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131B1 -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131B1
KR101887131B1 KR1020170049871A KR20170049871A KR101887131B1 KR 101887131 B1 KR101887131 B1 KR 101887131B1 KR 1020170049871 A KR1020170049871 A KR 1020170049871A KR 20170049871 A KR20170049871 A KR 20170049871A KR 101887131 B1 KR101887131 B1 KR 10188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water
information
water
server
dr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수
나선덕
Original Assignee
(주)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츠 filed Critical (주)구츠
Priority to KR102017004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131B1/ko
Priority to PCT/KR2017/005194 priority patent/WO20181942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온도, 온수온도, 누수상태, 가동상태, 필터교체시기, 원수 정상공급상태 여부, 제품사용기간, 사용인원 카운팅, 주요부품 및 주요장치의 사용기간, 냉각기 및 가열기의 유입온도 및 출수온도 등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는 물론 제품사용에 관한 운전정보를 수집, 분석, 가공하여 제품이 사용되어진 운전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제품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음용수 공급장치;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오프 및 음용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텅링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와 상기 서버 간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네트웍;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품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절감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CONTROLLING APPARATUS FOR INTELLIGENT DRINKING WATER DEVICE CAPABLE OF SELF-DIAGNOSIS AND REMOTELY CONTROLLABLE INTERNET OF THING}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수온도, 온수온도, 누수상태, 가동상태, 필터교체시기, 원수 정상공급상태 여부, 사용기간, 사용인원 카운팅, 주요부품 및 주요장치 사용기간,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의 유입온도 및 출수온도 등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는 물론 제품사용에 관한 운전정보를 수집, 분석, 가공하여 제품이 사용되어진 운전패턴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제품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병원, 학교 등에서 사용하는 음용수기는 냉각기 및 가열기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장치이다. 냉각기 및 가열기는 저장조의 유무에 따라 저탕식 또는 순간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필터와 함께 음용수기의 핵심적인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제품에서는 냉각기 및 가열기 고장을 사전에 인지하는 자가진단기능이 없어 제품의 안정성 확보가 어렵고 잦은 고장으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사례가 많다.
또한, 냉각기 및 가열기고장의 대부분은 가벼운 고장보다는 중대고장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많아 신속한 A/S(After Service)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더운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병원, 학교 등과 같은 공공 이용시설에서 냉각기 및 가열기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또한, 다수이용시설에서는 여러 대의 음용수기가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설치되어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를 위한 인건비의 과다소모도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377 (발명의 명칭 :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탱크리스 순간 열교환방식의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기술)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수온도, 온수온도, 누수상태, 가동상태, 필터교체시기, 원수공급상태, 사용기간, 사용인원 카운팅, 주요부품 및 주요장치 사용기간, 냉각기 및 가열기의 유입온도 및 출수온도 등을 모니터링하고 원격제어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는,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음용수 공급장치;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오프 및 음용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텅링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와 상기 서버 간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네트웍;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음용수기;
상기 음용수기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수기;
상기 음용수기에서 공급된 물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음용수기 사용자가 식음을 위해 취수구로 근접하는 것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음용수기 사용을 인지하는 취수센서;
상기 음용수기, 냉각기 및 가열기, 통신부 및 취수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취수센서로부터 음용수기 사용자를 카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의 설치장소, 제품사용기간, 필터교체정보, 제품의 가동상태정보 및 고장정보, 제품사용일 수, 소비전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처리된 이후에 처리결과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초기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및
상기 서버통신부, 입력부 및 서버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서버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명령,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가열기의 온오프 및 온도 제어 명령, 살균기의 온오프 명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상태 정보,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가열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살균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오토드레인 가동 상태 정보, 냉온수의 출수온도 상태 정보, 누수 상태 정보, 필터교체시기 알림 정보, 원수 정상공급상태 여부, 사용인원 카운팅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냉각기 및 온수기의 온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어정보 및 카운트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온도를 자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어정보는 상기 음용수기의 냉수 및 온수의 온도를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냉수 및 온수의 설정온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냉수의 설정온도는 낮추고, 온수의 설정온도는 높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정보 및 온오프 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는 냉수온도, 온수온도, 누수상태, 가동상태, 필터교체시기, 원수공급상태, 제품사용기간, 사용인원 카운팅, 주요부품 및 주요장치의 사용기간, 냉각기 및 가열기의 유입온도 및 출수온도 등을 모니터링 하여 제품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절감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음용수기 간에 교환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나타낸 데이터 포멧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버가 음용수 공급장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나타낸 화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 네트웍(140) 및 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는 하나 이상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음용수를 공급한다.
