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164A -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164A
KR20130004164A KR1020120071186A KR20120071186A KR20130004164A KR 20130004164 A KR20130004164 A KR 20130004164A KR 1020120071186 A KR1020120071186 A KR 1020120071186A KR 20120071186 A KR20120071186 A KR 20120071186A KR 20130004164 A KR20130004164 A KR 2013000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mises equipment
control
water purifier
control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738B1 (ko
Inventor
최인규
김종민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30,24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10520B2/en
Priority to PCT/KR2012/005201 priority patent/WO2013002610A2/ko
Publication of KR2013000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05D7/0623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et value given to the control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in-house device using control kit and control method of water purifier using control kit}
본 발명은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댁내 장치들은 요청되는 단일 기능이나 단일 기능을 중심으로하는 몇가지 편의 기능만이 포함된 형태로 출시되었다.
그런데, 근래의 전자제어 기법들이 발전하면, 종래의 댁내 장치들은 기계적인 제어 방식에서 벗어나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들을 내장하고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고 있습니다.
다만, 종래의 댁내 장치들은 확정된 기계 구성 또는 내장된 전자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기 힘든 구조로 설계되어 출시되거나 설치된 이후에는 자동 제어 시스템의 변경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근래의 댁내 장치들은 점점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고 댁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외관 케이스에 위치하는 입출력 패널들도 디자인적으로 설계되거나 최소화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입출력 패널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댁내 장치에 다양한 동작 패턴을 입력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의 댁내 장치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직접 동작 패턴을 입력하기 보다는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제조사, 설치자 또는 A/S 사원들이 설치 장소나 사용 패턴을 보고 댁내 장치의 제어 패턴을 재조정할 필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댁내 장치에 내장되는 전자 제어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설정, 변경하거나 동작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제어 키트를 이용해서 댁내 장치 및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품 상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품 상세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상기 제품 상제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및 상기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품 상세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델을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을 표시하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 키트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더 저장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댁내 장치 및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제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상기 제품 상제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및 상기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키트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델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을 표시하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 키트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더 표시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은, 제어키트가 정수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정수기 인식단계; 상기 제어키트가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입력받는 동작패턴입력단계; 및 상기 제어키트가 상기 입력된 동작패턴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패턴설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가 상기 정수기 내부를 스스로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수행하는 살균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가 생성한 살균물질을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상기 살균패턴에 따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가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 패턴,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생성 패턴 및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정수기에 기 설정된 동작패턴,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 상기 정수기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이력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상기 정수기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키트는,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하는 동작패턴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은,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 이후에,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재전송받아 상기 정수기에 설정된 동작패턴을 확인하는 상태정보재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는,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의 전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는, 상기 제어키트에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RTC: Real Time Clock)의 시간으로,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의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어 키트를 이용해서 댁내 장치의 제어를 위한 설정을 변경, 갱신할 수 있고, 제어 이력을 종합 관리할 수 있으며, 댁내 장치에 내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댁내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키트가 포함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의 구동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의 구동 화면의 설정 정보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댁내 장치 제어를 위한 제어 키트가 포함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키트(200)가 포함되는 시스템은 댁내 장치(100) 및 제어 키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관리 서버(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댁내 장치(100)는 가정이나 회사등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장치로서 정수기, 공기 청정기, 에어컨 등의 실내 가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댁내 장치(100)는 내부에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동작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댁내 장치(100)는 외부의 제어 키트(200)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 키트(200)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의 방법에는 USB, UART 등이 있고, 무선 통신 방법에는 블루투수, 지그비 등이 