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604B1 -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604B1
KR102353604B1 KR1020200025112A KR20200025112A KR102353604B1 KR 102353604 B1 KR102353604 B1 KR 102353604B1 KR 1020200025112 A KR1020200025112 A KR 1020200025112A KR 20200025112 A KR20200025112 A KR 20200025112A KR 102353604 B1 KR102353604 B1 KR 10235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wire
needle
coupled
shaped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909A (ko
Inventor
노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Priority to KR102020002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61B2018/00494Stomach, intestines or bow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53Sphinc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4W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있어서,
상기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각각 구비된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절개와이어(46)의 이동을 조종하는 절개와이어 핸들(20);
일단은 상기 절개와이어 핸들(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개와이어(46)에 결합되는 제1 제어와이어(44);
상기 제1 제어와이어(44)에 결합되되 전기소작을 통해 조직을 절개하는 절개와이어(46);
상기 메인바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조종하는 침형절개도 핸들(30);
일단은 상기 침형절개도 핸들(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침형절개도(47)에 결합되는 제2 제어와이어(45);
상기 제2 제어와이어(45)에 결합되되 조직을 칼날로 절개하는 침형절개도(47); 및
상기 메인바디(10)에 결합되되 제1 제어와이어(44) 및 절개용 와이어, 그리고 제2 제어와이어(45) 및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이루는 쉬스(40);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46)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Hybrid Sphincteroto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제반 의료비용을 절감시키는 한편, 시술의 진행절차를 고려하여 쉬스(sheath)에 침형절개도와 투입된 약물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공용 루멘(lumen)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루멘을 형성하지 않고 쉬스의 공간적 제약문제를 해결한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담관이나 췌장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담관 및 췌관 부근의 인체 조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이하 ERCP라 한다.)을 시행하여 침형절개도와 절개와이어를 사용해 십이지장 유문부를 절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담관 또는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통상적으로 ERCP를 실행한다. ERCP는 내시경 및 방사선 투시를 병행하여 담관, 담낭, 췌관 및 십이지장의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ERCP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내시경을 식도와 위를 거쳐 십이지장까지 삽입한 후, "십이지장 유두부"라는 작은 구멍을 통하여 담관 및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시켜 담관 및 췌관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담관 또는 췌관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십이지장의 유두부 내경이 매우 작으므로 이를 확장시켜야 한다.
통상적으로 유두부 절개를 위해서 전기소작에 의해 조직을 절개하는 절개와이어(Shincterotome)를 사용한다. 도 2(b)는 절개와이어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절개와이어는 조직의 큰 면적을 단시간에 절개하는데는 유용하나, 미세한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절개와이어를 사용하여 유두부를 절개하였으나 절개방향이 잘못된 경우, 절개 깊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해부학적 기형 등의 이유로 인해 시술기구의 삽관이 어려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술시간 연장으로 인한 출혈, 천공 등 심각한 합병증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상에서는 절개와이어를 사용하기 전에 침형나이프(Needle knife)를 이용한 전절개(precut)를 권장하고 있다.
도 2(a)는 침형나이프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 연구에 따르면 침형나이프와 절개와이어, 두 기구를 모두 사용한 경우 시술기구의 삽관 성공률은 증가하고, 합병증의 발생 또한 감소한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십이지장 유문부 절개시술시 독립적인 두 시술기구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시술기구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한 시술지연뿐만 아니라, 하나의 시술기구에만 의료보험이 적용됨으로 인한 비용증가 등의 문제가 있어 임상에서 두 시술 기구를 적용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십이지장 유문부 절개시 침형절개도와 절개와이어를 함께 사용하되 기구교체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비용 증가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술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20-0012559호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가 하나의 시술기구로 합체됨으로써 각각의 시술기구에 의료보험이 적용됨으로 인한 비용증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의 진행절차를 고려하여 쉬스(sheath)에 침형절개도와 투입된 약물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공용 루멘(lumen)을 형성함으로써 쉬스의 공간적 제약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있어서,
상기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각각 구비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절개와이어의 이동을 조종하는 절개와이어 핸들;
일단은 상기 절개와이어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개와이어에 결합되는 제1 제어와이어;
상기 제1 제어와이어에 결합되되 전기소작을 통해 조직을 절개하는 절개와이어;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결합되어 침형절개도의 이동을 조종하는 침형절개도 핸들;
