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367B1 -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367B1
KR102354367B1 KR1020210119408A KR20210119408A KR102354367B1 KR 102354367 B1 KR102354367 B1 KR 102354367B1 KR 1020210119408 A KR1020210119408 A KR 1020210119408A KR 20210119408 A KR20210119408 A KR 20210119408A KR 102354367 B1 KR102354367 B1 KR 10235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parts
molecular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수
김종래
이종철
김성태
김안나
최영기
강지희
정원영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양행
Priority to KR1020210119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350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 C07K14/4356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invertebrates from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에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이 더 첨가된 것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근육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하여, 근력 증강, 근감소증 억제 등을 위한 약학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Manufacturing method of low molecular peptide from edible insects and composition for muscle improving comprising its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펩타이드에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근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육량은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는 주춧돌이나 다름없다. 근육이 부실하면 몸의 여러 부위에서 비상 신호가 켜진다. 예로 근육이 감소하면 폐렴 등의 호흡기 질환과 낙상, 골절 등의 원인이 된다. 또한 근육이 크게 줄어든 사람은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어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건강수명의 핵심은 '근육'이라고 볼 수 있다.
근육은 장으로부터 아미노산 흡수 부재 시 생명 유지와 관련된 조직 및 장기에서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유지하는 주요한 저장소로서의 기능을 함으로써, 그리고 간의 글루코네오제닉 전구체를 제공하고, 전신단백질 대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근육은 골격근육, 심장근육, 내장근육 등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근육량 감소억제를 위해 식이요법으로는 단백질 섭취가 좋으나 나이가 들면 단백질 흡수 기능이 떨어져 흡수가 잘되는 양질의 단백질을 선택하여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서 호르몬 형성, 대사조절, 뼈와 관절 건강 등 매우 다양한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근육 세포를 합성하고 증가시켜 기초대사량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노년으로 접어들수록 단백질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 영양사협회에서는 성인의 하루 단백질 섭취 권장량은 각자의 체중 ㎏당 하루 0.8∼1g 정도이며, 체중이 50㎏인 여성은 매일 단백질을 40∼50g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노인의 근육 유지를 위해선 매일 체중 ㎏당 1.0∼1.2g, 급성 질환에 걸린 노인은 1.2∼1.5g, 만성질환/중병/영양실조 노인은 각자의 체중 ㎏당 2.0 g의 단백질을 보충을 권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중 1kg당 0.8~1g의 단백질 섭취를 권장하지만, 근력 증대를 목표로 근력 운동을 위주로 하는 사람이라면 체중 1kg당 2~2.5g의 단백질 섭취를 계획하는 경우가 많다.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국민영양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의 노인 50%가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 미만으로 단백질을 섭취하고 있다. 단백질 섭취량이 권장량 미만인 노인에서는 근육량과 근력이 유의하게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는데 근육의 재료가 되는 단백질을 섭취할 때는 얼마나 많이 먹느냐와 함께 흡수 정도도 중요하게 따져야 할 사안이다. 특히 노인의 단백질 섭취에 따른 근육 합성 정도가 젊은 층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흡수 잘되는 것을 먹어야 근육 합성을 높일 수 있다.
단백질을 섭취하게 되면 체내에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저분자화 되어 흡수되는데 노령층의 경우는 단백질을 저분자화 시키는 효소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그의 활성도 떨어져 흡수가 감소된다.