있을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3G, 4G 등의 이동통신 규격도 사용이 가능하나 해당 모듈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제어 키트(200)는 통신부(210) 및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 키트(200)의 사용 방식에 따라서 저장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어 키트(200)와 댁내 장치(100)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키트(200)의 사용 방식에 따라서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수신한 데이터 및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30)는 LCD 패널, 키보드,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 키트(200)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댁내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키트의 프로세서를 위한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정보는 제어 키트(200)의 사용 방식에 따라서 다르지만,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설정 데이터의 통계 처리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키트에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으며, 탈착되어 별도의 리더기를 통해서 데이터가 독출될 수 있으며, 라이터기를 통해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제어 키트(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상기 별도의 리더기를 통해서 독출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도 있으며, 라이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키트(200)를 중심으로 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첫번째로,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의 단순한 외부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구동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제어 키트(200)는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의 대부분을 댁내 장치(100)에서 수신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댁내 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로,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댁내 장치(100)의 제어 설정등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로서 구동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제어키트는 댁내 장치(100)에 대한 식별 및 댁내 장치(100) 내부에 저장된 설정 정보들과 같은 변동적인 정보만을 수신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댁내 장치(1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 받은 데이터를 댁내 장치(100)의 제어 시스템에 적합한 데이터 포맷을 변형하여 전달할 수 있다. 댁내 장치(100)들을 양산품들이 될 수 있는 바, 댁내 장치(100)의 기본적인 설계, 제조 스펙은 제어 키트(200)에 저장되는 것이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개별 댁내 장치(100)마다 변경될 설정 데이터들만 댁내 장치(100)로부터 제어 키트(200)로 전달될 수 있다.
세번째로, 제어 키트(200)가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100)들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장치로서 구동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 제어키트는 개별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들에 대한 이력 관리, 개별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 키트(200)는 개별 댁내 장치(100)와 통신을 통해서 개별 댁내 장치(100)가 설치 공간 내에서 동작하며 수집한 정보, 자동 제어를 통해서 설정이 변경된 사항, 자가 진단 등으로 체크한 고장 이력 등을 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키트(200)는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저장부(220)를 매개로 해서 관리 서버(300)와 통신을 통해서 이력 관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네번째로, 제어키트가 댁내 장치(100)와 관리 서버(300)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면서 댁내 장치(100)에 대해서는 관리 장치로서 구동하고, 관리 서버(300)에 대해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말로서 구동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관리 서버(300)와 제어 키트(200)간의 통신 데이터량과 제어 키트(200)에 저장되는 데이터량을 조절하면서 제어 키트(200)의 역할을 규정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에 많은 데이터가 저장되고 많은 정보를 처리할수록 제어 키트(200)는 중개 단말의 역할로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제어 키트(200)에 많은 정보가 저장되고 관리 서버(300)는 종합적인 이력관리 등의 역할만을 수행하면 제어 키트(200)는 중간 관리 단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다만, 상기에서는 제어키트 또는 댁내 장치(100)에 해당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들이 저장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실시 방법에 따라서 제어 키트(200)의 사용자가 상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제어 키트(200)를 중심으로 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의 각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11)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품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등은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13)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키드 사용자가 댁내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댁내 장치(100)의 제어 중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변경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15)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댁내 장치(100)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변경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댁내 장치(100)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17)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어 키트(200)를 종속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 사용하여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댁내 장치(100)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 초기 설정을 할 때나, 설치된 댁내 장치(100)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 갱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의 설정치들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어스나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도 변경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설치자 또는 운영자 등이 댁내 장치(100)를 보다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3을 참조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200)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 저장하는 저장부(22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21)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품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 등은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23)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제품 상세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25)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25)에서는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키드 사용자가 댁내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제품의 동작 이력 및 고장 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댁내 장치(100)의 제어 중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변경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27)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댁내 