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47B1 -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Google Patents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7147B1 KR102157147B1 KR1020180088005A KR20180088005A KR102157147B1 KR 102157147 B1 KR102157147 B1 KR 102157147B1 KR 1020180088005 A KR1020180088005 A KR 1020180088005A KR 20180088005 A KR20180088005 A KR 20180088005A KR 102157147 B1 KR102157147 B1 KR 1021571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ush
- biopsy
- tube
- catheter
- catheter t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검 브러쉬에 있어서, 상단에 단차를 갖는 캡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브러쉬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 및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상기 브러쉬관에 종방향의 외력이 가압됨에 따라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관은, 카테터의 이너 튜브가 전진하여 상기 생검부의 하단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살을 타원형으로 팽창시키고, 팽창된 상기 브러쉬살은 종축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조직 내의 균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위 벽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위 점막층과 점액에 파고들어 균을 채취하는 카테터 팁과, 조직 검사를 위한 채취 용기에 균이 채취된 카테터 팁 자체를 탈거하여 수용시킬 수 있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은 몇 개의 편모를 가지고 있는 나선형 세균으로, 위장점막에 주로 감염되어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위선암, 위림프종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위궤양의 60~70% 그리고 십이지장 궤양의 90~95%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에 의해 발생되며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는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궤양의 재발 방지와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이 밝혀져 소화성궤양이 발견되면 헬리코박균 감염 여부의 정확하고 신속한 진단이 필요하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점막층과 점액 사이에 서식하여, 위장 점막의 표면이나 위장의 점액에서 발견되고, 위장점막 세포 자체를 뚫고 감염되는 것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점막의 표면이나 위의 점액에 존재하므로 치료약물이 균이 있는 곳까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러 차레 항생제에 노출이 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에 대한 내성이 잘 생기므로 치료 또한 쉽지 않다.
이러한 헬리코박터균의 진단 방법에는 내시경을 통한 침습적 검사 방법으로써 급속요소분해효소검사(rapid urease test), 조직검사 및 배양검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조직 채취 기구로서 Biopsy Forceps이 침습적 조직검사 방법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Biopsy Forceps은 위 벽면에서 균을 채취할 수 있도록 단부가 집게 형상으로 제공되는 생검 기구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생검시 균만 채취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량의 위점막 조직도 함께 절단되어 채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Biopsy Forceps은 조직검사를 반복할수록 조직의 섬유화와 혈관 과형성, 유착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켜 추후 내시경 절제술이 어려워 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바렛 식도에서 내시경 유도하 생검은 기존 Biopsy Forceps을 사용하기에 접촉 면적이 좁아 조직 채취의 조작이 어렵다. 또한, 하부 식도는 점막 내에 혈관이 존재하고 혈류가 풍부하여 기존 Biopsy Forceps의 집게 형상으로 조직을 채취할 때 출혈이 발생되기 쉬워 다수의 조직검사 시행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구 고령화로 인한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을 진단 및 치료하기 위한 목적의 내시경 조직검사 등의 침습적 검사 방법은 Biopsy Forcep을 이용하여 조직을 채취하여 출혈의 위험도를 갖고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은 위 점막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지 않고, 기존의 위 생검 조직 채취 방법은 한 번에 한 개의 검체만을 채취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Biopsy Forcep은 구강을 통해 여러 번 삽입, 채취, 회수를 반복하여 조직을 얻어야 한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진단은 생검 위치 및 조직의 개수에 따라 위음성의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위의 여러 군데에서 조직을 채취하게 되어 검사시간 및 비용의 증가가 발생되며 생검 부위의 출혈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헤아려보면, 기존의 Biopsy Forceps는 단부 모양에 따라 둥근형(round), 타원형(Oval, ellipsoid)이 있으나, 공통적으로 이빨 형태의 단부가 조직을 뜯어 내는 원리로 생검을 수행한다. 또한, 조직을 뜯어 낸 후 재차 Biopsy Forceps으로부터 조직을 오염 없이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된다. 보다 상세하게, 내시경은 구강을 통해 삽입하여 식도와 위십이지장을 관찰하면서 시술하는데, 구강 및 내시경 내부 채널에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 이외에 여러 다른 균들이 있어 검체 채취 후, 검사를 위해 Biopsy Forceps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오염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위점막층과 점액 사이에 깊게 파고들어가는 구조로서, 출혈 등의 위험성이 없고 충분한 수의 검체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검체 채취 시 한 번 삽입에 한꺼번에 여러 군데에서 검체를 채취할 수 있고, 채취 즉시 회수가 가능하여 추가 적인 오염없이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검출에 특히 적합한 생검용 카테터 팁과 카테터를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위의 내벽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위점막층과 점액 사이에 깊게 파고들어가 헬리코박터균을 안전하고도 효과적이며 빠르게 채취할 수 있는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카테터 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검의 채취 후 조직 또는 균이 채취된 카테터 팁을 카테터 내관에 재위치 시킨 후 카테터로부터 탈거하여, 카테터 팁 자체를 생검 직후 채취 용기에 바로 탈거시킬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생검 카테터는 별도의 후속 작업 없이 간편하게 조직 또는 균을 채취하여, 오염(contamination)이 최소화되며 신속한 조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직 채취시 팽창된 카테터 팁 브러쉬의 수축을 보조하여 카테터의 