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706B1 -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706B1
KR102345706B1 KR1020200020222A KR20200020222A KR102345706B1 KR 102345706 B1 KR102345706 B1 KR 102345706B1 KR 1020200020222 A KR1020200020222 A KR 1020200020222A KR 20200020222 A KR20200020222 A KR 20200020222A KR 102345706 B1 KR102345706 B1 KR 10234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ll
road
smartphone
unit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5583A (ko
Inventor
양관영
양범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엠하이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하이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하이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7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5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electronic rece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하이패스 단말기를 스마트폰 거치대로 제공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정산한 결과를 거치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 요금이 부족한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Toll Collection}
본 실시예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하이패스 시스템은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통행료 지불을 위해 정차하지 않고 주행중인 상태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통행료를 지불하는 전자요금 징수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국내에서는 하이패스 시스템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이하 '하이패스 시스템'이라 한다)이다. 최근 고속도로 통행 차량의 급격한 증가로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에서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정차하는 차량들로 인해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은 극심한 정체가 되고 있는 구간이다. 이러한 고속도로 톨게이트 부근의 교통혼잡을 해소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용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하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하이패스 단말기를 별도의 거치대에 거치한 후 차량 내부의 앞유리면 또는 대쉬보드에 부착하여 정차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요금을 지불하고 있다. 그러나 하이패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상당수의 이용자들은 차량 내부에 네비게이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수신기, 휴대폰 핸즈프리 셋(hands-free set), 스마트폰(smart-phone)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그 거치대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앞유리면 또는 대쉬보드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기들의 거치를 위해 사용되는 거치대들로 인하여 차량의 앞유리면 또는 대쉬보드가 혼잡해짐으로써 공간 활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무질서하게 흩어져 있는 단말기들과 거치대들로 인하여 차량 사고시 신체상의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를 거치대로서 제공하여, 유료도로 징수장치를 통과할 때,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정산한 결과를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 요금이 부족한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체결되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지지부; 상기 거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과 페어링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연동부; 상기 지지부 내측에 구비되어 유료도로에 위치한 하이패스 징수장치와 통신하여 도로 통행 요금을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통행 요금을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요금 정산부; 및 상기 지지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비용에 따라 기 저장된 충전 요금을 갱신하는 선불식 IC카드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전용 단말기를 거치대로서 제공하여, 유료도로 징수장치를 통과할 때,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정산한 결과를 거치대에 거치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충전 요금이 부족한 경우,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설치된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은 스마트폰(110),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 하이패스 징수장치(130), 통행과금 서버(140)를 포함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11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스마트폰(110)은 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한다.
스마트폰(110)은 (ⅰ)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ⅱ)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ⅲ)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이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롬(Read Only Memory: ROM), 플래시 메모리,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저장매체일 수 있다.
스마트폰(110)은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와 통신하기 위한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포함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도로 통행 요금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 내의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통행 영수증 및 사용내역 계산서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과 결제 내역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도로 통행 요금이 정산될 때마다 구동중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영수증이 표시되고, 음성으로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한다.
스마트폰(110)은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 기 저장된 차량에 대한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를 전송하고,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 중 부과된 범칙금이나 과태료, 미징수 요금에 관한 정보 수신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전용 모듈(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을 스마트폰 거치대 내부에 포함시켜서 제공하므로, 거치된 스마트폰(110)과 연동하여 도로 통행 요금을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전용 모듈(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은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 내부에 포함하여, 거치된 스마트폰(110) 간의 통신으로 유료도로 통행과금 정보를 수신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유료도로 통행과금 정보를 통행과금 서버(14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전용 모듈(예컨대, 하이패스 단말기)을 이용하여 유료도로 운영사 요금 정산 처리 및 사용자에게 실시간 통행 과금 관련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통행영수증, 사용내역 계산서 등)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거치된 스마트폰(110)과 통신하여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스마트폰(110)과의 블루투스, WiFi를 포함하는 근거리통신 중 어느 하나로 통신을 수행한다.
하이패스 징수장치(130)는 유료도로 상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해당 시설물을 통과하는 차량에 설치된 하이패스 단말기로 기 설정된 요금을 부과한다. 하이패스 징수장치(130)는 차량에 설치된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 기 설정된 요금을 부과한다.
통행과금 서버(14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도로 통행 요금 정보를 실시간 수신한다. 통행과금 서버(140)는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통행 영수증 및 사용내역 계산서 정보를 추출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 전송한다. 이때 통행과금 서버(140)는 하이패스 징수장치(130)나 스마트폰(110)의 통신 수단을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행과금 서버(14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수신된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 결제 내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 전송한다.
