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44B1 -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 Google Patents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44B1
KR102344944B1 KR1020207002345A KR20207002345A KR102344944B1 KR 102344944 B1 KR102344944 B1 KR 102344944B1 KR 1020207002345 A KR1020207002345 A KR 1020207002345A KR 20207002345 A KR20207002345 A KR 20207002345A KR 102344944 B1 KR102344944 B1 KR 10234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data
display
information terminal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907A (ko
Inventor
마사노리 이자키
마나부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열원장치는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유닛과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와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이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 내의 운전데이터를 정보단말기에 무선송신함으로써, 그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상기 정보단말기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히트펌프식 냉동사이클의 운전을 통하여 열매체(물이나 브라인 등)를 냉각 또는 가열하고, 그 냉각 또는 가열한 열매체를 부하(이용측)에 공급하는 열원유닛이 알려져 있다.
이 열원유닛을 관리하는 관리자 및 서비스맨은 열원유닛의 운전상황을 정기적 또는 필요에 따라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목적은 열원유닛의 운전상황을 사용자에게 손쉽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는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열원장치는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유닛과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와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모리 내의 운전데이터를 정보단말기에 무선송신함으로써 그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가 상기 정보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한다.
청구항10의 정보단말기는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유닛과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와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열원장치의 관리에 이용되는 것이며 디스플레이와 제1제어섹션과 제2제어섹션을 구비한다. 제1제어섹션은 운전상황확인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메모리 내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부터 무선송신 시키기 위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무선송신한다. 제2제어섹션은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어기로부터 무선송신 되는 운전데이터를 받아오고, 받아 온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한다.
청구항16의 제어프로그램은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유닛과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와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열원장치의 관리에 이용하는 정보단말기를 제1제어수단 및 제2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제1제어수단은 운전상황확인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상기 메모리 내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제어기로부터 무선송신 시키기 위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무선송신한다. 제2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어기로부터 무선송신 되는 운전데이터를 받아오고, 받아 온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해당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한다.
도1은 일 실시형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히트펌프식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일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듈제어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태블릿 단말기의 제어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데이터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트렌드 그래프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닛 별 데이터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1리포트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2리포트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업무보고 리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금부터,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의 일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예를 들면 8개)의 열원유닛(UC1,UC2,…UCm)이 배치되어 있다. 열원유닛(UC1)은 복수개의, 예를 들면 4개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b,UC1c,UC1d)에 의해 구성된다. 열원유닛(UC2)은 복수개의, 예를 들면 4개의 냉동사이클 서킷 (UC2a,UC2b,UC2c,UC2d)에 의해 구성된다. 열원유닛(UC3)은 복수개의, 예를 들면 4개의 냉동사이클 서킷(UC3a,UC3b,UC3c,UC3d)에 의해 구성된다. 열원유닛(UC4)은 복수개의, 예를 들면 4개의 냉동사이클 서킷(UC4a,UC4b,UC4c,UC4d)에 의해 구성된다.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은 압축기(1), 사방전환밸브(2), 공기열교환기(3a,3b), 팽창밸브(4), (수열교환기(5), 외기팬(6), 외기온도센서(7) 등을 가진다. 압축기(1)느 냉매를 빨아들여 압축하여 토출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의 냉매토출구에 사방전환밸브(2)를 사이에 두고 공기열교환기(3a,3b)의 각각의 일단이 배관접속되고, 그 공기열교환기(3a,3b)의 각각의 다른 일단에 팽창밸브(4)를 사이에 두고 수열교환기(5)의 냉매유로(5a)의 일단이 배관접속되고, 그 냉매유로(5a)의 다른 일단에 압축기(1)의 냉매흡입구가 배관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접속에 의해 히트펌프식 냉동사이클이 구성된다. 공기열교환기(3a,3b)는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열교환기(3a,3b)의 상부의 상호간에 상기 외기팬(6)이 위쪽으로 바람을 내뿜는 방향을 위 쪽으로 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외기팬(6)이 운전하면 외기가 공기열교환기(3a,3b)를 지나 냉동사이클 서킷(UC1a)의 내측에 빨려들어가며, 빨려들어간 공기가 외기팬(6)을 지나서 냉동사이클 서킷(UC1a)의 위쪽으로 배출된다. 외기온도센서(7)는 냉동사이클 서킷(UC1a)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외기온도를 검지한다.
수열교환기(5)는 상기 냉매유로(5a) 외에 수류로(5b)를 가진다. 이 수류로(5b)와 부하측정기(10)와의 사이에 물순환용 배관(11,12)이 배설되고, 그 배관(12)에 물순환용 펌프(8)가 배설되어 있다. 부하측정기(10)는 예를 들면 공조용 팬코일이다. 공기열교환기(3a,3b)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수열교환기(5)의 냉매유로(5a)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냉각모드에서는 부하측정기(10)에서 수열교환기(5)의 수류로(5b)로 유입되는 물이 냉매유로(5a)의 냉매에 열을 빼앗겨서 냉수가 되고, 그 냉수가 부하측정기(10)로 보내진다. 공기열교환기(3a,3b)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수열교환기(5)의 냉매유로(5a)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가열모드에서는 부하측정기(10)에서 수열교환기(5)의 수류로(5b)로 유입되는 물이 냉매유로(5a)의 냉매에서 열을 빼앗아 온수가 되고 그 온수가 부하측정기(10)으로 보내진다.
열원유닛(UC1)에서의 나머지 3개의 냉동사이클 서킷 (UC1b~UC1d)도, 냉동사이클 서킷 (UC1a)과 같은 구성의 히트펌프식 냉동사이클(압축기1, 사방전환밸브2, 공기열교환기(3a,3b), 팽창밸브(4), 수열교환기(5))을 가지면서 외기팬(6), 외기온도센서(7), 펌프(8)를 가진다.
또한 1개의 수열교환기(5)를 2개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 UC1b)에서 공유하며, 또 하나의 수열교환기(5)를 2개의 냉동사이클 서킷(UC1c, UC1d)에서 공유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2개의 냉매유로 및 1개의 수류로가 포함되는 1개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냉동사이클 서킷(UC1a, UC1b)에서 공유하며, 마찬가지로 2개의 냉매유로 및 1개의 수류로가 포함되는 또 하나의 플레이트식 열교환기를 냉동사이클 서킷(UC1c, UC1d)에서 공통으로 이용한다.
