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36B1 -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36B1
KR102361136B1 KR1020200007199A KR20200007199A KR102361136B1 KR 102361136 B1 KR102361136 B1 KR 102361136B1 KR 1020200007199 A KR1020200007199 A KR 1020200007199A KR 20200007199 A KR20200007199 A KR 20200007199A KR 102361136 B1 KR102361136 B1 KR 10236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titial
module
rod
double
sid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3530A (ko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20000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3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26Assembling spacer elements with the p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E06B3/670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specially adapted for increased acoustic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65Transporting or handling panes, spacer frames or units during assembly
    • E06B3/67373Rotating panes, spacer frames 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봉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유입된 간봉에 힘을 가해 압착모듈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과, 상기 간봉과 압착모듈 사이로 공급되는 양면테이프와, 상기 양면테이프를 상기 간봉 유입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간봉의 측면에서 힘을 가해 상기 간봉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압착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을 장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제2 이송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의 유출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STICKING APPARATUS FOR SPACER}
본 발명은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층 유리용 간봉의 외면에 테이프를 자동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거 생활환경의 고급화와 문화생활의 향상으로 인해 최근에는 방음과 단열설비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복층 유리가 주문생산에 의해 고층빌딩 및 고지대주택, 차도와 인접한 개인주택 및 상점 등에 이르기까지 소음에서 벗어나 좀더 안락한 분위기를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따라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복층유리 구조는 건물 벽체에 소정의 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그 관통구의 내측 테두리부에 샤시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샤시프레임의 결합부에는 내외측 및 중앙으로 이루어진 복층 유리가 접착제로 고정된다. 이때, 복층유리는 금속성의 스페이서와 접착제를 통해 그 결합이 이루어져 내부에 압축 공기층을 형성한다.
종래에는 유리판과 간봉을 접합하는 접착제로는 부틸러버(BUTYL RUBBER)가 사용되었으며, 고체상태로된 부틸러버를 가열하여 점성을 갖는 액체상태로 녹인 후 이를 간봉의 좌우 양측면에 골고루 도포한 후 이 간봉의 좌우측면에 대해 두장의 유리판을 접착하곤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복층유리 제조방법은, 액상의 부틸러버가 간봉에 도포된 후 경화되기 전에 유리판에 접합하여야 했으므로, 치밀한 공정관리와 연속적인 작업흐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액상의 부틸러버를 간봉의 좌우측면에 동시에 균일하게 도포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고가의 도포장비인 부틸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에서는 압착롤러를 이용해 간봉에 양면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해 유리판과 간봉의 접합이 용이해졌지만 최근에는 작업자의 손이 덜가고 보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간봉테이프 부착 장치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6-001115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18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부분을 최소화 하고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봉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유입된 간봉에 힘을 가해 압착모듈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과, 상기 간봉과 압착모듈 사이로 공급되는 양면테이프와, 상기 양면테이프를 상기 간봉 유입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간봉의 측면에서 힘을 가해 상기 간봉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압착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을 장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제2 이송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의 유출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모듈은 장치 바디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들과, 상기 고정부재들을 연결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고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압착롤러가 장착되는 한쌍의 이송부재들과, 상기 이송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들 중 하나의 이송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한부재와, 상기 제한부재 상의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재들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착모듈은 상기 양면테이프를 유입시켜 간봉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 압착모듈과, 상기 제1 압착모듈 후방에 배치되고 간봉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에 압착력을 가해 상기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압착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압착모듈의 롤러들의 이격거리가 제1 압착모듈의 롤러들의 이격거리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압착모듈의 위치고정너트 위치와 제2 압착모듈의 위치고정너트 위치가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제2 압착모듈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송모듈의 출력은 제1 이송모듈의 출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면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압착모듈의 롤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롤러의 표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커버를 뗄 수 있도록 정전기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롤러의 표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커버를 뗄 수 있도록 접착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롤러와 가이드부재 등을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인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착롤러와 인접하게 보조롤러를 배치하여 내측 커버가 존재하는 양면 테이프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벗겨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접착력이 강하여 내측에도 커버가 존재하는 테이프를 수작업 없이 테이핑 작업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두번째 압착롤러 쌍이 첫번째 압착롤러 쌍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가 간봉에 보다 밀착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롤러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해 간봉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5는 보조롤러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두 쌍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테이프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봉(10) 테이프 부착 장치(100)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간봉(10) 테이프 부착 장치(100)는 바디(101)와,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롤러, 이송롤러, 압착롤러, 테이프 등을 포함한다.
바디(101)는 다른 부재들이 장착되는 몸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바디(101)의 상면에는 위에서 언급한 부재들이 장착되고 하면에는 위에서 언급한 부재들을 이동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들이 장착된다.
가이드부재는 간봉(10)이 진입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와, 테이핑 작업이 완료된 간봉(10)이 배출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재와 제2 가이드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 사이로 간봉(10)이 지나가게 된다.
