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799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74799B1 KR101474799B1 KR1020110110551A KR20110110551A KR101474799B1 KR 101474799 B1 KR101474799 B1 KR 101474799B1 KR 1020110110551 A KR1020110110551 A KR 1020110110551A KR 20110110551 A KR20110110551 A KR 20110110551A KR 101474799 B1 KR101474799 B1 KR 101474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particles
- resin
- particles
- thermoplastic resin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19㎛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성형품의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우수한 사출외관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에 있어서 다양한 색채가 구현된 플라스틱 외장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아울러 보다 고급적인 질감을 느낄 수 있는 플라스틱 외장 제품들의 출시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외장 제품들은 주로 플라스틱 수지에 금속 등을 첨가하여 수지 외관에 금속 질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일본공개특허 제2001-262003호, 제2007-137963호 등에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 실험 시 금속질감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출시 플로우 마크나 웰드 라인이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1995-196901호는 플라스틱 수지에 펀칭 가공으로 얻어지고 평균 형상비(두께/평균 입경) 1/100 내지 1/8의 광택을 갖는 금속 미소판을 첨가하여 금속 질감을 나타내고 있으나, 웰드라인이 발생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플로우 마크와 웰드라인 발생이 거의 없으며 뛰어난 금속 질감의 외관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플롭 인덱스(flop index; FI)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 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성형품의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을 L1이라고 하고,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의 평균입경을 L2라고 할 때, 상기 구형 금속 입자의 입자의 평균입경은 0<L2≤L1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에 대한 두께 비율(두께/평균입경)이 1/400 내지 1/2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평균입경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 평균입경이 1 내지 32㎛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중량비는 1:3 내지 3:1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수지(ABS)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수지(ASA)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는 알루미늄, 동, 금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B2))와 구형 금속 입자(C)의 합계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입자, 운모, 흑연, 펄 입자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 입자(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D)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플로우 마크(flow mark)와 웰드 라인(weld line) 발생이 거의 없으며 금속 질감을 가진 우수한 외관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둘 다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둘 다 가능함을 의미하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와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둘 다 가능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판상형 입자의 "평균입경"이란 "장경"을 의미하고, "장경"이란 폐곡선(closed curve)에서의 두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가장 긴 길이를 의미하며, 이때 "폐곡선"이란 곡선 위의 한 점이 한 방향으로 움직여 다시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곡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별도의 도장(painting) 없이 금속 질감을 제공하는 조성물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고, 상기 성형품의 성능 지표로서 플롭 인덱스를 사용하였다. 플롭 인덱스란, 표면의 금속 질감을 나타내는 지표로 통상 15˚, 45˚ 및 110˚에서의 각 반사광의 루미넌스(L)를 측정하여 아래 정의에 따라 구한다. L(x˚)는 x˚에서 측정한 루미넌스를 의미한다.
금속질감이 없는 표면의 플롭 인덱스는 0, 금속의 플롭 인덱스는 약 15 내지 약 17, 자동차 차체 도장으로 사용되는 금속질감 코팅의 플롭 인덱스는 약 11 정도이며, 육안으로 금속질감을 느낄 수 있는 표면의 플롭 인덱스는 약 6.5 이상이다.