최근에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단백질을 저분자화 하는 공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 산 및 알칼리에 의한 저분분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또는 초고압처리에 의한 저분자화 공법 등이 있다. 산 가수분해나 알칼리 가수분해방법은 가수분해 한 후에 반드시 염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보통 중화를 시켜서 염을 제거하여야 하게 되며 이때 생성된 염을 제거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효소 가수분해는 그들의 영양적 가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더 좋은 기능성의 식품 단백질을 얻는 매력적인 수단이나 효소 가수분해에서의 단점은 만일 반응의 범위를 조심스럽게 제어하지 않으면, 이상한 맛이나 쓴 맛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초고압기술은 식품 본연의 품질을 유지시켜주며, 미생물의 불활성에 큰 효과를 주고 또한, 효소의 반응율 제한 단계를 변화시키거나 효소의 선택성을 조절함으로서 효소의 촉매적 특성을 변화시켜서 조건에 따라서 효소의 행동특성을 활성화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저온 초고압공정은 자가분해효소를 함유한 식품의 경우는 효소의 첨가 없이 분해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처리 능력이 우수하고, 에너지소모가 적은 경제적 및 친환경 공정이라는 장점이 있어 식품소재 산업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고압 효소가수분해공정을 활용한 물질의 저분자화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905호에는 태반과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초고압 상태에서 태반을 가수분해하여 20,000Da 미만의 저분자량의 태반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04835호에는 갈조류로부터 푸코이단을 추출시 초고압 효소처리를 함으로써 저분자화 되고, 항혈전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더욱 우수한 푸코이단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73호에는 각종 분해효소를 포함하는 효소에 해삼을 혼합하여 해삼 조직에 함유된 고분자물질을 저분자물질로 분해시키는 효소-초고압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413호에는 산삼/인삼/수삼/백삼/홍삼/장뇌삼/흑삼/도라지/마늘/당귀 등의 물질의 분자구조를 저분자화 하는 동시에 물성의 변화가 없게 되고 약리성의 효과가 증대되며 천연향이 유지됨과 아울러 인체에 흡수성이 좋게 하는 초고압효소 처리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곤충의 물질 저분자화를 위한 초고압 효소처리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근력개선 관련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659호에는 부틸 피리디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7432호에는 근력을 개선시키는 홍해삼 효소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쌍별귀뚜라미,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등 식용곤충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불포화지방산과 필수지방산이 많아 미래 먹거리로 적당하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UN과 국제식량농업기구는 미래의 식량자원으로 식용곤충이 해당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쌍별귀뚜라미 등 9종의 곤충이 식품원료로 인정되고 있어 이들 곤충을 소재로하는 식품화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생지황은 한방에서 쓰이는 약재로 쓰는데, 지황을 그냥 쓰는 것은 생지황, 건조시켜 쓰는 것은 건지황, 술을 넣고 쪄서 만든 것은 숙지황이라 한다. 약효성분은 카탈폴(catalpol) 및 만니트(mannit)를 함유하고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mannitol) 스타키오스(stachyose), 글루코오스(glucose) 등이 있다. 생지황의 추출물은 혈액응고를 촉진시키고 쇠약한 심장에 대하여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증대시켜 준다. 또, 이뇨작용과 해열의 효과도 나타난다.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고혈당을 억제하고 정상적인 토끼의 혈당도 강하시켜 준다.
백복령은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죽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나는데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라 한다. 백복령은 습을 제거하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비(脾)를 유익하게 하고 위(胃)를 조화시키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오가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로 주로 뿌리를 식용 또는 약용으로 사용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당귀의 효능은 피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며, 또 철산과 엽산이 풍부해 빈혈 및 생리통에 효과가 좋고, 뇌세포를 보호하는 데커신이라는 성분 역시 풍부해 치매예방에도 도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용곤충 및 천연물을 소재로 하는 식품화 연구를 수행하던 중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가 함유된 조성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60283호 (발명의 명칭 : 기호성이 증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선식의 제조방법, 출원인 : 주식회사 한미양행, 등록일 : 2019년12월2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6459호 (발명의 명칭 :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출원인 : 주식회사 한미양행, 등록일 : 2020년02월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0905호 (발명의 명칭 : 초고압 효소 처리를 통한 태반의 저분자화 방법, 출원인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일 : 2015년10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4835호 (발명의 명칭 :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푸코이단 제조방법, 출원인 :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추럴초이스(주), 등록일 : 2010년12월2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0173호 (발명의 명칭 : 효소-초고압 추출법을 이용한 해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삼 추출물, 출원인 : (주)뷰티화장품, 등록일 : 2017년04월1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413호 (발명의 명칭 : 초고압으로 가수분해하여 액화 처리한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인 : 주식회사 이노웨이, 한국식품연구원, 등록일 : 2011년06일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659호 (발명의 명칭 : 부틸 피리디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출원인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일 : 2016년 10월 10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7432호 (발명의 명칭 : 홍해삼 효소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치료 또는 근력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출원인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록일 : 2020년03월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펩타이드에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근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 식용곤충을 절식시키고 세척 및 탈수하는 단계;
