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09B1 -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 Google Patents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709B1
KR102360709B1 KR1020190103368A KR20190103368A KR102360709B1 KR 102360709 B1 KR102360709 B1 KR 102360709B1 KR 1020190103368 A KR1020190103368 A KR 1020190103368A KR 20190103368 A KR20190103368 A KR 20190103368A KR 102360709 B1 KR102360709 B1 KR 10236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dae
glutinous rice
weight
edible oil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3322A (ko
Inventor
윤승희
Original Assignee
윤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희 filed Critical 윤승희
Priority to KR1020190103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7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2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에 관한 것으로, 찹쌀순대를 수분을 차단하여 형성한 후, 찹쌀순대 자체를 튀김조리함으로써, 찹쌀순대의 순대피와 순대소의 튀김조리가 고르게 이루어져 고소함과 바삭한 식감과 함께 순대의 잡내가 없고, 장시간 실온에 두어도 주변습기를 머금지 않아 바삭함과 고소함이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 찹쌀을 물에 불리는 과정이 없이 식용기름에 담근 후 사용하여 튀김조리함으로써, 찹쌀의 찰기로 인한 질퍽한 식감이 없으며,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순대를 쉽게 섭취가 가능하여 찹쌀순대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고, 튀김조리후 바삭함의 유지가 장시간 가능함에 따라 냉동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포장시에도 부피의 증가가 최소화되어 포장이 용이하며, 보관유통된 찹쌀순대튀김을 재조리할 때에도 간편하게 해동과정만으로도 바삭함과 고소함을 유지할 수 있어 조리가 용이한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Fride Glutinous Rice Sundae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대소로 찹쌀을 충진한 찹쌀순대의 수분에 의한 찹쌀의 질퍽한 식감과 순대 고유의 잡내를 제거하여 바삭하고 고소한 식감과 맛을 형성하여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순대를 쉽게 접할 수 있고, 잡내가 제거되어 찹쌀순대의 기호도가 향상되는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대는 돼지 창자에 숙주, 우거지, 찰밥과 돼지 선지를 섞어서 된장으로 간을 하여 채운 후 삶은 음식으로 각 지역마다 다양한 형태의 순대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순대를 기름에 튀긴 순대튀김은 바삭하고 부드러운 맛이 어우러져 어린이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튀김은 아이들의 간식용으로 많이 판매되고 있지만 다른 튀김재료와는 달리 순대 특유의 잡내가 나기 때문에 일부 어린이들이 영양가 높은 순대튀김을 기피하는 사람들이 있다.
따라서 잡내를 제거하기 위한 순대를 만드는 방법이 국내 특허등록 제0394538호(산채순대 및 이를 이용한 순대국), 국내 특허등록 제1419825호(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뽕나무의 추출액과 분말 형태의 뽕입가루 및 덱스트린 전분이용) 및 국내 특허등록 제0612817호(해산물이 함유된 순대국)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등록된 순대제조방법에 의한 순대역시 잡내가 여전히 남아있고, 이로 인해 어린이나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은 여전히 순대를 기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등록된 순대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순대를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튀김형태로 튀겨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으나 순대 자체의 수분함량이 높은 관계로 잡내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고, 튀김조리 후, 바로 취식하지 않고 잠시만 지체하여도 순대 자체에서의 수분의 이동으로 인해 튀김의 바삭함을 느낄 수 없다라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 순대를 튀김조리 후, 순대튀김으로 보관하는 시간이 일정시간이 지나면서 외부의 환경조건에 따라 순대로부터 수분이 튀김옷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바삭한 식감을 더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순대는 튀김조리하더라도 순대소의 수분으로 인해 더 오랜 시간 튀김조리하거나 튀김은 반복하여 튀겨야 하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조리방법으로 계속적인 튀김조리시 오히려 순대의 피(皮)가 탄화되어 식감이 떨어지거나 먹지 못할 정도가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순대이외 현제 널리 유통되고 판매되고 있는 찹쌀 순대의 경우도 찹쌀을 물에 불리고, 순대소로 충진되는 다양한 식재료를 모두 일정하게 익혀 순대피에 채우고 있어 튀김조리시, 수분으로 인해 기름이 사방으로 비산되어 주변 조리부가 오염되는 문제와 더불어 튀김조리 후 수분으로 인해 튀김옷이 눅눅해지거나 식감이 바삭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순대 튀김은 튀김옷을 별도로 입혀 튀기기 때문에 순대피의 질긴 식감은 그대로 남아 있고, 순대피와 튀김옷이 일체화되지 못하고 따로 분리되어 튀김옷이 순대로부터 벗겨져 튀김의 식감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순대소와 순대피의 수분으로 인해 순대 고유의 잡내가 최초 튀김조리시에는 잠시 억제할 수 있으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다시금 순대의 잡내가 여전히 발산되어 순대의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튀김조리시에도 순대소와 찹쌀이 이미 물에 불려진 상태에서 튀겨지는 이유로 찹쌀의 찰기가 그대로 있어 튀김의 바삭함이 없고, 튀김조리된 찹쌀순대를 별도의 소스와 버무리면 튀김조리 이전의 순대상태로 돌아오는 문제가 있어 튀김순대의 고소함이나 바삭함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최근 개시되고 있는 순대로는 찹쌀순대에 황태를 포함하여 튀김조리한 순대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황태순대 튀김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5611호로 소개되어 있다.
