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876B1 -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876B1 KR102359876B1 KR1020197031892A KR20197031892A KR102359876B1 KR 102359876 B1 KR102359876 B1 KR 102359876B1 KR 1020197031892 A KR1020197031892 A KR 1020197031892A KR 20197031892 A KR20197031892 A KR 20197031892A KR 102359876 B1 KR102359876 B1 KR 1023598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panel
- spacer
- mounting structure
- fix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44 die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HQQADJVZYDDRJT-UHFFFAOYSA-N ethene;prop-1-ene Chemical group C=C.CC=C HQQADJVZYDDR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1 foam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90 mineral wo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Fenc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바람에 의해 휘는 경우가 있어도, 루버의 건물에 대한 장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착 구조를 제안한다. 장착 구조는, 패널(1)과 상하의 장착 구조(3, 4)를 구비한다. 패널(1)은, 판재(5, 6)와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7)와 심재(8)를 구비한다. 스페이서(7)의 좌우의 프레임 부분은, 직관형의 측부 스페이서(70)로 구성된다. 상하의 장착 구조(3, 4)는, 건물(2)의 상하의 프레임부(20, 21)에 고정되는 고정판(14, 9)과, 측부 스페이서(70)의 상하의 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장착구(15, 10)와, 장착구(15, 10)와 고정판(14, 9)을 연결하는 연결구(16, 11)를 구비한다. 연결구(16, 11)는, 장착구(15, 10)와 고정판(14, 9)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루버(louver)용 패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한 쌍의 금속제의 판재의 사이에, 금속제의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 유닛을 끼워넣은 샌드위치 구조의 루버가 기재되어 있다. 스페이서 유닛은, 좌우의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직관형(直管形)의 스페이서와, 상하의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한 쌍의 직관형의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있다.
이 루버는, 건물이 가지는 상하의 판재의 사이에, 기립(起立)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이 루버는, 하측의 판재 상에 설치된 기둥형의 지지부와 한 쌍의 회전 규제(restricting)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샌드위치 구조의 루버는, 바람을 받았을 때 휘는 경우가 있고, 이 점을 고려하여, 건물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에 의해 휘는 경우가 있어도, 루버의 건물에 대한 장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것 태양(態樣)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는, 건물의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루버용 패널과, 상기 루버용 패널의 상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장착하는 상부 장착 구조와, 상기 루버용 패널의 하단부를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장착하는 하부 장착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루버용 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재와, 상기 한 쌍의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와, 상기 한 쌍의 판재의 사이 중 상기 스페이서로 에워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심재(芯材)를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의 좌우의 프레임 부분은, 직관형의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장착 구조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각각의 상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와, 상기 한 쌍의 상부 장착구의 각각과 상기 상부 고정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구를 가진다. 상기 하부 장착 구조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판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각각의 하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하부 장착구와, 상기 한 쌍의 하부 장착구의 각각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구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상부 연결구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상부 장착구 중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를 상기 상부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한 쌍의 하부 연결구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하부 장착구 중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와 상기 하부 고정판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를 상기 하부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斷面圖)이며, 도 3의 B는, 도 1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D 부분의 확대도이며, 루버용 패널, 실링재 및 백업재를 상상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4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의 장착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A는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측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B의 F-F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A는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B의 G-G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의 H-H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 도 10의 C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0의 B는 측면도이며,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의 장착 구조의 고정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설치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斷面圖)이며, 도 3의 B는, 도 1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D 부분의 확대도이며, 루버용 패널, 실링재 및 백업재를 상상선으로 표시한 도면이며, 도 5의 B는, 도 4의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의 장착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A는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측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B의 F-F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A는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측면도이며, 도 7의 C는 도 7의 B의 G-G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상기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의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의 H-H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A, 도 10의 B, 도 10의 C는, 상기의 장착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의 A는 평면도이며, 도 10의 B는 측면도이며,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의 장착 구조의 고정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한 쌍의 판재의 사이에,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 유닛과 심재를 협지한 샌드위치 구조의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시형태 1)
도 1에는,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 1의 루버용 패널(1)[이하, 단지 「패널(1)」이라고 기재함]의 장착 구조가 나타나 있다. 패널(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이며, 건물(2)의 상부 프레임부(20)와 하부 프레임부(21)의 사이에, 자신의 길이 방향이 연직(沿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는 기립 자세로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치 상태의 패널(1)을 기준으로 하여, 패널(1)의 두께 방향(예를 들면, 도 4의 X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패널(1)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패널(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방향이 전방이며,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방향이 우측이며, 화살표 Z로 나타내는 방향이 위쪽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1)의 장착 구조(바꾸어 말하면 루버용 패널 시스템)는, 패널(1)과, 패널(1)의 상단부를 건물(2)의 상부 프레임부(20)에 장착하는 상부 장착 구조(3)와, 패널(1)의 하단부를 건물(2)의 하부 프레임부(21)에 장착하는 하부 장착 구조(4)를 구비한다.
먼저, 패널(1)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1)은, 도 1, 도 3의 A, 도 3의 B,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재(5, 6)와,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7)와, 심재(8)를 구비한다. 스페이서(7)는, 한 쌍의 판재(5, 6)의 사이에 위치한다. 심재(8)는, 한 쌍의 판재(5, 6)와 스페이서(7)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의 전체에 위치한다.