장치(100)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변경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댁내 장치(100)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29)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댁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어 키트(200)를 댁내 장치(100)에 대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으면서 댁내 장치(100)의 제어 설정등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로 사용하여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댁내 장치(100)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 초기 설정을 할 때나, 설치된 댁내 장치(100)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 갱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의 설정치들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어스나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도 변경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200)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 및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2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31)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품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 등은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32)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기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제품 상세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34)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25)에서는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키드 사용자가 댁내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제품의 동작 이력 및 고장 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댁내 장치(100)의 제어 중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36)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댁내 장치(100)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변경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댁내 장치(100)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을 검색하는 과정(33)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모델을 검색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은 댁내 장치(100)에 설치 위치, 사용자의 사용 패턴 등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자동 제어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회사에 비치된 정수기의 경우에는 주말의 사용량이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주말에 정수기를 비우고 자동 세정하도록 동작 패턴을 도출할 수 있어 이를 설정 데이터 모델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데이터 모델은 동일 유사 종류의 댁내 장치(100)들의 사용 패턴에 대한 이력 관리를 통해서 도출하거나, 댁내 장치(100)의 사용자의 요청이나 제안에 의해서 도출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은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제어 키트(200) 사용자에 의해서 작성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35)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검색한 댁내 장치(100)에 해당하는 설정 데이터 모델을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37)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35) 및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37)은 상기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34) 및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36)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35) 및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37)을 통해 제어 키트(200)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댁내 장치(100)의 제어 설정 등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38)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설정 데이터 모델 선택 정보를 댁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39)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설정 데이터 모델 선택 정보를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38)과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39)은 서로 바뀔 수 있고,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39)의 수행 여부를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39)을 통해서, 제어 키트(200)는 댁내 장치(100)의 제어를 설정하고 변경한 이력 등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어 키트(200)를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100)들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장치로 사용하여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제어 키트(200)는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100)들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합 관리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들을 댁내 장치(100)의 식별 코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고, 이들을 통계처리한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저장부(220)는 제어 키트(200)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해 저장부(220)의 데이터를 이용한 관리를 별도의 외부 장치를 이용해서 수행할 수도 있다. 댁내 장치(100)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 초기 설정을 할 때나, 설치된 댁내 장치(100)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 갱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의 설정치들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어스나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도 변경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통해 제어 키트(200)의 사용자가 다수의 댁내 장치(100)들을 종합 관리하며 사용 패턴 등을 조사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5을 참조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200)는 댁내 장치(100)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300)와도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210)를 포함한다.