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66B1 - 클리어 파일 - Google Patents

클리어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66B1
KR102346966B1 KR1020150159490A KR20150159490A KR102346966B1 KR 102346966 B1 KR102346966 B1 KR 102346966B1 KR 1020150159490 A KR1020150159490 A KR 1020150159490A KR 20150159490 A KR20150159490 A KR 20150159490A KR 102346966 B1 KR102346966 B1 KR 10234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usion
groove
curved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184A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드림산업(주)
김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산업(주), 김재우 filed Critical 드림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5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66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4Covers with reten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 및 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 및, 복수 장이 적층되어 한 개의 단위 묶음을 형성하여 일측변이 상기 전면 융착부와 후면 융착부에 각각 융착되는 내부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융착부의 전면 융착 폭과 상기 후면 융착부의 후면 융착 폭은 상기 전면 굴곡부의 전면 굴곡 폭 및 상기 후면 굴곡부의 후면 굴곡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클리어 파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클리어 파일{clear file}
본 발명은 서류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복수의 내부 포켓이 커버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클리어 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리어 파일은 커버와 "ㅌ痔? 내부 포켓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커버의 내부에 내부 포켓이 융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 포켓은 두 장의 수지 필름이 상단부를 제외한 양측단부와 하단부가 융착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되어 봉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포켓은 일측단이 커버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부 포켓은 복수 개를 하나의 서브 묶음으로 되어 복수 개가 커버의 내측면에 분리되어 결합된다.
상기 내부 포켓에는 서류가 적어도 한 장씩 삽입되며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에 따라 두께가 점차로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클리어 파일은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할수록 내부 포켓이 융착되는 위치에서 가까운 부분에서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볼록해지므로 책꽃이에 삽입될 때 다른 클리어 파일과의 정렬이 어려우며 취급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증가되어 취급이 용이한 클리어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연결 커버를 중심으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에서 내부 포켓이 융착되는 부분의 커버가 부드럽게 굴곡될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가 보다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는 클리어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리어 파일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 및 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 및, 복수 장이 적층되어 한 개의 단위 묶음을 형성하여 일측변이 상기 전면 융착부와 후면 융착부에 각각 융착되는 내부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융착부의 전면 융착 폭과 상기 후면 융착부의 후면 융착 폭은 상기 전면 굴곡부의 전면 굴곡 폭 및 상기 후면 굴곡부의 후면 굴곡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의 경계에서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경계홈과,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의 경계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 경계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면 경계홈은 커버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면 경계홈은 1/5 ∼ 3/5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외면 경계홈과 평행하며, 상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되는 외면 굴곡홈과,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내면에서 상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되는 내면 굴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 굴곡홈은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내면 굴곡홈은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두께의 1/5 ∼ 3/5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커버는 상기 연결 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연결 커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면 경계홈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외면 중앙홈 및 상기 연결 커버의 내면에서 상기 연결 커버의 양측에 위치하는 내면 경계홈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내면 중앙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리어 파일은 복수 개의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증가되어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리어 파일은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연결 커버를 중심으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에서 내부 포켓이 융착되는 융착부와 내부 포켓이 융착되지 않는 굴곡부가 굴곡되어 부드럽게 곡면을 이루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리어 파일은 복수 개의 내부 포켓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에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에서 내부 포켓이 융착되는 융착부와 내부 포켓이 융착되지 않는 굴곡부가 내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굴곡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이 접혀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내부 포켓에 서류가 삽입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이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클리어 파일이 접혀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클리어 파일의 내부 포켓에 서류가 삽입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어 파일은,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커버(100) 및 내부 포켓(2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클리어 파일은 복수 개의 내부 포켓(200)이 적층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위 묶음(200a)이 외부 커버(100)의 내면에 대칭으로 융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리어 파일은 내부 포켓(200)에 삽입되는 서류의 장수가 증가하여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에도 두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증가된다. 