가이드롤러는 간봉(10)이 경로상에서 상하로 어긋나지 않고 지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4개의 가이드롤러가 이송롤러, 압착롤러, 가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데 가이드롤러의 숫자나 위치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이송롤러는 간봉(10)이 경로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롤러는 전방에 위치한 제1 이송롤러(131)와 후방에 위치한 제2 이송롤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롤러(131)는 제1 이송롤러 하우징(132)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이송롤러(131)와 쌍을 이루는 하부롤러(131a)에 모터(181)가 장착되어 간봉(10)의 진행 방향으로 롤러를 회전시킨다.
제2 이송롤러(171)는 제2 이송롤러 하우징(172)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이송롤러(171)와 쌍을 이루는 하부롤러(미도시)에 별도의 모터가 장착되어 제1 이송롤러(131)와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이송롤러(131)와 제2 이송롤러(171)의 회전 속도 또는 회전 방향이 서로 다르게 세팅될 수 있다.
압착롤러는 간봉(10)의 좌우측면을 압착하며 양면테이프를 간봉(10)에 접착시킨다.
압착롤러는 전방에 위치한 제1 압착롤러와 후방에 위치한 제2 압착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착롤러와 제2 압착롤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좌측 압착롤러와 우측 압착롤러 사이로 간봉(10)이 지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착롤러에는 모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압착롤러의 모터와 제2 압착롤러의 모터는 서로 다른 방향, 서로 다른 힘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롤러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송롤러(131)는 바디(101)의 상면쪽에 배치되고 제1 이송롤러(131)와 쌍을 이루는 하부롤러(131a)와 모터(181)는 바디(101)의 하면쪽에 배치된다. 즉, 장치(100)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하부롤러(131a)와 모터(18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롤러(131a)는 모터(18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모터(181)는 간봉(10)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하부롤러(131a)를 회전시킨다.
즉, 하부롤러(131a)에 의하여 간봉(10)이 앞으로 진행하는 힘을 받게 되고 제1 이송롤러(131)는 간봉(10)을 하부롤러(131a)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롤러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압착롤러는 우측부(151)와, 좌측부(152)로 구성되며, 우측부(151)와 좌측부(152)는 각각 고정부재(153a, 153b)와, 이송부재(154a, 154b)와, 가이드봉(155a, 155b)과, 스프링(156a, 156b)을 구비한다.
가이드봉은 좌측의 고정부재(153a)와 우측의 고정부재(153b)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이드봉이 이송부재들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이송부재들은 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이송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배치되어 두 개의 이송부재가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는 힘을 받게 한다.
두 개의 이송부재 사이에는 제한부재(157)가 배치된다.
제한부재(157)는 어느 한 이송부재에서 돌출되어 다른 이송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한부재(157)의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에는 위치고정너트(158)가 끼워지며 위치고정너트(158)의 위치를 변경하여 두 이송부재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압착모듈은 바디(101)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들과, 고정부재들을 연결하는 가이드봉과, 고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압착롤러가 장착되는 한쌍의 이송부재들과, 이송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한 쌍의 이송부재들 중 하나의 이송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한부재(157)와, 제한부재(157) 상의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재들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15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장치(100)를 이용해 간봉(10)에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간봉(10)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와, 상기 유입된 간봉(10)에 힘을 가해 압착모듈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과, 상기 간봉(10)과 압착모듈 사이로 공급되는 양면테이프와, 상기 양면테이프를 상기 간봉(10) 유입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간봉(10)의 측면에서 힘을 가해 상기 간봉(10)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압착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10)을 장치(100)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제2 이송모듈과,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10)의 유출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 등을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10)과 제1 압착롤러 우측부 사이로 우측 테이프가 삽입되어 간봉(10)의 우측면에 테이프를 부착시키고, 간봉(10)과 제1 압착롤러 좌측부 사이로 좌측 테이프가 삽입되어 간봉(10)의 좌측면에 테이프를 부착시킨다.