네트웍(140)은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와 서버(150) 간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채널을 제공한다. 네트웍(140)은 공중통신망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통신망일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은 Wi-Fi(Wireless-Fidelity), LAN((Local Area Networt:근거리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rernet ; Wibro)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서버(150)은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의 온오프 및 음용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텅링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한다. 서버(150)는 네트웍(140)을 통해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들과 연결된 컴퓨터일 수 있으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음용수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음용수기 간에 교환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나타낸 데이터 포멧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버가 음용수 공급장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음용수 공급장치(100)는 음용수기(111), 전원공급부(112), 통신부(113), 냉각기(114), 가열기(115), 살균기(116), 제어부(117), 취수센서(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음용수기(111)는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음용수기(111)는 음수기, 정수기, 온수제조기, 수소수기 등을 포함한다. 즉 음용수기(111)는 음용할 수 있는 물을 제공하는 장치를 포괄한다.
냉수기(114)는 음용수기(111)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되며, 냉매를 이용하여 주변의 온도를 뺏어 음용수기(11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온수기(115)는 음용수기(111)에서 공급되는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급격하게 온도를 높이도록 한다.
통신부(113)는 음용수 공급장치(100)와 서버(150) 간에 네트웍(14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채널을 설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채널을 통해 통신부(113)는 서버(150)로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150)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는 음용수 공급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록한 정보이다. 모니터링 정보는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상태 정보,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가열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살균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오토드레인 가동 상태 정보, 냉수의 출수온도 상태 정보, 누수 상태 정보, 필터교체시기 알림 정보, 원수공급상태 정보, 사용인원 카운팅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정보는 전원공급부(112)의 온오프 명령, 냉수기(114) 및 온수기(115)의 온오프 및 온도 제어 명령, 살균기(116)의 온오프 명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취수센서(118)는 음용수기(111) 사용자가 음용수기(111)에 접근하여 음용수취수콕(미도시됨)을 사용하는 것을 인지한다. 예컨대, 취수센서(118)는 취수감지센서 또는 취수누름스위치 등에 의해 음용수 사용자가 취수행위를 했는지 여부를 인지한다.
사용자가 음용수기(111)에 접근하여 음용수취수콕을 사용하는 것을 인지하고 음용수취수콕을 사용하여 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이를 카운트하여 사용횟수 또는 사용자를 카운트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13)는 음용수기(111), 냉각기(114), 가열기(115), 살균기(116), 통신부(113) 및 취수센서(118)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17)는 통신부(113)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냉각기(114), 가열기(115), 살균기(116) 및 전원공급부(112)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취수센서(118)로부터 음용수기(111) 사용자를 카운트한다. 제어부(117)는 전술한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7)는 냉수기(114) 및 온수기(115)의 온도를 취수센서(118)에 의해 카운트된 사용자 정보 및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에 따라 온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음용수기의 냉수 및 온수의 온도를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냉수 및 온수의 설정온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냉수의 설정온도는 낮추고, 온수의 설정온도는 높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7)는 제어정보 및 데이터베이스(153)의 정보에 따라 음용수기(111)의 냉수 및 온수의 온도를 제어하고,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냉수 및 온수의 설정온도를 조정한다. 또한, 제어부(117)는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냉수의 설정온도는 낮추고, 온수의 설정온도는 높여 구성되도록 한다. 제어부(117)는 전원공급부(117), 냉각기(114), 가열기(115), 살균기(116)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제어부(117)는 냉수기(114) 및 온수기(115)를 제어하여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
서버(150)는 서버통신부(151), 서버전원공급부(152), 데이터베이스(153), 입력부(154), 서버제어부(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통신부(151)는 하나 이상의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와 통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베이스(153)는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에 대한 설치장소, 제품사용기간, 필터교체정보, 가동정보, 고장정보, 음용수기의 사용일 수, 소비전력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52)는 서버제어부(155)가 모니터링 정보를 분석하여 처리된 처리 결과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입력부(154)는 데이터베이스(152)에 초기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초기정보는 각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의 설치위치, 해당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의 고유 주소, 설정된 냉수 및 온수 온도, 원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수 정보는 원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컨대, 원수 정보는 음용수기로 공급되어지는 원수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155)는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의 통신부(113)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154)를 통해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통신부(151)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서버전원공급부(152)는 서버통신부(151), 입력부(154) 및 서버제어부(155)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정보를 데이터 포멧으로 구성한 데이터 포멧이 나타나 있으며, 각각의 정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은 .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 날짜 및 시간을 나타낸다.
