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69B1 -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69B1
KR102350469B1 KR1020190114792A KR20190114792A KR102350469B1 KR 102350469 B1 KR102350469 B1 KR 102350469B1 KR 1020190114792 A KR1020190114792 A KR 1020190114792A KR 20190114792 A KR20190114792 A KR 20190114792A KR 102350469 B1 KR102350469 B1 KR 102350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fine
glare film
fine particle
light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616A (ko
Inventor
이한나
서정현
장영래
김재영
송인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055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JP7187096B2/ja
Priority to US16/964,374 priority patent/US11945969B2/en
Priority to CN201980007803.0A priority patent/CN111601710B/zh
Priority to PCT/KR2019/012164 priority patent/WO2020060239A1/ko
Priority to EP19862127.8A priority patent/EP3715111B1/en
Publication of KR2020003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1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9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adapted to provide an additional optical effect, e.g. anti-reflection or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2Mixture of at least two particl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특정 반사 강도 비율(R)을 갖는 눈부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18년 9월 21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8-0114409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들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이 대면적화 고해상도 쪽으로 발전하면서 적용 제품이 TV, 모니터, 모바일 등 가정용 및 사무실 용에서 옥외 광고판, 전광판 등 대면적 디스플레이로 발전하고 있다. LCD나 PDP, OLED, 후사 투영(Rear-projection) TV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는 자연광 등의 외부 빛에 노출될 경우, 표면 반사광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눈에 피로감을 주거나 두통을 유발하기도 하며,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이미지가 선명한 상으로서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의 광을 표면에서 산란시키거나, 코팅막을 형성하는 수지와 미립자 간의 굴절율을 이용하여 내부 산란을 유도하기 위한 눈부심 방지 필름(Anti-Glare Film)을 적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표시 장치 등의 표면에 적용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은 눈부심 방지 효과뿐 아니라, 고 선명성과 고 명암비 또한 요구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헤이즈 값이 높을수록 외부광의 확산 정도가 커져 눈부심 방지 효과가 좋지만, 표면의 산란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 현상과 내부 산란에 의한 백화 현상으로 명암비(contrast ratio)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선명도 및 명암비를 높이는 경우 눈부심 방지 특성이 떨어지고, 눈부심 방지 특성을 높이는 경우 상 선명도 및 명암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와 같은 특성을 어떻게 제어하는가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용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sparkling)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의 반사 강도 비율(R)이 0.6 내지 1%인, 눈부심 방지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식 1]
반사 강도 비율(R) = (R1/R2) Х 100
상기 식 1에서,
R1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고,
R2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Meth)acrylate]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광경화성 수지는 빛의 조사에 의해, 예를 들어 가시 광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중합된 고분자 수지를 통칭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하기 식 1의 반사 강도 비율(R)이 0.6 내지 1%인 눈부심 방지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식 1]
반사 강도 비율(R) = (R1/R2) Х 100
상기 식 1에서,
R1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고,
R2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무기 미립자를 통하여 빛의 산란 효과를 유도하면서도, 특정 반사 강도 비율(R)을 갖게 하여,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외부광, 예를 들어, 램프를 비추었을 때 램프 상이 맺히지 않아 램프의 상이 또렷하게 시인되지 않으면서, 전체 빛 퍼짐이 적어 램프의 잔상 또한 시인되지 않는 시감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의 하기 식 1의 반사 강도 비율(R)은 0.6 내지 1%, 0.6 내지 0.9%, 또는 0.65 내지 0.8%일 수 있다.
[식 1]
반사 강도 비율(R) = (R1/R2) Х 100
상기 반사 강도 비율은 상기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 측정된 반사 강도 값(R2)에 대한, 상기 하드 코팅층에 대해 측정된 반사 강도 값(R1)을 백분율로 계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강도는 측정 대상에 대해 면의 법선으로부터 45°의 각도에서 가시광도를 조사하면,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일부 광이 확산된다. 이때, 정반사 방향에 있어서의 광의 강도가 반사 강도로 정의된다. 또한, 이면 반사를 억제하고, 실 사용시의 조건에 맞추기 위하여, 측정 대상의 이면에는 비투광성 기재를 첩부한다.
