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00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00B1
KR102360000B1 KR1020190077961A KR20190077961A KR102360000B1 KR 102360000 B1 KR102360000 B1 KR 102360000B1 KR 1020190077961 A KR1020190077961 A KR 1020190077961A KR 20190077961 A KR20190077961 A KR 20190077961A KR 102360000 B1 KR102360000 B1 KR 10236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copolymer
weight
aromat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684A (ko
Inventor
김인철
권기혜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US17/256,29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87666B2/en
Priority to PCT/KR2019/007946 priority patent/WO2020005040A1/ko
Publication of KR2020000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77Phosphinous compounds, e.g. R2=P—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06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기재는,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D) 탄소 섬유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E)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ADEP) 18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환경 및 에너지 문제로 자동차 산업에 대한 연비 규제는 강화되어, 실제로 EU를 기준으로 CO2의 배출을 2015년 기준으로 160 g/km에서 120 g/km로 강화하였고, 이를 초과할 경우 과금을 부여하고 있다. 더불어 자동차의 IT 부품의 증가 및 안전/편의 부품의 증가는 1970년 이래 30% 수준의 자동차 공차 중량 증가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EV(Electronic Vehicle),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등의 전기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자동차의 연비 개선이 필수적인 요소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자동차 경량화는 현대 자동차 산업의 중요한 이슈로 인식되어 연구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자동차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저비중 고분자 재료의 사용은 효율적인 방안으로서, 다양한 자동차 부품들이 고분자 재료 및 복합재료들로 치환되고 있다. 자동차의 내장재는 PP를 중심으로 ABS, PC/ABS 등의 고분자 재료들이 기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자동차 구조물 등은 특성의 한계 등으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재료들을 자동차 부품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기계적 강도, 내열성, 강성 및 심미적 특성 외에 최근에는 전기차의 확대에 따라 전기적 특성 및 난연 특성도 점차 요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고분자 재료는 금속과는 다르게 부도체이므로, 고분자 재료로 만든 자동차 부품 표면에 정전기의 축적으로 인한 전기차 내부 전자 제품 등의 손상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전기적 특성의 하나인 전기 전도성이 요구되고 있다.
더불어 전자파 차폐 역시 중요하게 요구 되는 특성으로 전자파가 전기차 내부의 다양한 전자제품의 오작동과 더불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우려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분자 재료는 낮은 전자파 차폐성능을 나타낸다. 따라서 전자파 차폐 성능의 확보 역시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전기차의 확대에 따라 난연성 또한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는 특수한 상황에 놓일 경우 발화할 수 있는데, 고분자 재료는 금속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가연성을 나타내므로 불이 날 경우 심각한 상황을 초래 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자동차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전도성, 전자파차폐성능, 및 난연성이 확보된 고분자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는 자동차용 5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우수한 흐름성을 가져 대형 사출성형 부품 제작에 용이하고, 필러(filler)와의 접합성이 우수해 유리섬유, 카본섬유 등을 포함한 복합소재로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편이나, 낮은 내충격 특성은 PBT 단독으로는 제한적인 용도로만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분자와 블렌딩(blending)하는데, 대표적인 성분이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BS) 이다. 하지만 부타디엔 고무의 이중 결합은 UV에 의하여 쉽게 분해되고, 고온에서 열화되기 쉽기 때문에 옥외 용도 및 높은 내열 특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용도로의 적용 역시 한계를 가진다. ABS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부타디엔 고무를 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치환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SA)는 포화된 고분자들로 구성되어 UV 및 열화에 강하고 우수한 내충격 특성을 가져 PBT와 블렌딩할 경우 PBT의 단점을 상쇄할 수 있어 다양한 자동차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다만 PBT와 ASA는 고분자 재료로서, 구성 성분 상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성능, 및 난연성을 함께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성능, 및 난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D) 탄소 섬유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E)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ADEP) 18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점도는 0.36 dl/g 내지 1.60 dl/g일 수 있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4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 40 중량%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 입경이 200 nm 내지 500 nm일 수 있다.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일 수 있다.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주쇄에,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 내지 40 중량%가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반응형의 에폭시 관능기를 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탄소 섬유는 1 mm 내지 20 mm 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E)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1 nm 내지 20 nm 의 평균 입경과 1 ㎛ 내지 10 ㎛ 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ADEP)는 20 중량% 내지 25 중량%의 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품은 ASTM D4935-99에 따라 측정한 전자파 차폐도가 30 dB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전기 전도도가 10-1 S/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3.0 mm 두께 시편의 UL94 V 테스트 (UL94 vertical burning test)에 따른 난연 등급이 V-0를 만족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성능, 및 난연성이 모두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이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블록 공중합, 랜덤 공중합, 그라프트 공중합 