상기 황태순대 튀김은 찹쌀순대에 황태를 순대소로 포함하여 충진한 것으로, 황태로 인해 비린내가 나지 않고, 담백하며, 고소한 맛과 바삭한 식감을 유지한다고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황태순대 튀김은 황태를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분쇄하고, 찹쌀을 상온에서 물에 불리고, 나머지 순대소를 작은 크기로 잘라 준비한 후, 완도콩, 마늘도 함께 분쇄기에 갈아 준비하여 양념과 배합한 후, 순대피(순대창자)에 충전하여 순대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다시 냉각하여 건조하고, 냉장실에서 숙성시켜 준비한다. 이후, 수분이동방지층 즉, 감자전분, 건조감자가루, 단백질, 유화제를 혼합하여 순대에 도포한 후, 튀김옷을 입혀 튀기는 과정을 거쳐 제조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황태순대 튀김은 건조된 황태를 분말형태로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특징이 없는 것으로, 상기 종래 황태순대 튀김에 소개되고 있는 수분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수분이동방지층을 형성하는 가교감자전분, 건조 감자가루, 단백질, 유화제는 이미 시중에서 대량으로 유통판매되고 있는 부침가루나 튀김가루의 성분으로 부침가루나 튀김가루의 성분을 보면 밀가루, 감자가루, 옥수수가루, 감자전분, 옥수수전분, 단백질, 유화제, 소금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특별한 곤란성이 없는 것입니다.
즉,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튀김가루나 부침가루는 밀가루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튀김가루나 부침가루를 이용하여 튀김옷을 반죽하고, 재료를 튀기기 적당한 크기로 잘라 분말형태의 튀김가루나 부침가루를 튀김재료에 도포한 후,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기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때, 종래 황태순대튀김의 수분방지이동층의 형성은 이미 공공연히 실시하고 있는 것이며, 그 성분 역시 이미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부침가루나 튀김가루의 성분으로 특별히 기존 튀김조리보다 더 바삭함을 향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황태순대튀김 역시 튀김조리후 튀김옷과 순대피간의 박리로 인한 이탈로 인해 순대튀김의 섭취도중 튀김옷이 분리되는 문제점과 순대소의 수분으로 인한 찹쌀의 찰진 식감이 그대로 유지되어 바삭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오히려 수분이동방지층으로 인해 순대소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아 순대튀김조리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순대의 잡내가 여전히 잔존하여 순대를 기피하게 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즉, 튀김옷와 수분이동방지층에 의해 순대 내부의 순대소의 수분은 그대로 잔존하게 되어 바삭한 식감을 튀김조리시에만 바로 느낄 수 있는 식감으로 장시간 방치할 경우 오히려 순대 고유의 식감으로 돌아오게 되어 순대의 기호도를 높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결과적으로 튀김옷만이 바삭한 식감을 나타내고 순대 내부는 찹쌀의 찰진식감과 순대소의 식감을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순대롤 좋아하지 않는 사람의 기호도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순대 고유의 잡내역시 튀김옷과 수분이동방지층에 의해 튀김조리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어 제거가 어렵다.