튜브 내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도록 브러쉬의 복귀가 용이한 카테터 팁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검용 카테터 팁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팁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상기 브러쉬관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 및 상기 브러쉬살의 복귀 외력을 제공하는 브러쉬 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 키트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팁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과,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상기 브러쉬관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와, 상기 브러쉬살의 복귀 외력을 제공하는 브러쉬 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 팁; 상기 카테터 팁이 수용되는 채취 용기; 및 체내에 삽입되는 튜브가 다중 구조로 형성되고, 최내측의 이너 튜브 안에서 상기 카테터 팁을 파지하는 겸자가 구비되며, 상기 겸자가 상기 카테터 팁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튜브 내측으로 후퇴됨에 따라 상기 이너 튜브가 상기 생검부의 하단에 외력을 가하는 카테터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 내벽으로 카테터 팁이 삽입된 이후, 타겟 지점에서 카테터의 조작으로 생검부가 타원형의 형태로 팽창되며, 생검부의 각 와이어가 회동됨에 따라 위 내벽의 조직을 파지하거나 뜯어내지 않고도 주름 내측의 점막층과 점막층에 부착된 점액층(mucus)에 존재한 헬리코박터균을 안정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검부의 브러쉬살은 원형 단면의 와이어가 아닌 판재 형상으로 제공된다. 즉, 브러쉬살이 회동되며 조직과 접촉할 때, 브러쉬살은 판재 형상의 구조적 특징상 접촉면의 수직방향으로 충분한 강성이 존재하여 헬리코박터균의 채취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의 겸자가 생검 브러쉬의 체결부를 파지하여 인출되는 동작만으로도 생검 브러쉬를 조작할 수 있으며, 체결부의 파지를 해제함에 따라 조직 또는 균이 채취된 카테터 팁 자체를 바로 채취 용기에 탈거할 수 있게됨에 따라, 별도의 후속 작업 없이 간편하게 조직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확장하여, 본 발명은 같은 원리로 위 내벽 뿐만 아니라 대장 및 소장의 내조직 주름 사이를 파고드는 브러싱으로 내장기관에서의 검체도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는 카테터 팁의 용도를 위 내벽의 헬리코박터 균을 채취하는 것으로 포커싱하여 설명하였으나, 식도 진균 감염증의 대표적인 식도칸디다증에서 칸디다의 채취, 감염성 장염에서 대장과 소장의 감염균 채취, 기타 대장 및 소장에서 마이크로박테리아의 변화에 의한 병태생리를 연구하기 위한 검체의 채취시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팁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브러쉬살이 타원형으로 팽창되어 조직을 채취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경우, 카테터 팁을 회수하기 위해선 팽창된 브러쉬살을 복귀시켜야하는데, 이 때 카테터의 외곽 튜브로 인입시키는 가압력 만으로 브러쉬살의 수축이 극히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브러쉬살 내측으로 브러쉬 수축 부재를 구비하여, 카테터 외곽 튜브로의 인입시 브러쉬살에 팽창 외력이 제공되어 브러쉬살이 용이하게 복귀되는 기술적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 카테터 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 시술 전 카테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시 카테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를 포함한 생검 카테터 키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복귀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생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생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브러쉬 수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는 브러쉬 수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 시술 전 카테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시 카테터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를 포함한 생검 카테터 키트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용 카테터 팁의 복귀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생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생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브러쉬 수축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15는 브러쉬 수축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 카테터 키트(1)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검 카테터 키트(1)는 카테터(3), 카테터 팁(5) 및 채취용기(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검 카테터 키트(1)는 위 내벽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채취에 특히 적합한 특징을 갖는다. 생검 카테터 키트(1)는 조직 또는 균을 채취하기 위한 처치구를 체내에 삽입하여 조작하는 카테터(3)와 조직 내의 균을 채취한 후 카테터(3)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카테터 팁(5)과, 분리된 카테터 팁(5)을 회수하는 채취 용기(7)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로, 생검 브러쉬가 이용되는 조직은 위, 식도, 대장 및 소장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은 위 내벽의 헬리코박터 균을 채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3)는 와이어(375)의 인입 또는 인출의 조작과 와이어(375)의 회동 조작 뿐만 아니라, 다단 튜브 중 외곽 튜브의 전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3)는 카테터 팁(5)의 조작을 위해서 다단 튜브(35)의 구조를 갖고, 단부에 겸자(37)가 마련된다. 이하, 생검 카테터 키트(1)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카테터(3)는 체내에 삽입되는 튜브(35)가 다중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3)는 튜브(35)가 내측의 와이어를 피복하는 기능 외에 추가적으로 카테터 팁(5)의 하단을 가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카테터(3)는 다단 튜브(35) 구조로 제공됨에 주목한다. 본 실시예로, 카테터(3)의 다단 튜브(35)는, 생체 적합성 소재로 제공되며 외피를 형성하는 외곽 튜브(353)와, 외곽 튜브(353)의 내측으로 관입된 이너 튜브(351)를 포함한다. 이너 튜브(351)의 안에는 사용자가 진퇴 조작하는 와이어(375)가 관입되며, 와이어(375)의 단부에 겸자(37)가 마련되어 후술하게 될 카테터 팁(5)를 파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로, 카테터(3)는 핸들의 조작으로 이너 튜브(351) 내의 와이어의 진퇴 조작과, 외곽 튜브(353)의 진퇴 조작을 구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테터(3)는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핸들의 영역으로 와이어(375)의 인입 또는 인출을 조절하는 진퇴 조작부(31), 와이어(375)의 회전을 조작하는 회전 조작부(33) 및 외곽 튜브(353)의 전진 또는 후퇴를 조작하는 튜브 조작부(34)를 포함한다.