등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평균 입경이란 측정 대상 입자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측정한 사진 상 길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대상 입자 100 개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평균 길이란 측정 대상물의 장축을 기준으로 측정된 길이의 산술 평균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이란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C1 내지 C30의 알킬기, C1 내지 C30의 할로알킬기, C6 내지 C30의 아릴기, C1 내지 C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비치환"이란 수소 원자가 다른 치환기로 치환되지 않고 수소 원자로 남아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D) 탄소 섬유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E)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ADEP) 18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hylene terephthalate, PBT) 수지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시키거나,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축합 중합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충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내충격 향상 성분과 공중합한 공중합체, 또는 이들 내충격 향상 성분과 블렌딩한 블렌드물인 변성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ASTM D2857에 따라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36 내지 1.60 dl/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는 0.52 내지 1.25 dl/g일 수 있으며, 0.70 내지 1.00 dl/g일 수 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과 성형성의 우수한 밸런스 및 열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비중이 1.0 내지 1.5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비중은 1.1 내지 1.4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5 내지 1.35 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후술할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된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의 내열성 및 성형품 표면의 평활성의 우수한 밸런스를 확보할 수 있다.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4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 40 중량%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은 통상의 제조방법, 예를 들면,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및 괴상중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는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2 내지 C10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은 200 nm 내지 500 nm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00 nm 내지 400 nm, 200 nm 내지 300 nm일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대상 입자를 투과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으로 측정한 사진 상 길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대상 입자 100 개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그라프트되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는 이들 단량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중량% 내지 80 중량%의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20 중량% 내지 40 중량%의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일 수 있다.
상기 g-ASA는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에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을 가해 알킬 아크릴레이트계 고무로의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A) 및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내후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30 중량% 초과이면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주쇄에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를 그라프트시켜 제조될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주쇄에,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량체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가 공중합체를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주쇄에 그라프트되는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일 예로,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일 예로, 스티렌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 내지 40 중량%가 공중합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일 수 있다.
일 예로,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raft-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EGMA-g-SAN)일 수 있다. 이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25 중량% 내지 55 중량%의 상기 에틸렌, 및 5 중량% 내지 15 중량%의 상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가 공중합된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반응형의 에폭시 관능기를 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관능기의 함량이 5 중량% 보다 낮을 경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의 반응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간의 상용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10 중량% 보다 높을 경우 미반응된 에폭시 관능기로 인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과 내후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내외장 부품 용도로서 기계적인 강도와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혼화 과정에서 반응성 관능기가 상용화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계면 장력을 낮춤으로써 분산상인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간 혼화성을 높여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D) 탄소 섬유
본 발명에서 탄소 섬유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에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 섬유는 상기 기초 수지 내부 임의의 위치에 분산되되, 일정함량 이상의 탄소 섬유를 포함할 경우 분산된 탄소 섬유가 도전 네트워크(conductive network)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도전 네트워크는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전기적 특성,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성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는 1 mm 내지 20 mm, 예를 들어 3 mm 내지 10 mm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탄소 섬유의 평균 길이가 1 mm 미만으로 짧을 경우, 기초 수지 내부에 분산된 탄소 섬유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고, 평균 길이가 20 mm을 초과할 경우, 일반적인 압출 가공 방법으로는 제작이 어렵다.