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41)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품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코드 등은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태 정보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로 제품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미도시)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상기 수신된 제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관리 서버(300)로부터 제어 키트(200)가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들을 요청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42)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댁내 장치(100)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상세 정보 및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 키트(200)는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댁내 장치(100)에 대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44)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25)에서는 설정 데이터, 댁내 장치(100)의 동작 이력, 댁내 장치(100)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댁내 장치(100)의 고장 이력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키드 사용자가 댁내 장치(100)의 현재 상태, 제품의 동작 이력 및 고장 이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댁내 장치(100)의 제어 중 설정 또는 변경 가능한 항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46)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댁내 장치(100)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되는 변경 정보는 댁내 장치(100)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댁내 장치(100)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수신 과정(43)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델을 수신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은 댁내 장치(100)에 설치 위치, 사용자의 사용 패턴 등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자동 제어하는 패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회사에 비치된 정수기의 경우에는 주말의 사용량이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주말에 정수기를 비우고 자동 세정하도록 동작 패턴을 도출할 수 있어 이를 설정 데이터 모델화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데이터 모델은 동일 유사 종류의 댁내 장치(100)들의 사용 패턴에 대한 이력 관리를 통해서 도출하거나, 댁내 장치(100)의 사용자의 요청이나 제안에 의해서 도출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은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수집된 댁내 장치(100)의 설정, 사용 이력들을 종합해서 패턴 분석하여 설정 데이터 모델을 작성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45)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수신한 댁내 장치(100)에 해당하는 설정 데이터 모델을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47)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댁내 장치(100)의 설정 데이터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45) 및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47)은 상기 상세 정보 및 설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과정(44) 및 변경 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46)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설정 데이터 모델 표시 과정(45) 및 모델 선택 정보 입력 과정(47)을 통해 제어 키트(200)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댁내 장치(100)의 제어 설정 등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48)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설정 데이터 모델 선택 정보를 댁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한번의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49)에서는 제어 키트(200)가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설정 데이터 모델 선택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48)과 또 한번의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49)은 서로 바뀔 수 있고, 또 한번의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49)의 수행 여부를 제어 키트(200)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또 한번의 변경 데이터/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49)을 통해서, 관리 서버(300)는 댁내 장치(100)의 제어를 설정하고 변경한 이력 등을 종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어 키트(200)를 댁내 장치(100)와 관리 서버(300)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면서 댁내 장치(100)에 대해서는 관리 장치로 사용하여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관리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100)들에 대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합 관리를 위해서 상기 데이터들을 댁내 장치(100)의 식별 코드 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댁내 장치(100)를 특정 장소에 설치한 후 초기 설정을 할 때나, 설치된 댁내 장치(100)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설정 갱신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프로그램의 설정치들만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바이어스나 펌웨어 등의 업데이트도 변경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200)를 이용한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통해 관리 서버(300)가 다수의 댁내 장치(100)들을 종합 관리하며 사용 패턴등을 조사하고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관리 서버(300)와 제어 키트(200)간의 통신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에 댁내 장치(100)가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관리 서버(300) 및 제어 키트(200)간의 저장 데이터의 범위를 조정하여 제어 키트(200)에도 해당 댁내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일정 부분 저장되어 있고, 일정한 시기별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관리 서버(300)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의 구동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의 대상이 되는 댁내 장치(100)의 기본적인 모델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설정을 위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댁내 장치(100)의 설정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해당 댁내 장치(100)의 제품의 구성 블록도와 같은 그래픽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댁내 장치(100)로부터 획득된, 제어 키트(200)에 저장된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해당 댁내 장치(100)의 설정 이력이나 고장 이력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함으로써, 제어 키트(2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알릴 수 있고, 사용자를 이를 바탕으로 설정 제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30)가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장치로 구현된 경우에는 표시된 모델 그래픽 정보창에서 설정을 변경하거나 제어할 구성을 선택할 수 있고, 설정 정보에서 설정을 변경한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를 통해서 댁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첫번째로 댁내 장치 내에 내장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 제어 프로그램은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바 댁내 장치의 점검시등에 제어 키트를 이용해서 제어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두번째로 댁내 장치의 사용 환경 및 고장 사항 확인을 통해서 댁내 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제품의 설치 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서비스 점검 시 점검자가 환경변화의 유무를 인지하고 이를 제어 설정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고장 발생 시 해당 시간의 제품 동작 및 환경 변화를 점검자가 확인 할 수 있다.
세번째로 댁내 장치의 설치일, 서비스 주기 및 점검 예상 년월일 확인하여 설치일을 기준으로 필터 혹은 기타 서비스 행위를 하기 위한 일정을 서비스 직원이나 점검자가 확인할 수 있다.
네번째로 살균 기능을 가진 댁내 장치의 경우 살균주기 입력 및 제품 내 저장 정보 확인하여 서비스자가 제품 설치 시 고객의 요구 시간 및 간격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의 구동 화면의 설정 정보 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설정 정보창에는 설정 세부 항목들이 표시될 수 있고, 제어 키트(200)에 저장된 또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설정 모델들이 표시될 수 있다.
설정 모델들은 상기에서 서술한 설정 데이터 모델과 같은 것이다.