2는 iot(Internet of Thing)을 활용하는 음용수기 이름 및 주소를 나타낸다.
3은 명령을 나타낸다.
4는 음용수기 메인전원 스위치로 제품의 전원공급 상태를 나타내며,'0'인 경우, 제품의 전원공급 상태가 오프(off)인 상태를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온(on)상태를 나타낸다.
5는 냉수기(114)의 상태를 나타내며, '0'인 경우,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114)의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를 나타내고, '1'인 경우에는 냉각기(114) 스위치가 온(on)인 상태를 나타낸다.
6은 가열기(115)의 히터의 상태를 나타내고, '0'인 경우에는 가열기(115)의 스위치가 오프(off)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1'인 경우에는 가열기(115)의 스위치가 온(on)인 상태를 나타낸다. '2'인 경우에는 가열기(115)의 스위치가 온(on)인 상태에서 히터가 가동 중임을 나타낸다.
7은 살균기(116)에 사용되는 자외선램프(UV lamp)의 상태를 나타낸다. 데이터 포멧이 '0'을 나타내면 자외선램프가 오프(off)이며, 데이터포멧이 '1'이면 자외선램프가 온(on)임을 나타낸다.
8은 배출수에 대한 드레인(Drain) 여부를 나타낸다. '0'인 경우 드레인이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며, '1'인 경우에는 드레인이 온(on) 상태임을 나타낸다.
9는 통수 시운전 상태를 나타내며, '0'인 경우 통수시운전 대기 상태를 나타내고, '1'인 경우 통수시운전 완료 상태를 나타내며, '2'인 경우 통수 시운전 진행 중인 상태를 나타낸다.
10과 11은 냉수기(114)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의 온도를 나타내며, 냉각수조가 구비된 경우 각각의 냉각수조의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12는 가열기(115)에 의해 가열된 가열수조의 온도를 나타낸다.
13, 14, 15, 16은 음용수기가 필터를 사용하는 정수기인 경우, 각각의 필터의 사용 종료 일자를 년월일(YYMMDD)을 나타낸 정보이다.
17은 누수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0'은 정상인 상태, '1' 누수 상태를 나타낸다.
18은 원수공급상태를 나타내며, '0'인 경우 정상정인 공급상태를 나타내고, '1'인 경우 단수 상태임을 나타낸다.
19는 취수센서(118)에 의해 감지된 현재까지 사용자수를 나타낸다.
서버(150)는 이와 같이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150)는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서버(150)에 표시된 원격제어 및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음용수 공급장치(110, 120, ..., 130)의 전원 온오프상태, 냉각기(114)를 작동시키는 냉각기의 작동상태, 가열기(115)를 작동시키는 히터의 작동상태, 살균기(116)를 작동시키는 UV램프의 작동상태, 드레인 정보, 통수시운전 가동상태 등이 표시되고, 운용자의 설정에 따라 냉수 및 온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터교환정보 및 누적사용인원도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식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120, ..., 130 : 음용수 공급장치
111: 음용수기 112 : 전원공급부
113 : 통신부 114 : 냉각기
115 : 가열기 116 : 살균기
117 : 제어부 118 : 취수센서
140 : 네트웍 150 : 서버
151 : 서버통신부 152 : 서버전원공급부
153 : 데이터베이스 154 : 입력부
155 : 서버제어부

Claims (8)

  1.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음용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음용수 공급장치;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의 온오프 및 음용수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와 상기 서버 간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채널을 제공하는 네트웍;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음용수기;
    상기 음용수기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
    상기 음용수기에서 공급된 물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기;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서버로 모니터링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음용수기 사용자가 근접하는 것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음용수기 사용을 인지하는 취수센서;
    상기 음용수기, 냉각기 및 가열기, 통신부 및 취수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냉각기 및 가열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취수센서로부터 음용수기 사용자를 카운트하는 제어부;
    상기 서버는,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의 설치장소, 제품사용기간, 필터교체정보, 제품가동 정보, 주요장치 고장 또는 이상정보, 음용수기의 사용일 수, 소비전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른 처리결과를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초기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 및
    상기 서버통신부, 입력부 및 서버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서버전원공급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는,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명령,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가열기의 온오프 및 온도 제어 명령, 살균기의 온오프 명령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음용수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는,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상태 정보, 상기 냉각기 및 상기 가열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살균기의 온오프 상태 정보, 오토드레인 가동 상태 정보, 냉온수의 출수온도 상태 정보, 누수 상태 정보, 필터교체시기 알림 정보, 원수 정상공급상태 여부, 사용인원 카운팅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기 및 가열기의 온도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어정보 및 카운트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온도를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제어정보는,
    상기 음용수기의 냉수 및 온수의 온도를 설정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냉수 및 온수의 설정온도를 조정하도록 하고, 카운트된 사용자의 수가 많을수록 냉수의 설정온도는 낮추고, 온수의 설정온도를 높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인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 냉수기, 온수기 및 살균기의 온오프를 제어며,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온오프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정보의 온오프 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인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 장치.