상기 비투광성 기재는 광투과도가 대략 0%인 가시광선 등의 광이 전혀 투과되지 않는 기재로, 예를 들어, 흑(黑)아크릴판, 흑마분지, 또는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필름으로는, 예들 들어,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의 R1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하드 코팅층에 대향하도록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요철이나 휨이 없는 평탄한 비투광성 기재를 첩부한다. 이후, 하드 코팅층 면에 대하여 면의 법선으로부터 45°의 각도에서 광속을 입사하고,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반사 강도(R1)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의 R2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는 광투과성 기재만을 준비하고,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비투광성 기재를 첩부한다. 이후, 상기 비투광성 기재가 첩부되지 않은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대하여, 면의 법선으로부터 45°의 각도에서 광속을 입사하고,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반사 강도(R2)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이 0.6% 미만이면 램프를 비추었을 때 램프 상이 맺히지는 않으나 빛 퍼짐 정도가 커 램프가 뿌옇게 시인되어 화면의 시인성이 좋지 않을 수 있고, 1% 초과하면 램프를 비추었을 때 램프 상이 맺혀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갖는 반사 강도 비율(R)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평균 입경이 상이한 3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평균 입경, 이들 간의 평균 입경 차이, 상기 무기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 분율, 하드코팅층에 형성된 요철들의 평균 높이, 하드코팅층에 형성된 요철들의 높이 편차 등으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헤이즈 값이 높을수록 외부광의 확산 정도가 커져, 눈부심 방지 효과가 탁월한 반면, 표면의 산란에 의한 이미지의 왜곡 현상과 내부 산란에 의한 백화 현상으로 명암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이에 반해, 상기 구현예의 눈부심 방지 필름은 그리 높지 않은 헤이즈 값을 가지면서도, 내부 및 외부 헤이즈의 비율을 제어하여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낼 수 있고, 아울러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갖는 내부 헤이즈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0.5 내지 2, 0.8 내지 1.8, 0.8 내지 1.6일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갖는 내부 헤이즈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평균 입경이 상이한 3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평균 입경, 이들 간의 평균 입경 차이, 상기 무기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 분율,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평균 1차 입경이 1 내지 10 ㎛인 제3 무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이 등으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갖는 내부 헤이즈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0.5 미만이면 방현 시감이 부족하여 눈부심 방지 효과가 저하되며, 커버 글라스 하부에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위치하는 경우 하드 코팅층에 형성된 외부 요철에 의한 ANR(Anti-Newton Ring) 효과가 저하되어 간섭무늬가 발생하여 광학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2 초과하면 외부 헤이즈가 높아져 외부 요철에 의한 스파클링 현상이 심해지고 상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은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10 내지 30, 14 내지 30, 또는 18 내지 25일 수 있다.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 상기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평균 입경이 상이한 3종 이상의 무기 미립자/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평균 입경, 이들 간의 평균 입경 차이, 상기 무기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 분율 등으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반사 강도 비율(R)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10 미만이면 빛 반사가 커져 눈부심 방지 효과가 없고, 커버 글라스 하부에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위치하는 경우 하드 코팅층에 형성된 외부 요철에 의한 ANR(Anti-Newton Ring) 효과가 저하되어 간섭무늬가 발생하여 광학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30 초과하면 외부 광에 대한 빛 퍼짐이 심해 화면의 시인성이 저하되고, 외부 요철에 의한 스파클링 현상이 심해지고, 상선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10㎛ 또는 2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가 1㎛ 미만이면 원하는 딱딱함(경도)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10㎛ 초과하면 하드 코팅층 형성 시 수지를 경화시키는 과정에서 컬(curl)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절단한 단면을 SEM(주사 전자 현미경: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관찰하고, 하드 코팅층의 바인더부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한편, 두께 측정기(TESA 주식회사 제품)를 이용해서 