열원유닛(UC1) 이외의 다른 열원유닛(UC2~UCm)의 각각의 냉동사이클 서킷도,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의 운전을 제어하는 유닛제어기(30a)가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에 탑재되어 있다. 열원유닛(UC2)의 냉동사이클 서킷 (UC2a~UC2d)의 운전을 제어하는 유닛제어기(30b)가 열원유닛(UC2)의 냉동사이클 서킷 (UC2a)에 탑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열원유닛(UC3~UCm)의 각 냉동사이클 서킷의 운전을 제어하는 유닛제어기(30c~30m)가 열원유닛(UC3~UCm)의 각각의 냉동사이클 서킷 (UC3a~UCma)에 탑재되어 있다.
열원유닛(UC1~UCm)에 의해 1개의 모듈(MC1)이 구성된다. 모듈(MC1)의 열원유닛(UC1~UCm)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제어기(20)가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에 탑재되어 있다.
이 모듈제어기(20)에 유닛제어기(30a)가 신호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모듈제어기(20)와 유닛제어기(30b~30m)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용 신호케이블(31)이 접속되어 있다. 유닛제어기(30a~30m)는 모듈제어기(20)에서 보낸 지령에 따라서 열원유닛(UC1~UCm)의 운전을 각각 제어함과 동시에 그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모듈제어기(20)에 순차적으로 통지한다.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는 열원유닛(UC1~UCm) 자체의 유닛 단위의 운전데이터와 열원유닛(UC1~UCm)에서의 모든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 UC2a~UC2d, …UCma~UCmd)의 운전데이터의 총칭이며 열원유닛(UC1~UCm) 자체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운전상황을 항목(예를 들면 “운전상태”, “운전모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 등) 별로 나타내는 데이터임과 동시에 열원유닛(UC1~UCm)에서의 모든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 UC2a~UC2d, … UCma~UCmd)의 시시각각 변화하는 운전상황을 항목 (예를 들면 “고압압력”, “저압압력”, “응축온도”, “압축기의 운전상태”, “팬의 운전상태”) 별로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부하측정기(10)의 용량이 큰 경우, 모듈(MC1)과 동일하게 열원유닛(UC1~UCm)을 구성요소가 되는 모듈(MC10)이 증설된다. 모듈(MC1,MC10,…)의 설치대수에 대해서는 부하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정된다.
적어도 모듈(MC1,MC10,…)및 모듈제어기(20)에 의해, 본 실시형태의 열원장치가 구성된다.
열원유닛(UC1)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의 모듈제어기(20)에 데이터 기억용 메모리로서 정보단말기 예를 들면 태블릿단말기(40)와 무선통신을 하는 기능을 가지는 SD (Secure digital) 메모리카드(21)가 탑재되어 있다. 태블릿단말기(40)는 관리자와 서비스맨 등의 사용자가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휴대형이다.
모듈제어기(20), SD메모리카드(21) 및 태블릿단말기(40)의 요부를 도3에 도시한다.
SD메모리카드(21)는 모듈제어기(20)에서 전력을 받아서 동작하는, 예를 들면 FlashAir SD메모리카드 (등록상표) 이며, 기억섹션(21a),수신섹션(21b),송신섹션(21c)을 포함한다. 수신섹션(21b)은 정보단말기, 예를 들면 태블릿단말기(40)와의 사이에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구축하고, 태블릿단말기(40)에서 무선송신되는 신호를 그 무선LAN를 사이에 두고 수신하며 수신한 신호를 모듈제어기(20)에 공급한다. 송신섹션(21c)은 모듈제어기(20)에서 발하는 신호 및 기억섹션(21a) 내부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무선LAN를 사이에 두고 태블릿단말기(40)에 무선송신한다. 무선LAN에서는 SD메모리카드(21)가 이른바 마스터 기기이고 태블릿단말기(40)가 이른바 슬레이브 기기가 된다.
모듈제어기(20)는 모듈(MC1,MC10,…)의 모든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집하여 SD메모리카드(21)에 기억시키고 그 SD메모리카드(21) 내부의 운전데이터를 태블릿단말기(40)에서 보내온 요청에 따라서 해당 SD메모리카드(21)에서 해당 태블릿단말기(40)에 무선송신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며, 주요한 기능으로서 시계섹션(20a),기억제어섹션(20b),통신제어섹션(20c),송신제어섹션(20d)을 포함한다.
시계섹션(20a)은 현재시각의 시각데이터를 발신한다.
기억제어섹션(20b)은 모듈(MC1,MC10,…)의 모든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유닛제어기(30a~30m)를 사이에 두고 수집하며, 수집한 운전데이터 및 시계섹션(20a)의 시각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대응시키면서, 대응시킨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SD메모리카드(21)에 기억시킨다.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의 기억량이 SD메모리카드(21)의 기억용량에 달한 경우, 기억제어섹션(20b)은 SD메모리카드(21) 내부의 가장 오래된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소거하고 가장 새로운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SD메모리카드(21)에 기억시킨다.
통신제어섹션(20c)은 SD메모리카드(21)의 수신섹션(21b)의 동작을 항상 온으로 해 두고, 태블릿단말기(40)에서 무선송신 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그 수신섹션(21b)에서 받은 경우에 데이터 요청 신호의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인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정하고,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인 것을 조건으로 SD메모리카드(21)의 송신섹션(21c)의 동작을 온(기동)시키고, 이 송신섹션(21c)의 동작이 온이 됨으로써 해당 모듈제어기(20)와 상기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링크를 형성한다.
송신제어섹션(20c)은 통신제어섹션(20c)에 의한 통신링크의 형성에 따라, SD메모리카드(21)의 기억섹션(21a) 내부의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SD메모리카드(21)의 송신섹션(21c)에 의해 태블릿단말기(40)에 무선송신한다.