통행과금 서버(140)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부터 차량에 대한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를 수신한다. 통행과금 서버(140)는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 중 부과된 미납된 통행요금 및 범칙금이나 과태료 정보를 추출하여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에 설치된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인 유료도로 통행과금 전송 방식은 일단위, 주단위 기간을 유료도로 운영사에서 각각의 교통카드 사업자에게 내역을 전송한다. 교통(통행)카드 사업가는 수신된 통행과금 내역을 이용하여 유료도로 운영사와 정산한다. 전술한 통행요금 정산방식은 교통카드 사용자가 사용한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어려우며 정산 확정처리 및 사용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선불식 IC카드 충전을 위해서는 카드 실물을 RF/IC 동글 등을 이용한 시스템을 오프라인 장소에 방문하여 충전 및 결제를 처리하고 있다. 선불식 IC카드 충전은 톨게이트 사무실 편의점, 고속도로휴게소 등 사용자가 직접 방문하여 충전을 해야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는 하이패스 기기와 스마트폰 무선충전 거기를 각각 사용자가 구매로 인해 비용증가 및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하이패스 기기와 스마트폰과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아 사용자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스마트폰(110)을 거치하며, 거치된 스마트폰(110)과 통신하여 유료도로 통행요금을 정산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차량 내에 고정되어 스마트폰(110)을 거치한 후 거치된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한다.
교통카드 사업자 입장에서는 차량 내에 고정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유료도로 사업자와 정산을 처리한다. 교통카드 사업자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업자는 차량 내에 설치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를 이용하여 선불식 IC카드를 거치된 스마트폰으로 충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충전 편리성을 제공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을 거치하는 동시에 거치된 스마트폰(110)을 무선으로 충전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거치된 스마트폰(110)을 무선통신방식(예컨대, 블루투스)으로 연동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고속도로 등에서 통행료가 결제되면, 결제 정보를 스마트폰(110)으로 전달한다. 스마트폰(110)은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과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스마트폰(110)에 탑재되거나 구동중인 네비게이션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 표시 기능을 길안내 서비스와 함께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안내할 수 있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스마트폰(110) 내의 연동 애플리케이션(112)을 이용하여 단말기 결제 내역 등을 조회하거나 표시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는 고정부(310), 거치부(320), 지지부(330), 스마트폰 연동부(342), 요금 정산부(344), 선불식 IC카드 충전부(346), 미납요금 확인부(348), 무선 충전부(350)를 포함한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에 도시된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310)는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고정부(310)는 차량 내부의 유리면에 부착 고정되는 흡착판과 흡착판이 삽입 설치되는 흡착틀을 포함한다. 고정부(310)는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에 부착 고정되는 밀착판과 밀착판을 대쉬보드에 밀착시키는 밀착구를 포함한다. 고정부(310)는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내의 송풍기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거치부(320)는 고정부(310)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체결되는 스마트폰(110)을 거치한다. 거치부(320)의 상면에는 스마트폰(110)을 거치하고, 거치부(320)의 하면에는 스마트폰 연동부(342)를 포함한다. 거치부(320)는 스프링 또는 모터를 이용한 결합타입, 자석타입, 밸크로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지지부(330)는 고정부(310)와 거치부(320)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지지부(330)는 고정부(310) 또는 거치부(320)와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바(bar) 형상을 가지며, 두 개의 바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스마트폰 연동부(342)는 거치부(320) 내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110)이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시에 스마트폰(110)과 페어링을 수행한다.
요금 정산부(344)는 지지부(330) 내측에 구비되어 유료도로에 위치한 하이패스 징수장치(130)와 통신하여 도로 통행 요금을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스마트폰 연동부(342)를 이용하여 도로 통행 요금을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요금 정산부(344)는 도로 통행 요금을 통행과금 서버(140)로 실시간 전송하고, 통행과금 서버(140)로부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통행 영수증 및 사용내역 세금 계산서를 수신하여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요금 정산부(344)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조회 요청이 입력되면,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과 결제 내역을 통행과금 서버(140)로부터 추출하여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요금 정산부(344)는 스마트폰(110)에서 구동중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도로 통행 요금이 정산될 때마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영수증이 표시되고, 음성으로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한다.
선불식 IC카드 충전부(346)는 지지부(330) 내측에 구비되어 스마트폰 연동부(342)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입력된 비용에 따라 기 저장된 충전 요금을 갱신한다.
미납요금 확인부(348)는 스마트폰(110)으로부터 차량에 대한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를 수신하여 통행과금 서버(140)로 전송하며, 통행과금 서버(140)로부터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에 매칭되어 부과된 범칙금이나 과태료를 수신하여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한다.