금속질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금속성 입자의 평균입경, 입도분포, 표면조도 및 각종 입자의 조합이 잘 맞아야 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물성을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조성물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성형품의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 (B2) 평균입경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성형품의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플로우 마크(flow mark)와 웰드라인(weld line) 발생이 거의 없으며 플롭 인덱스 6.5 이상의 금속 질감을 가진 우수한 외관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도장 공정 없이도 우수한 외관을 가진 성형품, 특히,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의 플라스틱 외장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열가소성 수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내충격성, 내열성, 굴곡특성, 인장특성 등의 기본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좋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좋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000 내지 8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트리멜리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은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로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보네이트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수지는 비닐계 중합체 5 내지 95 중량%가 고무질 중합체 5 내지 95 중량%에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이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 공중합체(EPDM) 고무,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헤테로 고리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제1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95 중량%;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헤테로 고리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제2 비닐계 단량체 5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좋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시 고무입자의 입경은 내충격성 및 성형물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05 내지 4㎛ 일 수 있으며, 상기 고무입자의 입경이 0.05 내지 4㎛인 경우 우수한 충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혼합물의 형태로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 중 어느 방법이나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전술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알킬 에스테르와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글리콜 성분으로부터 용융 중합에 의하여 축중합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헥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또는 이들 수지에 일부 다른 모노머를 혼합하여 비결정성으로 개질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좋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비결정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더 좋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1,4-부탄디올 단량체와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단량체를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하여 축중합된 중합체이다.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저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또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공중합하거나 충격 향상 성분을 블렌딩한 변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로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o-클로로 페놀 25℃로 측정시 고유점도[η]가 0.35 내지 1.5 ㎗/g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1.3 ㎗/g 일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원료 단량체를 현탁중합법, 괴상중합법, 유화중합법 등의 공지의 중합법에 의해 중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C1 내지 C10의 알킬기를 가지는 것으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총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5,000 내지 150,000 g/mo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인 경우 내가수분해성, 내스크래치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스티렌 수지는, 예를 들면, 충격강도를 보강한 고무변성 폴리스티렌 수지 (HIPS)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 에틸렌 수지 (PE), 폴리 프로필렌 수지 (PP) 또는 이들의 공중합 형태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2종 이상 혼합된 얼로이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예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수지(ABS)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수지(ASA)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B1) 및 (B2)
판상형
금속 입자/(C) 구형 금속 입자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와 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금속 질감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B1) 및 구형 금속 입자(C)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평균입경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B2))와 구형 금속 입자(C)의 합계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래 판상형 금속 입자((B1) 및 (B2))와 구형 금속 입자(C)에 대해 상술한다.
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B1)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는 빛을 반사하는 평탄면을 가지는 반짝이(sparkling) 입자의 일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면은 육안으로 입자가 반짝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평탄면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판유리의 표면이나, 연마에 의해 마감 처리된 금속 표면 등을 의미한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는 알루미늄, 동, 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중에서 좋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는 평균입경 대비 두께의 비가 1/400 내지 1/2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0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평균입경 대비 두께의 비를 가지는 판상형 금속 입자(B1)를 포함하게 되면, 플로우 마크(flow mark)와 웰드 라인(weld line) 발생이 거의 없으며, 우수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2. 구형 금속 입자(C)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판상의 얇은 두께 부분, 즉 에지 부분이 성형품의 표면 쪽으로 향하게 되면 금속 질감이 떨이지게 되어 그 부분이 어둡게 보이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성형품 제조시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에지 부분이 표면을 향하지 않도록 일정 방향으로 잘 정열되도록 제조되어야 금속 질감이 잘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에 구형 금속 입자(C)를 혼합시키면 성형시 구형 금속 입자(C)의 존재로 인하여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에지 부분이 표면을 향하지 않도록 잘 정열되도록 하여, 성형품의 플로우 마크(flow mark)와 웰드 라인(weld line)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을 L1이라 하고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의 평균입경을 L2라고 할 경우 0<L2≤L1을 만족하는 크기로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L1/5≤L2≤L1의 관계일 수 있다. 두 입자의 평균입경의 관계가 상기 수치 범위 0<L2≤L1을 만족할 때,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정렬 상태가 보다 더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L1)은 5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크기의 판상형 금속 입자(B1)를 구형 금속 입자(C)와 함께 사용할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단면적은 5 내지 10,000㎛2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두께는 0.25 내지 2.5㎛,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2.2㎛일 수 있다.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 평균입경(L2)은 1 내지 32㎛일 수 있다. 상기 크기 범위의 구형 금속 입자(C)를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함께 사용할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의 중량비는 1 : 3 내지 3 : 1 일 수 있고, 예를 들면, 1 : 2 내지 2 : 2 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가 상기 중량비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는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의 중량비는 성형품에서 계산에 의해 역으로 추정하여 얻을 수 있는데,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직각하는 세 방향의 각 면에서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의 면적비를 측정한 뒤,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가 차지하는 부피비를 얻어냄으로써 이들의 함량비를 계산해낼 수 있다. 이때, 일면에서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의 면적비는 그 일면에 나타난 판상형 금속 입자(B1)들의 면적의 합과 그 일면에 나타난 구형 금속 입자(C)들의 면적의 합의 비로서 측정된다.