튜브 조작부(34)는 카테터(3) 몸체로부터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측에 관통된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을 통해 이너 튜브(351) 및 와이어(375)가 튜브 조작부(34)를 관통하여 핸들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외곽 튜브(353)는 튜브 조작부(34)의 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사용자가 외곽 튜브(353)를 카테터(3) 몸체로부터 앞뒤로 슬라이드 조작 함으로써 외곽 튜브(353)가 전진 또는 후퇴할 수 있도록 한다.
외곽 튜브(353)는 체내의 목표 조직까지 삽입되는 과정에서 이너 튜브(351)와 겸자(37) 및 체결되어 있는 카테터 팁(5)이 노출되지 않도록 피복하여 경로에 이르는 조직에 불필요한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한다. 외곽 튜브(353)는 생검을 위한 목표 조직에 도달시 튜브 조작부(34)의 구동으로 후퇴되며, 후퇴의 정도는 카테터 팁(5)와 이너 튜브(351)가 노출될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이후, 사용자가 와이어(375)를 당기는 조작으로 카테터 팁(5)이 이너 튜브(351)에 가압되어 팽창될 수 있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너 튜브(351)는 안에 와이어(375)가 관입되며 와이어(375)의 단부에 카테터 팁(5)를 파지하는 겸자(37)가 구비된다. 이너 튜브(351)의 내경은 브러쉬관(51)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나 브러쉬관(51)에 결합된 생검부(53)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생검부(53)가 이너 튜브(35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없도록 제공된다.
이너 튜브(351)는 경도를 갖는 강성 소재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로, 이너 튜브(351)는 스틸 소재를 스프링식으로 엮어 튜빙하여 제작된 와이어 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너 튜브(351)는 종래의 플라스틱 소재가 아닌 스틸 소재임에 주목한다.
겸자(37)는 탄성을 갖는 ‘V'자 형상의 집게로 제공될 수 있다. 겸자(37)는 카테터 팁(5)을 파지한 상태에서 이너 튜브(351) 내측으로 후퇴됨에 따라 생검부(53)의 하단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겸자(37)는 카테터(3)의 조작으로 후단부(371)가 이너 튜브(351) 내로 인입되면 겸자(37)의 집게가 가압되어 카테터 팁(5)을 파지하게 된다. 반면, 겸자(37)는 이너 튜브(351)로부터 토출되는 조작으로 겸자(37)의 집게가 탄성 복원되어 카테터 팁(5)을 탈거하게 된다. 헤아려보면, 겸자(37)와 이너 튜브(351) 및 카테터 팁(5)는 사용자의 전후 진퇴 조작만으로, 카테터 팁(5)을 팽창시킬 뿐만 아니라, 카테터 팁(5)을 카테터(3)에 자동으로 체결 또는 분리 시킬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3) 및 카테터 팁(5)은 시술 직후 카테터 팁(5)을 카테터(3)로부터 분리하여 채취 용기(7)에 즉시 회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카테터 팁(5)은 브러쉬관(51), 생검부(53), 체결부(55), 하단 브러쉬링(57), 및 상단 브러쉬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은 목표 조직에 도달시 생검부(53)가 타원형의 망 형상으로 팽창되어 회전하는 조작으로 생검을 수행한다. 즉, 생검부(53)는 조직을 뜯어내지 않고 쓸어내리듯 조직에 접촉하는 브러싱 방식으로 균을 채취할 수 있음에 주목한다. 특히, 이러한 브러싱 원리의 생검은 점막층과 점막층에 부착된 점액층(mucus)에 존재한 헬리코박터균의 채취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브러쉬관(51)은 상단에 단차를 갖는 캡(513)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생검 브러쉬의 종축이 될 수 있다. 캡(513)의 단부는 돔 형상을 이루고, 캡의 내경은 브러쉬관(51)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됨에 따라 브러쉬관(51)은 상단에 단차가 형성된다. 본 구조적 특징은 후술하게 될 브러쉬살(531)의 용이한 결합을 위함이다.