일단은 상기 침형절개도 핸들에 결합되고 타단은 침형절개도에 결합되는 제2 제어와이어;
상기 제2 제어와이어에 결합되되 조직을 칼날로 절개하는 침형절개도; 및
상기 메인바디에 결합되되 제1 제어와이어 및 절개용 와이어, 그리고 제2 제어와이어 및 침형절개도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이루는 쉬스;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와이어와 침형절개도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메인바디에는,
절개와이어 핸들이 결합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쉬스가 결합되는 유출구 사이에는 제1 통로가 형성되고,
침형절개도 핸들이 결합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쉬스가 결합되는 유출구 사이에는 제2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침형절개도 핸들은,
상기 제2 유입구에 결합되되 내부에 침형절개도 및 제2 제어와이어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되 침형절개도 및 제2 제어와이어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통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 일측에 결합되어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쉬스에는 제1 제어와이어 및 절개와이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절개와이어 루멘, 가이드와이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가이드와이어 루멘, 제2 제어와이어 및 침형절개도 또는 액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공용 루멘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쉬스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입구를 이루는 가이드와이어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주입포트 또는 몸체부에 결합되어 액체주입포트의 입구 또는 몸체부의 입구를 밀폐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침형절개도를 이용한 칼날 절개 전에는 상기 캡이 상기 액체주입포트의 입구를 밀폐하고, 침형절개도를 이용한 칼날 절개 후에는 상기 몸체부의 입구를 밀폐하여 액체주입포트를 통한 액체 주입시 액체가 몸체부 입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브 괄약근 절개기는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킴은 물론, 시술 성공률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기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루멘을 추가하지 않고 액체주입 및 침형절개도와 절개와이어가 쉬스 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담관 및 췌관 부근의 인체 조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ERCP를 시행하여 침형절개도와 절개와이어를 사용하여 십이지장 유문부를 절개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형절개도 핸들의 몸체부 및 메인바디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쉬스의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형절개도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와이어가 장력을 받아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형절개도 핸들(30)의 몸체부(31) 및 메인바디(1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는 메인바디(10), 절개와이어 핸들(20), 제1 제어와이어(44), 절개와이어(46), 침형절개도 핸들(30), 제2 제어와이어(45), 침형절개도(47), 그리고 쉬스(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침형절개기와 와이어절개기를 하나로 합체하여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46)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메인바디(10)에는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각각 구비된다.
메인바디(1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바디(10)에는 절개와이어 핸들(20)이 결합되는 제1 유입구(12)와 침형절개도 핸들(30)이 결합되는 제2 유입구(13)가 메인바디(10)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쉬스(40)가 결합되는 유출구(11)는 전방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유입구(12)와 유출구(11) 사이에는 제1 통로(14)가 형성되며, 제2 유입구(13)와 유출구(11) 사이에는 제2 통로(15)가 형성된다.
메인바디(10)는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침형절개기와 와이어절개기를 수용가능하다.
침형절개도 핸들(30)은 침형절개도(47)를 이동시킬 때 파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부(31)와 조작부(32)로 구성된다.
몸체부(31)는 메인바디(10)의 제2 유입구(13)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침형절개도(47) 및 제2 제어와이어(45)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조작부(32)는 몸체부(31)에 결합되며, 침형절개도(47) 및 제2 제어와이어(45)의 이동을 조작하는 구성이다.
하이브리브 괄약근 절개기에는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포트(33)가 구비된다.
액체주입포트(33)는 제2 통로(15)와 연통되도록 메인바디(10)의 몸체부(31) 일측에 결합된다.
제1 제어와이어(44)는 일단이 절개와이어 핸들(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개와이어(46)에 결합되며, 절개와이어 핸들(20)에 의한 조종력을 절개와이어(46)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절개와이어(46)는 제1 제어와이어(44)의 단부에 결합되며, 전기소작을 통해 조직을 절개한다.
제2 제어와이어(45)는 일단이 침형절개도 핸들(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침형절개도(47)에 결합되며, 침형절개도 핸들(30)에 의한 조종력을 침형절개도(47)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쉬스(40)의 상세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쉬스(40)는 메인바디(10)의 배출구에 결합되며, 제1 제어와이어(44) 및 절개용 와이어, 그리고 제2 제어와이어(45) 및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이루는 구성이다.
담관 또는 췌관에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유문부 확장을 위해 침형절개도(47)를 사용하여 유문부를 칼날 절개한 후, 절개와이어(46)를 사용하여 담관 또는 췌관 방향으로 유문부를 전기소작으로 절개한다. 그리고 조영제를 투입하여 조직을 촬영하고 절개시술의 적정여부를 판단한다. 최종적으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시술기구를 진입시킨다.
유문부 확장 시술을 위해서는 침형절개도(47), 절개와이어(46) 그리고 가이드와이어, 액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각각 구비되어야 한다.