또한, 튀김옷과 수분이동방지층으로 이동된 수분에 의해 냉동보관 및 유통시, 수분이 이동된 수분이동방지층과 튀김옷은 냉동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부피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이를 다시 해동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순대로 다시 스며드는 문제로 인해 식감의 저하와 함게 포장시 부피증가로 인한 문제와 수분의 동결에 따른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통과정에서 맛의 변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해동뒤 다시 튀겨야만 본래의 식감을 살릴 수 있어 단순 해동과정만으로는 본래의 식감을 가져올 수 없어 보관 및 유통에서 다시 본연의 맛을 구현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고 조리과정이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 국내 특허등록 제0394538호(2003.07.31 등록 ) 2. 국내 특허등록 제1419825호(2014.07.09 등록 ) 3. 국내 특허등록 제0612817호(2006.08.08 등록) 4. 국내 특허등록 제1915611호(2018.10.31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찹쌀순대를 튀김옷 없이 그대로 튀김조리하여 고소함과 바삭한 식감과 함께 순대의 잡내가 없고, 장시간 실온에 두어도 바삭함과 고소함이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 찹쌀의 찰기로 인한 질퍽한 식감이 없으며,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순대를 쉽게 섭취가 가능하여 찹쌀순대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는 찹쌀순대 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찹쌀순대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튀김조리후 바삭함의 유지가 장시간 가능함에 따라 냉동보관 및 유통이 용이한 찹쌀순대 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은 찹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하는 순대소 전처리단계(S100)와;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하는 순대재료준비단계(S200)와;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식용기름에 담금되어 식용기름이 침투된 생찹쌀과 생맵쌀이 포함된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하여 찹쌀순대 100중량%로 충진하는 순대소 충진단계(S300)와; 상기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밀폐하는 수분차단밀폐단계(S400)와; 상기 수분차단밀폐단계를 통해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 양단이 수밀되도록 형성된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하는 증기익힘단계(S500)와; 상기 증기익힘단계를 통해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와 순대피가 익혀진 찹쌀순대를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하는 냉각건조단계(S600)와; 상기 냉각건조단계를 통해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하는 순대절단단계(S700)와; 상기 순대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찹쌀순대를 250℃~300℃로 가열된 식용기름에 90초~120초간 2~3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찹쌀순대튀김을 완성하는 튀김조리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의 찹쌀순대소는 수분함량을 줄이고, 바삭함과 고소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며, 잡내 제거가 용이하도록 선지가 제외된 100중량%를 기준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6.9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은 찹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한 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하고,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충진한 후, 찹살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폐하며,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한 후,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하고,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찹쌀순대를 250℃~300℃로 가열된 식용기름에 90초~120초간 2~3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바삭하고, 고소하며, 잡내가 없는 찹쌀순대튀김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찹쌀순대소는 수분함량을 줄이고, 바삭함과 고소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며, 잡내 제거가 용이하도록 선지가 제외된 100중량%를 기준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6.9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튀김옷이나 수분이동방지층과 같은 번거로운 구성없이 찹쌀순대를 수분을 차단하여 형성한 후, 찹쌀순대 자체를 튀김조리함으로써, 찹쌀순대의 순대피와 순대소의 튀김조리가 고르게 이루어져 고소함과 바삭한 식감과 함께 순대의 잡내가 없고, 장시간 실온에 두어도 주변습기를 머금지 않아 바삭함과 고소함이 그대로 유지됨은 물론, 찹쌀을 물에 불리는 과정이 없이 식용기름에 담근 후 사용하여 튀김조리함으로써, 찹쌀의 찰기로 인한 질퍽한 식감이 없으며,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순대를 쉽게 섭취가 가능하여 찹쌀순대의 기호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튀김옷이나 수분이동방지층과 같은 수분이 함유될 수 있는 구성 및 과정이 없고, 찹쌀을 식용기름에 담궈 사용함에 따라 찹쌀순대의 수분을 최소화하여 튀김조리후 바삭함의 유지가 장시간 가능함에 따라 냉동보관 및 유통이 용이하고, 포장시에도 부피의 증가가 최소화되어 포장이 용이하며, 보관유통된 찹쌀순대튀김을 재조리할 때에도 간편하게 해동과정만으로도 바삭함과 고소함을 유지할 수 있어 조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의 블럭도이다.
