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818B1 -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818B1
KR102362818B1 KR1020150138021A KR20150138021A KR102362818B1 KR 102362818 B1 KR102362818 B1 KR 102362818B1 KR 1020150138021 A KR1020150138021 A KR 1020150138021A KR 20150138021 A KR20150138021 A KR 20150138021A KR 102362818 B1 KR102362818 B1 KR 10236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tyrene
acrylonitrile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15A (ko
Inventor
명성현
정기봉
Original Assignee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8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 점도가 0.6 내지 1.2 dl/g 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50 내지 80 중량부, 유리섬유(Glassfiber) 50 내지 9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티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AN-GAM)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과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E MANUFACTURED THEREFROM}
본 발명은 플라스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변형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터계 수지 중 폴리 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낮은 수분흡수율 등의 특징으로 전기적 절연성이 우수하고, 사출 성형시 높은 결정화 온도로 인한 짧은 냉각시간을 가지므로 높은 생산량 가진 수지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PBT는 전기, 전자 제품 및 자동차 내/외장 부품용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PBT는 비교적 낮은 체적 저항을 갖고, 절연파괴강도, 내아크성, CTI 등의 전기적 특성이 다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비해 비교적 뛰어나지만, 결정성이 높은 결정화 수지로서 직각방향의 수축률이 1.7 내지 2.1%로 비교적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장강도 및 굴곡강도는 높은 반면, 충격 강도는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들은 수지 자체의 고유 특성에 기인하는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자동차 혹은 전기 전자 제품의 조립용 부품으로서 높은 치수 안정성이 요구되는 용도에는 사용의 제약이 발생하거나 다른 수지로 대체되어 버리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이에 PBT의 치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PC(폴리카보네이트),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SA(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비 결정 수지를 도입하는 기술들이 종래 개시된 바 있다.
PBT의 물성을 향상시키려는 종래기술의 일예로 일본특허 출원 제1977-37042호 및 일본 공개특허 제1978-121843호에는 편상 충진제와 섬유상 강화제를 사용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치수안정성은 많은 개선을 이루었지만, 강도 및 강성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특허 공개 평6-240132호에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와 변성 폴리페닐렌수지를 이용한 보강 수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우수한 강도, 강성은 달성하였으나, 충격특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형시에 가스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양산특성 및 성형품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본특허 공개 평 9-291204호 및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92471호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비결정성 이종 폴리머를 배합(alloy, 얼로이)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를 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저히 유동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박막의 성형품에 적용하기는 곤란한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얼로이의 형태의 종래기술은 기계적 물성의 밸런스 및 낮은 성형수축률은 구현할 수 있었으나 최소한의 성형 수축률까지는 보여주지 못하였다.
나아가, 아크릴로 니트릴, 스티렌 및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3원 공중합체인 ASA 수지를 얼로이 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내후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성형 수축률까지 감소시킨 기술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얼로이 되는 두 소재가 완벽한 상용성을 갖지 못하므로 최적 물성을 내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유리섬유를 강화제로 사용하여 사출하는 경우에는 유리섬유의 배향에 의한 변형이 가해지게 되므로 PBT 수지에 있어 변형 문제는 더더욱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으며, 성형 후 발생하는 변형(후변형)은 제품의 조립성 저하 및 불량과 직결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PBT와 ASA의 얼로이 수지에 두 소재의 상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해 기계적 물성 및 변형 특성이 향상된 폴리에스터 수지를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이를 이용하여 기계적 물성, 높은 열변형 온도 및 저변형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구현예는 고유 점도가 0.6 내지 1.2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50 내지 80 중량부, 유리섬유(Glassfiber) 50 내지 9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티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AN-GAM)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이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2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유리섬유는 공칭 지름이 10 내지 13 ㎛ 및 길이가 3 내지 4 ㎜인 촙 스트랜드(chopped strands) 형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구현예에 따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비중이 0.9 내지 1.1 g/m3이고, 에폭시 당량 무게(Epoxy equivalent weight, EEW)가 800 내지 1000 g/mol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구현예는 상기 제 1 구현예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이다.