측정한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전체의 두께로부터, 하드 코팅층의 산술 평균 거칠음(roughness) Ra를 빼는 수법에 의해 구한 두께가 상기 SEM 관찰에 의해 구한 바인더부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이 수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 개개의 유기 또는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으로부터 돌출되어 요철 형상이 형성되는 것과 달리, 상기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층은, 상기 무기 미립자가 면내 방향으로 응집되어 형성된 무기 미립자 응집체가 하나의 볼록부(凸部)가 되어, 하드 코팅층 표면의 미세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 표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됨으로 인하여,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드 코팅층에 3종 이상의 상이한 무기 미립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2㎛인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평균 입경이 3 내지 5㎛인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평균 1차 입경이 1 내지 10 ㎛인 제3 무기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제1 무기 미립자와 제2 무기 미립자가 하드 코팅층의 면내 방향으로 각각 응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층의 면내 방향으로 각각 응집된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로 인해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는 상기 하드 코팅층 내에서 응집되어 있지 않은 무기 미립자로서,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하드 코팅층의 내부 헤이즈를 특정 범위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하드 코팅층이 평균 입경이 1 내지 2㎛인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평균 입경이 3 내지 5㎛인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평균 1차 입경이 1 내지 10 ㎛인 제3 무기 미립자가 모두 포함됨으로 인해, 상기 반사 강도 비율, 상기 반사강도 비율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 및 상기 내부 헤이즈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특정 비율을 만족할 수 있으며, 나아가,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드코팅층이 평균 입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만을 포함하는 경우 램프 상이 맺혀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고, 평균 입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만을 포함하는 경우 램프 상은 맺히지 않으나 빛 퍼짐 정도가 커 램프가 뿌옇게 시인되어 화면의 시인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에 대한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평균 입경 비율은 1.5 내지 4, 2 내지 3.5 또는 2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입경 비율이 1.5 미만이면 표면 요철의 크기가 작아 램프 상이 맺혀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고, 4 초과하면 빛 퍼짐 정도가 커 램프가 뿌옇게 시인되어 화면의 시인성이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스파클링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중량비는 1: 4 내지 7일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중량비가 1:4 미만이면 표면 요철의 크기가 작아 램프 상이 맺혀 눈부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1:7 초과하면 빛 퍼짐 정도가 커 램프가 뿌옇게 시인되어 화면의 시인성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제1 무기 미립자가 포도송이 모양 등으로 연결된 응집체이고, 상기 제 2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제2 무기 미립자가 포도송이 모양 등으로 연결된 응집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및 제2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50nm 이하 또는 10 내지 15nm일 수 있고, 이들이 연결된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빛의 산란이 적어 내부 헤이즈를 유발시키지 않고,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배향해 요철을 형성하여 외부 헤이즈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는 500 내지 600nm의 파장 기준 1.400 내지 1.480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에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를 포함함으로 인해,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는 하드 코팅층 내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해 눈부심 방지 필름의 헤이즈를 특정 범위로 구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무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이는 0.2 내지 1.0 또는 0.4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3 무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이가 0.2 미만이면 적절한 헤이즈를 구현하기 위해 다량의 입자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상선명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0 초과하면 백탁도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굴절률의 기준은 500 내지 600nm의 파장일 수 있다.