순대는 돼지창자로 이루어진 순대피와 다양한 식재료를 분쇄하여 혼합한 순대소로 이루어진다. 또한, 순대는 순대소에 들어가는 식재료에 따라 그 이름이 달라지는 데, 당면이 주 재료로 들어갈 경우에는 일반순대이고, 찹쌀이 주 재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찹쌀순대, 야채가 주 재료로 사용될 경우에는 야채순대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돼지창자를 순대피로 사용할 경우 이외에 오징어를 순대피로 사용할 경우 오징어 순대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순대는 당면과 찹쌀순대가 대표적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순대 중 돼지창자로 사용되는 순대피의 경우 순대소에는 돼지피로 이루어진 선지가 포함되어 순대고유의 맛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는 순대의 기호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순대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선지에 의한 순대 고유의 잡내로 인해 순대를 멀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순대를 남녀노소 구분할 것 없이 섭취가 힘들어지게 하는 중요문제점으로 자리잡고 있어 이와 같은 잡내를 없애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노력으로 순대를 볶는다거나 순대를 다양한 소스나 식재료와 곁들여 섭취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이 역시 순대의 고유한 잡내를 잡기에는 어려운 숙제로 남아 있다.
최근에는 순대를 튀김조리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고 있고, 주로 많이 소비되는 당면순대인 일반순대의 경우 튀김조리시, 당면이 과도하게 부풀려 튀겨지는 경향이 있어 순대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어렵고, 당면의 특성상 수분의 흡수력이 좋아 여전히 잡내나 튀김의 특성인 바삭한 식감의 장시간 유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튀김조리에 적합한 찹쌀순대가 다양하게 튀김조리로 시도되고 있지만 앞서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튀김옷을 입혀 튀김조리하여도 여전히 순대의 잡내는 남아 있는 실정이고, 찹쌀의 찰진 식감과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해 튀김조리를 하더라도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튀김조리에 적합한 찹쌀순대를 튀김조리하여 순대 고유의 잡내의 제거와 튀김의 바삭함과 찹쌀의 튀김조리로 인한 찰진 식감이 아닌 바삭하며 고소한 식감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게 섭취가 가능하고, 다양한 조리에도 바삭한 식감의 유지가 가능함은 물론, 장시간 두어도 수분의 흡수가 없이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이나 유통과정이 손쉽고, 냉동보관 뒤에 다시 조리하여도 간단히 해동과정만으로도 바삭함을 유지할 수 있는 찹쌀순대 튀김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순대소의 수분함량의 최소화와 튀김조리를 통한 수분의 최대제거 및 수분이동의 방지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의 찹쌀순대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찹쌀순대튀김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대소 전처리단계(S100), 순대재료준비단계(S200), 순대소 충진단계(S300), 수분차단밀폐단계(S400), 증기익힘단계(S500), 냉각건조단계(S600), 순대절단단계(S700), 튀김조리단계(S800)으로 제조된다.
상기 순대소 전처리단계(S100)는
종래 찹쌀순대의 경우 찹쌀을 물에 약 10시간 가량 불린 후, 사용함에 따라 수분이 다량 함유된 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찹쌀순대를 튀김조리시, 바삭함의 유지가 어렵고, 찹쌀의 찰진 식감으로 인해 마치 떡을 씹는 것과 같은 입안에 달라붙는 식감으로 인해 소비자의 호불호가 명확하여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불려진 찹쌀에 함유된 수분이 튀김조리과정에서 완전히 제거하다 보면 과도한 튀김조리로 인한 찹쌀의 탄화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고, 탄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당히 튀김조리를 하게 되면 불려진 찹쌀에 포함된 수분이 순대소로 이동되어 순대소 고유 잡내가 다시 살아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여 식용기름이 찹쌀과 맵쌀에 각각 흡수되도록 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 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한다. 여기서, 맵쌀은 일반미로 찹쌀의 찰진 식감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맵쌀 역시 물에 불릴 경우 수분흡수량이 많기 때문에 식용기름에 담궈 수분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S200)는
순대소 전처리단계를 통해 식용기름에 담궈 처리된 찹쌀, 맵쌀, 순대소로 적합하게 처리된 다양한 식재료를 비율에 맞게 준비하는 것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한다.