또한 모듈제어기(20) 및 SD메모리카드(21)는 금속제 보호외장(22)에 수용된 상태에서 열원유닛(UC1)에 탑재된다. 보호외장(22)은 열원유닛(UC1)이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모듈제어기(20) 및 SD메모리카드(21)를 비바람과 먼지로부터 보호한다. 단, 보호외장(22)은 SD메모리카드(21)와 태블릿단말기(40)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전파의 송수신에 대해서는 그것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으로서, 상기 무선LAN에서 사용하는 전파의 파장의 1/4이상의 길이의 안테나부 및 슬릿부를 가진다. 이 안테나부나 슬릿부의 길이는 상기 무선LAN이 예를 들면 2.4GHz-5GHz의 전파를 사용하는 경우, 6cm 이상 또는 2cm 이상이다.
한편, 태블릿단말기(40)는 CPU(41), ROM(42), RAM (기억수단)(43),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44), 송수신유닛(45) 등을 포함하며, SD메모리카드(21)에서 무선송신되는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송수신유닛(45)에서 받아서 RAM(43)에 전달하고, 전달된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 (추이)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른바 트랜드 그래프를 해당 전달된 시각데이터의 참조를 바탕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트랜드그래프를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상기 ROM(42)은 CPU(41)의 처리에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RAM(43)은 CPU(41)의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면서 상기 운전데이터 및 상기 시각데이터를 기억시킨다. 디스플레이(44)는 예를 들면 컬러액정형의 스크린(44a ) 및 그 스크린(44a) 상에 배치된 투명 터치패널(44b)을 가지고, 이미지 및 글자를 스크린(44a)에서 컬러로 표시하면서, 터치패널(44b)에 대한 손이나 손가락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경우에 그 터치조작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44a)의 표시내용을 조작입력을 통해 가져온다. 송수신유닛(45)은 SD메모리카드(21)와 무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CPU(41)는 모듈(MC1,MC10,…)의 모든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주요한 기능으로서, 제1~제4제어섹션(41a~41d)을 포함한다.  
제1제어섹션(41a)은 디스플레이(44)에 대한 터치조작에 의해 운전상황확인모드가 지정된 경우에 모듈제어기(20)에 대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수신유닛(45)로부터 무선송신한다.
제2제어섹션(41b)은 상기 데이터 요청 신호에 응한 모듈제어기(20)의 지시에 의해 SD메모리카드(21)에서 무선송신 되는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송수신유닛(45)에서 받아서 RAM(43)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 (추이) 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후술하는 트렌드그래프(300))를 해당 전달된 시각데이터의 참조를 바탕으로 생성하고, 생성한 그래프를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제3제어섹션(41c)은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 중인 그래프 상에서 임의의 시각이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시각의 시각데이터가 대응하여 연결되어 있는 운전데이터를 상기 전달된 운전데이터 중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운전데이터의 내용 (값 등)이 항목 (“운전상태”, “운전모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온도”, “출구온도” 등) 별로 나열되는 일람표(후술하는 일람표(401,402))를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하면서, 표시 중인 일람표에서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의 표시상태 (“표시색”, “글자의 종류”,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발광”, “배경” 등) 이 각각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미리 정해진 기준범위에 포함되는 것인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도록 한다.
제4제어섹션(41d)은 상기 제2제어섹션(41c)에서 추출되는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글자나 이미지로 나타내지는 업무보고용 리포트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리포트파일을 디스플레이(44)의 표시 및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는 외부 프린터의 프린트를 통해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출력한다.
이 태블릿단말기(40)는 1대 또는 복수대가 해당 열원장치의 관리용으로서 예를 들면 관리실 등에 배치되어 있어, 관리자나 서비스맨 등의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가지고 나갈 수 있다. 태블릿단말기(40)로서는 해당 열원장치의 관리용으로서 전용으로 준비되는 태블릿단말기여도 무방하며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여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범용형의 태블릿단말기여도 무방하다. 태블릿단말기(40) 대신에 이른바 스마트폰 형태의 정보단말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범용형 정보단말기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전화나 개인용 컴퓨터로서 많은 사람에게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 상당히 사용하기 쉬우며, 생산자 측이나 판매점 측에서는 전용의 정보단말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절감으로 이어진다. 이 경우,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생산자나 판매점의 Web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단말기에 직접 다운로드 하는 방식의 운용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모듈제어기(20)가 실행하는 제어를 도4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흐름도 속의 스텝S1,S2…에 대해서는 단순히 S1,S2…라고 약칭한다.
모듈제어기(20)는 SD메모리카드(21)의 수신섹션(21b)의 동작을 온으로 설정함과 동시에(S1), 모듈(MC1,MC10,…)의 모든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수집하며, 수집한 운전데이터 (및 시각데이터)를 SD메모리카드(21)에 기억시킨다(S2). 그리고 모듈제어기(20)는 태블릿단말기(40)에서 무선송신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수신섹션(21b)에서 받았는지 여부를 감시한다(S3). 데이터 요청 신호를 받지 않은 경우(S3의 NO), 모듈제어기(20)는 운전데이터의 수집 및 기억을 반복한다(S2).
데이터 요청 신호를 받은 경우(S3의 YES), 모듈제어기(20)는 데이터 요청 신호의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인지 여부를 그 데이터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 데이터에 기반하여 판정한다(S4).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가 아닌 경우(S4의 NO), 모듈제어기(20)는 운전데이터의 수집 및 기억을 반복한다(S2).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인 경우(S4의 YES), 모듈제어기(20)는 SD메모리카드(21)의 송신섹션(21c)의 동작을 온 (기동)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링크를 형성한다(S5). 이 통신링크의 형성에 따라, 모듈제어기(20)는 SD메모리카드(21)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운전데이터를 해당 SD메모리카드(21)를 거쳐 상기 발신원인 태블릿단말기(40)에 무선송신하고(S6), 그 송신이 완료되기를 기다린다(S7). 송신이 완료되었을 때(S7의 YES), 모듈제어기(20)는 SD메모리카드(21)의 송신섹션(21c)의 동작을 오프가 되게 하고, 이를 통해 태블릿단말기(40)와의 통신링크를 해제한다(S8).
태블릿단말기(40)의 CPU(41)가 실행하는 제어를 도5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모듈(MC1)에서의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태블릿단말기(40)를 가지고 모듈(MC1)의 열원유닛(UC1)에 다가가 태블릿단말기(40)의 디스플레이(44)를 터치조작하여 확인모드를 지정한다.