상기 탄소 섬유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 섬유의 함량이 상기 범위 보다 적을 경우 적정 수준의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성능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고, 많을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E)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의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더욱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는 전술한 탄소 섬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도전 네트워크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는 적어도 일부가 탄소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어 혼성화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섬유들로 이루어진 도전 네트워크 표면에 부착되어 도전 네트워크 사이의 공간을 더욱 촘촘하게 이어줄 수 있다. 즉, 탄소나노튜브는 도전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이웃한 탄소 섬유들, 및/또는 탄소나노튜브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 네트워크의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이 보강될 수 있다.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와 탄소 섬유들이 혼성화된 도전 네트워크를 이룸으로써, 전술한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과 함께 개선된 난연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발화점 이상의 열이 가해질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전도되는 열은 탄소나노튜브와 탄소 섬유들이 촘촘하게 혼성화된 도전 네트워크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소나노튜브와 탄소 섬유들이 혼성화된 도전 네트워크는 가열에 의한 수지의 열화를 차단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 가능한 탄소나노튜브의 예시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일례로,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탄소나노튜브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1 nm 내지 20 nm 의 평균 입경과 1 ㎛ 내지 10 ㎛ 의 평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입경과 평균 길이가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전술한 탄소 섬유들과의 혼성화를 통해 도전 네트워크의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 성능을 적정 수준으로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보다 적을 경우 적정 수준의 전기 전도성과 전자파 차폐성능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고, 많을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본 발명에서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ADEP)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일정 수준의 난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는 전술한 탄소나노튜브와 탄소 섬유가 혼성화된 도전 네트워크와 함께 전술한 기초 수지에 혼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는 20 중량% 내지 25 중량%의 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전술한 도전 네트워크와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우수한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많을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 특성 및 충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G) 기타 첨가제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염료, 안료, 충진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UV안정제, 활제, 항균제, 이형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첨가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예는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품은 ASTM D4935-99에 따라 측정되는 전자파 차폐도가 30 dB 이상, 예를 들어 31 dB 이상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품은 10-1 S/cm 이상, 예를 들어 0.3 S/cm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3.0 mm 두께 시편의 UL 94 V 테스트 (UL 94 vertical burning test)에 따른 난연 등급이 V-0를 만족할 수 있다.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성형품은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여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성능, 및 난연성을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성을 갖는 성형품은 각종 전기전자 부품, 건축 재료, 스포츠 용품, 자동차 부품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들은 전기차 내부의 전기적 특성과 난연 특성을 함께 요구하는 각종 부품, 예를 들어 전기차 내부의 배터리 케이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단, 상기 성형품의 용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 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표 1에서, 기초 수지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은 기초 수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중량%로 나타내었고, 기초 수지에 첨가되는 (C) EGMA-g-SAN, (D) 탄소 섬유, (E) MWCNT, (F) ADEP의 경우,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로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구성성분을 혼합 후 압출/가공하여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29, 직경 45㎜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고, 바렐 온도는 24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4시간 동안 건조 후, 6 oz 사출성형기를 실린더 온도 240℃ 금형 온도 60℃로 설정하여 난연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 제조된 펠렛을 240℃의 핫 프레스(hot press)로 가압하여 가로 Х 세로 Х 두께가 15 mm Х 25 mm Х 0.2 mm 의 필름 형태의 전기 전도성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한편, 가로 Х 세로 Х 두께가 22.8 mm Х 10.1 mm Х 2.0 mm 의 몰드 안에 상기 제조된 펠렛을 충전시킨 후, 250℃의 핫 프레스 안에 투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규격을 갖는 전자파 차폐성능 평가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4 5 6 7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BT) (A)