도 6은 두 쌍의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테이프 부착력을 강화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착모듈은 상기 양면테이프를 유입시켜 간봉(10)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 압착모듈과, 상기 제1 압착모듈 후방에 배치되고 간봉(10)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에 압착력을 가해 상기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압착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10)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10)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압착모듈의 롤러가 간봉(10)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간봉(10)이 후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이송모듈의 출력이 제1 이송모듈의 출력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롤러와 가이드부재 등을 서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하여 보다 효율적인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압착롤러와 인접하게 보조롤러를 배치하여 내측 커버가 존재하는 양면 테이프를 수작업 없이 자동으로 벗겨내는 것이 가능해져 접착력이 강하여 내측에도 커버가 존재하는 테이프를 수작업 없이 테이핑 작업에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두번째 압착롤러 쌍이 첫번째 압착롤러 쌍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테이프가 간봉에 보다 밀착되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등 종래기술과 차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101 : 바디
111 : 제1 가이드부재 우측부 112 : 제1 가이드부재 좌측부
113 : 제2 가이드부재 우측부 114 : 제2 가이드부재 좌측부
121 : 제1 가이드롤러 122 : 제2 가이드롤러
123 : 제3 가이드롤러 124 : 제4 가이드롤러
131 : 제1 이송롤러 132 : 제1 이송롤러 하우징
131a : 제1 구동롤러 141 : 제1 테이프
141a : 접착층 142b : 커버층
142 : 제2 테이프 142a : 접착층
142b : 커버층 151 : 제1 압착롤러 우측부
152 : 제2 압착롤러 좌측부 153a, 153b : 고정부재
154a, 154b : 이송부재 155a, 155b : 가이드봉
156a, 156b : 스프링 157 : 제한부재
158 : 위치고정너트 161 : 제2 압착롤러 우측부
162 : 제2 압착롤러 좌측부 171 : 제2 이송롤러
172 : 제2 이송롤러 하우징 181 : 모터
191 : 보조롤러 우측부 191a : 표면부
192 : 보조롤러 좌측부 192a : 표면부

Claims (10)

  1. 간봉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재;
    상기 유입된 간봉에 힘을 가해 압착모듈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
    상기 간봉과 압착모듈 사이로 공급되는 양면테이프;
    상기 양면테이프를 상기 간봉 유입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간봉의 측면에서 힘을 가해 상기 간봉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압착모듈;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을 장치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양면테이프 부착이 완료된 간봉의 유출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모듈은,
    장치 바디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들;
    상기 고정부재들을 연결하는 가이드봉;
    상기 고정부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면에 압착롤러가 장착되는 한쌍의 이송부재들;
    상기 이송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한 쌍의 이송부재들 중 하나의 이송부재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이송부재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한부재; 및
    상기 제한부재 상의 특정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재들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가까워지는 것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모듈은,
    상기 양면테이프를 유입시켜 간봉에 부착시키도록 형성되는 제1 압착모듈; 및
    상기 제1 압착모듈 후방에 배치되고 간봉에 부착된 양면테이프에 압착력을 가해 상기 양면테이프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 압착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 진행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압착모듈의 압착롤러는 간봉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 압착모듈의 롤러들의 이격거리가 제1 압착모듈의 롤러들의 이격거리보다 작도록 상기 제1 압착모듈의 위치고정너트 위치와 제2 압착모듈의 위치고정너트 위치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제2 압착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모듈의 출력은 제1 이송모듈의 출력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테이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압착모듈의 롤러와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보조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의 표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커버를 뗄 수 있도록 정전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의 표면에는 양면테이프의 커버를 뗄 수 있도록 접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KR1020200007199A 2020-01-20 2020-01-20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KR10236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199A KR102361136B1 (ko) 2020-01-20 2020-01-20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199A KR102361136B1 (ko) 2020-01-20 2020-01-20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530A KR20210093530A (ko) 2021-07-28
KR102361136B1 true KR102361136B1 (ko) 2022-02-10

Family

ID=7712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199A KR102361136B1 (ko) 2020-01-20 2020-01-20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2805A (ko) 2021-07-16 2023-0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전력 저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298A (ja) 1994-09-19 1996-04-02 Hitachi Ltd ドライターボ真空ポンプ
KR970004199U (ko) * 1995-07-10 1997-02-19 유명수 샤워기 걸이구
KR101021871B1 (ko) 2009-12-31 2011-03-17 김백두 동종의 비금속 간봉을 이용한 3중 복층 유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3530A (ko)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6052B (zh) 显示屏贴合工艺及显示屏
KR102361136B1 (ko) 간봉 테이프 부착 장치
CN106346940B (zh) 一种多工艺无溶剂复合机及复合方法
US20170190155A1 (en) Flexible glass laminate structures for architectural design and other applications
CN201264404Y (zh) 一种半自动的撕膜机
CN103395274B (zh) 滚筒式贴合机的胶粘膜贴合装置
CN216291646U (zh) 一种fpc板清洁组件
CN111119421A (zh) 一种光伏建筑屋顶
CN104368489A (zh) 一种遮阳板滚胶机
CN204996670U (zh) 一种板材装饰面板贴合设备
CN107187680A (zh) 一种胶带贴附装置
CN112440462A (zh) 一种在曲面屏幕上滴胶再贴保护膜工艺
CN202242260U (zh) 一种偏光片剥离机
WO2012033292A2 (ko) 패널 부착 장치
CN203666672U (zh) 快速更换的动车前风挡
CN111651095A (zh) 触摸屏的贴合结构
CN101954773A (zh) 石墨导热片粘贴用滚轮装置
CN217098913U (zh) 一种车载显示面板3d盖板贴膜治具
CN114961092B (zh) 一种自保温墙板用铝箔支撑粘贴装置及其自保温墙板
CN218554645U (zh) 一种用于玻璃自动上胶装置
CN216506337U (zh) 聚氨酯夹芯板防溢料不干胶纸贴敷装置
CN219381894U (zh) 一种纤维板定型加工设备
CN214241621U (zh) 一种数控玻璃切割机的自动贴标装置
CN216617308U (zh) 一种夹层超薄玻璃
CN116741861B (zh) 一种太阳能玻璃板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