CPU(41)는 확인모드의 지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 확인모드의 지정이 없는 경우(S11의 NO), CPU(41)는 S11의 판정을 반복한다. 확인모드의 지정이 있는 경우(S11의 YES), CPU(41)는 운전상황 확인 처리용 내장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S12). 그리고 CPU(41)는 기동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모듈(MC1,MC10)의 모든 열원유닛(UC1~UCm) 중 어느 열원유닛에 대한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개시할지를 사용자에게 지정시키기 위한 도6의 초기화면(100)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S13). 초기화면(100)은 모듈(MC1)용 개시버튼(101)의 표시, 모듈(MC10)용 개시버튼(102)의 표시 및 취소버튼(103)의 표시를 포함한다.
초기화면(100)의 취소버튼(103)이 터치조작 된 경우(S14의 NO), CPU(210)는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셧다운하고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S21). 이 종료 후, CPU(210)는 상기 S11의 판정으로 돌아간다.
초기화면(100)의 개시버튼(101)이 터치조작된 경우(S14의 YES), CPU(41)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무선송신한다(S15). 이 송신 후, CPU(41)는 모듈제어기(20)와의 통신링크가 형성되었는지 여부를 모듈제어기(20)에서 보내는 통지를 통해서 감시한다(S16). 통신링크 형성에 대한 통지가 없는 경우(S16의 NO), CPU(41)는 타임카운트 t를 개시하고(S17), 그 타임카운트 t와 미리 정해져 있는 설정시간 t1을 비교한다(S18).
타임카운트 t가 설정시간 t1 미만인 경우(S18의 NO), CPU(41)는 상기 S16의 감시 및 상기 S17의 타임카운트 t를 반복한다. 통신링크 형성에 대한 통지가 없는 채로(S16의 NO), 타임카운트 t가 설정시간 t1에 도달한 경우(S18의 YES), CPU(41)는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셧다운하고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S21). 이 종료 후, CPU(210)은 상기 S11의 판정으로 돌아간다.
타임카운트 t가 설정시간 t1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S18의 NO), 통신링크 형성에 대한 통지를 받은 경우(S16의 YES), CPU(41)는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실행한다(S19). 즉, CPU(41)는 SD메모리카드(21)에서 송신되는 운전데이터를 가져와서 RAM(43)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단말기를 모듈제어기(20)에 케이블 접속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요구하지 않고, 모듈(MC1)에서의 열원유닛(UC1~UCm)의 운전데이터를 태블릿단말기(40)에 손쉽고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다.
운전상황 확인 처리의 실행에 따라, CPU(41)는 태블릿단말기(40)에서의 사용자의 처리종료조작을 감시한다(S20). 처리종료조작이 없는 경우(S20의 NO), CPU(41)는 S19의 운전상황 확인 처리의 실행을 계속한다. 처리종료조작이 있었던 경우(S20의 YES), CPU(41)는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종료한다(S21). 이 종료 후, CPU(210)는 상기 S11의 판정으로 돌아간다.
[데이터표시화면200] 
운전상황 확인 처리에 있어서, CPU(41)는 SD메모리카드(21)에서 받아 온 운전데이터에 기반하여 도7에 도시된 데이터표시화면(200)을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표시화면(200)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데이터표시화면(200)은 일람표(201),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 고장이력지정버튼(203), 소모품지정버튼(204), 날짜시각디스플레이(205), 클립버튼(206), 운전데이터탭(211), 점검탭(212), 리포트탭(213) 등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람표(201)는 SD메모리카드(21)에서 받아 온 운전데이터 중에, 모듈 MC1에서의 열원유닛(UC1~UCm)의 현시점의 운전데이터를 각종 항목별로 나열하여 글자로 표시한다. 항목으로서, 예를 들면 “운전상태”, “운전모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 등이 있다.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은 후술하는 트렌드그래프표시화면(300)의 지정용이다. 고장이력지정버튼(203)은 고장이력표시화면 지정용이다. 소모품지정버튼(204)은 소모품표시화면 지정용이다. 날짜시각디스플레이(205)는 현재의 연월일 및 시각을 표시한다.
운전데이터탭(211)은 해당 데이터표시화면(200)의 지정용이다. 점검탭(212)은 점검표시화면 지정용이다. 리포트탭(213)은 후술하는 리포트표시화면(500)의 지정용이다.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 
데이터표시화면(200)에서의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유닛(UC1)의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을 생성하고, 생성한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은 트렌드그래프(301), 복수의 열원유닛지정버튼(302), 복수의 시간지정버튼(303), 복수의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데이터표시화면(200)과 동일한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 고장이력지정버튼(203), 소모품지정버튼(204), 날짜시각디스플레이(205), 클립버튼(206), 운전데이터탭(211), 점검탭(212), 리포트탭(213) 등의 표시를 포함한다.
CPU(41)는 디스플레이(44)의 표시를 데이터표시화면(200)에서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으로 전환한 시점에서,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의 표시형태(표시색, 글자의 종류, 글자의 크기, 글자의 굵기, 발광 등)를 다른 버튼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의 표시형태가 다른 버튼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임을 점표시로 나타내고 있다.
트렌드그래프(301)는 가로축에 시각눈금을 할당하고, 이 가로축의 왼쪽 끝에서 뻗어오르는 세로축에 수치눈금, 예를 들면 온도눈금 “-60~+140℃”를 할당하고, 상기 가로축의 오른쪽 끝에서 뻗어오르는 세로축에 수치눈금, 예를 들면 백분율눈금 “0~100”을 할당하고, 이 양쪽 세로축의 상호간에 수치표시용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데이터선(301a) 및 시각지정용인 1개의 커서선(301b)을 각각 자유롭게 가동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각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의 터치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1개의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 중에, 온도눈금 및 백분율눈금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로 아날로그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데이터선(301a)은 하나 또는 복수의 항목의 운전데이터의 값을 각 세로축에 따른 방향의 높이위치에서 나타낸다. 상기 커서선(301b)은 위쪽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직선이며, 또한 사용자의 터치 & 슬라이드 조작에 응한 가로축 방향에 대한 이동이 자유로우며, 가로축에서의 임의의 시각눈금을 지정할 수 있다.