(제2단계) 세척 및 탈수된 식용곤충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 전처리하는 단계;
(제3단계) 가열 전처리한 식용곤충을 열풍건조하는 단계;
(제4단계) 열풍건조한 식용곤충을 착유하여 식용곤충의 탈지분말을 얻는 단계;
(제5단계) 식용곤충의 탈지 분말, 정제수 및 효소를 혼합하고, 초고압 및 저온 조건에서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제6단계) 가수분해된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효소처리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5단계의 초고압 조건은 50~300 MPa, 저온 조건은 45~50℃이고, 가수분해 시간은 24~36시간 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저분자 펩타이드,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이 함유된 근력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생지황, 백복력, 인삼 또는 당귀의 각 추출물은 이들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 펩타이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생지황 추출물 3~10 중량부, 백복령 추출물 3~10 중량부,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 및 당귀 추출물 3~11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을 함유하는 상기 근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근력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근력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육질환은 근감소증, 근위축증, 근육퇴행위축증, 심위축증, 긴장감퇴증, 근이영양증, 근육 퇴화증 및 근무력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식용곤충은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및 갈색거저리 등 식용가능한 곤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효소는 알칼라이제, 펩신, 레닌, 프로테아제, 트립신, 키모트립신, 에렙신, 엔테로키나아제, 펩티다아제, 파파인, 브로멜린, 피신, 액티니딘 및 엘라스타제에서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열풍건조는 60~80℃에서 6~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제4단계의 착유 과정은 500~700kgf/cm2 압력에서 60~90℃에서 압착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마이크로파는 5~10분간 조사하며, 마이크로파 조사를 통해 내부온도가 120~14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마이크로파 조사 시간이 5분 미만이면 최종 제조된 식용곤충 탈지 분말의 맛과 향미가 나쁠 수 있으며, 조사시간이 10분을 초과하게 되면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마이크로파는 주파수(진동수) 300MHz~300 GHz, 1mm~1m인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가 방출되는 통상적인 조리용 마이크로웨이브 오븐 또는 식품건조용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을 통해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가 뒤바뀌어 수행될 경우에도 최종 제조된 식용곤충 분말에서 벤조피렌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열풍건조는 60~80℃에서 6~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는데, 60℃ 미만으로 열풍건조를 수행하거나 6시간 미만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열풍건조가 잘 되지 않아 유충 내에 수분이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열풍건조가 80℃를 초과하거나 10 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에는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제4단계의 착유 과정은 500~700kgf/cm2압력에서 60~9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착유 시의 압력이 500kgf/cm2 미만이 되면 식용곤충 내의 기름이 잘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압력이 700kgf/cm2를 초과하게 될 경우는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게 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생지황, 백복령, 인삼 또는 당귀의 각 추출물은 이들을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각 추출물은 추출대상 원료를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을 용매로 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C1~C4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시 사용되는 물, C1~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은 추출대상 원료 사용 중량 기준 1~40배 부피(1kg 기준 1~40ℓ)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40배 부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20~100℃에서 1분~48시간일 수 있다. 상기 과정은 1~4번까지 반복할 수 있다.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법에 따라, 유기용매(알코올, 에테르, 아세톤 등)에 의한 추출, 헥산과 물의 분배,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방법 등, 식물체 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획 또는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엘에이취-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H-20 column chromatography), 이온교환수지 크로마토그래피(ion exchange resin chromatography), 중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medium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리카겔 진공 액체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근력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근력 개선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함유하는 근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이 더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또는 이와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 0.001~100 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에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이 더 첨가된 것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근육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하여, 근력 증강, 근감소증 억제 등을 위한 약학 조성물과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도록,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조예 1. 식용곤충 탈지분말의 초고압효소처리물 제조>
제조예 1-1. 저온 및 초고압 조건에서의 효소처리
전문 사육농가에서 크기 9령의 갈색거저리 유충을 각각 구입하여 3일간 각각 금식시켜 배설물을 완전히 배출시킨 것을 생것 상태에서 흐르는 물로 3회 수세하였다. 이후 건조단계, 탈지단계, 분쇄단계, 고온/가압 단계, 효소가수분해단계 및 건조단계를 걸쳐 초고압효소 처리물 제조를 완성하였다. 이 중에서 건조단계, 탈지단계, 분쇄단계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수행하였다.