종래에는 내부 헤이즈를 구현하기 위하여 유기 입자, 예를 들어, PMMA-PS 공중합체 입자 등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높은 내부 헤이즈를 구현하기 위해 유기 입자를 과량으로 사용해야 하며, 이로 인해 필름 외부에 유기입자가 드러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의 하드 코팅층에 포함되는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는, 무기 미립자 자체의 내스크래치성으로 인해, 종래 유기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3 무기 미립자의 함량은 30 내지 80 중량부, 40 내지 75 중량부 또는 50 내지 7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제3 무기 미립자가 30 중량부 미만이면 적정 두께에서 충분한 내부 헤이즈를 구현하기 어렵고, 80 중량부 초과하면 적정 두께에서 내부 헤이즈가 높아져 블랙감이 저하되고 콘트라스트 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무기 미립자는 구형, 타원 구형, 막대형 또는 부정형 등의 입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막대형이나 무정형인 경우, 가장 큰 차원의 길이가 상기 범위의 입경 등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무기 미립자 등의 평균 입경은, 예를 들면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원심 침강법, FFF(Field Flow Fractionation)법, 세공(細孔) 전기 저항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가 있다.
상기 무기 미립자의 구체적인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무기 미립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리카, 이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주석 미립자의 응집체일 수 있으며, 제3 무기 미립자는 폴리실세스퀴옥산 미립자,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지 구조의 실세스퀴옥산(POSS;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미립자일 수 있다.
특히, 특정 내부 헤이즈를 구현하기 위하여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무기 미립자, 구체적으로 제3 무기 미립자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의 내스크래치성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제3 무기 미립자 2 내지 10중량부, 3 내지 8중량부, 또는 4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 대비 상기 제3 무기 미립자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 값이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하면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 값이 너무 커져 콘트라스트 비가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기를 1 이상, 또는 2 이상, 또는 3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 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폴리에톡시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사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이나, 또는 우레탄 변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사이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테르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덴드리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일 수 있다.
상기 비닐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비닐벤젠, 스티렌 또는 파라메틸스티렌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반응성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군;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하이드록시 펜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렌 프로필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롤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로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유래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광중합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를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eyer bar 등의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2 roll reverse 코팅법, vacuum slot die 코팅법, 2 roll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200 내지 400nm 파장의 자외선 또는 가시 광선을 조사할 수 있고, 조사시 노광량은 100 내지 4,000 mJ/㎠일 수 있다. 노광 시간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되는 노광 장치, 조사 광선의 파장 또는 노광량에 따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질소 대기 조건을 적용하기 위하여 질소 퍼징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투명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폴리에스테르(TPE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PA), 아라미드, 폴리에틸렌(P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술폰, 디아세틸 셀룰로오스, 폴리프로필렌(PP), 폴리 염화 비닐, 아크릴 수지(PMMA), 폴리카보네이트(PC), 에폭시 수지, 요소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일 수 있다.
종래 눈부심 방지 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기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상기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필름이 수분에 취약하여 특히, 옥외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경우 내구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이에, 내투습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기재로 이용하고 있으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복굴절로 인해 레인보우 불량을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일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에 포함된 광투과성 기재는 파장 400㎚ 내지 800㎚에서 측정되는 면내 위상차(Re)가 500mm 이하이거나, 5000nm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면내 위상차를 만족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을 광투광성 기재로 사용함으로 인해 가시광선의 간섭에 의한 레인보우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면내 위상차(Re)는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를 d, 면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x, 면내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라고 정의할 경우에, 하기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Re = (nx-ny)*d
또한, 상기 위상차 값은 절대값으로 양수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두께는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10 내지 3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막과 상기 편광막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막의 재료 및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 및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편광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막일 수 있다.
상기 편광막과 눈부심 방지 필름 사이에는 보호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COP(cycloolefin polymer)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TAC(triacetylcellulose)계 필름, COC(cycloolefin copolymer)계 필름, PNB(polynorbornene)계 필름 및 PET(polyethylene terephtalate)계 필름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시 단일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편광막과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수계 접착제 또는 비수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하여 합지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술한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발광 다이오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장치일 수 있다.