브러쉬관(51)은 카테터(3)의 겸자(37)가 체결되는 체결부(55)가 하단에 형성되고, 카테터(3)의 겸자(37)가 체결부(55)를 통한 파지 조작으로 생검이 완료된 카테터 팁(5)가 분리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55)는 브러쉬관(51)의 하단부(5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체결부(55)는 중앙 단면에 관통된 체결홈(551)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체결부(55)는 겸자(37)와 탈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겸자(37)가 단부가 맞물리는 집게 형상으로 예시된 바, 겸자(37)의 집게가 체결부(55)의 체결홈(551)을 통해 맞물려 파지하는 방식으로 탈착 구조를 예시하였다.
생검부(53)는 브러쉬관(51)을 피복하도록 브러쉬관(51)에 체결되며, 브러쉬관(51)에 종방향의 외력이 가압됨에 따라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이 마련될 수 있다. 브러쉬관(51)은 카테터(3)의 이너 튜브(351)가 전진하여 생검부(53)의 하단을 가압함에 따라 브러쉬살(531)을 타원형으로 팽창시키고, 팽창된 브러쉬살(531)은 종축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위 내벽의 균을 채취하게 된다.
생검부(53)는 조립 결합을 고려하여, 반 타원형의 한 쌍(53a)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생검부(53)는 소정의 탄성으로 휘어질 수 있는 브러쉬살(531)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창살 형상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선 생검시 활성화된 생검부(53)의 이해를 돕기 위해 브러쉬살(531)이 타원형으로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카테터(3)의 조작으로 생검부(53)를 활성시키기 전의 브러쉬살(531)은 캡(513)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브러쉬관(51)을 피복한 단순 원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로, 브러쉬살(531)은 판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쉬살(531)은 원형 단면의 와이어가 아니며, 소정의 폭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임에 주목한다. 이는 브러쉬살(531)이 타원형으로 팽창시 접선 방향으로 맞닿게 되는 목표 조직에 충분한 강성이 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브러쉬살(531)이 원형의 와이어로 구현될 경우, 생검부(53)가 회전되어 조직을 쓸어내리듯 브러싱 할 때, 조직과의 마찰이 충분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점막층과 점막층에 부착된 점액층(mucus)에 브러쉬살(531)이 충분히 침투되지 못한다.
반면, 판재의 라인 구조로 브러쉬살(531)이 제공되는 경우 브러쉬살(531)의 측방향으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살(531)의 구조는 목표 조직의 브러싱 과정에서 브러쉬살(531)이 조직을 뜯어내거나 상처 입히지는 않으면서 점액층에 침투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캡(513)까지 끼움 삽입되어 브러쉬관(51)의 외면으로부터 생검부(53)가 끼워지는 틈(56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상단부 캡(513)의 외경과 일치되는 외경을 갖는다. 생검부(53)는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이 상단 브러쉬링(56)이 형성한 틈(561)에 끼움되어 브러쉬살(531)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 경우, 브러쉬살(531)의 상단이 상단 브러쉬링(56) 내측으로 고정됨에 따라 브러쉬살(531)의 수축을 위한 고정단이 형성된다.
하단 브러쉬링(57)은 브러쉬관(51)에 체결된 생검부(53)에 끼움되어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의 하단을 패킹할 수 있다. 하단 브러쉬링(57)은 브러쉬살(531)의 하단에 패킹 결합되어 이너 튜브(351)가 브러쉬살(531)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첫 번째로 브러쉬관(51)에 상단 브러쉬링(56)이 삽입된다. 이후, 상단 브러쉬링(56)이 형성한 틈으로 생검부(53)가 끼워진다. 도 4 또한 생검부(53)가 활성화되어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생검부(53)가 가압되지 않아 비활성 상태인 경우, 브러쉬살(531)이 수축되지 않은 라인 형상을 유지하므로 이 때의 생검부(53)는 브러쉬관(51)의 외면을 따라 끼워지는 원통형상임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생검부(53)의 결합 이후, 생검부(53)가 브러쉬관(5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패킹하며 생검부(53)의 브러쉬살(531)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하단 브러쉬링(57)이 체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카테터 팁(5)은 매우 간단한 과정으로 조립 제조된다.