① 건조단계 : 50/60HZ의 주파수인 유전가열로 건조하는 산업용 마이크로파 건조기(KMD, Dalimeng. Korea)를 이용하여 105℃ 온도 상태로 5분 동안 처리한 다음 갈색거저리 유충의 수분 함량이 5% 이하가 되도록 건조온도 60℃ 온도에서 12시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였다.
② 탈지단계 : 산업용 착유기(명진종합기계)를 이용하여 600 kgf/cm2의 압력을 가하면서 20분간 착유하여 탈지 상태의 곤충을 얻었다. 피착유물(시료량)은 2 kg, 피착유물(착유기내) 온도는 60℃이었다.
③ 분쇄단계 : 산업용 핀크래샤밀(거려산업)로 갈색거저리 유충의 분말 입도가 50~60 mesh가 되도록 분쇄하여 탈지분말을 제조하였다.
이 후, 밀폐용기에 상기 갈색거저리 유충 탈지분말 100 중량부 대비 증류수 300 중량부와 Alcalase (Subtilisin Carlsberg, Novozymes) 1.0 중량부 (vol%) 를 담아 밀봉한 다음, 밀폐용기를 초고압용기(High pressure processing, 055-60, Uhde, 독일)에 넣은 후 뚜껑을 덮어 밀폐하였다. 상기 압력용기의 내부에 물을 채운 후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진공상태의 물속에서 수압의 압력을 매체로 이용해 밀폐용기를 저온에서 초고압으로 가압처리 한다. 이 때 압력은 100MPa로 유지시키고, 가압용기 내의 온도는 50℃ 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동안 가수분해과정을 수행하였다.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효소처리물을 얻었다.
제조예 1-2. 온도 조절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온도를 45℃로 하였다.
제조예 1-3. 압력 조건 조절 (1)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압력을 50MPa로 하였다.
제조예 1-4. 압력 조건 조절 (2)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압력을 300MPa로 하였다.
<제조예 2. 생지황 추출물, 백복령 추출물, 인삼 추출물 및 당귀 추출물의 제조>
생지황, 백복령, 인삼 및 당귀를 경동시장(서울, 제기동)에서 각각 구입하여 추출원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각각의 추출원료에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넣고 90℃에서 12시간 추출 후 여과하여 얻은 액상을 동결건조함으로써 각 추출물을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초고압효소처리하지 않은 식용곤충 분말의 저온 추출물 제조>
제조예 1-1에서 식용곤충을 탈지하고 분쇄하는 과정까지 동일하게 수행하고, 고압/효소 처리하지 않고, 증류수만 유충 탈지분말 100 중량부 대비 증류수 300 중량부 첨가하여 온도를 50℃ 조건으로 유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하게 하여 저온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저온추출된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2. 고온고압 증숙, 효소처리 후 저온 추출물 제조>
제조예 1-1에서 식용곤충을 탈지하고 분쇄하는 과정까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증숙기에 넣은 다음 이에 4배 중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압력 1.5 kgf/cm2 및 온도 121℃의 가압고온 조건에서 90분간 가열로 살균시켰다. 상기 유충 분말 100 중량부 기준으로 정제수를 300 중량부 혼합하고 알파-아밀라아제( St. Louis, MO, U.S.A.)를 1 중량부 첨가하여 70℃, pH 7 조건에서 7시 간 동안 처리한다. 이후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비교제조예 3. 온도 및 압력 조건을 달리한 식용곤충 탈지분말의 초고압효소처리물 제조>
비교제조예 3-1. 낮은 온도에서의 효소처리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온도를 35℃로 하였다. (50℃를 초과하는 조건은 효소의 불성화 과정이 일어날 수 있어 수행하지 않음)
비교제조예 3-2. 높은 압력에서의 효소처리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압력을 1000MPa로 하였다.