3. 평균입경이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의 2 가지 형태를 포함하고 동시에 (B1) 보다 평균입경이 큰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금속 질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평균입경이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의 평균입경과 두께 비는 (B1)의 설명에 기재된 것과 같은 범위이나, (B1)의 금속 입자의 그것과 상이할 수 있다.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판상형 금속 입자(B2)의 중량비는 2:1 내지 1:2 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1 내지 1:1.5 일 수 있다.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판상형 금속 입자(B2)가 상기 중량비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D) 무기 입자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빛을 반사하는 평탄면을 가지는 반짝이 입자의 다른 일 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다.
상기 무기 입자는 유리 입자, 운모, 흑연, 펄 입자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좋게는 유리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입자는 판상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주로 원기둥 형상을 가진 유리 섬유와는 다르다. 원기둥 형상의 유리 섬유는 빛 반사를 시키지 못하여 금속 질감을 나타내기 어렵다. 상기 유리 입자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무정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평균입경이 10 내지 200㎛ 이고, 두께가 0.5 내지 10㎛ 일 수 있으며, 단면적은 80 내지 32,000㎛2 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가 상기 범위의 평균입경, 두께 및 단면적을 가질 경우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으면서 우수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될 경우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제조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B2)) 및 구형 금속 입자(C)의 혼합물과 무기 입자(D)는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1의 중량비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B2)) 및 구형 금속 입자(C)의 혼합물과 상기 무기 입자(D)가 상기 중량비의 범위로 혼합될 경우 충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고, 뛰어난 금속 질감을 가지는 성형품을 제조하기에 유리하다.
(E) 기타 첨가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혼화제, 착색제, 안정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조색제, 방염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핵 형성제, 접착 조제, 점착제 또는 이들의 조합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이형제로는 불소 함유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stear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montanic acid)의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후제로는 벤조페논형 또는 아민형 내후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착색제로는 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차단제로는 이산화티타늄(TiO2) 또는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 형성제로는 탈크 또는 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현예에 따른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에,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고 펠렛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즉,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해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발생이 거의 없으며 금속 질감의 외관을 가진 성형품, 특히,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의 플라스틱 외장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 구성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a1) 폴리카보네이트
중량평균 분자량이 29,000인 제일모직의 SC-1080
(a2) 폴리카보네이트
중량평균 분자량이 23,000인 제일모직의 SC-1190
(a3)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부틸아크릴레이트와 스티렌이 공중합된 내부 코어와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로 이루어진 외부 코어로 구성된 2중 코어 구조의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50 중량부에 각각 아크릴로니트릴 33 중량%와 스티렌 67 중량%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 50 중량부를 그라프트 유화중합한 고무입경이 0.16㎛인 2중 코어-쉘 형태의 그라프트 ASA 수지
(a4)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중량%, 스티렌 함량이 76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인 SAN 수지
(B)
판상형
금속입자
(B1)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
평균입경이 17㎛이고 두께가 0.5㎛인 무정형 판상의 알루미늄 입자(Silverline 제조, 제품명 : L 11669)
(B2) 평균입경이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
평균입경이 55㎛이고 두께가 2.2㎛인 무정형 판상의 알루미늄 입자(Yamato 제조, 제품명 : 3500X-90PA)
(C) 구형 금속 입자
평균입경이 10㎛인 구형 알루미늄 입자(마이크로 메탈, 제품명 : Al 분말)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
상기에서 언급된 구성성분들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각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뒤, 통상의 이축 압출기에서 240℃의 온도범위로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였다. 표 1에서 (a1), (a2), (a3) 및 (a4)의 함량은 (a1)+(a2)+(a3)+(a4)= 100 중량%로 하여, 각 (a1), (a2), (a3) 및 (a4)의 함량을 중량% 단위로 기재하였고, 금속 입자는 상기 (a1)+(a2)+(a3)+(a4)= 100 중량부 대비 상대 함량(중량부)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라 제조된 펠렛을 80℃에서 4 시간 동안 건조 후, 6 Oz의 사출능력이 있는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실린더 온도 250℃, 금형온도 80℃, 성형 사이클의 시간을 30초로 설정하고, ASTM 덤벨(dumbbell) 시험편을 사출 성형하여 물성 시편을 제조하였다.