패널(1)의 전면(前面)을 구성하는 판재(5)는, 스페이서(7) 및 심재(8)의 전방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전면부(50)와, 스페이서(7)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면부(51)와, 스페이서(7)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면부(52)와, 스페이서(7)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면부(5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부(51)는, 전면부(50)의 좌우의 에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면부(52)는, 전면부(50)의 상부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면부(53)는, 전면부(50)의 하부 에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51), 상면부(52) 및 하면부(53)의 각각은, 전면부(50)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다. 한 쌍의 측면부(51)는, 전면부(50)의 좌우의 에지에 상하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52)는, 전면부(50)의 상부 에지에 좌우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하면부(53)는, 전면부(50)의 하부 에지에 좌우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패널(1)의 후면을 구성하는 판재(6)는, 스페이서(7) 및 심재(8)의 후방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후면부(60)와, 스페이서(7)의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부(61)와, 스페이서(7)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면부(62)와, 스페이서(7)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면부(63)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부(61)는, 후면부(60)의 좌우의 에지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면부(62)는, 후면부(60)의 상부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면부(63)는, 후면부(60)의 하부 에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61), 상면부(62) 및 하면부(63)의 각각은, 후면부(60)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다. 한 쌍의 측면부(61)는, 후면부(60)의 좌우의 에지에 상하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면부(62)는, 후면부(60)의 상부 에지에 좌우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하면부(63)는, 후면부(60)의 하부 에지에 좌우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판재(5)와 판재(6)의 각각은,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금속판의 예로서는, 도장 강판(鋼板), 아연 도금 강판, 갈바륨 강판(등록상표), 에스지엘(등록상표) 강판, 스테인레스 강판, 알루미늄 강판, 및 티탄판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금속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0.35㎜∼1.2㎜이다.
스페이서(7)는, 스페이서(7)의 좌우의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직관형의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와, 스페이서(7)의 상측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직관형의 상부 스페이서(71)와, 스페이서(7)의 하측 프레임 부분을 구성하는 직관형의 하부 스페이서(72)를 포함한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상하 길이는, 서로 같다. 상부 스페이서(71)와 하부 스페이서(72)의 좌우 길이는, 서로 같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길이 방향의 길이(상하 길이)는, 상부 스페이서(71) 및 하부 스페이서(72)의 길이 방향의 길이(좌우 길이)보다 길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와 상부 스페이서(71)와 하부 스페이서(72)는, 전후 방향의 길이(즉 두께)가 모두 같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은, 평단면(平斷面)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 본체(73)와, 스페이서 본체(73)의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화장(化粧) 커버(74)를 구비한다. 우측의 측부 스페이서(70)에서는, 화장 커버(74)는, 스페이서 본체(73)의 우측에 위치하고, 좌측의 측부 스페이서(70)에서는, 화장 커버(74)는, 스페이서 본체(73)의 좌측에 위치한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은, 스페이서 본체(73)와 화장 커버(74)가 일체로 설치된 알루미늄제의 압출(押出) 성형품이다.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은, 상하 방향에 걸쳐 단면 형상이 일정하다. 우측의 측부 스페이서(70)와 좌측의 측부 스페이서(70)는, 서로 좌우 대칭인 형상이다. 이하에서는, 좌측의 측부 스페이서(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 커버(74)는, 스페이서 본체(73)의 좌측 프레임 부분의 앞쪽 가까이의 부분과 뒤쪽 주위의 부분으로부터 각각 좌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편부(740)와, 한 쌍의 돌출편부(740)의 각각의 선단부(좌단부)와 일체인 직사각형 판형의 커버 본체(741)를 구비한다. 커버 본체(74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스페이서 본체(73)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다. 커버 본체(741)은, 스페이서 본체(73)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커버 본체(741)의 스페이서 본체(73) 측의 면(즉 우측면)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는 오목부(74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본체(741)와 한 쌍의 돌출편부(740)와 스페이서 본체(73)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은, 평단면 직사각형이며, 스페이서 본체(73)의 내측의 영역과는 나누어져 있다.
측부 스페이서(70)는, 전방측의 돌출편부(74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받이편(75)과, 후방측의 돌출편부(74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받이편(75)을 더 구비한다. 전방측의 받이편(75)과 스페이서 본체(73)의 사이에, 비스(vis) 등의 고정구가 삽입 및 고정 가능한 삽입공(76)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후방측의 받이편(75)과 스페이서 본체(73)의 사이에, 비스 등의 고정구가 삽입 및 고정 가능한 삽입공(76)이 형성된다.
측부 스페이서(70)는, 전방측의 받이편(75)과 커버 본체(741)의 사이에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구된 전방 홈부(77)와, 후방측의 받이편(75)과 커버 본체(741)의 사이에 형성되고, 후방측에 개구된 후방 홈부(78)를 더 구비한다.
패널(1)은,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上端)과 하단(下端)에 장착되는 커버재(79)를 더 구비한다. 패널(1)은, 커버재(79)를 4개 구비한다. 4개의 커버재(79)는, 치수 및 형상이 모두 같다.
각각의 커버재(79)는, 스페이서 본체(73)와 같은 전후 폭의 내측 커버부(790)와, 한 쌍의 돌출편부(740)의 사이의 거리와 같은 전후 폭의 외측 커버부(791)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재(79)의 내측 커버부(790)는, 한 쌍의 받이편(75)으로부터 스페이서 본체(73)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까지를 덮는다. 외측 커버부(791)은, 한 쌍의 받이편(75)으로부터 커버 본체(741)까지를 덮는다. 각각의 커버재(79)는, 전후의 삽입공(76)에 박힌 비스 등의 고정구에 의해,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된다.
이어서, 상부 스페이서(71)와 하부 스페이서(7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스페이서(71)은, 하부 스페이서(72)를 연직면(鉛直面) 상에서 180°회전시킨 것과 같은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하부 스페이서(7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스페이서(72)는, 그 하면에, 아래쪽을 향해 개구되도록 오목한 오목부(720)를 구비한다. 오목부(720)는, 하부 스페이서(72)의 하면에 길이 방향(좌우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하부 스페이서(72)는, 길이 방향에 걸쳐 단면 형상이 일정하다. 하부 스페이서(72)는, 알루미늄제의 압출 성형품이다.
오목부(720)는, 하부 스페이서(72)의 하면 중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하부 스페이서(72)는, 그 하면에, 오목부(720)의 전후에 위치하는 한 쌍의 평탄부(721)를 구비한다. 판재(5)의 하면부(53)는, 전방측의 평탄부(721)를 덮도록 배치되고, 판재(6)의 하면부(63)는, 후방측의 평탄부(721)를 덮도록 배치된다. 오목부(720)는, 하면부(53)와 하면부(63)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덮혀 있지 않다.