비교제조예 3-3. 낮은 압력에서의 효소처리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식용곤충 효소처리물을 제조하되, 초고압 저온처리시의 압력을 30MPa로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8. 근력 증강용 조성물의 제조>
각 시료를 하기의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혼합 분말 125g씩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1-1
펩타이드
(g)
생지황
추출물
(g)
백복령
추출물
(g)
인삼
추출물
(g)
당귀
추출물
(g)
총합
(g)
실시예 1 100 9 3 10 3 125
실시예 2 100 3 8 3 11 125
실시예 3 100 5 5 5 10 125
             
비교예 1 100 25 0 0 0 125
비교예 2 100 0 25 0 0 125
비교예 3 100 0 0 25 0 125
비교예 4 100 0 0 0 25 125
비교예 5 100 12 0 13 0 125
비교예 6 100 0 13 0 12 125
비교예 7 100 15 5 0 5 125
비교예 8 0 30 30 30 35 125
<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제조예 1-2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제조예 1-3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제조예 1-4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비교제조예 1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비교제조예 2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비교제조예 3-1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비교제조예 3-2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되, 제조예 1-1의 펩타이드 대신 비교제조예 3-3의 펩타이드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분석
실험예 1-1.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수평균 분자량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 (GPC)법은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화합물의 수평균분자량 (Mn) 및 무게평균분자량분포 (Mw)를 예측하는 데 많이 활용된다. 이와 같은 GPC법은 고분자 물질 중에서도 특히 저분자 화합물 (분자량 약 40,000이하)의 경우에도 비교적 효과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조예 1-1 및 비교제조예 1의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분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각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Agilent 1100 HPLC, Ultrahydrogel TM 120, 250, 500, 1000 column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분자량 계산은 GPC 데이터의 retentin volume(VR)으로부터 분자량 (Mi)를 추정하고 피크의 높이(Hi)로부터 일정 분자량의 상대적 분자수(Ni=Hi/Mi)를 계산하여 여기서 수평균 분자량 (number averaged molecular weight ; Mn)은 다음과 같은 공식에 의해 계산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Mn은 수 평균 분자량이고, Ni는 중합체 샘플에서 Mi 중량을 갖는 분자 수 또는 mole 수이고, Mi는 샘플의 특정 분자의 중량이다.
Mn = ∑ NiMi / ∑ Ni
구 분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수평균분자량-Mn (Da) 357 718
표 2에서와 같이 수평균 분자량은 제조예 1-1의 경우 357 Da에 비해 비교제조예 1에서는 718 Da이 비해 수평균 분자량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2.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중량평균 분자량
상기 실험예 1-1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G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weight-averaged molecular weight ; Mw)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Mn은 수 평균 분자량이고, Ni는 중합체 샘플에서 Mi 중량을 갖는 분자 수 또는 mole 수이고, Mi는 샘플의 특정 분자의 중량이다.
Mw = ∑ NiMi 2 / ∑ NiMi
구 분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중량평균분자량-Mw (Da) 508 50,613
표 3에서와 같이 중량평균분자량의 경우 제조예 1-1에서 508 Da, 비교제조예 1에서는 50,613 Da이었다. 따라서 중량평균 분자량은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현저히 감소됨을 보였다.