즉, 데이터표시화면(200)의 일람표(201)에서 표시되어 있던 “운전상태”, “운전모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의 운전데이터 중에, “운전상태”, “운전모드”를 제외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의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가 트렌드그래프(301) 중의 복수개의 데이터선(301a)의 높이위치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표시된다.
도8에서의 트렌드그래프(301)의 가로축의 시각눈금은 왼쪽 끝이 현재시각 “12시 47분 00초”보다 10분 전 시각인 “12시 37분 00초”를 나타내며 오른쪽 끝이 현재시각 “12시 47분 00초”을 나타내고 있다. 커서선(301b)이 지정하고 있는 시각은 현재시각 “12시 47분 00초”보다 조금 전인 대략시각으로 “12시 46분 25초”이다.
사용자는 트렌드그래프(301)를 봄으로써, 시각 “12시 37분 00초”부터 현재시각 “12시 47분 00초”까지의 10분 동안에 걸친 열원유닛(UC1)의 운전상황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각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은 열원유닛(UC1~UCm)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서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열원유닛(UC1~UCm)과 동일한 m개(8개) 가 준비되어 있다.
CPU(41)는 디스플레이(44)의 표시를 데이터표시화면(200)에서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으로 전환한 시점에서, 각 열원유닛지정버튼(302)에 대한 터치조작이 없어도 첫 번째의 열원유닛(UC1)을 자동적으로 지정하고, 이 지정에 따라, 도면에서 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열원유닛(UC1)에 대응하는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의 표시형태를 다른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41)는 열원유닛(UC1)의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트렌드그래프(301)를 통해 표시한다. 이 표시상태에서 예를 들면 열원유닛(UC2)에 대응하는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이 터치조작 된 경우, CPU(41)는 두 번째 열원유닛(UC2)을 지정하고, 이 지정에 따라, 열원유닛(UC2)에 대응하는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의 표시형태를 다른 열원유닛지정버튼(302)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41)는 열원유닛(UC2)의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트렌드그래프(301)로 표시한다.
각 시간지정버튼(303)은 트렌드그래프(301)의 가로축에 할당하는 시각눈금의 범위를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서 “10분간”, “30분간”, “1시간”, “6시간”, “24시간”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CPU(41)는 디스플레이(44)의 표시를 데이터표시화면(200)에서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으로 전환한 시점에서, 각 시간지정버튼(303)에 대한 터치조작이 없어도 시각눈금의 범위로서 최소한의 “10분간”을 자동적으로 지정한다. 이 지정에 의해, 10분간의 시각눈금이 트렌드그래프(301)의 가로축에 할당된다. 이 지정에 따라, CPU(41)는 도면에서 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분간”이 대응하는 시간지정버튼(303)의 표시형태를 다른 시간지정버튼(303)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사용자는 트렌드그래프(301)를 봄으로써, 현재시각 이전의 10분간에 걸친 열원유닛(UC1)의 운전상황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30분간”이 대응하는 시간지정버튼(303)이 터치조작되면, CPU(41)는 시각눈금의 범위로서 “30분간”을 지정한다. 이 지정에 의해, 30분간의 시각눈금이 트렌드그래프(301)의 가로축에 할당된다. 이 지정에 따라, CPU(41)는 “30분간”이 대응하는 시간지정버튼(303)의 표시형태를 다른 시간지정버튼(303)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사용자는 트렌드그래프(301)를 봄으로써, 현재시각 이전의 30분간에 걸친 열원유닛(UC1)의 운전상황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각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은 트렌드그래프(301)의 세로축에서의 눈금간격을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서 “대”, “중”, “소” 중 어느 하나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소”의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눈금간격 ”소”를 지정한다. 이 지정에 따라, CPU(41)는 트렌드그래프(301)의 세로축에서의 눈금간격을 최소로 설정함과 동시에, “소”에 대응하는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를 다른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각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은 트렌드그래프(301)의 세로축에서의 눈금간격을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따라서 “대”, “중”, “소” 중의 어느 하나로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대”의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눈금간격 “대”를 지정한다. 이 지정에 따라, CPU(41)는 트렌드그래프(301)의 세로축에서의 눈금간격을 최대로 넓힐 수 있으며, “대”에 대응하는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를 다른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선(301a)이 서로 가까운 상태에 있어 수치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세로축의 눈금간격을 넓힘으로써 수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단, CPU(41)는 디스플레이(44)의 표시를 데이터표시화면(200)에서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으로 전환한 시점에서, 각 시간지정버튼(303)에 대한 터치조작이 없어도 눈금간격 “중”을 자동적으로 지정한다. 이 지정에 따라, CPU(41)는 트렌드그래프(301)의 세로축에서의 눈금간격을 최대와 최소한의 중간에 해당하는 크기로 설정함과 동시에, “중”에 대응하는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를 다른 눈금사이즈지정버튼(304)의 표시형태와 다른 상태로 설정한다.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
트렌드그래프(301)에 표시되어 있는 열원유닛(UC1)의 운전데이터 중에, 예를 들면 시각 “12시 46분 25초”의 시점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상세한 값 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커서선(301b)에 터치하고 또한 그 터치 위치를 적절하게 슬라이드함으로써 커서선(301b)을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렌드그래프(301)의 시각 “12시 46분 25초”에 맞춘다. 그리고 사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커서선(301b)에서 떼는 등의 확정조작을 실시한다. CPU(41)는 이 확정조작에 따라서, 트렌드그래프(301)로 표시되어 있는 열원유닛(UC1)의 운전데이터 중에, 커서선(301b)에서 지정한 시각 “12시 46분 25초”의 시점의 운전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운전데이터의 내용의 글자로 표시를 항목명의 글자로 표시와 함께 포함하는 도9의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을 생성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은 일람표(401,402)를 포함하면서 동시에, 데이터표시화면(200)과 동일한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 고장이력지정버튼(203), 소모품지정버튼(204), 날짜시각디스플레이(205), 클립버튼(206), 운전데이터탭(211), 점검탭(212), 리포트탭(213) 등의 표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44)의 표시가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에서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으로 전환된 시점에서, 날짜시각디스플레이(205)의 표시가 현재시각의 표시에서 커서선(301b)의 지정시각 “12시 46분 25초”라는 표시로 바뀐다.