한편 이하에서 내면은 내부 포켓(200)이 융착되는 면을 의미하며, 외면은 그 반대면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은 도 1에서 x 방향의 방향을 의미하며, 길이 방향은 도 1에서 y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커버(100)는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와 연결 커버(130)와 외면 경계홈(140)과 내면 경계홈(150)과 외면 굴곡홈(160) 및 내면 굴곡홈(17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 커버(100)는 외면 중앙홈(180) 및 내면 중앙홈(19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및 연결 커버(130)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커버(110)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포켓(200)에 삽입되는 일반적인 서류인 A4 용지보다 큰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110)는 내면에 융착되는 내부 포켓(200)의 단위 묶음(200a)의 개 수에 비례하여 폭이 증가된다. 상기 전면 커버(110)는 일반적인 클리어 파일에 사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10)는 연결 커버(130)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전면 평탄부(115)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내면에 1 개의 내부 포켓(200)의 단위 묶음(200a)이 융착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내부 포켓(200)에 서류가 삽입되어 클리어 파일의 두께가 증가되면 굴곡되는 영역이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적어도 1개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연결 커버(130)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전면 융착 폭(111a)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의 전면 융착 폭(111a)은 내부 포켓(200)이 융착되는데 필요한 적정한 폭으로 정해진다. 또한,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내부 포켓(200)의 융착 영역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융착부(111)는 전면 커버(110)에 융착되는 내부 포켓(200)의 단위 묶음(200a)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굴곡부(113)는 내부 포켓(200)에 서류가 삽입되어 클리어 파일의 두께가 증가되면 굴곡되는 영역이다. 상기 전면 굴곡부(113)는 전면 융착부(111)와 달리 내부 포켓(200)이 융착되지 않는 영역이다. 상기 전면 굴곡부(113)는 클리어 파일의 두께가 증가되면서 전면 융착부(111)가 굴곡될 때 전면 융착부(111)와 함께 굴곡되면서 전면 굴곡부(113)와 전면 평탄부(115)를 곡면으로 연결한다. 상기 전면 굴곡부(113)는 전면 융착부(111)의 개수보다 적어도 1개 많은 개수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면 융착부(111)가 2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전면 굴곡부(113)는 적어도 3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굴곡부(11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전면 굴곡 폭(113a)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굴곡부(113)의 전면 굴곡 폭(113a)은 전면 융착부(111)의 전면 융착 폭(111a)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 굴곡 폭(113a)이 전면 융착 폭(111a)보다 작은 경우에, 전면 굴곡부(113)는 단차지는 형상보다 부드럽게 연결되는 원호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평탄부(115)는 전면 굴곡부(113)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전면 커버(110)에서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를 제외한 영역에 해당한다. 상기 전면 평탄부(115)는 클리어 파일의 두께가 증가될 때 굴곡되지 않으면서 평탄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후면 커버(120)는 전면 커버(110)와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커버(120)는 전면 커버(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이 전면 커버(110)의 내면과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후면 커버(120)는 연결 커버(130)로부터 폭 방향을 따라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 및 후면 평탄부(125)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 및 후면 평탄부(125)는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전면 평탄부(115)와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융착부(1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후면 융착 폭(121a)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융착 폭(121a)은 전면 융착부(111)의 전면 융착 폭(111a)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면 굴곡부(12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후면 굴곡 폭(123a)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굴곡 폭(123a)은 전면 굴곡부(113)의 전면 굴곡 폭(113a)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면 융착부(121)의 후면 융착 폭(121a)은 후면 굴곡부(123)의 후면 굴곡 폭(123a)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커버(130)는 전면 커버(11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와 소정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커버(130)는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 커버(130)는 내부 포켓(200)의 단위 묶음(200a)의 개수에 비례하여 폭이 증가된다.
상기 외면 경계홈(140)은 전면 커버(110)와 연결 커버(130) 및 후면 커버(120)와 연결 커버(130)의 경계선을 따라 외부 커버(100)의 외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외면 경계홈(140)은 연결 커버(130)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외면 경계홈(140)은 외부 커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커버(10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경계홈(14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외부 커버(100)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경계홈(14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가 연결 커버(130)를 기준으로 원활하게 절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면 경계홈(14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외면 경계홈(140)에서의 외부 커버(10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질 수 있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전면 커버(110)와 연결 커버(130) 및 후면 커버(120)와 연결 커버(130)의 경계선을 따라 외부 커버(100)의 내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외부 커버(100)의 반대면에서 외면 경계홈(1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연결 커버(130)의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2개가 형성된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외부 커버(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부 커버(10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외부 커버(100)의 반대면에서 외면 경계홈(140)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외면 경계홈(140)이 깊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외부 커버(100) 두께의 1/5 ∼ 3/5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면 경계홈(150)은 외면 경계홈(140)의 깊이를 반영하여 외면 경계홈(140)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깊이가 조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면 경계홈(15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가 연결 커버(130)로부터 굴곡될 때 원활하게 굴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 경계홈(15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내면 경계홈(150)에서 외부 커버(10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 질 수 있다.