하부 스페이서(72)는, 오목부(720)와 전방측의 평탄부(721)로 이루어지는 코너 부분의 내측과, 오목부(720)와 후방측의 평탄부(721)로 이루어지는 코너 부분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삽입공(722)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삽입공(722)는, 나사 등의 고정구가 삽입 및 고정 가능하다.
패널(1)은, 하부 스페이서(72)의 좌우의 단면(端面)에 각각 장착되는 폐색판(723)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각각의 삽입공(722)에 삽입 및 고정되는 나사 등의 고정구에 의해 하부 스페이서(72)에 장착된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하부 스페이서(72)와 좌우 한쪽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사이에 협지되어 위치한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아래쪽으로 개구된 대략 U자형의 판재이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하부 스페이서(72)의 좌우 어느 한쪽의 단면의 개구의 하반부 중, 오목부(720)를 제외하고 나머지의 부분 전체를 폐색(閉塞)하도록, 하부 스페이서(72)에 장착된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의 판재나, 부틸 테이프 등의 탄성 부재로 덮힌 판체이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하부 스페이서(72)의 하면[평탄부(721)]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폐색판(723)의 아래쪽에는, 실링재(724)가 충전된다. 각각의 폐색판(723) 및 실링재(724)에 의해, 하부 스페이서(72)와 측부 스페이서(70)의 사이의 간극을 매립함으로써, 이 간극으로부터 심재(8)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부 스페이서(71)은, 하부 스페이서(72)의 오목부(720), 전후 한 쌍의 평탄부(721), 및 전후 한 쌍의 삽입공(722)에 대응하는, 오목부(710), 전후 한 쌍의 평탄부(711), 및 전후 한 쌍의 삽입공(712)을 구비한다.
판재(5)의 상면부(52)는, 전방측의 평탄부(711)를 덮도록 배치되고, 판재(6)의 상면부(62)는, 후방측의 평탄부(711)를 덮도록 배치된다. 오목부(710)은, 하면부(53)와 하면부(63)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덮혀 있지 않다.
패널(1)은, 상부 스페이서(71)의 좌우의 단면에 각각 장착되는 폐색판(713)을 더 구비한다. 각각의 폐색판(713)은, 각각의 삽입공(712)에 삽입 및 고정되는 나사 등의 고정구에 의해 상부 스페이서(71)에 장착된다. 각각의 폐색판(713)은, 상부 스페이서(71)와 좌우 한쪽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사이에 협지되어 위치한다. 각각의 폐색판(713)은, 각각의 폐색판(723)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각각의 폐색판(723)은, 상부 스페이서(71)의 상면[평탄부(711)]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각각의 폐색판(713)의 위쪽에는, 실링재(714)가 충전된다. 각각의 폐색판(713) 및 실링재(714)에 의해, 상부 스페이서(71)와 측부 스페이서(70)의 사이의 간극을 매립함으로써, 이 간극으로부터 심재(8)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부 스페이서(71)은,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하부 스페이서(72)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심재(8)는, 전체 형상이 1개의 판을 이루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블록체로 구성된다. 복수의 블록체의 각각은, 암면이나 유리 섬유 등의 섬유상(fibrous) 무기재를 바인더 등으로 굳혀 형성된다. 심재(8)는, 스페이서(7)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의 전체에 배치된다. 그리고, 심재(8)는, 스페이서(7)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의 전체에 충전된 수지 발포재(우레탄폼, 페놀 폼, 스티렌 폼 등)라도 된다.
스페이서(7)와 심재(8)는, 판재(5)의 전면부(50)의 전체와, 판재(6)의 후면부(60)의 전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판재(5)의 좌우의 측면부(51)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전방 홈부(77)에 각각 수용되고, 판재(6)의 좌우의 측면부(61)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후방 홈부(78)에 각각 수용된다.
판재(5)의 상면부(52)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에 장착된 커버재(79)의 상면의 전반부와, 상부 스페이서(71)의 전방측의 평탄부(711)의 상면을 덮는다. 판재(5)의 하면부(53)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하단에 장착된 커버재(79)의 하면의 전반부와, 하부 스페이서(72)의 전방측의 평탄부(721)의 하면을 덮는다.
판재(6)의 상면부(62)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에 장착된 커버재(79)의 상면의 후반부와, 상부 스페이서(71)의 후방측의 평탄부(711)의 상면을 덮는다. 판재(6)의 하면부(63)는,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하단에 장착된 커버재(79)의 하면의 후반부와, 하부 스페이서(72)의 후방측의 평탄부(721)의 하면을 덮는다.
이어서, 하부 장착 구조(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장착 구조(4)는, 하부 프레임부(21)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판(9)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하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과 하부 고정판(9)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를 구비한다.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의 각각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 중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10)와 하부 고정판(9)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10)를 하부 고정판(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판(9)는, 직사각형 판형의 본체부(90)와, 본체부(90)의 좌우의 단부(端部)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하부 돌출부(91)를 구비한다. 본체부(90)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하부 스페이서(72)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대략 같다. 앵커 볼트 등의 고정구(92)에 의해, 본체부(90)는 하부 프레임부(21)에 고정된다.
하부 돌출부(91)는, 본체부(90)의 좌우의 단부 중, 전후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본체부(90)에 비해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다. 하부 돌출부(91)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하면부(53)와 하면부(63)의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하부 돌출부(9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직사각형 판형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고정판(9)는, 강판을 절곡 가공하는 등 하여 형성된다.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910)을 구비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는, 형상 및 치수가, 서로 같다. 이하에서는, 먼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 중, 좌측에 위치하는 하부 장착구(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장착구(10)는, 좌측의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하부 감입부(12)와, 하부 감입부(1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하부 연결편(13)을 포함한다. 하부 연결편(13)은, 하부 감입부(12)보다 전후 폭이 작다.