  8. 삭제
KR1020170049871A 2017-04-18 2017-04-18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KR10188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871A KR101887131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PCT/KR2017/005194 WO2018194211A1 (ko) 2017-04-18 2017-05-18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871A KR101887131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131B1 true KR101887131B1 (ko) 2018-08-09

Family

ID=6325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871A KR101887131B1 (ko) 2017-04-18 2017-04-18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7131B1 (ko)
WO (1) WO20181942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70B1 (ko) 2019-09-23 2020-09-09 (주)구츠 지능형 수소수겸용 음용수장치 및 그 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8626A (zh) * 2019-05-23 2019-07-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串口通讯的智能饮水机管控方法
US11367324B2 (en) 2020-07-22 2022-06-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quid bottle processing and refilling
CN112859723A (zh) * 2020-12-30 2021-05-28 四川亿海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直饮水智能供水管网及其物联网系统
CN113896285A (zh) * 2021-11-22 2022-01-07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净水机、净水机控制方法及智能家居系统的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901A (ko) * 2006-03-30 2007-10-05 (주)도우시스템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1005105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30004164A (ko) * 2011-06-30 2013-01-09 코웨이 주식회사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50101143A (ko) * 2014-02-26 2015-09-03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냉온 정수기
KR101693377B1 (ko) 2015-09-18 2017-01-17 (주)구츠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탱크리스 순간 열교환방식의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기술
KR20170017042A (ko) * 2015-08-04 2017-02-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7901A (ko) * 2006-03-30 2007-10-05 (주)도우시스템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11005105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정수기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130004164A (ko) * 2011-06-30 2013-01-09 코웨이 주식회사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KR20150101143A (ko) * 2014-02-26 2015-09-03 코웨이 주식회사 급속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냉온 정수기
KR20170017042A (ko) * 2015-08-04 2017-02-1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관리 시스템
KR101693377B1 (ko) 2015-09-18 2017-01-17 (주)구츠 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한 탱크리스 순간 열교환방식의 음용수 공급장치 및 그 제어기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170B1 (ko) 2019-09-23 2020-09-09 (주)구츠 지능형 수소수겸용 음용수장치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211A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13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USRE48372E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ling, and optimizing the use of utilities
US10451302B2 (en) Weather anticipating programmable thermostat and wireless network PTAC control
CA218268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limate control
US20210350685A1 (en) Building health analysis and management system
KR101724135B1 (ko) 건물 자동제어 네트워크 및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개별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70336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rolling energy consuming devices within a building
JP5621888B2 (ja) 機器システム
CN106575103A (zh) 基于控制线电流的加热、通风、空气调节系统模式检测
CN105074344A (zh) Hvac系统远程监测和诊断
JP2011226694A (ja) 空気調和機、機器システム、情報管理システム、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90012032A (ko) 공조 설비 통제 제어 시스템
US8459568B2 (en) Temperature mod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temperature difference considerations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JP2009265972A (ja) 建物における使用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
CN106255987A (zh) 建筑物围层和内部分级系统和方法
JP2009265971A (ja) 建物における使用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
KR20150099900A (ko) 사이트 맞춤형 스마트 자동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91004B2 (ja) システム、給水装置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
CN106331099A (zh) 一种管道直饮水供水管理系统
Vidhya et al. Smar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using WIFI
KR20050074411A (ko) 이온냉온정수기 원격관리시스템
JP6688954B2 (ja) 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画面遷移方法
EP2728796B1 (en) Control method for a domestic device using a control kit, and control method for a water purifier using a control kit
KR101909598B1 (ko)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CN104076803A (zh) 一种智能家庭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