하나의 일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1쌍의 편광판; 상기 1쌍의 편광판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박막트랜지스터, 컬러필터 및 액정셀; 및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1쌍의 편광판 중에서 상대적으로 백라이트 유닛과 거리가 먼 편광판의 일면에 눈부심 방지 필름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관측자측 또는 백라이트측의 최외각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노트북용 디스플레이 장치, TV용 디스플레이 장치, 광고용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은 상기 노트북용 디스플레이 장치, TV용 디스플레이 장치, 광고용 대면적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각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눈부심 방지 필름과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며 높은 명암비 및 우수한 상선명도를 나타내면서도, 스파클링 불량, 램프의 상 맺힘과 빛 퍼짐을 방지되고, 내스크래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리적 특성 또한 우수한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1)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1-1) 제조예 1
바인더로 50중량부의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SK Entis 제품) 및 50중량부의 EB-1290(광경화형 지방족 우레탄 헥사아크릴레이트, SK Entis 제품)을 준비하고,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의 IRG184(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스위스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 제품), 50중량부의 톨루엔(용매), 50중량부의 MEK(용매, 메틸에틸케톤), 1.5중량부의 SS-50(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표면 처리 소수성 실리카 응집체, 평균 2차 입경 1~2㎛,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품), 6 중량부의 Acematt 3600(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실리카 응집체, 평균 2 차 입경 3~5 ㎛, 에보닉 데구사 제조), 및 5 중량부의 T145A(제3 무기 미립자, POSS(Silsesquioxane), 평균 1 차 입경 5 ㎛, 굴절률 1.42, Toshiba 제품)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예 1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제조예 2
바인더로 50중량부의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SK Entis 제품) 및 50중량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준비하고,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중량부의 IRG184(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스위스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 제품), 50중량부의 톨루엔(용매), 50중량부의 MEK(용매, 메틸에틸케톤), 1.5중량부의 SS-60(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표면 처리 소수성 실리카, 평균 2차 입경 1~2.2㎛,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품), 7중량부의 SS230(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실리카, 평균 2 차 입경 3~5 ㎛, S-켐텍 제조), 및 5.8 중량부의 T2000B(제3 무기 미립자, POSS(Silsesquioxane), 평균 1 차 입경 6 ㎛, 굴절률 1.42, Toshiba 제품)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예 1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3) 제조예 3
바인더로 50 중량부의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SK Entis 제품) 및 50 중량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준비하고, 상기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의 IRG184(개시제, 이르가큐어 184,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스위스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 제품), 50 중량부의 톨루엔(용매), 50 중량부의 MEK(용매, 메틸에틸케톤), 1.2 중량부의 SS-60(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표면 처리 소수성 실리카, 평균 2 차 입경 1~2.2 ㎛,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품), 6 중량부의 Acematt 3600(제 2 무기 미립자 응집체, 실리카 응집체, 평균 2 차 입경 3~5 ㎛, 에보닉 데구사 제조), 및 4 중량부의 T120 (제 3 무기 미립자, POSS(Silsesquioxane), 평균 1 차 입경 2 ㎛, 굴절률 1.42, Toshiba 제품)를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예 1 의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 제조예 4
1.5중량부의 SS-50, 6 중량부의 Acematt 3600, 및 5 중량부의 T145A 대신 17중량부의 평균 1차 입경이 5㎛인 PS-PMMA(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입자, 굴절률 1.555) 및 3.7중량부의 평균 1차 입경이 3.5 ㎛인 PS-PMMA(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입자, 굴절률 1.515)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 제조예 5