하부 감입부(12)는, 평면에서 볼 때 H자형의 본체부(120)와, 본체부(120)의 외면에 장착된 전후 한 쌍의 탄성 부재(121)로 구성된다.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20)는, 전후 한 쌍의 직사각형 판형의 플랜지 부분(122)과, 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과 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좌우 방향의 중앙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판형의 웹 부분(123)을 포함한다. 웹 부분(12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직사각형의 구멍(124)을 구비한다. 구멍(124)은, 웹 부분(123) 중,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전면과 좌우의 측면이, 상하 방향에 걸쳐, 전방측의 탄성 부재(121)로 덮혀져 있다. 마찬가지로, 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후면과 좌우의 측면이, 상하 방향에 걸쳐, 후방측의 탄성 부재(121)로 덮혀져 있다.
도 6의 B, 도 6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연결편(13)은, 하부 감입부(12)의 웹 부분(123)의 하면의 전후 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연결편(13)은, 평판형이다. 하부 연결편(13)의 좌우 방향의 길이(즉 두께)는, 웹 부분(123)의 좌우 방향의 길이(즉 두께)와 동일하다.
하부 연결편(13)의 상부는, 상하 방향에 걸쳐 전후 폭이 일정하고, 하부 연결편(13)의 하부는, 하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연결편(13)의 하면은, 아래쪽으로 볼록한 원호형이다. 그리고, 하부 연결편(13)의 하면의 형상은, 하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으면 되고, 원호형 이외의 형태라도 된다. 하부 연결편(13)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30)을 구비한다. 관통공(130)은, 하부 연결편(13) 아래 가까이의 부분에 위치한다.
하부 감입부(12)의 본체부(120)는, 예를 들면, 철 등의 금속으로 주조(鑄造)된 주물(鑄物; cast product)이다. 그리고, 본체부(120)는, 주조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이나 프레스 등의 그 외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어도 된다. 전후의 탄성 부재(121)의 각각은,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후의 탄성 부재(121)의 각각은, 고무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부 스페이서(70)의 스페이서 본체(73)의 내주면(內周面)에, 전후의 탄성 부재(121)가 각각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닿음으로써, 하부 장착구(10)는, 측부 스페이서(70)에 대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다.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의 개구의 전방측을 막는 하면부(53)와 개구의 후방측을 막는 하면부(63)에 의해, 하부 감입부(12)의 측부 스페이서(70)로부터의 빠져나옴이 억제된다.
도 1,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상 및 치수가 서로 같다.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의 각각은, 나사(110)와, 한 쌍의 와셔(111)를 포함한다. 나사(110)은, 공구로 돌리기 위한 구멍이나 홈이 형성된 두부(頭部)(112)와, 두부(112)로부터 연장된 축부(軸部)(113)를 포함한다. 두부(112)의 외측 치수[외경(外徑)]는, 축부(113)의 외경보다 크다. 나사(110)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턴 스톱의 기능을 가지는 나사이며, 예를 들면, 노지록(등록상표)이다.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의 각각은, 나사(110)의 축부(113)가, 와셔(111), 하부 연결편(13), 와셔(111), 및 하부 돌출부(91)를 상기 순서로 관통함으로써, 하부 연결편(13)을 하부 돌출부(9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110)가 가지는 리턴 스톱의 기능에 의해, 하부 연결편(13)과 하부 돌출부(91)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나사(110) 자체가, 리턴 스톱의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되고, 나사(110)의 축부(113)에 너트를 고정해도 되고, 하부 돌출부(91)의 관통공(910)을 나사공으로 해도 되고, 하부 돌출부(91)의 좌우 방향 내측의 면에 너트를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두어도 된다.
이어서, 상부 장착 구조(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장착 구조(3)는, 상부 프레임부(20)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14)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과 상부 고정판(14)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를 구비한다.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의 각각은,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 중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15)와 상부 고정판(14)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15)를 상부 고정판(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장착 구조(3)는, 하부 장착 구조(4)를 연직면 상에서 180°회전시킨 것과 같은 구조이다. 즉, 상부 고정판(14)는, 하부 고정판(9)과 마찬가지의 구조이며, 본체부(140)와,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를 포함한다.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의 각각은, 관통공을 가진다. 앵커 볼트 등의 고정구(142)에 의해, 본체부(140)는 상부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는,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며,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감입부(17)와, 상부 감입부(17)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상부 연결편(18)을 포함한다. 상부 연결편(18)은, 상부 감입부(17)보다 전후 폭이 작다. 상부 연결편(18)의 상부는, 상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측부 스페이서(70)의 스페이서 본체(73)의 내주면에, 상부 감입부(17)의 전후의 탄성 부재가 각각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닿음으로써, 상부 장착구(15)는, 측부 스페이서(70)에 대하여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된다.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의 개구의 전방측을 막는 상면부(52)와 개구의 후방측을 막는 상면부(62)에 의해, 상부 감입부(17)의 측부 스페이서(70)로부터의 빠져나옴이 억제된다.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는,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와 마찬가지의 구조이며, 나사와, 한 쌍의 와셔를 포함한다. 나사는, 예를 들면, 리턴 스톱의 기능을 가진다.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의 각각은, 나사의 축부가, 와셔, 상부 연결편(18), 와셔, 및 상측 돌출부(141)를 상기 순서로 관통함으로써, 상부 연결편(18)을 상측 돌출부(1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가 가지는 리턴 스톱의 기능에 의해, 상부 연결편(18)과 상측 돌출부(141)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나사 자체가, 리턴 스톱의 기능을 가지지 않아도 되고, 나사의 축부에 너트를 고정해도 되고, 상측 돌출부(141)의 관통공을 나사공으로 해도 된다.