설정 모델은 설정 세부 항목들을 전부 또는 일부를 기설정된 설정치로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설정 모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설정 세부 항목의 설정치들이 설정 모델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어 키트(200)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댁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제어 키트(200)의 사용자는 해당 댁내 장치(100)를 설치하는 설치자, 해당 댁내 장치(100)를 사후 관리하는 관리자, 해당 댁내 장치(100)의 A/S를 수행하는 서비스 직원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어 키트(200)는 본 발명의 댁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도록 설계된 제품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사용자가 제어 키트(200)를 이용해서 댁내 장치(100)의 설정치를 잘못 변경할 경우에는 댁내 장치(100) 동작에 치명적 영향을 미치거나, 다른 이용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제어 키트(200)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는 앞서 설명한 댁내 장치(100)의 하나로서, 내부에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동작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외부의 제어키트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키트와 통신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은 USB, UART 등을 활용할 수 있고, 무선 통신으로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을 활용할 수 있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신모듈은 3G, 4G 등의 이동통신 규격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스스로 내부를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기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10), 저장탱크(120), 세정모듈(130) 및 제어부(14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동작에 의하여 상기 정수기(100a)는 스스로 살균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정수기(100a)를 일반모드로 동작하여 유입된 물을 필터부(110)로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정수는 저장탱크(120)에 저장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히터 또는 냉각기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10)는 복수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세디멘트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RO 멤브레인 필터(113) 및 후카본필터(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O멤브레인 필터(113)는, 필터링 과정에서 생성된 생활용수를 배출하는 생활용수 배출관(1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생활용수 배출관(116)에는 체크밸브(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정수기(100a)를 살균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유로전환밸브(132)가 상기 필터부(110)에 연결된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필터부(11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세정부(131)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세정부(131)는 상기 필터부(110)에서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살균수는 연결관(133)을 따라 상기 저장탱크(1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는 만수위센서(121)가 감지할 때까지 공급될 수 있으며, 살균수는 상기 저장탱크(120)에 대한 살균을 수행한 후, 배수관(135)을 따라 배수펌프(134)를 통하여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살균동작이 끝나면, 즉, 상기 저수위센서(122)가 상기 살균수의 배수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유로전환밸브(132)로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필터부(110)에서 생성한 정수를 저장탱크(14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20)로 공급된 정수는 상기 저장탱크(120)를 세척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정수를 배출하여 상기 저장탱크(120)에 대한 세척동작을 마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100a)가 일반모드에서 살균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시점은, 기 설정된 살균패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살균패턴은 상기 정수기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정수기에 대한 살균이 필요한 시점은, 상기 정수기의 사용빈도, 사용패턴, 상기 정수기의 설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키트로부터 상기 살균패턴을 입력받아, 상기 정수기의 살균패턴을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키트의 사용방식에 따라서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어키트와 정수기 간의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동작패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LCD 패널, 키보드,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는, 상기 제어키트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제어키트의 프로세서를 위한 휘발성 메모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 방법의 수행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50)은, 정수기 인식단계(51), 상태정보 표시단계(52), 동작패턴입력단계(53), 동작패턴설정단계(54) 및 상태정보 재전송단계(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어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50)을 설명한다.
정수기 인식단계(51)에서는, 제어키트가 정수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와 제어키트는 유,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상기 제어키트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정수기에 기 설정된 동작패턴,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 상기 정수기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이력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이력 등이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출수온도, 냉수 및 온수의 생성량, 히터의 동작주기 등이 결정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에 대한 살균주기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상태정보 표시단계(52)에서는, 제어키트가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된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상태정보로부터 파악된 정수기의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정수기에 대한 입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정보 표시단계(52)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상기 정수기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주기 단위는, 하루 단위, 일주일단위, 월단위, 계절단위 등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에 대한 일별 사용패턴, 주별 사용패턴, 월별 사용패턴 및 계절별 사용패턴 등을 얻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패턴에 따라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조절하여 상기 정수기의 효율적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 회사에 비치된 정수기의 경우에는 주말의 사용량이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주말에 정수기를 비우고 살균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동작패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여름에는 온수보다 냉수의 사용량이 많으므로 온수의 생성량은 줄이고 냉수의 생성량을 높이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정수기의 사용패턴에 맞는 동작패턴을 상기 제어키트가 추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각의 사용패턴에 대응하는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제어키트의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정수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패턴과 유사한 사용패턴을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패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동작패턴입력단계(5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변경하고자 할 수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에 대한 새로운 동작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수기 내부를 스스로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수행하는 살균패턴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가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 패턴,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생성 패턴 및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 패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키트의 저장부에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어키트에 저장된 상기 동작패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작패턴설정단계(54)에서는, 상기 제어키트가 상기 입력된 동작패턴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에 설정할 