1.5중량부의 SS-50, 6 중량부의 Acematt 3600, 및 5 중량부의 T145A 대신 9.5중량부의 SS-50 및 15중량부의 평균 1차 입경이 5㎛인 PS-PMMA(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입자, 굴절률 1.555)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6) 제조예 6
1.5중량부의 SS-60, 7 중량부의 SS230, 및 5.8 중량부의 T2000B 대신 10 중량부의 T145A 및 10 중량부의 평균 1차 입경이 3.5 ㎛인 PS-PMMA(폴리스티렌-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입자, 굴절률 1.515)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7) 제조예 7
1.5중량부의 SS-50, 6 중량부의 Acematt 3600, 및 5 중량부의 T145A 대신 12 중량부의 Acematt 3600 및 10중량부의 T2000B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8) 제조예 8
1.5중량부의 SS-50, 6 중량부의 Acematt 3600, 및 5 중량부의 T145A 대신 10 중량부의 SS-50F(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표면 처리 소수성 실리카, 평균 2차 입경 1~2㎛, 토소·실리카 주식회사 제품) 및 15중량부의 T145A를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눈부심 방지 필름의 제조
이와 같이 얻어진 제조예 1 내지 8의 하드 코팅 조성물을 하기 표2의 광투광성 기재에 #10 meyer bar로 코팅하고 90℃에서 1분 건조하였다. 이러한 건조물에 150 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고 눈부심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하드 코팅층의 두께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하드 코팅층 두께(㎛) 5 5 5 5 5 7 6 6
광투광성 기재
(면내 위상차, 단위: nm)
SRF PET17 )
(Re>5000)
PET
(Re<500)
SRF PET
(Re>5000)
SRF PET
(Re>5000)
SRF PET
(Re>5000)
SRF PET
(Re>5000)
SRF PET
(Re>5000)
SRF PET
(Re>5000)
SRF PET: Super Retarder Film Polyethylene terephthalate, Toyobo 제품, 두께 2㎛
< 실험예 >
1. 투광도 및 내부/외부 헤이즈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필름으로부터 4cm Х 4cm의 시편을 준비하고 헤이즈 측정기(HM-150, A 광원, 무라카미社)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를 전체 헤이즈 값으로 산출하였다. 측정시, 투광도와 헤이즈는 동시에 측정되며, 투광도는 JIS K 7361 규격, 헤이즈는 JIS K 7136 규격에 의해 측정하였다.
내부 헤이즈 측정 시에는, 측정 대상 광학 필름의 코팅면에 전체 헤이즈가 0인 점착 필름을 붙여 표면의 요철을 평탄하게 만들어준 후, 위 전체 헤이즈와 동일 방법으로 내부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외부 헤이즈는 전체 헤이즈와 내부 헤이즈의 측정 값 차이를 계산한 값의 평균 값으로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반사 강도 비율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필름의 하드 코팅층에 대향하도록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요철이나 휨이 없는 평탄한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부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후, 시편을 고니오미터(GC5000L, 닛폰 전색 공업社)에 설치하고, 시편의 하드 코팅층 면에 대하여 면의 법선으로부터 45°의 각도에서 광속을 입사했다. 광속이 하드 코팅층 면에 입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반사 강도(R1)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상기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광투과성 기재, 구체적으로, 상기 표 2에 기재된 광투과성 기재를 준비했다. 상기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요철이나 휨이 없는 평탄한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부하여 시편을 준비하고, 상기 반사 강도(R1)를 측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사 강도(R2)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반사 강도 R1 및 R2를 하기 식 1에 대입하여, 반사 강도 비율(R)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반사 강도 비율(R) = (R1/R2) Х 100
3. 시감 (램프 상 맺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필름의 하드 코팅층에 대향하도록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요철이나 휨이 없는 평탄한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부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후, 2열의 램프를 가지는 형광 램프 조명을 광원으로 하여 각각의 눈부심 방지 필름에서의 정반사 방향으로부터 시야를 관찰하여 형광램프의 반사된 상의 이미지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시감을 측정하였다. 시감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양호: 램프 상이 관찰되지 않음
불량: 램프 상이 뚜렷이 보임.