패널(1)의 장착 구조는, 패널(1)과 하부 고정판(9)의 사이에 배치되어, 패널(1)을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를 더 구비한다. 지지 부재(19)에 지지된 패널(1)은, 지지된 개소(箇所)를 중심으로 하여, 패널(1)의 하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패널(1)의 하면이 좌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요동 가능하다.
지지 부재(19)는, 예를 들면, 고무제의 직육면체형의 블록이나, 알루미늄제의 각(角) 파이프이다. 지지 부재(19)는, 그 상부가, 하부 스페이서(72)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오목부(720) 내에 들어가는 상태로, 패널(1)을 하부 고정판(9)으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지지한다. 지지 부재(19)는, 패널(1)의 중심(重心)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어서, 패널(1)의 시공(施工)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1)로서는, 판재(5)와 판재(6)의 사이에 스페이서(7) 및 심재(8)가 고정되고, 또한 좌우의 측부 스페이서(70)에,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 및 4개의 커버재(79)가 장착된 패널을 사용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과,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은, 측부 스페이서(70)의 길이 방향에서의 내측(즉 안쪽)에 꽂아 둔다.
먼저, 하부 고정판(9)을 복수의 고정구(92)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21)에 고정하고, 상부 고정판(14)을 복수의 고정구(142)에 의해 상부 프레임부(20)에 고정시킨다. 이 때, 하부 고정판(9)과 상부 고정판(14)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도록, 고정시킨다.
이어서, 하부 고정판(9)과 상부 고정판(14)의 사이에, 패널(1)을 배치하고, 패널(1)의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로부터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의 상부 연결편(18)을 위쪽으로 인출하여, 각각의 상부 연결편(18)을 상부 고정판(14)의 좌우의 상측 돌출부(141)에,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와 1 대 1로 연결한다.
이어서, 패널(1)을 위쪽으로 들어올리고, 패널(1)의 측부 스페이서(70)로부터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의 하부 연결편(13)을 아래쪽으로 인출하여, 각각의 하부 연결편(13)을 하부 고정판(9)의 좌우의 하부 돌출부(91)에,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와 1 대 1로 연결한다.
이어서, 하부 고정판(9)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 상에 지지 부재(19)를 배치하고, 패널(1)을 아래쪽으로 내려 지지 부재(19) 상에 탑재하고, 패널(1)의 하부 스페이서(72)의 오목부(720)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지지 부재(19)의 상부를 수용한다.
이어서, 하부 프레임부(21)와 패널(1)의 간극에, 탄성 변형 가능한 실링재(24)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충전하여, 이 간극을 실링재(24)에 의해 매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의 좌우의 커버재(79)와 하부 프레임부(21)의 사이에, 백업재(25)를 1개씩 배치한 상태에서, 실링재(24)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충전하고 있다. 이로써, 지지 부재(19) 및 하부 장착 구조(4)가, 실링재(24)에 의해 은폐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부(20)와 패널(1)의 간극에, 탄성 변형 가능한 실링재(24)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충전하여, 이 간극을 실링재(24)로 매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의 좌우의 커버재(79)와 상부 프레임부(20)의 사이에, 백업재(25)를 1개씩 배치한 상태에서, 실링재(24)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충전하고 있다. 이로써, 상부 장착 구조(3)가, 실링재(24)에 의해 은폐된다.
건물(2)의 상부 프레임부(20)와 하부 프레임부(21)의 사이에는, 동일한 수순으로, 복수의 패널(1)을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 가능하다(도 2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시공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의 상단부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가, 상부 고정판(14)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상부 연결구(16)의 축부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의 하단부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가, 하부 고정판(9)에 대하여,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하부 연결구(11)의 축부(11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에 의해 휘었을 때,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을 받아 휘었을 때,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에 의해 휘는 경우가 있어도,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에 의한 건물(2)에 대한 패널(1)의 장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경사질 때, 측부 스페이서(7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닿거나 하면서, 측부 스페이서(70) 내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회전하여 경사질 때 측부 스페이서(70)로부터 과도한 부하를 받아 변형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상부 고정판(14)의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의 연결을, 패널(1)의 측방으로부터 상부 연결구(16)를 삽입함으로써 행하여, 시공하기 쉽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에 의한 연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이, 상부 연결편(18)의 전후 폭이 작고, 또한 상부 연결편(18)의 상부의 전후 폭이 상측일수록 작으므로,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가 회전할 때, 상부 연결편(18)이 상부 프레임부(20)에 접촉하여 회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상부 고정판(14)의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의 하단부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내에 수용할 수 있고, 하부 고정판(9)의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의 상단부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상부 고정판(14)의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나 하부 고정판(9)의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이, 패널(1)에 접촉하여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하부 프레임부(21)와 상부 프레임부(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지진이 일어났을 경우 등에, 층간 변위(變位)에 추종하여 패널(1)이 요동할 수 있어, 패널(1)의 탈락이나 파괴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패널(1)의 장착 구조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전술한 평면에서 볼 때 H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형상이라도 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하부 감입부(12)가, 직사각형 판형(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본체부(120)와, 본체부(120)에 장착되는 전후 한 쌍의 탄성 부재(121)로 구성되어도 된다. 본체부(120)는, 예를 들면, 철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에 대하여도 동일한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하부 연결편(13)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하부 감입부(12)의 본체부(120)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같아도 된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은, 상부 연결편(18)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부 감입부(17)의 본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같아도 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하부 연결편(13)의 하부가 하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하부 연결편(13)은, 상하 방향에 걸쳐 전후 폭이 일정하게 있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은, 상부 연결편(18)의 상부가 상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상부 연결편(18)은, 상하 방향에 걸쳐 전후 폭이 일정하게 있어도 된다.