구성 성분 | 단위 | 실시 예 | 비교예 | |||||||
1 | 2 | 3 | 4 | 1 | 2 | 3 | 4 | |||
열가소성 수지(A) | 폴리카보네이트(a1) | 중량%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폴리카보네이트(a2) | 중량%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40 | |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a3) |
중량%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20 | |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a4) |
중량%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30 | |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B1) | 중량부 | 0.3 | 0.3 | 0.5 | 0.3 | 0.5 | - | - | 0.3 | |
평균입경이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 | 중량부 | - | - | - | 0.2 | - | - | 0.3 | 0.2 | |
구형 금속 입자(C) | 중량부 | 0.2 | 0.5 | 0.5 | 0.5 | - | 0.5 | 0.2 | - |
(물성 측정 기준)
상기 제조된 물성 시편은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금속 질감:
플롭 인덱스(flop index)를 측정 기기(제조사: BYK, 모델명: BYK Ma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5˚, 45˚ 및 110˚세 가지 각도를 종합하여 알루미늄 입자 고유의 질감인 플립-플랍 효과(flip-flop effect)를 평가하였고, 그 값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2) 사출 외관: 상기 사출 성형시 게이트(gate)를 2개 가지고 있는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하였기 때문에 웰드 라인(weld line)이 발생할 수 있다. 사출물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판단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 플로우 마크(flow mark)나 웰드 라인에서 이색이 전혀 없는 상태.
○ : 플로우 마크가 없으나 웰드 라인에서 이색이 조금 있는 상태.
△ :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에서 이색이 나타나는 상태.
× :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에서 이색이 심하게 나타나는 상태.
항목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1 | 2 | 3 | 4 | ||
사출외관 | 금속 질감 (flop index) |
6.9 | 7.6 | 8.9 | 12.8 | 10.4 | 4.5 | 5.9 | 11.0 |
플로우 마크 | ○ | ◎ | ○ | ◎ | × | ◎ | ○ | △ | |
웰드 라인 | ○ | ◎ | ○ | ◎ | × | ◎ | ○ | × |
상기 표 2를 통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금속 질감이 우수하고,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감소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구형 금속 입자를 단독 사용한 비교예 2 및 평균입경이 8 내지 25㎛인 판상형 금속 입자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3은 금속 질감 측면에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판상형 금속 입자를 단독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4는 플로우 마크와 웰드 라인 측면에서 결과가 불만족스러웠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19㎛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 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B1) 평균입경이 8 내지 19㎛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 구형 금속 입자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는 알루미늄, 동, 금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A) 열가소성 수지, (B1) 평균입경이 8 내지 19㎛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 구형 금속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B1) 평균입경이 8 내지 19㎛인 판상형 금속 입자 및 (C) 구형 금속 입자는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와 구형 금속 입자(C)는 알루미늄, 동, 금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성형품의 플롭 인덱스가 6.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을 L1이라고 하고,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의 평균입경을 L2라고 할 때, 상기 구형 금속 입자의 입자의 평균입경은 0<L2≤L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의 평균입경에 대한 두께 비율이 1/400 내지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평균입경 40 내지 65㎛인 판상형 금속 입자(B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금속 입자(C)의 입자 평균입경이 1 내지 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A)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수지(ABS)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수지(ASA)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 수지(SAN)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금속 입자((B1)+(B2))와 구형 금속 입자(C)의 합계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입자, 운모, 흑연, 펄 입자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 입자(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D)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551A KR101474799B1 (ko) | 2011-10-27 | 2011-10-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PCT/KR2011/009108 WO2013062169A1 (ko) | 2011-10-27 | 2011-11-28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551A KR101474799B1 (ko) | 2011-10-27 | 2011-10-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6154A KR20130046154A (ko) | 2013-05-07 |