70 70 70 90 70 70 70 70 70 70 70 50 70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 (B) 30 30 30 10 30 30 30 30 30 30 30 50 30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raft-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EGMA-g-SAN) (C)
3 3 3 3 1 5 3 3 3 3 3 3 3
탄소 섬유 (D) 19 17.5 15 19 19 19 20 0 19 19 14 19 0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E) 1 2.5 5 1 1 1 0 5 1 1 1 1 0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ADEP) (F) 20 20 20 20 20 20 20 20 15 10 20 20 20
상기 표 1 에 기재된 각 구성성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비중이 1.31이고, 고유점도가 0.83 dl/g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Shinkong Synthetic Fibers Corp., 제품명: K001]
(B)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
60 중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무 코어와 40 중량%의 쉘로 이뤄진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로, 상기 쉘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서 스티렌 28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12 중량%로 이루어지고 평균 입경이 약 300 nm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UMG ABS Ltd., 제품명: A600N]
(C)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graft-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EGMA-g-SAN)
반응형 에폭시 관능기가 전체 공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8 중량% 포함되어 있고,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NOF Corp., 제품명: A4400]
(D) 탄소 섬유
6 mm의 평균 길이를 갖는 탄소 섬유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ACE C & Tech. Co., Ltd., 제품명: ACECA-EP]
(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MWCNT)
평균 입경 9.5 nm, 평균 길이 1.5 ㎛의 다중벽 탄소 나노튜브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Nanocyl SA, 제품명: NC7000]
(F) 알루미늄 다이에틸포스피네이트 (ADEP)
알루미늄을 염으로 하는 비할로겐 인계 난연제로, 인 함량이 약 23 중량%이고, 밀도가 약 1.2 g/cm3인 알루미늄 다이에틸포스피네이트를 사용하였다. [제조사: Henan Sinotech Import & Export Corp., 제품명: PFR-SN3020]
실험예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전기 전도성 (S/cm): 4-탐침법 (four probe method)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전기 전도성 평가용 시편에 핀 거리가 1.5 mm인 탐침을 접촉시키고 한계 전압(voltage limit)이 90 V 인 저항계(resistivity meter)를 이용하여 시편의 표면 저항을 측정한 다음, 이를 전기 전도도로 변환하여 각 시편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였다.
(2) 전자파 차폐도 (dB): ASTM D4935-99 standard 규격에 맞추어 WR-90 waveguide와 ENA 벡터 네트워크 분석기(ENA vector network analyzer)를 이용하여 8.2 GHz 내지 12.4 GHz 의 주파수 범위에서 각 시편의 전자파 차폐도를 측정하였다.
(3) 난연성: UL94 V (UL94 vertical test)에 따라 각 경우마다 3.0 mm 두께의 5개 시편들을 평가하고, UL94 V 기준에 맞추어 난연 등급을 매겼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전기 전도도
(S/cm)
0.38 0.72 1.02 0.52 0.41 0.36 0.08 10-7 0.56 0.71 10-3 0.28 10-14
전자파 차폐성능(dB) 32.0 33.8 34.6 32.6 32.1 31.8 27.9 - 32.8 33.7 - 30.2 -
난연성 V-0 V-0 V-0 V-0 V-0 V-0 V-2 Fail V-2 Fail V-1 Fail Fail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6과 같이,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C)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D) 탄소 섬유, (E) 탄소 나노튜브, 및 (F) 알루미늄 다이에틸포스피네이트를 일 구현예에 따른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비교예들 대비 우수한 전기 전도성, 전자파 차폐 성능 및 난연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7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D) 탄소 섬유 1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E) 탄소나노튜브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및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 18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 점도는 0.36 dl/g 내지 1.60 dl/g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에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상기 아크릴계 고무질 중합체 코어 4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되어 형성된 쉘층 40 중량%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서,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평균 입경이 200 nm 내지 500 nm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서,
    상기 (B)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주쇄에,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에틸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서,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제7항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5 중량% 내지 40 중량%가 공중합된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서,
    상기 (C) 에폭시기 함유 메타크릴레이트-방향족 비닐-불포화 니트릴 공중합체는 반응형의 에폭시 관능기를 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항에서,
    상기 (D) 탄소 섬유는 1 mm 내지 20 mm 의 평균 길이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에서,
    상기 (E)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5. 제14항에서,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1 nm 내지 20 nm 의 평균 입경과 1 ㎛ 내지 10 ㎛ 의 평균 길이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6. 제1항에서,
    상기 (F) 알루미늄 디에틸포스피네이트는 20 중량% 내지 25 중량%의 인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18. 제17항에서,
    상기 성형품은 ASTM D4935-99에 따라 측정한 전자파 차폐도가 30 dB 이상인, 성형품.
  19. 제17항에서,
    상기 성형품은 전기 전도도가 10-1 S/cm 이상인, 성형품.