동작패턴이 상기 제어키트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키트는 상기 동작패턴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는 전송받은 동작패턴을 새로운 동작패턴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정수기는 상기 새로운 동작패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키트는 상기 동작패턴 이외에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운영 체제 등의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정수기 사용의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 정수기의 바이어스나 펌웨어 등은 수시로 업데이트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키트를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설정할 때,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 시에는,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RTC: Real Time Clock)의 시간을 상기 제어키트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정수기의 경우, 설치된 위치, 정수기의 동작 등에 의하여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의 동작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실제 시간에 비하여 상기 실시간 계시기가 느려지거나 빨라질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살균동작을 비롯하여 다양한 동작들은 상기 실시간 계시기가 제공하는 시간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상기 실시간 계시기의 시간에 오차가 생기면 상기 정수기는 제대로 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키트는 상기 업데이트시에 상기 정수기의 시간을 상기 제어키트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정수기의 실시간 계시기의 오차를 해소할 수 있다.
상태정보재전송단계(55)는,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54) 이후에,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재전송받아 상기 정수기에 설정된 동작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유,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설정하거나 정수기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면,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잘못된 정보가 전송되거나 제대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수기에 설정된 동작패턴은 사용자가 상기 제어키트에 입력한 동작패턴과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정수기는 오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동작패턴 설정 및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태정보를 재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정수기가 전송하는 상태정보에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비롯하여 상기 업데이트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정수기에 대한 동작패턴 설정 및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댁내장치 중 하나로 정수기를 활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정수기와 유사한 이온수기, 커피메이커, 음료제공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수처리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댁내장치로서, 공기청정기, 비데 등에도 상기한 바와 유사한 제어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댁내 장치 200: 제어 키트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인터페이스부
300: 관리 서버
110: 필터부 120: 저장탱크
130: 세정모듈 140: 제어부

Claims (32)

  1.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식별 번호,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4.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상기 제품 상제 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및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상세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8. 댁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검색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상기 제품 상제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및 상기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상세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명, 제품 구성 블록도, 제품 동작 설정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델을 저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을 표시하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제어 키트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더 저장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6. 댁내 장치 및 관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가지는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댁내 장치로부터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제품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상세 정보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상기 제품 상제 정보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어 키트가 상기 입력된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댁내 장치의 제품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이력, 상기 댁내 장치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 이력, 상기 댁내 장치의 고장 이력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댁내 장치의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및 상기 조정된 설정 데이터를 동시에 표시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의 상태 정보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 및 상기 댁내 장치의 동작 설정치의 설정 또는 변경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장치의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댁내 장치로 전송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는 상기 댁내 장치의 설정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모델을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을 표시하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설정 데이터에 대한 모델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키트는 상기 댁내 장치의 식별 코드 별로 상기 상태 정보 또는 설정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더 표시하는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어키트가 정수기로부터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정수기 인식단계;상기 제어키트가 상기 정수기의 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상태정보 표시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을 입력받는 동작패턴입력단계; 및
    상기 제어키트가 상기 입력된 동작패턴을 상기 정수기로 전송하여, 상기 정수기가 상기 동작패턴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동작패턴설정단계를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가 상기 정수기 내부를 스스로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수행하는 살균패턴을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는
    유입된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가 생성한 살균물질을 상기 저장탱크로 공급하여 상기 저장탱크를 살균하는 살균동작을 상기 살균패턴에 따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은
    상기 정수기가 온수를 생성하는 온수생성 패턴,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생성 패턴 및 얼음을 생성하는 얼음생성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정수기에 기 설정된 동작패턴,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 상기 정수기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어이력 및 상기 정수기의 고장이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이력을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나누어 상기 정수기에 대한 사용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패턴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키트는,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정수기의 동작패턴이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정보 표시단계는, 상기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패턴에 대응하는 동작패턴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 이후에, 상기 정수기로부터 상기 상태정보를 재전송받아 상기 정수기에 설정된 동작패턴을 확인하는 상태정보재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는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운영 체제의 업데이트 데이터의 전송을 더 포함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패턴설정단계는
    상기 제어키트에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RTC: Real Time Clock)의 시간으로, 상기 정수기에 내장된 실시간 계시기의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 제어 방법.