채취 용기(7)는 카테터 팁(5)이 수용되어 조직의 샘플을 즉시 확보하는 케이스를 의미한다. 채취 용기(7)는 카테터 팁(5)이 채취한 조직 또는 균의 보존을 위한 약액이 담지되며, 카테터 팁(5)이 고정 수용되기 용이하도록 내부가 하방향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 시술 전 카테터(3)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카테터(3)는 이너 튜브(351)와 카테터 팁(5)이 노출되지 않도록 외곽 튜브(353)가 전진된 상태로 목표 조직에 이르는 위치까지 다단 튜브(35)가 삽입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생검을 위한 목표 조직에 이르렀을 경우 사용자는 튜브 조작부(34)를 후퇴 구동하여 외곽 튜브(353)를 후퇴시킨다. 외곽 튜브(353)의 후퇴로 이너 튜브(351)와 카테터 팁(5)은 자연스럽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튜브 조작부(34)의 후퇴 구동으로 이너 튜브(351)와 카테터 팁(5)이 노출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카테터 팁(5)은 현재 비활성화된 상태로 원통형상을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진퇴 조작부(31)로 겸자(37)가 연결된 와이어(375)를 후퇴시킴으로써 카테터 팁(5)은 시술을 위한 활성화 상태로 구조가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검시 카테터(3)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5b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진퇴 조작부(31)로 와이어(375)를 후퇴하여 생검부(53)의 브러쉬살(531)이 타원형으로 펼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너 튜브(351)는 브러쉬살(531)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경도를 갖는 소재이다. 여기서, 겸자(37)가 연결된 와이어(375)가 후퇴되면 겸자(37)와 연결된 카테터 팁(5) 또한 카테터(3) 방향으로 후퇴하는 힘이 가해진다. 이 경우, 이너 튜브(351)의 내경이 하단 브러쉬링(57)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카테터 팁(5)은 이너 튜브(351) 내측으로 인입되지 못하고 생검부(53)가 이너 튜브(351)에 의해서 캡(513) 방향으로 가압된다. 생검부(53)가 가압되면 얇은 판재 형상의 브러쉬살(531)이 수축하여 펼쳐짐에 따라 생검부(53)가 활성화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생검이 완료된 후 카테터(3)로부터 카테터 팁(5)을 분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카테터 팁(5)의 조작은 겸자(37)가 연결된 와이어(375)를 전진시키도록 진퇴 조작부(31)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375)가 전진되면 겸자(37)가 이너 튜브(351) 밖으로 노출된다. 겸자(37)가 이너 튜브(351) 밖으로 노출되면 탄성 복원으로 겸자(37)의 집게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며 체결부(55)가 분리된다. 이로써 복잡한 조작 없이 카테터 팁(5)을 즉시 채취 용기(7)에 회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을 나타낸다. 도 7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6에서 전술한 카테터 팁(5)에 브러쉬 수축 부재(54)가 추가로 구비된 점에 차이가 있다. 카테터 팁(5')은 도 1 내지 6에서 전술한 카테터 팁(5)의 복원력을 향상시킨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카테터 팁(5')은 브러쉬관(51), 생검부(53), 체결부(55), 브러쉬 수축 부재(54), 하단 브러쉬링(57), 및 상단 브러쉬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브러쉬관(51)은 상단에 단차를 갖는 캡(513)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생검 브러쉬의 종축이 될 수 있다. 캡(513)의 단부는 돔 형상을 이루고, 캡의 내경은 브러쉬관(51)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됨에 따라 브러쉬관(51)은 상단에 단차가 형성된다. 본 구조적 특징은 후술하게 될 브러쉬살(531)의 용이한 결합을 위함이다.
브러쉬관(51)은 카테터(3)의 겸자(37)가 체결되는 체결부(55)가 하단에 형성되고, 카테터(3)의 겸자(37)가 체결부(55)를 통한 파지 조작으로 생검이 완료된 카테터 팁(5)가 분리되어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체결부(55)는 브러쉬관(51)의 하단부(511)로부터 연장 형성된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로, 체결부(55)는 중앙 단면에 관통된 체결홈(551)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체결부(55)는 겸자(37)와 탈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겸자(37)가 단부가 맞물리는 집게 형상으로 예시된 바, 겸자(37)의 집게가 체결부(55)의 체결홈(551)을 통해 맞물려 파지하는 방식으로 탈착 구조를 예시하였다.
생검부(53)는 브러쉬관(51)을 피복하도록 브러쉬관(51)에 체결되며, 브러쉬관(51)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이 가압됨에 따라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이 마련될 수 있다. 브러쉬관(51)은 카테터(3)의 이너 튜브(351)가 전진하여 생검부(53)의 하단을 가압함에 따라 브러쉬살(531)을 타원형으로 팽창시키고, 팽창된 브러쉬살(531)은 종축 방향으로 회동 조작되어 위 내벽의 균을 채취하게 된다.
생검부(53)는 조립 결합을 고려하여, 반 타원형의 한 쌍(53a)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생검부(53)는 소정의 탄성으로 휘어질 수 있는 브러쉬살(531)이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창살 형상을 갖는다. 카테터(3)의 조작으로 생검부(53)를 활성시키기 전의 브러쉬살(531)은 외곽 튜브(353) 내에 수용됨에 따라, 캡(513)의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브러쉬관(51)을 피복한 단순 원통 형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로, 브러쉬살(531)은 판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브러쉬살(531)은 원형 단면의 와이어가 아니며, 소정의 폭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임에 주목한다. 이는 브러쉬살(531)이 타원형으로 팽창시 접선 방향으로 맞닿게 되는 목표 조직에 충분한 강성이 실려야 하기 때문이다. 브러쉬살(531)이 원형의 와이어로 구현될 경우, 생검부(53)가 회전되어 조직을 쓸어내리듯 브러싱 할 때, 조직과의 마찰이 강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점막층과 점막층에 부착된 점액층(mucus)에 브러쉬살(531)이 충분히 침투되지 못한다.