일람표(401)는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에서 표시된 열원유닛(UC1) 자체의 운전데이터 중에, 커서선(301b)의 지정시각에서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을 각각의 항목명과 함께 글자로 표시한다. 항목으로서, “운전상태”, “운전모드”,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 등이 있다. 이들 항목 중에, 수치의 표시를 동반하는 항목 “설정온도”, “외기온도”, “입구수온”, “출구수온”이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에서 표시된 운전데이터의 항목에 대응되고, 수치가 아닌 글자의 표시를 동반하는 항목 “운전상태”, “운전모드”는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에서 표시된 운전데이터의 항목에 대응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일람표(401)를 봄으로써, 커서선(301b)에서 지정한 시각에서의 열원유닛(UC1) 자체의 운전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일람표(402)는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의 표시대상이 된 열원유닛(UC1)의 운전데이터 중에, 커서(301b )가 지정되는 시각에 있어서의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의 운전데이터 및 이들 운전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기준범위를 각각의 항목명과 함께 글자로 표시한다. 항목으로서, “고압압력”, “저압압력”, “응축온도”, “압축기의 운전상태”, “팬의 운전상태” 등이 있다. “고압압력”, “저압압력”, “응축온도”는 수치로 표시되며, “압축기의 운전상태”, “팬의 운전상태”는 ON/OFF라는 글자나 회전수의 수치로 나타내진다.
상기 기준범위는 운전에 적절한 범위 (적정범위라고도 한다)를 가리키며, 기기고장의 예측판정 및 소모품교환의 타이밍을 사용자가 검토하기 위한 참고가 된다. 이 기준범위는 사전에 정한 고정치여도 무방하며, 운전상황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동하는 가변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시운전의 개시로부터 소정 기간의 운전상황에 대해서는 가중치 적용을 크게 하고, 그 소정기간이 경과한 후의 운전상황에 대해서는 가중치 적용을 서서히 가볍게 하여, 이들 가중치 적용에 기반한 연산에 의해 기준범위를 순차적으로 가변 설정해도 무방하다. 또한, 예를 들면, 고압압력의 기준범위 및 저압압력의 기준범위에 대해서는 CPU(41)는 해당 열원장치를 설치 후 시운전시의 고압압력 및 저압압력을 초기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취득한 초기데이터를 그 후의 운전상황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보정하면서, 그 보정 후의 데이터를 기준범위로서 순차적으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운전상황과는 예를 들면 외기온도, 부하측정기(10)의 이동 상황 (수열교환기(5)에 대한 입수온도 및 수열교환기(5)로부터의 출수 온도), 압축기(1)의 회전수 등이다.
냉동사이클의 고압압력은 압축기(1)의 운전개시 직후부터 서서히 상승하고, 운전개시부터 소정시간 후의 계속운전 중에 가장 높은 압력이 된다. CPU(41)는 이 고압압력의 상승에 따라, 고압압력의 기준범위를 상승방향으로 가변 설정함과 동시에, 저압압력의 기준범위를 하강방향으로 가변 설정해도 무방하다. 또한, 냉동사이클의 고압압력은 압축기(1)의 운전정지 직후부터 하강한다. CPU(41)는 이 고압압력의 하강에 따라, 고압압력의 기준범위를 하강방향으로 가변 설정함과 동시에, 저압압력의 기준범위를 상승방향으로 가변 설정해도 무방하다.
일람표(402)에 있어서, “고압압력”의 기준범위는 예를 들면 “1.0~1.5”이며, “저압압력”의 기준범위는 예를 들면 “1.0~1.5”이다. 냉동사이클 서킷(UC1a)의 실제의 고압압력 “1.53”은 기준범위 “1.0~1.5”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 서킷(UC1a)의 실제의 고압압력 “1.53”의 표시가 통상과 다른 표시형태(도표의 점을 찍어 표시한 부분)가 된다. 냉동사이클 서킷 (UC1b~UC1d)의 실제의 고압압력 “1.16”, “1.16”, “1.16”은 기준범위 “1.0~1.5”에 포함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 서킷(UC1b~UC1d)의 실제의 고압압력 “1.16”, “1.16”, “1.16”의 표시가 통상의 표시형태가 된다.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의 저압압력 “1.17”, “1.15”, “1.17”, “1.14”는 기준범위 “1.0~1.5”에 포함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의 실제의 저압압력 “1.17”, “1.15”, “1.17”, “1.14”의 표시가 통상의 표시형태가 된다.
“고압압력”과 “저압압력”은 서로 관련되기 때문에, 그 관련성에 상응한 주의의 환기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실제의 “고압압력”과 실제의 “저압압력”과의 압력차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경우에 실제의 “고압압력”의 표시 및 실제의 “저압압력”의 표시를 각각 점멸시키는 등 사용자가 통상운전과는 다른 상태인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를 하여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일람표(402)를 봄으로써, 커서(301b)에 의해 지정된 시각에서의 냉동사이클 서킷 (UC1a~UC1d)의 운전상황을 서로 비교하면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람표(402)를 봄으로써, 냉동사이클 서킷(UC1a~UC1d)의 운전상황 중, 소정의 항목의 운전데이터의 내용(값)이 기준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기준범위의 표시형태를 통해 쉽게 인식하며, 이 인식에 기반하여 이상이 발생한 곳 또는 이상이 발생할 듯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기고장의 예측판정이나 소모품교환의 타이밍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검토할 수 있게 된다.
트렌드그래프지정버튼(202)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디스플레이(44)의 표시를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의 표시로부터 하나 전의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의 표시로 되돌린다.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의 표시로 되돌림으로써, 커서(301b)의 지정시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중 어느 하나의 운전데이터의 내용(값)이 기준범위를 넘어선 경우에는 트렌드그래프 (301)상의 각 데이터선(301a)의 해당하는 시간대 부분의 색 표시를 바꾸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이 트렌드그래프(301)를 봄으로써, 이상이 발생한 곳 또는 이상이 발생할 듯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다.