한편, 상기순대재료준비단계에서 조성되어 준비되는 찹쌀순대소 100중량%를 기준으로 선지를 제외하고, 식용기름의 양을 늘려 식감의 부드러움과 수분 함량을 줄이면서 바삭하고, 고소한 식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지는 순대의 고유의 잡내가 발생되는 주된 재료로 선지에 대한 거부감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선지를 제외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식용기름을 좀더 추가하여 식용기름에 의한 수분의 최소화 및 외부 수분의 흡수를 차단함과 동시에 찹쌀순대소로 조성되는 식재료간의 수분이동을 차단하여 튀김조리시 기름의 비산을 최소화하여 조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면서 바삭함을 오랜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지가 제외된 찹쌀순대소의 100중량% 기준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6.9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순대소 충진단계(S300)는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식용기름에 담금되어 식용기름이 침투됨에 따라 수분흡수가 차단된 생찹쌀과 생맵쌀이 포함된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하여 찹쌀순대 100중량%로 충진한다.
상기 수분차단밀폐단계(S400)는
순대피에 충진된 순대소로 수분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후술되는 증기로 찜을 하여 순대소의 일정부분이 익혀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순대소로 증기가 접촉되어 수분흡수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순대소 내부의 함유된 자체수분으로 익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밀폐한다.
상기 증기익힘단계(S500)는
증기와 직접 접촉되어 증기온도로 순대피가 익혀지도록 하고, 증기가 순대소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된 상태에서 증기온도에 의해 순대소 내부온도가 상승하면서 순대소 내부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순대소가 일부 익혀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분차단밀폐단계를 통해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 양단이 수밀되도록 형성된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한다.
상기 냉각건조단계(S600)는
증기에 익혀진 순대피와 찹쌀순대소를 실온에서 서서히 식혀 순대피를 자연건조하고, 냉장온도에서 순대소에 퍼진 수분이 응결되도록 하여 수분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증기익힘단계를 통해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와 순대피가 익혀진 찹쌀순대를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한다.
상기 순대절단단계(S700)는
상기 냉각건조단계를 통해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한다. 여기서, 상기 순대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찹쌀순대의 절단과정에서 순대소에 응결된 수분이 일부 배출되어 순대소 내부의 수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튀김조리단계(S800)는
상기 순대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찹쌀순대를 식용기름에 튀김조리하여 찹쌀순대튀김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튀김조리단계의 찹쌀순대튀김은 식용기름을 250℃~300℃로 가열하고, 90초~120초간 2~3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찹쌀순대소의 수분을 최대로 제거하여 바삭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건하에 튀김조리를 1회 실시할 경우 찹쌀과 맵쌀의 바삭함이 오래 유지못하고, 순대소의 잔류 수분으로 인해 튀김후, 찹살과 맵쌀로 수분이 이동하여 찹쌀의 찰진식감이 남아 있다. 한편, 튀김조리를 4회 이상을 실시하면 찹쌀과 맵쌀이 탄화현상으로 인해 섭취가 불가능해지고, 순대소 역시, 탄화현상이 발생되며, 순대피는 순대소를 제대로 잡아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여 순대소가 외부로 돌출되어 터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은 찹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한 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하고,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충진한 후, 찹살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폐하며,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한 후,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하고,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찹쌀순대를 식용기름에 튀김조리하여 완성됨에 따라 순대의 잡내가 없고, 순대의 바삭함과 찹쌀과 맵쌀의 고소함이 장시간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과 일반 찹쌀순대에 튀김가루 내지는 부침가루를 도포하고, 튀김옷을 입힌 일반 찹쌀순대튀김과 비교하였다.