4. 빛 퍼짐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필름의 하드 코팅층에 대향하도록 광투과성 기재의 일면에 요철이나 휨이 없는 평탄한 흑색 점착제가 도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첩부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후, 4mm 램프 사이즈의 빛을 20cm 높이에서 비추었을 때, 시편에 나타나는 상의 크기로 빛 퍼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빛 퍼짐 평가 기준은 상의 크기에 따라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가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5. 내스크래치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눈부심 방지 필름에 대하여 플란넬 코튼(Flannel Cotton)을 이용하여 500gf/㎠ 하중으로 50회 왕복하였을 때 표면에 스크레치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내스크래치성을 평가하였다. 내스크레치성의 평가 기준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양호: 스크래치 발생하지 않음
불량: 스크래치 발생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투광도 90.2 90.3 90.2 91.2  90.5 90.7 90.0  90.4 
내부 헤이즈 (%) 12.2 17 13 12 10 13 11 21
외부 헤이즈 (%) 16 15 15 14 15 7 23 15
외부 헤이즈/내부 헤이즈 1.31 0.88 1.15 1.17 1.5 0.54 2.09 0.71
반사 강도 비율 (%) 0.65 0.77 0.67 4.2  1.1 5.7 0.41  1.2
외부 헤이즈 /반사 강도 비율 24.62 19.48 22.39 3.33 13.64 1.23 56.10 12.5
시감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양호 불량
빛 퍼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내스크래치 양호 양호 양호 불량 불량 불량 양호 양호
상기 표 2에 따르면, 반사 강도 비율이 0.6 내지 1이고, 반사 강도 비율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10 내지 30이고, 외부 헤이즈에 대한 내부 헤이즈의 비율이 0.5 내지 2인 실시예 1 내지 3의 눈부심 방지 필름은 램프 상 맺힘 및 빛 퍼짐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스크래치성 또한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반면, 상술한 수치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5는 램프 상 맺힘이 발생하거나, 빛 퍼짐이 발생함을 확인했다.

Claims (16)

  1. 광투과성 기재; 및 바인더 수지와 상기 바인더 수지에 분산된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2㎛인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평균 입경이 3 내지 5㎛인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평균 1차 입경이 1 내지 10 ㎛인 제3 무기 미립자를 포함하고,
    하기 식 1의 반사 강도 비율(R)이 0.6 내지 1%인, 눈부심 방지 필름:
    [식 1]
    반사 강도 비율(R) = (R1/R2) Х 100
    상기 식 1에서,
    R1은 상기 하드 코팅층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고,
    R2는 상기 광투과성 기재에 대해 45°의 입사각에서 빛을 조사한 후, 입사각의 정반사에 해당하는 45°에서 측정된 반사 강도 값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갖는 반사 강도 비율(R)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10 내지 30인, 눈부심 방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 필름이 갖는 내부 헤이즈에 대한 외부 헤이즈의 비율이 0.5 내지 2인, 눈부심 방지 필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에 대한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평균 입경 비율은 1.5 내지 4배인, 눈부심 방지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제1 무기 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이고,
    상기 제 2무기 미립자 응집체는 제2 무기 미립자가 응집된 응집체고,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및 제2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50nm 이하인, 눈부심 방지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무기 미립자는 500 내지 600nm의 파장 기준 1.400 내지 1.480의 굴절율을 갖는, 눈부심 방지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무기 미립자와 상기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 차이는 0.2 내지 1.0인, 눈부심 방지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눈부심 방지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비닐계 단량체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제3 무기 미립자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기 미립자 응집체 및 제2 무기 미립자 응집체의 중량비는 1: 4 내지 7인, 눈부심 방지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파장 400 ㎚ 내지 800 ㎚에서 측정되는 면내 위상차(Re)가 500 nm 이하이거나, 5000 nm 이상인, 눈부심 방지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투과성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눈부심 방지 필름.