상기 제 2 구현예에 따른 플라스틱 성형체는 ASTM D638 측정기준 인장강도가 1200 kg/cm2 이상이고, ASTM D256 측정기준 IZOD 충격강도가 7.5kg·cm/cm 이상일 수 있으며, ASTM D648 측정기준 열변형온도가 175℃ 이상이고, 23℃ 및 RH 50%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기준 휨 변형이 0.2mm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PBT와 ASA의 상용성이 보다 향상되어 기계적 강도 및 내후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종래엔 도달하지 못한 수준의 저변형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이로써 본 발명은 선 루프(Sun-roof) 프레임과 같은 자동차용 외장 부품의 소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유 점도가 0.6 내지 1.2 dl/g 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50 내지 80 중량부, 유리섬유(Glassfiber) 50 내지 9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티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AN-GAM)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PBT와 ASA가 얼로이된 폴리에스터 수지임에 따라, PBT의 높은 기계적 물성과 ASA의 우수한 내후안정성 및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PBT와 ASA의 상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SAN-GMA 공중합체에 의해 성형물의 저변형 특성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는 1,4-부탄디올과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단량체로 사용하여 직접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교환 반응을 통하여 축중합에 의해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때, OCP 용매에 용해 시킨 후 점도 측정계(cannon viscometer)로 측정한 PBT의 고유점도는 0.6 dl/g 내지 1.2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BT 의 고유점도가 0.6 dl/g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으며 1.2 dl/g를 초과이면 흐름지수가 낮아져 성형 및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비결정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로서 수지 조성물의 내열안전성, 내화학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외에도 광택성 유지 및 우수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 사출, 압출, 캘린더 가공 등 모든 성형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특히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는 전기전자제품의 부품, 스포츠용품, 가정용품, 건축자재 및 자동자 부품 등의 다양한 용도로써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는 성분이다.
상기 ASA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3원 공중합체이며,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ASA는 그래프트-블렌드형이며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2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함량이 공중합체 내에서 10 중량% 미만일 경우 전체 수지의 충격강도가 낮아질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흐름 지수의 증가로 인해 인장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유리 섬유(Glass fiber)]
유리섬유는 강화재로서 최소 한도의 기계적 물성 향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PBT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량 첨가에 따른 표면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고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9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리 섬유는 산화칼슘(CaO) 10 내지 30 중량%, 이산화규소(SiO2) 50 내지 70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2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E-글래스인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와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표면이 비닐기, 에폭시기, 머캅탄기, 아민기 등의 유기 관능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로 처리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성형품으로의 제조시 물성을 고려하여 공칭 지름이 10 내지 13 ㎛ 및 길이가 3 내지 4 ㎜인 촙 스트랜드(chopped strands) 형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PBT와 ASA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상용제 성분으로서, 스티렌, 아크로니트릴 및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삼원 랜덤 공중합체(Styrene-Acrylonirile-Glycidyl Methacrylate ternary random copolymer, SAN-GMA)이다. 일반적으로 ASA는 소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어느 정도는 PBT에 분산 가능한 수준이지만, 일반적으로 PBT와 ASA는 하기 화학식 1 및 2와 같은 구조(하기 식 중 반복단위 n, a, b 및 c는 0 이상의 정수)를 가짐에 따라 화학 구조적으로 상용성이 우수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PBT와 ASA를 얼로이를 사용하는 경우엔 성형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화학식 1] PBT
Figure 112015094826425-pat00001
[화학식 2] ASA
Figure 112015094826425-pat00002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PBT와 ASA 구조에 동시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SAN-GMA를 첨가시킴으로써, PBT와 ASA의 상용성을 높이고, ASA 함량을 종래 조성에 비해 높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 극복하기 어려웠던 물성에 대한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SAN-GMA는 하기 화학식 3(하기 식 중 반복단위 n은 0 이상의 정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ASA와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한 SAN 구조 및 PBT 말단인 -OH 및 -COOH와 용이하게 결합 가능한 에폭기 기를 갖는 GMA 구조가 분자 구조내에 동시에 존재하므로 ASA와 PBT의 상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물성 및 특성 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화학식 3] SAN-GMA