<실시예1>
우선, 본원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은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420g과 생맵쌀 80g을 준비하고, 당면 160g, 양배추 8g, 부추 50g, 깻잎 10g,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6.3g, 마늘 28g, 생강 18g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10g, 후추 1.4g, 조미료 6.5g, 식용유 47g, 선지 30g와 혼합한 찹쌀순대소 85중량%를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15중량%의 순대피 내부에 충진하여 명주실로 순대피의 양단을 묶은 후, 온도 100℃에서 25분간 찜조리한 후, 실온에서 40분간 서서히 냉각 및 건조한 후, 순대소 내부 수분의 응결을 위해 냉장온도에서 20분간 냉각한 뒤, 섭취하기 용이한 크기로 찹쌀순대를 절단하여 300℃ 식용기름에서 1분 30초간 2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원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찹쌀순대튀김으로 찹쌀순대소에서 선지를 제외한 찹쌀순대소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420g과 생맵쌀 80g을 준비하고, 당면 160g, 양배추 8g, 부추 50g, 깻잎 10g,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6.3g, 마늘 28g, 생강 18g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10g, 후추 1.4g, 조미료 6.5g, 식용유 77g과 혼합한 찹쌀순대소 85중량%를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15중량%의 순대피 내부에 충진하여 명주실로 순대피의 양단을 묶은 후, 온도 100℃에서 25분간 찜조리한 후, 실온에서 40분간 서서히 냉각 및 건조한 후, 순대소 내부 수분의 응결을 위해 냉장온도에서 20분간 냉각한 뒤, 섭취하기 용이한 크기로 찹쌀순대를 절단하여 300℃ 식용기름에서 1분 30초간 2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순대소로 본원 발명과 동일한 식재료와 조리료에 일반적인 찹쌀순대를 제조할 경우의 물에 약 10시간가량 불린 찹쌀을 혼합하여 순대소를 조성하였고, 조성된 순대소를 본원 발명과 동일한 비율로 순대피에 충진하여 일반 찹쌀순대과정과 동일하게 끓는 물에 익힌 후, 이를 절단하여 튀김조리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된 찹쌀순대에 수분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감자전분, 단백질, 유화제, 감자가루 등을 주 성분으로 하는 부침가루 또는 튀김가루를 도포하고, 튀김옷을 입혀 튀김조리하였다.
상기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1,2>에서 얻어진 찹쌀순대튀김을 실온에서 3시간가량 방치한 후, 100인의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식감과 맛, 잡내에 대한 3가지 관능시험을 통해 0~4점의 점수로 구분하고, 0점은 아주 나쁘다, 1점은 나쁘다, 2점은 보통이다, 3점은 좋다, 4점은 아주 좋다로 테스트하여 아래와 같은 표 1의 결과를 얻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바삭함 381 389 95 180
370 372 201 280
잡내 358 398 168 18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1, 2는 바삭함이 그대로 유지되어 바삭함에 대한 평가가 상당히 좋고, 비교예 2의 경우도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부침가루 또는 튀김가루를 도포한 후, 튀김옷을 입혀 튀김조리함에 따라 바삭함이 일정부분 유지된 것을 알 수 있지만 순대소의 잔류수분에 의해 바삭함이 덜한 부분이 지적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과 같은 찹쌀을 물에 불린 일반순대를 단순히 튀겼을 경우에는 바로 튀김조리시를 제외하고는 방치후에는 튀김식감인 바삭함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맛에 있어서, 실시예1, 2는 식용기름에 담군 찹쌀과 맵쌀을 이용하여 수분을 최소화하고, 수분과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제조된 만큼 찹쌀의 찰진 식감이나 맛을 느낄 수 없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맛을 음미할 수 있었으며, 순대의 맛보다는 과자와 같은 순대소 식재료의 맛을 느낄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비교예 1은 튀기기 전의 일반 찹쌀순대의 맛과 크게 다르지 않아 맛의 변화가 없었으며, 비교예 2는 부침가루 또는 튀김가루와 튀김옷의 간에 따라 맛이 변화가 있지만 튀김옷 내부의 순대의 맛은 특별한 변화가 없어 튀김옷에 의한 맛의 변화가 전체 맛을 좌우하고 있는 평가이다.
한편, 잡내는 실시예1, 2의 경우 순대 고유의 잡내가 대부분 제거된 상태이고, 튀김조리 이후에도 잡내는 없었으며, 강제로 수분을 첨가하여도 잡내가 발생되지 않았다. 하지만, 비교예 1, 2는 모두 잡내가 관능 시험단 100인의 50% 절반에 육박하게 잔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잡내로 인한 찹쌀순대튀김의 호불호가 갈리는 현상이 있고, 이로 인한 기호도가 저하되는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평가이다. 여기서, 바삭함, 맛, 잡내는 실시예 1보다는 실시예 2가 보다 우수한 점수를 얻었다. 그 중 잡내의 경우는 실시예 1과는 많은 차이를 보였는 데 이는 순대 고유 잡내의 주된 원인으로 동물의 피라는 혐오감과 거부감이 있어 기호도 향상에 걸림돌이 되었지만 선지를 제외하여 찹쌀순대소를 제조함으로써, 선지를 포함했을 때와는 달리 순대의 색감이 기본 검은색의 순대와는 달리 밝은 갈색톤으로 일반 수제소세지와 같은 색감을 띄어 시각적으로 거부감이 적었으며, 선지로 인한 잡내가 대부분 잡혀 남녀노소 누구나 거부감 없이 섭취가 가능하였다.