실험예 1-3. 가수분해물의 펩타이드 중량평균 분자량
상기 실험예 1-1에서와 같은 조건으로 G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산도 (Polydispersity index ; PDI)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여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PDI = (Mw/Mn)
구 분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분산도(PDI; Mw/Mn) 1.43 70.49
표 4에서와 같이 Polydispersity index (PDI)는 비교제조예 1에서 70.49인데 제조예 1-1에서는 1.43으로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분자량 분포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PDI는 Mw/Mn로 계산되는데, 만약 모든 분자들이 동일한 분자량을 갖게 된다면 Mw = Mn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분자량 분포가 좁아질 경우 Mw/Mn은 1에 근접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고압효소에 의해 가수분해 작용으로 중량평균 분자량이 감소했을 뿐 아니라 특정 분자량을 가진 저분자의 protein 내지는 peptide가 많이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식용곤충의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의 분자량별 펩타이드 분포
상기 제조예 1-1 및 비교제조예 1의 가수분해물 각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중량평균 분자량(Mn)을 분석한 distribution data를 근거로 하여 무게평균분자량분포(Mw)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자량 크기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10 KDa 이상 (%) 0 19
9.9~5 KDa (%) 0 6
4.9~1.0 KDa (%) 0 21
990~500 KDa (%) 29 23
499 Da 이하 (%) 71 31
tatal (%) 100 100
표 5에서와 같이 중량평균 분자량(Mn)의 크기별 분포율은 제조예 1-1의 경우 500~990 Da의 펩타이드가 29%이었고, 499 Da이하의 펩타이드는 71%에 비해, 비교제조예 1의 경우는 1 KDa 이상의 펩타이드 46%, 990 Da 이하의 펩 타이드가 54%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고압효소 가수분해에 의해 식용곤충의 펩타이드가 저분자화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약품이나 식품에 적용시 소화흡수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3. 식용곤충의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
상기 제조예 1-1 및 비교제조예 1의 가수분해물의 가수분해도 (Degree of hydrolysis : DH)를 조사하였다. 가수분해도 조사방법은 각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DH = (가용성질소함량/총질소함량) x 100% 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가수분해도(%) 14.09 3.51
표 6에서와 같이 처리별 가수분해도의 경우 비교예 1에서 3.51%인데 비해 실시예 1에서는 14.09%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가수분해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식용곤충의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조성
상기 제조예 1-1 및 비교제조예 1의 가수분해물 각각의 시료 1 mL에 7% 5- sulfosalicylic acid 수용액 1 mL를 가하고 2시간 동안 유지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킨 다음 원심분리 (4,500 rpm. 10분). 얻어진 상등액은 sample dilution buffer (pH 2.2)로 희석한 다음 membrane filter (0.45 um)로 여과한 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 Sykam GmbH사 (Gewerbering, Eresing, Germany; Cation separation column LCA K06/N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7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제조예 1-1 비교제조예 1
전 유리아미노산 (mg/g) 26.69 (426) 6.27 (100)
필수 유리아미노산 (mg/g) 7.11 (606) 1.17 (100)
분지사슬아미노산 (mg/g) 4.51 (418) 0.79 (100)
비고 * ( ) : 비교제조예 1 기준 대비 증가율(%)
표 7에서와 같이 전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비교제조예 1에서는 6.27 mg/g인데 비해 제조예 1-1에서는 26.69 mg/g로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426% 증가되었다. 또한 필수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비교제조예 1에 비해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606% 증가되었고, 분지사슬아미노산의 경우 비교제조예 1에 비해 초고압효소 가수분해물에서 571% 증가되었다.
실험예 5. 근육세포의 분화 효과 측정
실험예 5-1. 근육세포의 분화 효과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분말에 대한 근육세포의 분화증식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마우스(mouse) 유래 근아세포 C2C12 세포주는 ATC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1 % penicillin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이용하여 5 % CO2 배양기에서 37 ℃를 유지시키며 배양하였다.
C2C12 세포를 96 well plate에 3 Х 104 cells/ml로 분주하고, 2 일 동안 배양하여 plate의 80 %를 차지하였을 때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 유도는 4 일 동안 2 일 간격으로 2 % horse serum(HS) 및 1 % penicillin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하면서 근아세포의 세포가 근세포로 분화되도록 유도하면서 각 시료를 첨가하였다.