반면, 판재의 라인 구조로 브러쉬살(531)이 제공되는 경우 브러쉬살(531)의 측방향으로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살(531)의 구조는 목표 조직의 브러싱 과정에서 브러쉬살(531)이 조직을 뜯어내거나 상처 입히지는 않으면서 점액층에 침투하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캡(513)까지 끼움 삽입되어 브러쉬관(51)의 외면으로부터 생검부(53)가 끼워지는 틈(561)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상단 브러쉬링(56)은 브러쉬관(51)의 상단부 캡(513)의 외경과 일치되는 외경을 갖는다. 생검부(53)는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이 상단 브러쉬링(56)이 형성한 틈(561)에 끼움되어 브러쉬살(531)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 경우, 브러쉬살(531)의 상단이 상단 브러쉬링(56) 내측으로 고정됨에 따라 브러쉬살(531)의 수축을 위한 고정단이 형성된다.
하단 브러쉬링(57)은 브러쉬관(51)에 체결된 생검부(53)에 끼움되어 복수개의 브러쉬살(531)의 하단을 패킹할 수 있다. 하단 브러쉬링(57)은 브러쉬살(531)의 하단에 패킹 결합되어 이너 튜브(351)가 브러쉬살(531)을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살(531)에 종방향의 팽창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검부(53)는 종방향의 압축 외력으로 브러쉬살(531)이 팽창되고, 종방향의 팽창 외력으로 브러쉬살(531)이 복귀된다. 종방향이란 브러쉬관(51)의 길이 방향을 의미한다. 종방향의 압축 외력이란, 종방향의 위 아래로 압축시키는 외력을 의미한다. 종방향의 팽창 외력이란, 종방향의 위 아래로 확장시키는 외력을 의미한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생검 후 브러쉬관(51)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브러쉬살(531)을 압축할 때, 압축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브러쉬살(531)이 복귀되는 팽창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검 브러쉬(5‘는 브러쉬살(531)이 이너 튜브(351)와 함께 외곽 튜브(353)로부터 토출된 후, 이너 튜브(351)가 더욱 전진되어 브러쉬살(531)을 압축시킴에 따라 팽창하여 조직 채취가 이루어진다. 조직 재취 후, 브러쉬살(531)은 외곽 튜브(353)의 내측으로 인입되어야 체내로부터 회수가 가능하다. 이 경우, 외곽 튜브(353)의 내경보다 팽창된 브러쉬살(351)의 횡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브러쉬살(351)을 수축시켜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이너 튜브(351)를 후퇴함에 따라 외곽 튜브(353)의 가압력으로 브러쉬살(351)이 복귀되어야 하는 구조적 메커니즘을 갖는다. 그러나, 팽창된 브러쉬살(351)을 외곽 튜브(353)의 가압력만으로 복귀시키는 것은 상당한 인입력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시술자가 아무리 강하게 카테터를 당기더라도 브러쉬살(351)이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인입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외곽 튜브(353)의 내측으로 브러쉬살(531)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외곽 튜브(353)가 팽창된 브러쉬살(531)의 외주면을 가압할 때, 브러쉬살(531)이 종방향의 위-아래로 벌어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팽창된 브러쉬살(531)이 압축될 때, 그 압축력을 보조하는 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관(51)을 피복하도록 관입되어 상기 브러쉬살의 내측으로 마련될 수 있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살(531)의 내측 상단과 내측 하단을 가압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살(531)이 압축되어 팽창할 때, 함께 압축되는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된다.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살(531)의 내측 및 상단 브러쉬링(56)과 하단 브러쉬링(57) 사이에서 브러쉬관(51)에 끼워질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을 포함한 생검 카테터 키트(1')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생검 카테터 키트(1')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카테터 팁(5'), 카테터 팁(5')이 수용되는 채취 용기(7); 및 카테터(3)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터(3)는 도 1에서 전술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팁(5')의 복귀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너 튜브(351)가 후퇴 할때부터 브러쉬 수축 부재(54)가 브러쉬살(531)을 종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팽창 외력을 제공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러쉬 수축 부재(54) 만의 종방향 팽창 외력이 브러쉬살(531)을 복귀시키기에 충분치 않다고 하더라도, 카테터 팁(5')이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외곽 튜브(353) 또한 브러쉬살(531)을 가압하여 브러쉬 수축 부재(54)와 함께 브러쉬살(531)을 복귀시키므로 카테터 팁(5')은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생검부(5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생검부(53)는 복수개의 브러쉬 살(531) 중 일부의 브러쉬 살이 중간에 개구된 채취살(533)이 포함될 수 있다. 채취살(533)은 브러쉬 살(531)의 중앙부 마디살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채취살(533)은 중앙 마디가 개구됨에 따라 2개의 자유단이 형성되며, 채취살(533)의 자유단은 생검부(53)의 롤링시 보다 확실히 조직을 채취할 수 있다.