  20. 제17항에서,
    상기 성형품은 3.0 mm 두께 시편의 UL94 V 테스트 (UL94 vertical burning test)에 따른 난연 등급이 V-0를 만족하는, 성형품.
KR1020190077961A 2018-06-29 2019-06-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36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56,294 US11987666B2 (en) 2018-06-29 2019-07-01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PCT/KR2019/007946 WO2020005040A1 (ko) 2018-06-29 2019-07-0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5811 2018-06-29
KR1020180075811 201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684A KR20200002684A (ko) 2020-01-08
KR102360000B1 true KR102360000B1 (ko) 2022-02-09

Family

ID=6915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961A KR102360000B1 (ko) 2018-06-29 2019-06-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87666B2 (ko)
KR (1) KR1023600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3003B2 (ja) * 2022-03-24 2023-11-01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CN115584108B (zh) * 2022-11-02 2023-09-15 会通新材料股份有限公司 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162B2 (ja) * 1990-10-11 2000-06-26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0856137B1 (ko) * 2007-08-08 2008-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3610B2 (en) 1994-10-14 1998-07-02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polycondensates
DE19614424A1 (de) 1996-04-12 1997-10-16 Hoechst Ag Synergistische Flammschutzmittel-Kombination für Polymere
US6242519B1 (en) 1999-01-14 2001-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EP1054031B1 (de) 1999-05-21 2005-08-24 Ciba SC Holding AG Molekulargewichtsaufbau und Modifizierung von Polykondensaten
DE19929302A1 (de) 1999-06-25 2000-12-28 Basf Ag Haftfähigkeitsverringerte Formmassen für Kraftfahrzeuganwendungen
DE10241375A1 (de) 2002-09-06 2004-03-18 Clariant Gmbh Granulare Flammschutzmittelzusammensetzung
JP4315045B2 (ja) 2004-04-23 2009-08-19 油化電子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用ベルト及び画像形成装置
EP1650609B1 (en) 2003-07-25 2013-09-1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Endless belt for image forming devices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575258B1 (ko) 2003-12-12 2006-04-28 제일모직주식회사 열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07089747A1 (en) 2006-01-27 2007-08-09 General Electric Company Articles derived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random copolymers deriv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KR101201832B1 (ko) 2009-03-06 2012-11-15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US20120016090A1 (en) 2010-07-19 2012-01-19 Basf Se Process for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polyesters
CN103237840A (zh) 2010-12-02 2013-08-07 巴斯夫欧洲公司 防腐的次膦酸盐阻燃组合物
KR101474799B1 (ko) 2011-10-27 2014-12-19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55386B1 (ko) 2012-01-31 2014-01-29 신일화학공업(주) 열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38736A1 (en) 2013-02-27 2014-08-28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MI Shielding Properties
KR20140107119A (ko) 2013-02-27 2014-09-04 제일모직주식회사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E102013005307A1 (de) * 2013-03-25 2014-09-2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wendung von organischen Oxyimiden als Flammschutzmittel für Kunststoffe sowie flammgeschützte Kunststoffzusammensetzung und hieraus hergestelltem Formteil
KR102362818B1 (ko) 2015-09-30 2022-02-1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1618542B1 (ko) 2016-02-25 2016-05-04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로 이루어진 차량용 선루프 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선루프
WO2020005040A1 (ko) 2018-06-29 2020-01-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5162B2 (ja) * 1990-10-11 2000-06-26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0856137B1 (ko) * 2007-08-08 2008-09-02 제일모직주식회사 전기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7666B2 (en) 2024-05-21
KR20200002684A (ko) 2020-01-08
US20210261727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8312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US7964661B2 (en) Flame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KR1023600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39661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036594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6175511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하우징
KR10129685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KR2019008060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005040A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18716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40043679A1 (en) Eco-friendly antista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thereof
KR10098990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KR101233383B1 (ko) 대전 방지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4047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382784B1 (ko)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대전방지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668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05462225A (zh) 防静电pc/pbt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和安全鞋头
WO2020174748A1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263984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5967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98691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497442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859986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H07157662A (ja) ポリスルホン系樹脂組成物
KR20240149819A (ko)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