각 시료 혼합분말 대비 10배 중량의 75%(v/v) 메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75℃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물들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녹여 0.2mg/ml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각 시료를 처리한 지 48시간이 지난 후 MTT(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한 후 상층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DMSO를 첨가하여 생성 insoluble formazan 결정을 용해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이 때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각 시료(분말 수용액의 상등액)를 처리한 세포의 분화 효과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상대적인 세포증식율로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분화 배지에서의 Cell proliferation(%)
실시예 1 186
실시예 2 167
실시예 3 174
실시예 4 175
실시예 5 163
실시예 6 159
 
비교예 1 134
비교예 2 136
비교예 3 132
비교예 4 136
비교예 5 136
비교예 6 135
비교예 7 143
비교예 8 102
비교예 9 121
비교예 10 145
비교예 11 143
비교예 12 141
비교예 13 145
표 8의 결과를 참조하면, 각 시료를 C2C12 근아세포로부터 근 세포로 분화되면서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 실시예들의 시료 처리군에서 다른 혼합분말의 시료에 비해 C2C12 세포가 유의적으로 증식/분화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2. 근육세포 증식율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혼합분말 시료에 대한 근육세포 증식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S 어세이를 실시하였다. 96 well plate에 C2C12를 10% FBS가 포함된 생육배지에서 2 x 104/mL개의 세포/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각각의 well을 실험예 5-1에서처럼 각 시료(용매처리하여 추출물로 얻은 것)가 0.2mg/ml 처리된 생육배지로 교환해 주었다.
24시간 후 MTS 시약을 첨가하고 micro-plate leader를 이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시료를 처리한 세포의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다음의 식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 MTS :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 -2(4-tetrazolium, innner salt)
 조성물 세포 생존율(%)
실시예 1 182
실시예 2 162
실시예 3 171
실시예 4 164
실시예 5 159
실시예 6 166
 
비교예 1 124
비교예 2 124
비교예 3 128
비교예 4 121
비교예 5 123
비교예 6 124
비교예 7 132
비교예 8 105
비교예 9 125
비교예 10 132
비교예 11 135
비교예 12 135
비교예 13 126
표 9에서와 같이 각 시료 0.2mg/ml을 24시간 동안 C2C12에 처리한 후 MTS 어세이를 수행한 결과, 실시예들에서 다른 혼합분말에 비해 높은 세포 생존율(증식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제제예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200g을 락토오스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석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식품 제조>
제제예 2-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조리용 양념에 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2.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밀가루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3.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스프 및 육즙에 0.1 중량%로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4.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우유에 0.1 중량%로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2-5. 야채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5g을 토마토주스 또는 당근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주스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6. 과일주스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성물 0.1g을 사과주스 또는 포도주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가 (제1단계) 갈색거저리 유충을 절식시키고 세척 및 탈수하는 단계;
    (제2단계) 세척 및 탈수된 갈색거저리 유충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 전처리하는 단계;
    (제3단계) 가열 전처리한 갈색거저리 유충을 열풍건조하는 단계;
    (제4단계) 열풍건조한 갈색거저리 유충을 착유하여 식용곤충의 탈지분말을 얻는 단계;
    (제5단계) 갈색거저리 유충의 탈지 분말, 정제수 및 알칼라아제 효소를 혼합하고, 50~300 MPa 및 45~50℃ 조건에서 24~36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단계; 및,
    (제6단계) 가수분해된 시료를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저분자 펩타이드가 포함된 효소처리물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여 얻으며,
    상기 효소처리물 내의 저분자 펩타이드의 분자량이 990kDa 이하이고, 499 Da 이하의 저분자 펩타이드가 71%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거저리 유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저분자 펩타이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생지황 추출물 3~10 중량부, 백복령 추출물 3~10 중량부,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 및 당귀 추출물 3~11 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저분자 펩타이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생지황 추출물 3~10 중량부, 백복령 추출물 3~10 중량부,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 및 당귀 추출물 3~11 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저분자 펩타이드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생지황 추출물 3~10 중량부, 백복령 추출물 3~10 중량부, 인삼 추출물 3~10 중량부 및 당귀 추출물 3~11 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10119408A 2021-09-08 2021-09-08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KR10235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08A KR102354367B1 (ko) 2021-09-08 2021-09-08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08A KR102354367B1 (ko) 2021-09-08 2021-09-08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367B1 true KR102354367B1 (ko) 2022-01-24

Family