Figure 112015094826425-pat00003
이때,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PBT와 ASA의 상용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및 저변형 특성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SAN-GAM의 함량은 PBT 100 중량부에 대비 1 내지 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SAN-GAM의 함량이 1 중량부에 미치지 못할 경우, 저변형 특성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고,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량 첨가에 따른 물성 및 경제성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AN-GMA은 비중이 0.9 내지 1.1 g/m3 이고, 에폭시 당량 무게(Epoxy equivalent weight, EEW)가 800 내지 1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중이 0.9 g/m3 미만이거나 에폭시 당량 무게(Epoxy equivalent weight, EEW)은 800g/mol미만인 경우에는 저 변형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비중이 1.1 g/m3을 초과하거나 에폭시 당량 무게가 1000g/mol을 초과할 경우에는 SAN-GAM의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한 것과 유사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본 발명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이형제, 상용화제, 염료, 안료, 착색제, 가소제, 충격보강제, 안정제, 활제 및 이들의 혼합물 가운데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로는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형제로는 불소 함류 중합체, 실리콘 오일, 스테아린산 금속염, 몬탄산 금속염,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가 바람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고 이를 성형용 칩으로 제조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의 혼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혼합기로는 2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혼련에 적합한 온도는 240℃ 내지 270℃일 수 있다. 또한, 용융 혼련시에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분산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스크류 회전수 및 output 조절은 최대 부하의 80% 정도로 실시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성형체는 사출성형, 압출성형, 압축성형, 인서트사출성형, 저압사출성형, 발포 사출성형 및 발포압출성형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는 ASTM D638 측정기준 인장강도가 1200 kg/cm2 이상이고, ASTM D256 측정기준 IZOD 충격강도가 7.5 kg·cm/cm 이상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며, ASTM D648 측정기준 열변형온도가 175℃ 이상 및 23℃ 및 RH 50%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기준 휨 변형이 0.2mm이하로 우수한 내열성, 치수안정성 및 저변형 특성을 나타내므로 특히, 자동차 선루프 프레임과 같은 외관 부품으로 보다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PBT, IV 0.9 dl/g, Bluestar 社)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레이트 고무 공중합 비율이 30중량%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Styrolution 社)를 70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를 250~260℃로 가열된 2축 스크류 압출기의 1차 투입구에 투입하였고, 2차 투입구에 상기 PBT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리섬유(NEG 社) 80 중량부와 SAN-GMA 공중합체(Sunnyfc)를 1.5 중량부 투입하였다.
투입 후 압출기 내부에서 1분 동안 용융 혼련 반응시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반응이 종료된 후로 칩(chip) 형태로 압출한 후, 120℃에서 4시간 동안 제습형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칩 형태로 제조한 폴리에스터 수지를 스크류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250~260℃의 제조 조건에서 ASTM 시험 규격에 맞도록 성형체 시편도 함께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및 비교예 1~8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역시 ASTM 시험 규격에 맞도록 각각 성형체 시편도 함께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별 함량(중량부)
PBT ASA 유리 섬유 SAN-GMA
실시예1 100 70 80 1.5
실시예2 100 70 80 2.5
실시예3 100 50 80 1.5
실시예4 100 80 80 1.5
비교예1 100 70 80 0
비교예2 100 70 80 0.5
비교예3 100 70 80 4.0
비교예4 100 0 80 1.5
비교예5 100 40 80 1.5
비교예6 100 90 80 1.5
비교예7 100 70 40 1.5
비교예8 100 70 100 1.5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8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인장강도, 충격강도, 열변형 온도 및 휨 변형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반영하였다.
(1) 인장강도: ASTM D638에 의거하여 1/8인치 덤벨형 시편을 제작한 후, 상온(23℃)에서 인장강도 측정 속도를 5mm/min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2) 충격강도: ASTM D256에 의거하여 1/4인치 시편을 제작한 후, 상온(23℃)에서 아이조드 노치(Izod Notche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3) 열변형온도: ASTM D648에 의거하여 두께 1/4 인치 시편을 제작한 후, 1.8MPa (18.6 kgf/cm2) 하중 하에서 측정하였다.
(4) 휨 변형(저변형 특성 측정): 두께는 1mm이고, 가로 및 세로의 크기는 동일하게 10cm인 정사각형 평면 시편을 사출한 후, 사출된 시편을 23℃의 온도 및 50%의 상대습도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으며, 24시간 후 지면으로부터 시편의 네 모서리가 각각 들뜨는 정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mm 단위로 표기하였다.