도 12는 생검부(5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생검부(53)의 브러쉬살(534)은 종축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살 몸체에 폭 방향으로 돌출된 채취살(5341)이 형성될 수 있다. 채취살(5341)은 브러쉬살(534)의 수축시 팽창 부피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브러쉬살(534)의 양측에 서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취살(5341)은 생검부(53)의 롤링시 조직에 직접 침습하여 브러쉬살(5341)의 강성이 약하더라도 생검용 조직을 무리없이 채취할 수 있다.
도 13은 브러쉬 수축 부재(5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생검 후 브러쉬관(51)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브러쉬살(531)을 복귀할 때,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브러쉬살(531)에 복귀 외력을 종방향으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브러쉬살(531)의 양 원위단부에 내측으로 결합되어 브러쉬살(531)의 길이방향으로 펴짐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 판재(541)일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54)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탄성 판재(541)로 제공되는 브러쉬 수축 부재(54)는 생검부(53)를 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판재(541)의 복원력으로 브러쉬 살(531)의 양 날개가 접혀지도록 보조하여 생검부(53)를 복귀시킨다.
도 15는 브러쉬 수축 부재(5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543)는 생검 후 브러쉬관(51)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353)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브러쉬살(531)을 복귀할 때,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브러쉬살(531)에 복귀 외력을 횡방향으로 제공하는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브러쉬 수축 부재(543)는 브러쉬살(531)의 횡축을 기준으로 브러쉬살(531) 내측으로 에둘러지도록 마련된 탄성 소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탄성 소재는 수축력을 갖는 고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 수축 부재(543)는 브러쉬살(531)의 내측 중앙부에 접합되는 고무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브러쉬 수축 부재(543)는 브러쉬살(531)의 팽창시 고무링이 확장되어 수축력이 발생됨에 따라, 생검부(53)의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고무링의 수축력이 브러쉬살(531)의 복귀 외력을 보조하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생검 카테터 키트 3: 카테터
31: 진퇴 조작부 33: 회전 조작부
34: 튜브 조작부 35: 다단 튜브
351: 이너 튜브 353: 외곽 튜브
37: 겸자 375: 후단부
371: 와이어 5, 5‘생검 브러쉬
54, 541, 543: 브러쉬 수축 부재
51: 브러쉬관 511: 하단부
513: 상단부, 캡 53: 생검부
531, 534: 브러쉬살 533 ,5341: 채취살
55: 체결부 551: 체결홈
57: 하단 브러쉬링 56: 상단 브러쉬링
561: 틈 7: 채취 용기
31: 진퇴 조작부 33: 회전 조작부
34: 튜브 조작부 35: 다단 튜브
351: 이너 튜브 353: 외곽 튜브
37: 겸자 375: 후단부
371: 와이어 5, 5‘생검 브러쉬
54, 541, 543: 브러쉬 수축 부재
51: 브러쉬관 511: 하단부
513: 상단부, 캡 53: 생검부
531, 534: 브러쉬살 533 ,5341: 채취살
55: 체결부 551: 체결홈
57: 하단 브러쉬링 56: 상단 브러쉬링
561: 틈 7: 채취 용기
Claims (13)
-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팁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카테터의 튜브로부터 토출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 및
상기 브러쉬살의 복귀 외력을 제공하는 브러쉬 수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생검 후 상기 브러쉬관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상기 브러쉬살을 복귀할 때,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살에 복귀 외력을 종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관은,
카테터의 이너 튜브가 전진하여 상기 생검부의 하단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브러쉬살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이 발생되어 상기 브러쉬살을 타원형으로 팽창시키고, 팽창된 상기 브러쉬살은 종축을 기준으로 회동 조작되어 조직 내의 균을 채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관입되어 상기 브러쉬살의 내측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상기 브러쉬살의 내측 상단과 내측 하단을 가압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생검 후 상기 브러쉬관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상기 브러쉬살을 복귀할 때,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살에 복귀 외력을 횡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상기 브러쉬살의 횡축을 기준으로 상기 브러쉬살 내측으로 에둘러지도록 마련된 탄성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살은,
종축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살 몸체에 폭 방향으로 돌출된 채취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팁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과,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상기 브러쉬관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와, 상기 브러쉬살의 복귀 외력을 제공하는 브러쉬 수축 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 팁;
상기 카테터 팁이 수용되는 채취 용기; 및
체내에 삽입되는 튜브가 다중 구조로 형성되고, 최내측의 이너 튜브 안에서 상기 카테터 팁을 파지하는 겸자가 구비되며, 상기 겸자가 상기 카테터 팁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 튜브 내측으로 후퇴됨에 따라 상기 이너 튜브가 상기 생검부의 하단에 외력을 가하는 카테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키트.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관은,
