08
KR102361341B1 true KR102361341B1 (ko) 2022-02-11

Family

ID=76399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60A KR102361341B1 (ko) 2019-11-28 2019-11-28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3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68B1 (ko) * 2006-12-07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도어힌지 구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167U (ko) * 1996-11-06 1998-08-05 이원철 경첩
KR101829902B1 (ko) * 2016-06-02 2018-02-19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전자석을 이용한 터치형 글로브박스 록킹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968B1 (ko) * 2006-12-07 2007-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능동형 도어힌지 구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94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668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及びモータ制振構造
JP6177772B2 (ja) 自動車のための側部保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自動車
KR102361341B1 (ko) 자력 잠금식 차량용 도어 힌지장치
KR100316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JP3795225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部構造
KR101125726B1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KR101240766B1 (ko) 자동차용 후드 래치 핸들의 결합구조
KR0185901B1 (ko) 자동차 인사이드 핸들의 핸들 노브 복귀속도 감소장치
CN219931910U (zh) 一种汽车门锁备用控制系统及车辆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JP7348924B2 (ja) 車両
CN217872327U (zh) 隐藏式门把手装置
KR200185713Y1 (ko) 자동차의 도어 어셈블리(door assembly for automobile)
KR0171355B1 (ko) 자동차의 컴파트먼트 샐프 판넬 설치구조
KR100471777B1 (ko) 도어체커의 체커암 형상구조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JPH09285067A (ja) モータの支持構造およびモータ装置
JP3292094B2 (ja) 自動車の内装材による衝撃エネルギ吸収構造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JP2006500490A (ja) 閉鎖装置
KR200483652Y1 (ko) 자동차용 도어 자동닫힘장치
KR100622730B1 (ko) 차량의 트렁크 개폐구조
KR100568743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JPS597159Y2 (ja) 自動車用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KR200160617Y1 (ko) 자동차도어의 쇄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