[리포트표시화면(500) 및 리포트표시화면(600)]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의 리포트탭(213) 또는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의 리포트탭(213)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커서(301b)에 의해 지정된 시각에서의 운전데이터(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의 일람표(401,402)에서 표시되는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글자 및 이미지로 표시되는 업무보고용 리포트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리포트파일을 도10에 나타내는 리포트표시화면(제1리포트 표시화면)(500)과 도11에 나타내는 리포트표시화면(제2리포트 표시화면)(600)으로 나누어서 디스플레이(44)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리포트표시화면(500)은 해당 리포트파일의 탑 페이지에 상당하는 것으로, 운전기록표(501), 미리보기버튼(502), 운전데이터탭(211), 점검탭(212), 리포트탭(213) 등의 표시를 포함한다.
운전기록표(501)는 모듈(MC1)의 소유자에 관한 각종 데이터(고객명 및 주소) 및 모듈(MC1)의 점검작업에 관한 각종 데이터(작업구분 및 작업 날짜 시각…) 등을 글자로 타이틀처럼 도시한다. 미리보기버튼(502)은 제2리포트 표시화면(600)의 지정용이다. 이 미리보기버튼(502)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도11의 리포트표시화면(600)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다.
리포트표시화면(600)은 운전기록표(501)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각종 데이터를 일람표 형식으로 글자를 표시하는 운전기록표디스플레이(601), 상기 커서(301b)의 지정시각에서의 운전데이터 (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의 일람표(401,402)에서 표시되는 운전데이터)의 내용을 일람표 형식으로 글자를 표시하는 운전데이터디스플레이(602), 모듈(MC1)의 점검작업이 종료된 경우에 그 점검작업의 대상이 된 항목(점검항목X,Y) 및 점검의 결과 “OK” 또는 “NG”를 표시하는 점검항목디스플레이(603), 프린트출력을 지정하기 위한 출력버튼(604) 등의 표시를 포함한다.
상기 점검항목X,Y의 종류 및 개수에 대해서는 트렌드그래프 표시화면(300),유닛별 데이터표시화면(400),리포트표시화면(500) 중 어느 하나의 점검탭(212)의 터치조작에 의해 점검표시화면을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하고, 그 점검표시화면에 대한 터치조작에 의해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점검항목 중, 중요성이 낮은 항목과 변경할 필요가 없는 항목은 이전 출력시와 동일한 기재를 그대로 이어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점검작업자의 리포트 작성 시간을 단축하면서, 리포트 작성이 가능하다. 또한, 점검항목의 내용에서 불분명한 점 등을 확인할 경우에는 항목명 부분을 터치조작 함으로써, 항목 설명 및 도움말 검색 기능을 켤 수 있다.
CPU(41)는 디스플레이(44)에서 표시한 리포트표시화면(500) 및 리포트표시화면(600)을 RAM(43)에 저장한다.
리포트표시화면(600)의 출력버튼(604)이 터치조작된 경우, CPU(41)는 RAM(43) 내부의 리포트표시화면(500) 및 리포트표시화면(600)을 도12와 같이 조합한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생성하고, 생성한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해당 태블릿단말기(40)에 네트워크 접속되어 있는 외부 프린터에 의해 1장 또는 복수장의 용지로 프린트한다.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커서(301b)에서 지정한 시각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업무보고에 적합한 형식의 리포트표시화면(500)및 리포트표시화면(600)으로 자동변환 되어 표시되는 것에 더하여, 리포트표시화면(500) 및 리포트표시화면(600)을 조합한 상태의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필요에 따라서 프린트 출력할 수 있으므로, 운전상황 확인 처리를 종료한 후의 업무효율이 대폭적으로 상향한다.
[SD메모리카드21의 효과]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SD메모리카드(21)를 모듈제어기(20)에 후첨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열원유닛이나 모듈제어기(20)에 무선통신기능을 가지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각 열원유닛이나 모듈제어기(2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기기 자체에 무선통신기능을 가지게 할 경우, 국가 별 전파법에 따른 인증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기기별 인증취득 비용이 필요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SD메모리카드(21)를 이용함으로써, 기기별 전파법 관련 인증취득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점검작업을 위한 각 외기팬(6) 및 각 펌프(8)의 조작] 
태블릿단말기(40)는 운전상황확인모드의 지정 뿐만 아니라 각 열원유닛의 점검작업을 실시하는 경우에 각 열원유닛에서의 외기팬(6) 및 펌프(8)의 운전 및 정지를 조작할 수 있다.
[액티베이션 기능] 
보안이라는 관점에서 표시화면(200,300,400,500,600)을 관리자용 양식과 서비스맨용 양식으로 나누고 싶은 경우 및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관리자용 양식과 서비스맨용 양식으로 나누어서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 경우, 관리자용 표시화면(200,300,400,500,600)을 표시하여 관리자용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생성하는 기능과 서비스맨용 표시화면(200,300,400,500,600)을 표시하여 서비스맨용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생성하는 기능을 모두 가지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태블릿단말기(40)의 CPU(41)에 탑재된다. 관리자에게는 관리자전용의 액티베이션 커맨드 및 패스워드가 공여되며, 서비스맨에게는 서비스맨전용의 액티베이션 커맨드 및 패스워드가 공여된다. 관리자용 액티베이션 커맨드 및 패스워드가 입력된 경우, 태블릿단말기(40)의 CPU(41)는 관리자용 표시화면(200,300,400,500,600)을 표시하며 또한 관리자용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생성한다. 서비스맨용 액티베이션 커맨드 및 패스워드가 입력된 경우에 태블릿단말기(40)의 CPU(41)는 서비스맨용 표시화면(200,300,400,500,600)을 표시하며 또한 서비스맨용 업무보고 리포트(700)를 생성한다.
태블릿단말기(40)의 CPU(41)는 액티베이션 커맨드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예를 들면 초기화면(100)의 개시버튼(101,102)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조작에 따라서, 또는 초기화면(100)의 공백부분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조작에 따라서, 초기화면(100) 상에 팝업으로 표시한다.