그런데 시술시 최소 침습을 구현하기 위해 쉬스(40)의 단면적은 최소화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침형절개기와 와이어절개기에는 각각 세 개의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침형절개기와 와이어절개기를 합체한 시술기구이므로, 쉬스(40)를 통해 침형절개도(47), 절개와이어(46) 그리고 가이드와이어, 액체의 이동을 위한 통로, 즉 네 개의 통로가 구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공용 루멘(43)을 형성함으로써 쉬스(40)의 공간 제약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쉬스(40)에는 절개와이어 루멘(41), 가이드와이어 루멘(42), 그리고 공용 루멘(43)이 형성된다.
절개와이어 루멘(41)은 제1 제어와이어(44) 및 절개와이어(46)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구성이다.
가이드와이어 루멘(42)은 가이드와이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구성이다.
공용 루멘(43)은 제2 제어와이어(45) 및 침형절개도(47) 또는 액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구성이다.
공용 루멘(43)을 침형절개도(47) 또는 액체의 이동통로로 사용하는 것은 십이지장 유문부 확장시술의 시술절차를 고려하여 배치된 것이다.
십이지장 유문부 확장시술은 가장 먼저 침형절개도(47)를 사용하여 칼날 절개가 이뤄지고, 약물주입은 절개와이어(46)에 의한 전기소작 이후에 이뤄진다.
공용 루멘(43)에 침형절개도(47)를 삽입하여 칼날 절개작업이 종료되면 더 이상 침형절개도(47)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침형절개도(47)는 공용 루멘(43)에서 인출된다. 그리고 절개와이어(46)에 의한 작업이 마치면 침형절개도(47)가 인출된 공용 루멘(43)에 약액을 주입하고 촬영을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시술기구를 진입시켜야 하므로, 가이드와이어는 처음부터 시술 종료시까지 루멘에 삽입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시술과정을 반영하여 침형절개도(47)와 약액을 공용 루멘(43)에 배치한 것이다.
가이드와이어 포트(50)는 쉬스(40)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입구를 이루는 구성이다.
캡(60)은 액체주입포트(33) 또는 몸체부(31)에 결합되어 액체주입포트(33)의 입구 또는 몸체부(31)의 입구를 밀폐하는 구성이다.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전에는 캡(60)이 액체주입포트(33)의 입구를 밀폐한다. 그리고 몸체부(31)에서 조작부(32) 및 침형절개도(47)를 분리한 후에는 캡(60)이 몸체부(31)의 입구를 밀폐하여 액체주입포트(33)를 통한 액체 주입시 액체가 몸체부(31) 입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형절개도(47)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개와이어(46)가 장력을 받아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46)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의 단축과 합병증 발생의 감소 그리고 시술성공률 향상을 가져오며, 이와 더불어 제반 의료비용을 절감시키는 한편, 시술의 진행절차를 고려하여 쉬스(40)(sheath)에 침형절개도(47)와 투입된 약물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공용 루멘(43)(lumen)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루멘을 추가하지 않고 쉬스(40)의 공간적 제약문제를 해결한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메인바디
11 : 유출구
12 : 제1 유입구
13 : 제2 유입구
14 : 제1 통로
15 : 제2 통로
20 : 절개와이어 핸들
30 : 침형절개도 핸들
31 : 몸체부
32 : 조작부
33 : 앱체주입포트
40 : 쉬스
41 : 절개와이어 루멘
42 : 가이드와이어 루멘
43 : 공용 루멘
44 : 제1 제어와이어
45 : 제2 제어와이어
46 : 절개와이어
47 : 침형절개도
50 : 가이드와이어 포트
60 : 캡

Claims (7)

  1.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가 구비된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에 있어서,
    상기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가 각각 구비된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절개와이어(46)의 이동을 조종하는 절개와이어 핸들(20);
    일단은 상기 절개와이어 핸들(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개와이어(46)에 결합되는 제1 제어와이어(44);
    상기 제1 제어와이어(44)에 결합되되 전기소작을 통해 조직을 절개하는 절개와이어(46);
    상기 메인바디(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조종하는 침형절개도 핸들(30);
    일단은 상기 침형절개도 핸들(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침형절개도(47)에 결합되는 제2 제어와이어(45);
    상기 제2 제어와이어(45)에 결합되되 조직을 칼날로 절개하는 침형절개도(47); 및
    상기 메인바디(10)에 결합되되 제1 제어와이어(44) 및 절개용 와이어, 그리고 제2 제어와이어(45) 및 침형절개도(47)의 이동을 위한 통로를 이루는 쉬스(40);를 포함하며,
    상기 절개와이어(46)와 침형절개도(47)가 함께 구비되어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및 절개와이어(46)를 이용한 전기소작 절개가 연속적으로 수행가능함으로써 시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시술 성공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절개와이어 핸들(20)이 결합되는 제1 유입구(12)와 상기 쉬스(40)가 결합되는 유출구(11) 사이에는 제1 통로(14)가 형성되고,
    침형절개도 핸들(30)이 결합되는 제2 유입구(13)와 상기 쉬스(40)가 결합되는 유출구(11) 사이에는 제2 통로(1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침형절개도 핸들(30)은,
    상기 제2 유입구(13)에 결합되되 내부에 침형절개도(47) 및 제2 제어와이어(45)가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된 몸체부(31); 및