KR101474799B1 true KR101474799B1 (ko) | 2014-12-19 |
Family
ID=4816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0551A KR101474799B1 (ko) | 2011-10-27 | 2011-10-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4799B1 (ko) |
WO (1) | WO201306216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7666B2 (en) | 2018-06-29 | 2024-05-21 | Lotte Chemical Corporatio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597B1 (ko) * | 2014-07-04 | 2019-01-18 | (주)엘지하우시스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그 제조 방법 |
KR101874666B1 (ko) * | 2014-07-08 | 2018-07-05 | (주)엘지하우시스 | 자동차 내장재용 복합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US20160012932A1 (en) * | 2014-07-11 | 2016-01-14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Composite Formulation and Electronic Component |
KR102262931B1 (ko) * | 2017-12-15 | 2021-06-10 | 주식회사 삼양사 | 구상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102020608B1 (ko) * | 2017-12-15 | 2019-09-10 | 주식회사 삼양사 | 판상 첨가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102290956B1 (ko) | 2017-12-21 | 2021-08-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
KR102209795B1 (ko) * | 2018-10-31 | 2021-02-01 | 주식회사 삼양사 | 금속 입자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KR102201718B1 (ko) * | 2018-10-31 | 2021-01-13 | 주식회사 삼양사 | 금속질감의 외관을 갖는 고강성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KR102490389B1 (ko) | 2018-12-19 | 2023-01-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KR20210037227A (ko) | 2019-09-27 | 2021-04-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
KR102305165B1 (ko) * | 2019-10-28 | 2021-09-28 | 주식회사 삼양사 |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금속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N111019318B (zh) * | 2020-01-14 | 2022-04-12 | 宁波公牛电器有限公司 | 一种具有细腻金属质感的pc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
KR102693913B1 (ko) | 2020-10-21 | 2024-08-1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KR102478645B1 (ko) * | 2021-02-09 | 2022-12-19 | 주식회사 삼양사 | 항균성 및 금속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07646A (ja) * | 1998-03-24 | 2002-03-12 |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9244B1 (ko) * | 2005-05-11 | 2008-0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분자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KR101101789B1 (ko) * | 2009-07-20 | 2012-01-05 | 강명호 | 금속질감 성형품용 합성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및 성형품 |
KR20110079466A (ko) * | 2009-12-31 | 2011-07-07 | 제일모직주식회사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2011
- 2011-10-27 KR KR1020110110551A patent/KR1014747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1-28 WO PCT/KR2011/009108 patent/WO201306216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07646A (ja) * | 1998-03-24 | 2002-03-12 |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7666B2 (en) | 2018-06-29 | 2024-05-21 | Lotte Chemical Corporatio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62169A1 (ko) | 2013-05-02 |
KR20130046154A (ko) | 2013-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4799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297159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474802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130078747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101515430B1 (ko) | 라미네이트 시트, 라미네이트 시트의 제조 방법, 상기 라미네이트 시트를 이용한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 |
EP2604647B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 |
KR101548158B1 (ko) | 성형품 및 성형품의 제조 방법 | |
KR101537004B1 (ko) |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US9637630B2 (en) | Resin composition and moulded article using same | |
KR20140100851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US10822492B2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containing same | |
KR101583223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20130074366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130073538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KR20130066942A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
KR101466275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