또한, 선지가 제외된 찹쌀순대소에 식용기름은 기존보다 약 2.6%를 더 투입하여 100중량% 찹쌀순대소를 기준으로 하여 첨가함에 다라 식용기름에 의한 유화작용으로 인해 전체적인 찹쌀순대소의 식감이 바삭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얻을 수 있어 실시예 1과 함께 실시예 2 역시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더욱이,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타 소스나 볶은 야채와 곁들일 때, 음식의 전체적인 장식감과 색감이 살아나 시각적으로 소비자에게 더 어필할 수 있는 시각적 미감을 촉진할 수 있었다.
상기 관능 시험을 통해 본원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찹쌀순대튀김의 바삭함, 맛, 잡내를 모두 해결하였는 바, 소비자에게 본원 발명에 따른 찹쌀순대튀김의 재구매 의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라 이 역시 100인에게 다시 먹고 싶지 않다 0점, 보통이다 1점, 또 먹고 싶다 2점을 기준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타진하여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분 다시 먹고싶지 않다 보통이다 또 먹고 싶다
재구매의사 0 12 88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시 먹고 싶지 않다는 0점으로 이례적인 결과가 나왔고, 또 먹고 싶다는 88명이 재구매 의사를 밝혔다. 이에 상기 찹쌀순대튀김은 식품 체인사업 및 식당, 휴계소, 주점 등 다양한 장소에서 판매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고, 맛이나 식감, 보관 및 유통이 쉽고, 재 조리시 과정이 간편하며, 장시간 방치하여도 고유의 식감이나 맛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S100 : 순대소 전처리단계 S200 : 순대재료준비단계
S300 : 순대소 충진단계 S400 : 수분차단밀폐단계
S500 : 증기익힘단계 S600 : 냉각건조단계
S700 : 순대절단단계 S800 : 튀김조리단계

Claims (4)

  1. 찹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하는 순대소 전처리단계(S100)와;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하는 순대재료준비단계(S200)와;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식용기름에 담금되어 식용기름이 침투된 생찹쌀과 생맵쌀이 포함된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하여 찹쌀순대 100중량%로 충진하는 순대소 충진단계(S300)와;
    상기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밀폐하는 수분차단밀폐단계(S400)와;
    상기 수분차단밀폐단계를 통해 찹쌀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 양단이 수밀되도록 형성된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하는 증기익힘단계(S500)와;
    상기 증기익힘단계를 통해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와 순대피가 익혀진 찹쌀순대를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하는 냉각건조단계(S600)와;
    상기 냉각건조단계를 통해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하는 순대절단단계(S700)와;
    상기 순대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찹쌀순대를 250℃~300℃로 가열된 식용기름에 90초~120초간 2~3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찹쌀순대튀김을 완성하는 튀김조리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대재료준비단계의 찹쌀순대소는 수분함량을 줄이고, 바삭함과 고소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며, 잡내 제거가 용이하도록 선지가 제외된 100중량%를 기준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6.9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3. 찹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튀김식감이 향상되도록 도정된 상태의 생찹쌀과 생맵쌀 각각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하고, 나머지 순대소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소재료를 분쇄하거나 절단, 다짐한 후,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4.3중량%, 선지 2.6중량%와 혼합된 찹쌀순대소 100중량%와 세척된 돼지창자로 마련된 순대피를 준비하고, 찹쌀순대소 75중량%~85중량%를 15중량%~25중량% 순대피 내부로 삽입충진한 후, 찹살순대소가 충진된 순대피의 양단을 명주실 또는 인체에 무해한 끈을 이용하여 외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폐하며, 찹쌀순대를 온도 100~150℃의 증기에 20~30분간 찜조리하여 순대피는 익혀지고, 내부에 충진된 찹쌀순대소는 생찹쌀로부터 유출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수분이 차단되면서 생찹쌀과 생맵쌀을 제외한 순대소 재료가 익혀지도록 한 후, 실온에서 30~40분간 냉각건조하고, 냉장온도 4℃에서 20~30분간 냉각하고, 냉각건조된 찹쌀순대를 소비자가 취식하기 용이한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찹쌀순대를 