무선 충전부(350)는 거치부(320)의 하면에 위치하여 스마트폰(110)을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송신하는 송신 코일이 권취되어, 거치부(320)에 거치된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스마트폰
112: 연동 애플리케이션
120: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130: 하이패스 징수장치
140: 통행과금 서버
310: 고정부
320: 거치부
330: 지지부
342: 스마트폰 연동부
344: 요금 정산부
346: 선불식 IC카드 충전부
348: 미납요금 확인부
350: 무선 충전부

Claims (12)

  1. 차량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하며, 체결되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지지부;를 외부에 형성하며, 상기 거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는 스마트폰 연동부;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무선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자기유도방식으로 송신하는 송신 코일이 권취되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는 무선 충전부; 상기 지지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된 비용에 따라 선불식 IC카드에 기 저장된 충전 요금을 갱신하는 선불식 IC카드 충전부; 상기 지지부 내측에 구비되어 유료도로에 위치한 교통요금 징수장치와 통신하여 도로 통행 요금을 상기 선불식 IC카드에서 실시간으로 정산하고,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를 이용하여 상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통행 영수증 및 사용내역 계산서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상기 스마트폰에서 상기 통행 영수증 및 상기 사용내역 계산서가 출력되도록 하며, 상기 통행 영수증 및 상기 사용내역 계산서가 상기 스마트폰에 구동중인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길안내 서비스와 함께 표시되고 음성으로 안내하는 요금 정산부;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차량에 대한 번호판 정보, 운전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번호판 정보, 상기 운전자 정보에 매칭하여 부과된 미납통행료, 범칙금이나 과태료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미납요금 확인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 상기 무선 충전부는 상기 거치부 내측에 구현되며, 상기 요금 정산부, 상기 선불식 IC카드 충전부는 상기 지지부 내부에 구현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탑재된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내의 상기 선불식 IC카드를 충전하며, 상기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로부터 상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상기 통행 영수증 및 상기 사용내역 계산서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상기 스마트폰;
    상기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로부터 수신된 도로 통행 요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행 영수증 및 상기 사용내역 계산서 정보를 상기 통행 요금 정산 장치로 전송하는 통행과금 서버; 및
    유료 도로 상의 시설물에 설치되어, 시설물을 통과하는 차량에 설치된 상기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로 기 설정된 요금을 부과하는 상기 통행요금 징수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정산부는,
    상기 도로 통행 요금을 통행과금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부터 상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상기 통행 영수증 및 상기 사용내역 계산서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정산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조회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조회 요청에 대응하는 통행료에 대한 영수증과 결제 내역을 상기 통행과금 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금 정산부는,
    상기 스마트폰에서 구동중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상기 도로 통행 요금이 정산될 때마다 상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도로 통행 요금에 대응하는 영수증이 표시되고, 음성으로 안내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상기 거치부의 하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유리면에 부착 고정되는 흡착판과 상기 흡착판이 삽입 설치되는 흡착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에 부착 고정되는 밀착판과 상기 밀착판을 대쉬보드에 밀착시키는 밀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 내의 송풍기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 또는 상기 거치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두 개의 바(bar) 형상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바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스프링 또는 모터를 이용한 결합타입, 자석타입, 밸크로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시스템.
KR1020200020222A 2020-02-19 2020-02-19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KR10234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22A KR102345706B1 (ko) 2020-02-19 2020-02-19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222A KR102345706B1 (ko) 2020-02-19 2020-02-19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83A KR20210105583A (ko) 2021-08-27
KR102345706B1 true KR102345706B1 (ko) 2021-12-30

Family

ID=77504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222A KR102345706B1 (ko) 2020-02-19 2020-02-19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7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43B1 (ko) * 2006-04-20 2012-11-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위성항법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도로통행료 징수 방법/시스템과, 이 방법에 적용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및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
KR101686734B1 (ko) * 2015-03-27 2016-12-29 하이플러스카드 주식회사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톨게이트 요금 결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583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037B1 (ko) 차량의 자동요금정산장치
KR20100039715A (ko) 차량의 자동요금정산시스템 및 장치
JPH07320106A (ja) 有料道路料金自動支払システム
KR100920746B1 (ko) 하이패스 카드를 이용한 주차요금 징수시스템
KR19990022061A (ko) 설비에서 원격 통신을 위한 차량장착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34388A (ko) 하이패스 단말
JP4629399B2 (ja) 駐車場利用料金精算システム
KR102345706B1 (ko) 유료 도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및 방법
KR2007008036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6786A (ko) 교통 및 통신 요금 통합 청구시스템
KR2013010425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결제 방법 및 장치
KR1015403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통행료 징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4023668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harging for an electronic pre-paid car with positional determination (gps pre-paid card) for a dual gps based toll system
KR101841481B1 (ko) 모바일 단말기와 하이패스 단말기를 이용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이의 결제 방법
KR20160116235A (ko) 하이패스를 이용하는 차량의 톨게이트 요금 결제 방법 및 장치
KR100399434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도로 통행료 자동징수장치 및방법
JP2011034427A (ja) Etc装置
TWI288369B (en) Vehicle positioning system and architecture of an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JP4382417B2 (ja) 駐車場管理方法およ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921621B1 (ko) 차량용 통행료 정산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처리시스템 및 그결제처리방법
KR100725822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에서의 통합요금징수 네트워크 및통합요금징수방법
KR20090083169A (ko) 하이패스 단말과 네비게이션의 통합 단말 장치 및 이를이용한 결제 방법
JP2015095110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KR102391785B1 (ko) 하이패스 기능이 탑재된 커넥티드 avn시스템
JP2003091753A (ja) 駐車場事前精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