상기 외면 굴곡홈(160)은 전면 커버(110) 및 후면 커버(120)의 외면에서 외면 경계홈(140)과 평행하며,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외면 굴곡홈(160)은 외면 경계홈(140)으로부터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의 각각의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외면 굴곡홈(160)은 전면 커버(110)를 기준으로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굴곡홈(160)은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가 보다 용이하게 굴곡되도록 한다.
상기 외면 굴곡홈(16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전면 커버(110)의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굴곡홈(16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가 전면 융착부(111)와 후면 융착부(121)로부터 원활하게 굴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면 굴곡홈(16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외면 굴곡홈(160)에서의 외부 커버(10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 질 수 있다.
상기 내면 굴곡홈(170)은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의 내면에서 전면 융착부(111)와 전면 굴곡부(113) 및 후면 융착부(121)와 후면 굴곡부(123)의 경계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내면 굴곡홈(170)은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의 내면에서 외면 굴곡홈(160)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면 굴곡홈(17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외면 굴곡홈(160)의 깊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면 굴곡홈(170)은 전면 커버(110)의 두께의 1/5 ∼ 3/5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면 굴곡홈(170)은 외면 굴곡홈(160)의 깊이를 반영하여 외면 굴곡홈(160)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깊이가 조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면 굴곡홈(17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가 전면 융착부(111) 및 후면 융착부(121)로부터 굴곡될 때 원활하게 굴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 굴곡홈(17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내면 굴곡홈(170)에서 외부 커버(10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 질 수 있다.
상기 외면 중앙홈(180)은 연결 커버(130)의 외면에서 연결 커버(130)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면 경계홈(140)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외면 중앙홈(180)은 연결 커버(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 커버(130)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중앙홈(180)은 내부 포켓(200)에 서류가 삽입되지 않을 때 연결 커버(130)가 반으로 접히게 하여 클리어 파일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외면 중앙홈(18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연결 커버(130)의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외면 중앙홈(18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연결 커버(130)가 원활하게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면 중앙홈(18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외면 중앙홈(180)에서의 연결 커버(13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질 수 있다.
상기 내면 중앙홈(190)은 연결 커버(130)의 내면에서 연결 커버(130)의 양측에 위치하는 내면 경계홈(150)의 중간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내면 중앙홈(190)은 연결 커버(130)의 내면에서 외면 중앙홈(180)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면 중앙홈(190)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외면 중앙홈(180)의 깊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내면 중앙홈(190)은 연결 커버(130)의 두께의 1/5 ∼ 3/5의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면 중앙홈(190)은 외면 중앙홈(180)의 깊이를 반영하여 외면 중앙홈(180)으로 관통되지 않도록 깊이가 조절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면 중앙홈(190)의 깊이가 너무 얕으면 연결 커버(130)가 원활하게 접히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면 중앙홈(190)의 깊이가 너무 깊으면 내면 중앙홈(190)에서의 연결 커버(13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끊어 질 수 있다.