상부 고정판(14)의 상측 돌출부(141)의 하단부는,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내에 들어가지 않고, 측부 스페이서(70)보다 위쪽에 위치해도 된다. 또한, 하부 고정판(9)의 하부 돌출부(91)의 상단부는,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내에 들어가지 않고, 측부 스페이서(70)보다 아래쪽에 위치해도 된다.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 중 한쪽은, 나사(110) 대신에, 도 8의 A,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 홈을 가지지 않는 핀(114)과, 핀(114)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탈방지용의 스냅 핀(115)을 구비해도 된다. 또한,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화장 커버(74)의 커버 본체(741)은, 직사각형 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좌우 방향에서의 외측[스페이서 본체(73)은 반대측]의 면이, 평단면이 원호형인 볼록곡면인 R면으로 되도록 성형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패널(1)을 외장(外裝) 루버로서 사용했을 때, 커버 본체(741)로부터 풍절음(風切音)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본체(741)은, 직사각형 판형, R면을 가지는 형상 이외에도,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하부 스페이서(72)와 측부 스페이서(70)는, 폐색판(723) 및 실링재(724)를 통하지 않고 서로 직접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스페이서(71)와 측부 스페이서(70)는, 폐색판(713) 및 실링재(714)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부 스페이서(71)은, 오목부(710)를 가지지 않는 단면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직관(直管)이라도 된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도 9, 도 10의 A, 도 10의 B 및 도 10의 C에 나타낸 변형예와 같이, 하부 감입부(12)가, 한 쌍의 지지부(125)를 더 구비하는 본체부(120)와, 본체부(120)에 장착된 통형(筒形)의 탄성 부재(126)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하부 연결편(13)이, 좌우의 면의 각각의 관통공(130)의 주위에 위치하는 오목부(132)와, 각각의 오목부(132)에 배치되는 와셔(131)와, 관통공(130)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구멍(133)을 더 가져도 된다.
한 쌍의 지지부(125)는, 웹 부분(123)의 상단부와 하단부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부(125)의 각각은, 직사각형 판형이다. 웹 부분(123)은 또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원형의 구멍(127)을 구비한다. 구멍(127)은, 웹 부분(123) 중, 상측의 지지부(125)와 구멍(124)의 사이의 부분과, 구멍(124)과 하측의 지지부(125)의 사이의 부분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탄성 부재(126)은, 각통형(角筒形)이며, 주위 방향의 일부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장착부(126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126)는, 좌우 한 쌍의 장착부(1260)를 구비한다.
탄성 부재(126)은, 그 일부가, 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전면과 좌우의 측면에 접하고, 다른 일부가 후방측의 플랜지 부분(122)의 후면과 좌우의 측면에 접하고, 좌우 한 쌍의 장착부(1260) 중 한쪽이 상하의 지지부(12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20)에 장착된다. 상하의 지지부(125)에 의해, 탄성 부재(126)가 본체부(120)로부터 벗어나 떨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탄성 부재(126) 및 와셔(131)은,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나 클로로프렌 고무로 형성된다. 탄성 부재(126) 및 와셔(131)은, 고무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관통공(130)의 주위에, 탄성을 가지는 와셔(131)를 구비함으로써, 삽입된 핀(114)이, 덜거덕거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에 대해서도, 동일한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다.
하부 고정판(9)는, 1부재로 구성되지 않아도 되고, 좌우로 배열되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1에는, 하부 고정판(9)을 구성하는 2부재 중 1개가 나타나 있다. 2부재는, 서로 같은 구조이다.
도 11에 나타낸 고정판(93)은, 직사각형 판형의 본체부(94)와, 본체부(94)의 좌우 방향의 일단부(一端部)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돌출부(95)를 구비한다. 본체부(94)에는, 앵커 볼트 등의 고정구(92)가 삽통(揷通)되는 삽통공(揷通孔)(940)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94)는, 고정구(92)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21)에 고정된다.
돌출부(95)는, 한 쌍의 돌출편(950)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돌출편(950)은,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한다. 한 쌍의 돌출편(950)의 각각은, 측면에서 볼 때 반타원 형상의 판이다. 한 쌍의 돌출편(950)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공(951)을 구비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하부 고정판(9)이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는, 좌우에 배열된 2개의 고정판(93)의 2개의 돌출부(95)[4개의 돌출편(950)]으로 구성된다. 고정판(93)은, 철 등의 금속으로 주조된 주물(cast product)이다.
한 쌍의 돌출편(950)의 사이에, 하부 장착구(10)의 하부 연결편(13)이 배치된다. 하부 연결구(11)는, 한 쌍의 돌출편(950)과 하부 연결편(13)을 연결한다. 여기서, 하부 장착구(10)로서, 도 9 등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하부 장착구(10)를 사용한 경우, 한 쌍의 돌출편(950)과 하부 연결편(13)과의 사이의 간극을, 탄성을 가지는 와셔(131)에 의해 매립할 수 있다. 상부 고정판(14)에 대해서도, 동일한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며, 2개의 고정판(93)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고정판(9, 14)는, 4개의 고정판(93)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1 및 그 변형예의 패널(1)의 장착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1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이하의 제1 특징을 구비한다.
즉, 제1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건물(2)의 상부 프레임부(20)와 하부 프레임부(21)의 사이에 설치되는 패널(1)과, 패널(1)의 상단부를 상부 프레임부(20)에 장착하는 상부 장착 구조(3)와, 패널(1)의 하단부를 하부 프레임부(21)에 장착하는 하부 장착 구조(4)를 구비한다.
패널(1)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재(5, 6)와, 한 쌍의 판재(5, 6)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7)와, 한 쌍의 판재(5, 6)의 사이 중 스페이서(7)에 의해 에워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심재(8)를 구비한다. 스페이서(7)의 좌우의 프레임 부분은, 직관형의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로 구성된다.
상부 장착 구조(3)는, 상부 프레임부(20)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14)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상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과 상부 고정판(14)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를 구비한다.