구분 인장강도 (kgf/cm2) 충격강도 (kgcm/cm) 열변형온도(℃) 휨 변형(mm)
실시예1 1240 7.5 185 0.11
실시예2 1222 7.7 176 0.10
실시예3 1303 7.2 191 0.19
실시예4 1215 7.9 176 0.15
비교예1 1158 7.3 189 0.75
비교예2 1176 7.3 186 0.31
비교예3 1102 7.7 172 0.13
비교예4 1376 5.7 192 1.45
비교예5 1256 6.8 189 0.88
비교예6 1188 7.9 166 0.18
비교예7 1016 6.6 168 0.35
비교예8 1327 7.8 192 0.67
물성측정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저변형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SAN-GMA이 전혀 첨가되지 않거나 그 함량이 1 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인장강도가 우수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대비 휨 변형이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SAN-GMA가 필요이상으로 많이 첨가된 비교예 3의 경우 오히려, 변형은 실시예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오히려, 상용화제의 과량 첨가로 인해 열변형 온도가 낮아지고 인장강도가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SA가 첨가되지 않거나 함량이 50중량부에 미치지 못한 비교예 4 및 5는 그만큼 충격강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휨 변형도 크게 발생하였으며, ASA가 과량 첨가되는 경우 열변형 온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리 섬유의 함량이 50중량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휨 변형을 저하시킬 수도 없었으며 충격강도 및 열변형 온도가 저하되었고, 유리섬유의 함량이 90 중량부를 초과하면 인장강도는 현저히 향상되나, 섬유의 배향으로 인한 휨 변형이 크게 발생하였다.

Claims (7)

  1. 고유 점도가 0.6 내지 1.2 dl/g 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ASA) 50 내지 80 중량부, 유리섬유(Glassfiber) 50 내지 9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SAN-GAM)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 총 중량 기준 아크릴레이트 고무가 20 내지 60 중량%의 비율로 공중합된 것이고,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비중이 0.9 내지 1.1 g/m3이고, 에폭시 당량 무게(Epoxy equivalent weight, EEW)가 800 내지 1000 g/mol인
    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공칭 지름이 10 내지 13 ㎛ 및 길이가 3 내지 4 ㎜인 촙 스트랜드(chopped strands) 형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는 ASTM D638 측정기준 인장강도가 1200 kg/cm2 이상이고, ASTM D256 측정기준 IZOD 충격강도가 7.5 kg·cm/cm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ASTM D648 측정기준 열변형온도가 175℃ 이상이고, 23℃ 및 RH 50%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24시간 방치 기준 휨 변형이 0.2mm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KR1020150138021A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236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21A KR102362818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021A KR102362818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15A KR20170039015A (ko) 2017-04-10
KR102362818B1 true KR102362818B1 (ko) 2022-02-14

Family

ID=5858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021A KR102362818B1 (ko) 2015-09-30 2015-09-30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603A (ko) * 2017-12-28 2019-07-08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8530850B (zh) * 2018-04-28 2019-08-02 吉林恒辉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pbt/asa合金及其制备方法
CN108485214B (zh) * 2018-04-28 2019-08-02 吉林恒辉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玻璃纤维增强pbt/asa合金及其制备方法
WO2020005040A1 (ko) * 2018-06-29 2020-01-02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75117B1 (ko) * 2018-09-28 2021-07-07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방열 및 emi 차폐용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7882236A (zh) * 2021-12-23 2024-04-12 株式会社Lg新能源 衬垫、包括该衬垫的二次电池盖组件以及包括该二次电池盖组件的二次电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3790A (ja) * 2013-01-09 2014-07-24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電力計外装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432B1 (ko) * 1999-02-27 2001-09-24 남홍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20077465A (ko) * 2010-12-30 2012-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33790A (ja) * 2013-01-09 2014-07-24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電力計外装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15A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818B1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1537655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293828B1 (ko) 우수한 내가수분해성과 레이저 투과율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90027115A (ko)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플라스틱 성형체
KR101772757B1 (ko) 열안정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20140092454A (ko)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JP6100983B1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KR102175497B1 (ko)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4004339B (zh) 一种增韧pc/pbt/aes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70055051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JP350027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5254609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KR20120089967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164145B1 (ko) 고내스크래치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86185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N106893290A (zh) 高韧改性材料
KR100524162B1 (ko)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140055060A (ko) 터프니스가 우수한 편평 유리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90017569A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1201832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KR10216137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194053B1 (ko) 내충격성과 웰드라인 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626503B1 (ko)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20210071118A (ko)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차량 랙하우징 부재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성형된 차량 랙하우징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