ID=8004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08A KR102354367B1 (ko) 2021-09-08 2021-09-08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63A1 (ko) * 2022-06-21 2023-12-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태아 혈청(fbs) 대체 조성물
KR102676557B1 (ko) * 2023-11-10 2024-06-20 주식회사 오뚜기 탈지 참깨분을 섭취한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하여 소화흡수율이 향상된 저분자 단백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835B1 (ko) 2008-07-04 2010-12-28 내추럴초이스 (주)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푸코이단 제조방법
KR101046413B1 (ko) 2009-07-28 2011-07-05 한국식품연구원 초고압으로 가수분해하여 액화 처리한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0905B1 (ko) 2013-12-09 2015-10-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효소 처리를 통한 태반의 저분자화 방법
KR101666659B1 (ko) 2014-06-12 2016-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틸 피리디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0173B1 (ko) 2015-06-19 2017-04-25 (주)뷰티화장품 효소-초고압 추출법을 이용한 해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삼 추출물
KR101935153B1 (ko) * 2017-06-02 2019-0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60283B1 (ko) 2019-09-06 2019-12-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기호성이 증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선식의 제조방법
KR102076459B1 (ko) 2019-10-29 2020-02-13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KR102087432B1 (ko) 2018-12-28 2020-04-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홍해삼 효소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치료 또는 근력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10110209A (ko) * 2020-02-28 2021-09-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단백질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835B1 (ko) 2008-07-04 2010-12-28 내추럴초이스 (주) 초고압 효소처리를 이용한 푸코이단 제조방법
KR101046413B1 (ko) 2009-07-28 2011-07-05 한국식품연구원 초고압으로 가수분해하여 액화 처리한 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0905B1 (ko) 2013-12-09 2015-10-2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고압 효소 처리를 통한 태반의 저분자화 방법
KR101666659B1 (ko) 2014-06-12 2016-10-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부틸 피리디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근력약화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0173B1 (ko) 2015-06-19 2017-04-25 (주)뷰티화장품 효소-초고압 추출법을 이용한 해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삼 추출물
KR101935153B1 (ko) * 2017-06-02 2019-01-0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수풍뎅이(Allomyrina dichotoma)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87432B1 (ko) 2018-12-28 2020-04-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홍해삼 효소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질환 치료 또는 근력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2060283B1 (ko) 2019-09-06 2019-12-27 주식회사 한미양행 기호성이 증가된 갈색거저리 유충 분말을 함유하는 선식의 제조방법
KR102076459B1 (ko) 2019-10-29 2020-02-13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회복기 환자 또는 노약자의 근육량 증강 및 원기회복용 조성물
KR20210110209A (ko) * 2020-02-28 2021-09-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 단백질 및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또는 근위축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363A1 (ko) * 2022-06-21 2023-12-2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태아 혈청(fbs) 대체 조성물
KR102676557B1 (ko) * 2023-11-10 2024-06-20 주식회사 오뚜기 탈지 참깨분을 섭취한 갈색거저리 유충을 이용하여 소화흡수율이 향상된 저분자 단백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367B1 (ko) 식용곤충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KR101988959B1 (ko) 굼벵이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또는 항피로용 조성물
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29559A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8167B1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3954B1 (ko) 다기능성 발효 콩 가공부산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151011B1 (ko) 숙성새싹삼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6692B1 (ko) 견사단백질을 갖는 익힌 누에가공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3016A (ko) 붓기 제거에 효과가 있는 식물성 천연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54287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30095471A (ko) 오미자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력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4717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2002B1 (ko) 동충하초균사체로 고상발효된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86457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low temperature water extract of hibiscus manihot for anti-obesity
KR102183916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3915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71933B1 (ko) 버섯 복합배양 균사체를 함유하는 혈당 조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2562B1 (ko) 제비집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조절 및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