하부 장착 구조(4)는, 하부 프레임부(21)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판(9)과,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각각의 하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과 하부 고정판(9)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를 구비한다.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의 각각은,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 중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15)와 상부 고정판(14)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15)를 상부 고정판(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의 각각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 중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10)와 하부 고정판(9)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10)를 하부 고정판(9)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한 제1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제1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에 의해 휘었을 때,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상부 연결구(16)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하부 연결구(11)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제1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에 의해 휘었을 때,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패널(1)이 바람에 의해 휘는 경우가 있어도,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와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에 의한 건물(2)에 대한 패널(1)의 장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패널(1)의 장착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2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상기한 제1 특징에 더하여, 하기의 제2 특징을 구비한다.
즉, 제2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은,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 중 대응하는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감입부(17)와, 상부 감입부(17)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 중 대응하는 상부 연결구(16)가 관통하는 상부 연결편(18)을 포함한다.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은,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 중 대응하는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하부 감입부(12)와, 하부 감입부(1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 중 대응하는 하부 연결구(11)가 관통하는 하부 연결편(13)을 포함한다.
상부 연결편(18)은, 상부 감입부(17)보다 전후 폭이 작고, 하부 연결편(13)은, 하부 감입부(12)보다 전후 폭이 작다.
상기한 제2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제2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상부 연결구(16)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질 때, 상부 연결편(18)이 상부 프레임부(20)에 접촉하여 회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하부 연결구(11)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질 때, 하부 연결편(13)이 하부 프레임부(21)에 접촉하여 회전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패널(1)의 장착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3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상기한 제1 및 제2 특징에 더하여, 하기의 제3 특징을 구비한다.
즉, 제3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상부 연결편(18)의 상부는, 상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하부 연결편(13)의 하부는, 하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제3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제3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15)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상부 연결구(16)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질 때, 상부 연결편(18)의 상면이 상부 프레임부(20)에 접촉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하부 장착구(10)의 각각이, 패널(1)의 휨 상태에 대응하여, 하부 연결구(11) 주위로 회전하여 경사질 때, 하부 연결편(13)의 하면이 하부 프레임부(21)에 접촉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의 패널(1)의 장착 구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4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는, 제1 내지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 있어서, 하기의 제4 특징을 구비한다.
즉, 제4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상부 고정판(14)은,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고, 한 쌍의 상부 연결구(16) 중 대응하는 상부 연결구(16)가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를 구비한다. 하부 고정판(9)은, 위쪽을 향해 돌출하고, 한 쌍의 하부 연결구(11) 중 대응하는 하부 연결구(11)가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를 구비한다.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141)의 하단부가,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상단부 내에 들어가,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91)의 상단부가,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70)의 하단부 내에 들어간다.
상기한 제4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제4 태양의 패널(1)의 장착 구조에서는, 상측 돌출부(141)나 하부 돌출부(91)가, 패널(1)에 닿아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의도하는 범위 내이면, 적절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1: 루버용 패널
2: 건물
20: 상부 프레임부
21: 하부 프레임부
3: 상부 장착 구조
4: 하부 장착 구조
5: 판재
6: 판재
7: 스페이서
70: 측부 스페이서
8: 심재
9: 하부 고정판
91: 하부 돌출부
10: 하부 장착구
11: 하부 연결구
12: 하부 감입부
13: 하부 연결편
14: 상부 고정판
141: 상측 돌출부
15: 상부 장착구
16: 상부 연결구
17: 상부 감입부
18: 상부 연결편
2: 건물
20: 상부 프레임부
21: 하부 프레임부
3: 상부 장착 구조
4: 하부 장착 구조
5: 판재
6: 판재
7: 스페이서
70: 측부 스페이서
8: 심재
9: 하부 고정판
91: 하부 돌출부
10: 하부 장착구
11: 하부 연결구
12: 하부 감입부
13: 하부 연결편
14: 상부 고정판
141: 상측 돌출부
15: 상부 장착구
16: 상부 연결구
17: 상부 감입부
18: 상부 연결편
Claims (4)
- 건물의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사이에 설치되는 루버(louver)용 패널;
상기 루버용 패널의 상단부를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장착하는 상부 장착 구조; 및
상기 루버용 패널의 하단부를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장착하는 하부 장착 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루버용 패널은,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판재;
상기 한 쌍의 판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의 스페이서; 및
상기 한 쌍의 판재의 사이 중 상기 스페이서로 에워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심재(芯材);를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의 좌우의 프레임 부분은, 직관형(直管形)의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장착 구조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판;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각각의 상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상부 장착구; 및
상기 한 쌍의 상부 장착구의 각각과 상기 상부 고정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장착 구조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 고정판;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각각의 하단부 내에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속되는 한 쌍의 하부 장착구; 및