상기 내부 포켓(200)은 일반적인 클리어 파일에 사용되는 내부 포켓(200)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 포켓(2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 필름 두 장이 겹쳐지고 상변이 개방되고 나머지 변들이 서로 융착되어 포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포켓(200)은 복수 장이 적층되어 한 개의 단위 묶음(200a)을 형성한다. 상기 단위 묶음(200a)은 5장, 10장 또는 20장의 내부 포켓(200)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 포켓(200)의 단위 묶음(200a)은 각각 일측변이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의 전면 융착부(111)와 후면 융착부(121)에 융착된다. 이때, 상기 단위 묶음(200a)은 전면 커버(110)와 후면 커버(120)에 각각 융착되면서 융착 영역(210)이 형성된다. 상기 융착 영역(210)은 원형 형상 또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 영역(210)은 전면 융착부(111)와 후면 융착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100: 외부 커버 110: 전면 커버
120: 후면 모듈 130: 연결 커버
200: 내부 포켓

Claims (4)

  1.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전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 및 후면 평탄부를 구비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를 연결하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는 커버 및,
    복수 장이 적층되어 한 개의 단위 묶음을 형성하여 일측변이 상기 전면 융착부와 후면 융착부에 각각 융착되는 내부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융착부의 전면 융착 폭과 상기 후면 융착부의 후면 융착 폭은 상기 전면 굴곡부의 전면 굴곡 폭 및 상기 후면 굴곡부의 후면 굴곡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의 경계에서 상기 커버의 외면에 형성되는 외면 경계홈과, 상기 전면 커버와 연결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와 연결 커버의 경계에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면 경계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외면 경계홈은 커버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내면 경계홈은 1/5 ∼ 3/5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전면 커버 및 후면 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외면 경계홈과 평행하며, 상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되는 외면 굴곡홈과,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내면에서 상기 전면 융착부와 전면 굴곡부 및 후면 융착부와 후면 굴곡부의 경계에 각각 형성되는 내면 굴곡홈을 포함하며,
    상기 외면 굴곡홈은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두께의 1/2 ∼ 3/5의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내면 굴곡홈은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두께의 1/5 ∼ 3/5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버는
    상기 연결 커버의 외면에서 상기 연결 커버의 양측에 위치하는 외면 경계홈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외면 중앙홈 및
    상기 연결 커버의 내면에서 상기 연결 커버의 양측에 위치하는 내면 경계홈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내면 중앙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어 파일.
KR1020150159490A 2015-11-13 2015-11-13 클리어 파일 KR10234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90A KR102346966B1 (ko) 2015-11-13 2015-11-13 클리어 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90A KR102346966B1 (ko) 2015-11-13 2015-11-13 클리어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84A KR20170056184A (ko) 2017-05-23
KR102346966B1 true KR102346966B1 (ko) 2022-01-04

Family

ID=5905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490A KR102346966B1 (ko) 2015-11-13 2015-11-13 클리어 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9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308B2 (ja) 1994-11-04 2001-08-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円板周縁面検査装置
WO2008103808A2 (en) 2007-02-21 2008-08-28 Ideastream Consumer Products, Llc File folder
JP2013146955A (ja) 2012-01-20 2013-08-01 Kokuyo S&T Co Ltd 表紙体及びファイ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663Y2 (ko) * 1985-02-19 1990-04-26
JP3200308U (ja) * 2015-07-27 2015-10-15 株式会社美濃商会 取り出しガイド付きファイ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0308B2 (ja) 1994-11-04 2001-08-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円板周縁面検査装置
WO2008103808A2 (en) 2007-02-21 2008-08-28 Ideastream Consumer Products, Llc File folder
JP2013146955A (ja) 2012-01-20 2013-08-01 Kokuyo S&T Co Ltd 表紙体及びファ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184A (ko)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6311B2 (en) High capacity pocket file folder
EP1669212B1 (en) Book binding kit
US9290033B2 (en) File folder with multiple pockets
KR102346966B1 (ko) 클리어 파일
JP5633053B2 (ja) ファイル
WO2013125946A1 (en) Cover, coupling element and folder
JP3139076U (ja) クリアファイル
JP3165186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箱
US10946688B1 (en) Rigid paged book with interleaved book binding
JP3195637U (ja) クリアファイル
JP5830714B2 (ja) ファイル
JP2020040305A (ja) 書類ホルダ及び書類ホルダの製造方法
JP5391239B2 (ja) 図面折り具
JP5022432B2 (ja) ファ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22431B2 (ja) ファ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05669B2 (ja) ファイル及びファイルノート
KR200476166Y1 (ko) 바인더용 속지
KR200346885Y1 (ko) 서류 파일 구조
JP3186661U (ja) 手帳カバー
JP6152137B2 (ja) 表紙カバー体及び製造方法
JP3199235U (ja) ファイル
JP3191806U (ja) 折りたたみ式うちわ
JP2018043792A (ja) 包装用のスリーブ
EP1346848A1 (en) Dividing sheet for spiral notebook or ring binder
JP2020082379A (ja) 書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