  15. 제1항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16. 제1항에 따른 눈부심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14792A 2018-09-21 2019-09-18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0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52660A JP7187096B2 (ja) 2018-09-21 2019-09-19 防眩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US16/964,374 US11945969B2 (en) 2018-09-21 2019-09-19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N201980007803.0A CN111601710B (zh) 2018-09-21 2019-09-19 防眩光膜、偏光板和显示装置
PCT/KR2019/012164 WO2020060239A1 (ko) 2018-09-21 2019-09-19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EP19862127.8A EP3715111B1 (en) 2018-09-21 2019-09-19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409 2018-09-21
KR20180114409 2018-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616A KR20200034616A (ko) 2020-03-31
KR102350469B1 true KR102350469B1 (ko) 2022-01-12

Family

ID=7000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92A KR102350469B1 (ko) 2018-09-21 2019-09-18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45969B2 (ko)
EP (1) EP3715111B1 (ko)
JP (1) JP7187096B2 (ko)
KR (1) KR102350469B1 (ko)
CN (1) CN111601710B (ko)
TW (1) TWI7651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377B1 (ko) * 2018-05-11 2021-10-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눈부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9334A (ja) 2012-09-14 2014-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112257A (ja) 2014-03-05 2014-06-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4025B2 (ja) * 2001-02-13 2007-11-07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4655414B2 (ja) 2001-06-06 2011-03-23 住友化学株式会社 防眩性光学フィルム
JP4155336B1 (ja) 2007-02-14 2008-09-24 ソニー株式会社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7567383B2 (en) 2007-02-14 2009-07-28 Sony Corporation Anti-glar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14624A (ko) * 2007-03-29 2010-02-10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방현층용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방현 필름
WO2008140108A1 (ja) 2007-05-09 2008-11-20 Sony Corporation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5547882B2 (ja) 2008-08-04 2014-07-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ィルム、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補償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493317B2 (ja) 2008-09-11 2014-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の外光の反射によるコントラスト低下防止方法
JP2010128108A (ja) 2008-11-26 2010-06-10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
CN103975258B (zh) * 2011-10-12 2018-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用防眩片
JP5910734B2 (ja) * 2012-05-09 2016-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56799B2 (ja) 2013-11-29 2020-03-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アンチニュートンリング積層体およびそのアンチニュートンリング積層体を用いた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JP2015206837A (ja) * 2014-04-17 2015-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628457B (zh) 2014-04-17 2018-07-0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防眩膜、偏光板、液晶面板以及影像顯示裝置
KR101888223B1 (ko) 2014-08-26 2018-08-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4729A1 (ja) * 2014-11-25 2016-06-02 東洋紡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
KR102018287B1 (ko) 2015-09-11 2019-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 방지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9105692A (ja) 2017-12-11 2019-06-27 株式会社ダイセル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9334A (ja) 2012-09-14 2014-04-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112257A (ja) 2014-03-05 2014-06-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01710A (zh) 2020-08-28
EP3715111A4 (en) 2021-01-27
JP7187096B2 (ja) 2022-12-12
TWI765177B (zh) 2022-05-21
US20210032478A1 (en) 2021-02-04
EP3715111A1 (en) 2020-09-30
JP2021507319A (ja) 2021-02-22
KR20200034616A (ko) 2020-03-31
EP3715111B1 (en) 2023-11-01
TW202015901A (zh) 2020-05-01
CN111601710B (zh) 2022-03-08
US11945969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31766A1 (ja) 防眩性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US20140002901A1 (en)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2520205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213804B2 (ja) 光学フィルム用基材、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081219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732396A (zh) 光學積層體、偏光板及顯示裝置
JP2013178534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567411B (zh) An optical film substrate, an optical film, a polarizing plate, a liquid crystal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20140002904A1 (en) Image display, anti-glar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US20140002899A1 (en) Method for producing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coating solutio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KR102350469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7134549B2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492778B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57550A (ja) 積層基材、積層体、偏光板、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10112651A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206188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US20230087678A1 (en)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WO2020060239A1 (ko) 눈부심 방지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126817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 적층체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