상기 한 쌍의 하부 장착구의 각각과 상기 하부 고정판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연결구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상부 장착구 중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와 상기 상부 고정판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대응하는 상부 장착구를 상기 상부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연결구의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하부 장착구 중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와 상기 하부 고정판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대응하는 하부 장착구를 상기 하부 고정판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장착구의 각각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 중 대응하는 측부 스페이서의 상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상부 감입부(嵌入部)와, 상기 상부 감입부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연결구 중 대응하는 상부 연결구가 관통하는 상부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장착구의 각각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 중 대응하는 측부 스페이서의 하단부 내에 끼워넣어지는 하부 감입부와, 상기 하부 감입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연결구 중 대응하는 하부 연결구가 관통하는 하부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연결편은, 상기 상부 감입부보다 전후 폭이 작고,
상기 하부 연결편은, 상기 하부 감입부보다 전후 폭이 작은,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편의 상부는, 상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편의 하부는, 하측일수록 전후 폭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판은,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상부 연결구 중 대응하는 상부 연결구가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고정판은, 위쪽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연결구 중 대응하는 하부 연결구가 관통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측 돌출부의 하단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상단부 내에 들어가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하부 돌출부의 상단부가,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 스페이서의 하단부 내에 들어가는,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087974 | 2017-04-27 | ||
JP2017087974 | 2017-04-27 | ||
PCT/JP2018/017250 WO2018199302A1 (ja) | 2017-04-27 | 2018-04-27 | ルーバー用パネルの取付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28730A KR20190128730A (ko) | 2019-11-18 |
KR102359876B1 true KR102359876B1 (ko) | 2022-02-07 |
Family
ID=6391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1892A KR102359876B1 (ko) | 2017-04-27 | 2018-04-27 |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078662B2 (ko) |
JP (1) | JP6744991B2 (ko) |
KR (1) | KR102359876B1 (ko) |
CN (1) | CN110546336B (ko) |
PH (1) | PH12019502360A1 (ko) |
WO (1) | WO2018199302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57794A (ja) | 2007-09-03 | 2009-03-19 | Nozawa Corp | 外装ルーバー取付構造、外装ルーバー取付方法、外装ルーバー孔用取付具及び外装ルーバー桟用取付具 |
JP2015040432A (ja) * | 2013-08-22 | 2015-03-02 |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 断熱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5355B2 (ja) * | 1987-11-13 | 1995-07-19 |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 外壁パネル |
JPH0538123U (ja) * | 1991-10-24 | 1993-05-25 | 美穂 福畑 | 壁パネルの固定具 |
JPH1046723A (ja) | 1996-08-01 | 1998-02-17 | Misawa Ceramic Chem Co Ltd |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り付け構造 |
CN1162606C (zh) | 2002-05-27 | 2004-08-18 | 天津青亚玻璃制品有限公司 | 改进的夹置百叶窗的双玻璃窗 |
CA2747276C (en) | 2003-08-20 | 2015-02-03 | Hunter Douglas Inc. | Retractable shade with collapsible vanes |
CN100464053C (zh) * | 2006-06-28 | 2009-02-25 | 李毅 | 一种外置的太阳能遮阳板系统 |
KR20140014761A (ko) * | 2012-07-26 | 2014-02-06 | 국일내장(주) | 루버 |
US9650786B2 (en) * | 2014-10-28 | 2017-05-16 | Omnimax International, Inc. | Sealing louvers for roof structures |
JP6549863B2 (ja) | 2015-03-12 | 2019-07-24 | 日鉄鋼板株式会社 | 建築用外装ルーバー |
JP6725126B2 (ja) * | 2015-10-20 | 2020-07-15 | 日鉄鋼板株式会社 | 外装ルーバーの取付構造 |
JP6718238B2 (ja) * | 2016-01-15 | 2020-07-08 | 日鉄鋼板株式会社 | 外装ルーバーの取付構造 |
JP6660243B2 (ja) * | 2016-04-28 | 2020-03-11 | 日鉄鋼板株式会社 | 外装ルーバー |
CN205936295U (zh) | 2016-08-29 | 2017-02-08 | 东亚装饰股份有限公司 | 百叶窗安装固定结构 |
JP6849965B2 (ja) * | 2016-09-21 | 2021-03-31 | 日鉄鋼板株式会社 | サンドイッチパネル |
JP6754265B2 (ja) | 2016-10-11 | 2020-09-09 | 日鉄鋼板株式会社 | ルーバー用パネル、及びルーバー用パネルの取付構造 |
-
2018
- 2018-04-27 CN CN201880027259.1A patent/CN110546336B/zh active Active
- 2018-04-27 US US16/607,359 patent/US11078662B2/en active Active
- 2018-04-27 KR KR1020197031892A patent/KR1023598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27 WO PCT/JP2018/017250 patent/WO20181993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4-27 JP JP2019514664A patent/JP6744991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10-17 PH PH12019502360A patent/PH12019502360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57794A (ja) | 2007-09-03 | 2009-03-19 | Nozawa Corp | 外装ルーバー取付構造、外装ルーバー取付方法、外装ルーバー孔用取付具及び外装ルーバー桟用取付具 |
JP2015040432A (ja) * | 2013-08-22 | 2015-03-02 |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 断熱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546336B (zh) | 2021-01-22 |
WO2018199302A1 (ja) | 2018-11-01 |
KR20190128730A (ko) | 2019-11-18 |
JPWO2018199302A1 (ja) | 2020-05-14 |
JP6744991B2 (ja) | 2020-08-19 |
CN110546336A (zh) | 2019-12-06 |
US20200048895A1 (en) | 2020-02-13 |
PH12019502360A1 (en) | 2020-07-13 |
US11078662B2 (en) | 202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8692B1 (ko) | 건축용 커튼월 구조 | |
JP6253948B2 (ja) | 吊天井下地構造 | |
KR102359876B1 (ko) | 루버용 패널의 장착 구조 | |
JP6315578B2 (ja) | 開口枠構造 | |
JP6779062B2 (ja) | 屋外構造物及び屋外構造物の構築方法 | |
JP5141018B2 (ja) | エレベータのかご室鏡装置 | |
JP6457691B1 (ja) | 壁パネルの接続構造 | |
JP6754265B2 (ja) | ルーバー用パネル、及びルーバー用パネルの取付構造 | |
JP7084952B2 (ja) | ルーバー用パネル | |
KR100676862B1 (ko) | 방음펜스 | |
JP7032990B2 (ja) | ルーバー用パネル | |
KR100584093B1 (ko) | 도로 방음벽 기둥 보강구조 | |
CN109715893B (zh) | 夹层面板 | |
KR101546427B1 (ko) | 조립식 패널 | |
JP7538628B2 (ja) | パネルユニットの設置方法 | |
JP5238217B2 (ja) | 壁パネル | |
JP5770500B2 (ja) | 建築用パネル | |
JP7444747B2 (ja) | スペーサ部材および止水装置 | |
JP2013014922A (ja) | 壁用伸縮継手装置 | |
JP5905236B2 (ja) | 複合パネルの取付構造 | |
JP5598007B2 (ja) | 間仕切壁 | |
KR102039877B1 (ko) | 합성수지재를 사용한 소음 간섭형 가설 방음판 | |
KR200293166Y1 (ko) | 조립식 방음판넬 | |
JP6463322B2 (ja) |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 |
JP2017210827A (ja) | 天井パネル及び組立式防音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