상기 카테터의 겸자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카테터의 겸자가 상기 체결부를 통한 파지 조작으로 생검이 완료된 카테터 팁이 탈거되어 회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튜브는,
경도를 갖는 강성 소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겸자는,
탄성을 갖는 'V'자 형상의 집게로 제공되며,
상기 카테터의 조작으로 후단부가 상기 이너 튜브 내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집게가 가압되어 상기 카테터 팁을 파지하고, 상기 이너 튜브로부터 토출됨에 따라 상기 집게가 탄성 복원되어 상기 카테터 팁을 탈거함으로써,
생검 시술 직후 상기 카테터 팁을 상기 카테터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채취 용기에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소정의 길이로 신장되어 팁의 종축이 되는 브러쉬관;
상기 브러쉬관을 피복하도록 상기 브러쉬관에 체결되며, 상기 브러쉬관에 종방향의 압축 외력으로 팽창되는 복수개의 브러쉬살이 마련되는 생검부; 및
상기 브러쉬살의 복귀 외력을 제공하는 브러쉬 수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 수축 부재는,
생검 후 상기 브러쉬관이 후퇴되어 카테터의 외곽 튜브 내측으로 관입됨에 따라 팽창된 상기 브러쉬살을 복귀할 때, 복귀력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브러쉬살에 복귀 외력을 종방향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검용 카테터 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005A KR102157147B1 (ko) | 2018-07-27 | 2018-07-27 |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005A KR102157147B1 (ko) | 2018-07-27 | 2018-07-27 |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2559A KR20200012559A (ko) | 2020-02-05 |
KR102157147B1 true KR102157147B1 (ko) | 2020-09-18 |
Family
ID=6951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8005A KR102157147B1 (ko) | 2018-07-27 | 2018-07-27 |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714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573B1 (ko) | 2020-02-27 | 2021-09-16 |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 생검용 브러쉬 키트 |
KR102353604B1 (ko) | 2020-02-28 | 2022-01-21 |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 하이브리드 괄약근 절개기 |
CN111388020A (zh) * | 2020-04-28 | 2020-07-10 | 欧阳磊 | 咽拭子采集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13918A (ja) * | 2009-03-17 | 2010-09-30 | Olympus Corp | 結石採石具 |
JP2014522272A (ja) * | 2011-05-26 | 2014-09-04 | エーディーエヌ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 気道消化系身体管腔からの組織採取用の拡張可能デバイス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336538A (ja) * | 1995-06-12 | 1996-12-24 | Olympus Optical Co Ltd | 生体操作器具 |
JP2005021346A (ja) | 2003-07-01 | 2005-01-27 | Olympus Corp | 内視鏡用鉗子 |
-
2018
- 2018-07-27 KR KR1020180088005A patent/KR102157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13918A (ja) * | 2009-03-17 | 2010-09-30 | Olympus Corp | 結石採石具 |
JP2014522272A (ja) * | 2011-05-26 | 2014-09-04 | エーディーエヌ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エルエルシー | 気道消化系身体管腔からの組織採取用の拡張可能デバイ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2559A (ko) | 2020-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8971B2 (en) | Endoscopic multiple biopsy forceps with swing member | |
US20150289859A1 (en) | Endoscopes having multiple lumens for tissue acquisition and removal and related methods of use | |
US5762069A (en) | Multiple sample biopsy forceps | |
US6517551B1 (en) | Intravascular foreign object retrieval catheter | |
KR102157147B1 (ko) | 생검용 카테터 팁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
US6648897B2 (en) | Flexible vacuum grabber for holding lesions | |
EP2124766B1 (en) | Two-stage snare-basket medical device | |
US6419640B1 (en) | Multiple-specimen, endoscopic biopsy forceps | |
US20130317529A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metabolic surgery | |
US20130131688A1 (en) | Two-stage snare-basket medical device | |
US20060084885A1 (en) | Endoscopic multiple biopsy forceps with swing member | |
US20100301098A1 (en) |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perforing a resection | |
US20090270789A1 (en) | Suction dome for atraumatically grasping or manipulating tissue | |
KR20060083414A (ko) | 내시경 기구용 슬리브 | |
JPH09503404A (ja) | 多数生検用検体の採取装置 | |
JPH11226024A (ja) | 内視鏡用処置具 | |
US20140100423A1 (en) | Endoscopic full thickness resection using surgical compression clips | |
JPH0538342A (ja) | カテーテル装置 | |
JP6928080B2 (ja) | 医療システム | |
WO2006028266A1 (ja) | 残留物回収装置 | |
KR102116515B1 (ko) | 생검 브러쉬 및 이를 포함하는 생검 카테터 키트 | |
US20100204610A1 (en) | Medical Device for Biopsies | |
CN111407327B (zh) | 一种消化内镜下异物取出爪 | |
JP4132343B2 (ja) | 生検鉗子 | |
WO1999007288A1 (en) | Multiple sample biopsy force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