[SD메모리카드(21)의 수신섹션(21b) 및 송신섹션(21c)]
SD메모리카드(21)는 모듈제어기(20)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동작한다. SD메모리카드(21)의 수신섹션(21b)의 동작은 각 열원유닛의 적어도 하나가 운전상태인 경우는 항상 온으로 한다. SD메모리카드(21)의 송신섹션(21c)의 동작은 각 열원유닛의 적어도 하나가 운전상태인지도 태블릿단말기(40)와의 통신링크가 성립한 경우에만 온 한다. 통신링크가 성립한 경우에만 송신섹션(21c)의 동작이 온이 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불필요한 누설을 회피할 수 있으며 SD메모리카드(21)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한 실시형태는 그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생략, 치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 및 그 형태는 발명의 범위와 요지에 포함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UC1a~UC1m…냉동사이클 서킷, 11,12…물순환용배관, 20…모듈제어기, 30…유닛제어기, 40…태블릿단말기 (정보단말기), 41…CPU, 44…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 44a…스크린, 44b…터치패널

Claims (16)

  1. 열매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원유닛과,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데이터 기억용 SD메모리카드와,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SD메모리카드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키는 제어기와,
    상기 열원유닛에서 상기 SD메모리카드 및 상기 제어기를 수용하고, 상기 SD메모리카드와 정보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 파장의 1/4 이상의 길이의 슬릿부를 가지는 금속제 보호외장,
    를 구비한 열원장치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정보단말기에서 무선송신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SD메모리카드 내의 운전데이터를 해당 SD메모리카드에 의해 상기 정보단말기에 무선송신함으로써, 그 운전데이터의 시간적 변화와 시각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상기 정보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중인 그래프 상에서 지정되는 시각의 운전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패널식의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정보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 중인 그래프 상에서 터치조작에 의해 지정되는 시각의 운전데이터를 수신된 운전데이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운전데이터의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운전데이터의 내용의 표시형태를 그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기준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범위는 상기 열원유닛의 운전상황에 따라서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D메모리카드는 상기 운전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기억섹션, 상기 정보단말기로부터 무선송신 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기에 공급하는 수신섹션, 상기 제어기로부터 발하는 신호 및 상기 기억섹션 내부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정보단말기에 무선송신하는 송신섹션을 포함하는 SD메모리카드이며, 상기 제어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섹션의 동작을 항상 온으로 해 두고, 상기 정보단말기로부터 무선송신 되는 데이터 요청 신호를 그 수신섹션에서 받은 경우에 그 데이터 요청 신호의 발신원인 정보단말기가 사전에 등록된 정보단말기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 판정결과가 긍정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송신섹션의 동작을 온으로 하여 해당 제어기와 상기 발신원인 정보단말기와의 사이에 데이터 송수신용 통신링크를 형성하고, 이 통신링크의 형성과 함께 상기 기억섹션 내부의 운전데이터를 상기 송신섹션에 의해 상기 정보단말기에 무선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단말기는 상기 운전데이터의 내용이 글자나 이미지로 표시되는 업무보고용 리포트파일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07002345A 2017-06-29 2018-06-26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KR102344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26908 2017-06-29
JPJP-P-2017-126908 2017-06-29
PCT/JP2018/024211 WO2019004218A1 (ja) 2017-06-29 2018-06-26 熱源装置、情報端末、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907A KR20200020907A (ko) 2020-02-26
KR102344944B1 true KR102344944B1 (ko) 2021-12-28

Family

ID=6474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345A KR102344944B1 (ko) 2017-06-29 2018-06-26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21954B2 (ko)
KR (1) KR102344944B1 (ko)
WO (1) WO2019004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5013B (zh) * 2019-11-11 2020-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多联系统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水多联系统
JP7425263B2 (ja) 2021-07-21 2024-01-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管理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8498A (ja) * 2012-04-06 2013-10-24 Toshiba Corp メモリシステム
WO2014024444A1 (ja) * 2012-08-08 2014-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家電機器、家電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6149B2 (ja) * 1990-03-23 1998-04-02 株式会社東芝 トレンドグラフ変倍装置
JP2000274773A (ja) * 1999-03-18 2000-10-06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4224275B2 (ja) * 2001-10-12 2009-02-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空気調和装置用熱源機の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JP4823264B2 (ja) * 2008-03-31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却装置および冷却装置監視システム
JP4966921B2 (ja) * 2008-07-03 2012-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熱供給システムの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方法、及び劣化診断システム
US8368337B2 (en) * 2009-05-21 2013-02-05 Lennox Industries Inc. HVAC equipment phase and voltage monitor and control
JP5383525B2 (ja) * 2010-01-15 2014-01-0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KR101963615B1 (ko) * 2012-10-10 2019-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6196978A (ja) * 2015-04-03 2016-11-24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8498A (ja) * 2012-04-06 2013-10-24 Toshiba Corp メモリシステム
WO2014024444A1 (ja) * 2012-08-08 2014-02-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家電機器、家電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907A (ko) 2020-02-26
JP6921954B2 (ja) 2021-08-18
WO2019004218A1 (ja) 2019-01-03
JPWO2019004218A1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0323B (zh) 空调系统
EP24359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equipment operating parameter modifications
US20220345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applications of hvac systems
KR102344944B1 (ko) 열원장치, 정보단말기 및 제어프로그램(heat source device, information terminal, and control program)
EP2083226A2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including remote controller for assigning names to the indoor units
CN106170663B (zh) 显示装置以及应用程序
US8459568B2 (en) Temperature mod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temperature difference considerations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KR20140104284A (ko) 빌딩 에너지 관제 시스템 및 방법
JP6009586B2 (ja) 空気調和制御システム
US20170307239A1 (en) Location-based information retrieval, viewing, and diagnostics for refrigeration, hvac, and other building systems
US20200149771A1 (en) Hvac system with thermostat gateway
KR10188713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JPWO2015193976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6196978A (ja) 空気調和機の監視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及び空気調和機の情報収集アプリケーション
US20210164679A1 (en) Thermostat with segmented display
KR101963615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US20130145784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service reminders on a single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21234810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提供方法
JP5835262B2 (ja) 表示装置
EP3007018A1 (en) Controller fo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8810419B2 (en) Refrigerant charge level detection
JPWO2019239507A1 (ja) 空調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コントローラ
US11320169B2 (en) Controller, radiative air-conditioning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JP6757915B2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
GB2465629A (en)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to a remote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