250℃~300℃로 가열된 식용기름에 90초~120초간 2~3회 반복하여 튀김조리하여 바삭하고, 고소하며, 잡내가 없는 찹쌀순대튀김이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순대소는 수분함량을 줄이고, 바삭함과 고소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키며, 잡내 제거가 용이하도록 선지가 제외된 100중량%를 기준으로 식용기름에 3~4시간 담금된 찹쌀 38.3 중량%와 생맵쌀 7.3 중량%를 준비하고, 당면 14.6중량%, 양배추 0.7중량%, 부추 4.7중량%, 깻잎 0.9중량%, 당근, 감자, 고구마, 양파를 각각 5.2중량%, 마늘 2.6중량%, 생강 1.6중량%을 분쇄, 절단, 다짐되어 준비하며, 준비된 소금 0.9중량%, 후추 0.1중량%, 조미료 0.6중량%, 식용유 6.9중량%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KR1020190103368A 2019-08-22 2019-08-22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KR10236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68A KR102360709B1 (ko) 2019-08-22 2019-08-22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368A KR102360709B1 (ko) 2019-08-22 2019-08-22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22A KR20210023322A (ko) 2021-03-04
KR102360709B1 true KR102360709B1 (ko) 2022-02-08

Family

ID=7517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368A KR102360709B1 (ko) 2019-08-22 2019-08-22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49B1 (ko) 2011-01-03 2011-05-06 박덕배 치즈스틱 순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치즈스틱 순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817B1 (ko) 2004-10-01 2006-08-21 유준곤 해산물이 함유된 순대
KR101419825B1 (ko) 2012-08-21 2014-07-15 박남규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KR101637660B1 (ko) * 2014-07-08 2016-07-20 송숙희 순대 핫도그의 제조방법
KR20170005586A (ko) * 2015-07-06 2017-01-16 강이숙 명태 순대 제조방법
KR101915611B1 (ko) * 2017-01-12 2019-01-07 송영필 황태순대 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황태순대 튀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049B1 (ko) 2011-01-03 2011-05-06 박덕배 치즈스틱 순대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치즈스틱 순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22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482B1 (ko) 탕수육 제조방법
KR101637660B1 (ko) 순대 핫도그의 제조방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KR20220017224A (ko) 연어 김밥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7790A (ko) 과자 치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4354B1 (ko) 명란 소스 제조방법
KR20120068374A (ko) 참치 후라이드 제조방법
KR101839981B1 (ko) 저나트륨 연어식해 제조방법
KR102360709B1 (ko) 찹쌀순대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찹쌀순대튀김
JP4090618B2 (ja) 衣のサクミを保つことのできる衣つきフライ済み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671929B2 (ja) 凍結乾燥天ぷら様食品の製造方法
KR101915611B1 (ko) 황태순대 튀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황태순대 튀김
KR101521503B1 (ko) 오징어먹물 찜닭의 제조방법
KR102014996B1 (ko) 김밥의 제조방법
KR102008439B1 (ko) 유화제를 사용한 냉동볶음밥의 제조방법
KR100773341B1 (ko) 볶음밥 꼬치의 제조방법
KR20210084891A (ko) 문어 숯불구이 방법
JP6816935B1 (ja) 野菜天ぷらの製造方法
KR102438332B1 (ko) 국물무뼈닭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국물무뼈닭발
KR101297312B1 (ko) 돼지고기와 쭈꾸미를 이용한 찜의 제조방법
KR102650750B1 (ko) 구워먹는 순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구워먹는 순대
KR102319446B1 (ko) 오징어 순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10030A (ko) 갈릭버터 새우와 갈릭버터 랍스타 냉동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Ninan et al. Pilot scale production of battered and breaded fish products
JP2715247B2 (ja) 黒大豆入りソーセ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