    상기 몸체부(31)에 결합되되 침형절개도(47) 및 제2 제어와이어(45)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통로(15)와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부(31) 일측에 결합되어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포트(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침형절개도(47)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40)에는 제1 제어와이어(44) 및 절개와이어(46)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절개와이어 루멘(41), 가이드와이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가이드와이어 루멘(42), 제2 제어와이어(45) 및 침형절개도(47) 또는 액체의 이동통로를 이루는 공용 루멘(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쉬스(40) 일측에 결합되어 가이드와이어를 삽입하기 위한 입구를 이루는 가이드와이어 포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주입포트(33) 또는 몸체부(31)에 결합되어 액체주입포트(33)의 입구 또는 몸체부(31)의 입구를 밀폐하는 캡(60);을 더 포함하며,
    침형절개도(47)를 이용한 칼날 절개 전에는 상기 캡(60)이 상기 액체주입포트(33)의 입구를 밀폐하고, 몸체부(31)에서 조작부(32) 및 침형절개도(47)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몸체부(31)의 입구를 밀폐하여 액체주입포트(33)를 통한 액체 주입시 액체가 몸체부(31) 입구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KR1020200025112A 2020-02-28 2020-02-28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KR10235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12A KR102353604B1 (ko) 2020-02-28 2020-02-28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112A KR102353604B1 (ko) 2020-02-28 2020-02-28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09A KR20210109909A (ko) 2021-09-07
KR102353604B1 true KR102353604B1 (ko) 2022-01-21

Family

ID=7779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112A KR102353604B1 (ko) 2020-02-28 2020-02-28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617A (ja) 1997-10-03 2001-11-2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人体内の管へのアクセス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4532668A (ja) * 2001-01-18 2004-10-2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操縦可能な括約筋切開器具並びにカニューレ挿入、乳頭切開及び括約筋切開方法
US6827718B2 (en) 2001-08-14 2004-12-07 Scimed Life System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maintaining the position of endoscopic instruments
KR100767155B1 (ko) * 2000-05-18 2007-10-15 윌슨-쿡 메디컬, 인크.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47B1 (ko) 2018-07-27 2020-09-18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617A (ja) 1997-10-03 2001-11-20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ィド 人体内の管へのアクセス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767155B1 (ko) * 2000-05-18 2007-10-15 윌슨-쿡 메디컬, 인크. 와이어 가이드 접근이 개선된 의료기기
JP2004532668A (ja) * 2001-01-18 2004-10-28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操縦可能な括約筋切開器具並びにカニューレ挿入、乳頭切開及び括約筋切開方法
US6827718B2 (en) 2001-08-14 2004-12-07 Scimed Life System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nd maintaining the position of endoscopic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909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44894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diagnostic and therapeutic modalities in the biliary tree
US6533782B2 (en) Medical device with improved wire guide access
US6676659B2 (en) Steerable sphincterotome and methods for cannulation, papillotomy and sphincterotomy
US7645229B2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endoscopic visualization and treatment of anorectal fistula
JP6329101B2 (ja)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用処置具の製造方法
US200300608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blade depth of a tissue cutting apparatus in an endoscopic catheter
JP2006223338A (ja) カテーテル
US20130245533A1 (en)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device
JPH1147154A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10503476A (ja) アクセスポートに応力集中部を備えて破断力を低減した医療用カテーテル
US10537228B2 (en) Endoscopic surgical device and exterior tube
US9713695B2 (en) Devices for creation of multiple vascular access sites
JP2003534034A (ja) 内視鏡血管手術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0999089A (ja) カテーテル
JP2002272675A (ja) カテーテル
US7141050B2 (en) Catheter with a plurality of wire guide access parts
KR100943130B1 (ko) 내시경 점막하 절제용 처치구
KR102353604B1 (ko)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CN113786227A (zh) 一种多腔管及乳头括约肌切开刀
KR101602558B1 (ko)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 췌장 조영술용 유두 절개도
JP2012020105A (ja) カテーテル
CN114849021B (zh) 一种可视化插管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593656B1 (ko) 의료용 카테터
JP2022523518A (ja) アクセス針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33209B2 (en) Method for forming access route to bile duct and treat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