KR1020120071186A 2011-06-30 2012-06-29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KR10193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30,240 US10310520B2 (en) 2011-06-30 2012-06-29 Control method of an in-house device using a control kit and control method for a water purifier using a control kit
PCT/KR2012/005201 WO2013002610A2 (ko) 2011-06-30 2012-06-29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4341 2011-06-30
KR1020110064341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64A true KR20130004164A (ko) 2013-01-09
KR101936738B1 KR101936738B1 (ko) 2019-04-09

Family

ID=4783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186A KR101936738B1 (ko) 2011-06-30 2012-06-29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0520B2 (ko)
EP (1) EP2728796B1 (ko)
KR (1) KR101936738B1 (ko)
WO (1) WO201300261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31B1 (ko) * 2017-04-18 2018-08-09 (주)구츠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KR101909598B1 (ko) *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323A (ko) 2016-10-31 2018-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995A (ja) * 2005-12-19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39335B2 (de) * 1977-09-01 1980-01-10 Blutspendedienst Der Landesverbaende Des Deutschen Roten Kreuzes Niedersachsen, Oldenburg Und Bremen Gemeinnuetzige Gmbh, 3257 Springe Verfahren zur Gewinnung von keim- und teilchenfreiem Wasser fur medizinische Injektionen und für technische Zwecke
US5351199A (en) * 1989-06-26 1994-09-27 Brun Corporation Programmable water treatment controller for progressive flow systems
US5587055A (en) * 1993-10-26 1996-12-24 Michael O. Hartman Water distilling apparatus and method
JPH08171443A (ja) *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支援装置及び操作支援方法
AU2002250295A1 (en) * 2001-03-16 2002-10-03 Ewater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water quality and transmitting water quality data
KR20060110073A (ko)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US7991490B2 (en) * 2005-12-05 2011-08-02 Aquion, Inc. Control unit for utility treatment systems
FR2923974A1 (fr) * 2007-11-21 2009-05-22 Millipore Corp Dispositif de controle et commande d'au moins un systeme de purification d'eau
AU2009225444B2 (en) 2008-03-20 2014-12-18 Signify Holding B.V. A conductive magnetic coupling system
US20110264568A1 (en) * 2008-10-07 2011-10-27 Crev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in-room drinking water service in a hotel
US7840383B2 (en) * 2009-04-01 2010-11-23 Eugene Wang Operationalizing a power usage monitoring system
EP2440306B1 (en) * 2009-06-08 2021-03-24 Woongjin Coway Co., Ltd. Water purifier
US20110113360A1 (en) 2009-11-12 2011-05-12 Bank Of America Corporatio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3995A (ja) * 2005-12-19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90000057A (ko) * 2006-12-21 2009-01-07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정수기의 동작상태 및 관리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정수기 및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31B1 (ko) * 2017-04-18 2018-08-09 (주)구츠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KR101909598B1 (ko) * 2017-04-18 2018-10-18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WO2018194211A1 (ko) * 2017-04-18 2018-10-25 (주)구츠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WO2018194212A1 (ko) * 2017-04-18 2018-10-25 (주)구츠 Iot 기반 자율운전이 가능한 지능형 스마트 음용수기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2178A1 (en) 2014-06-19
EP2728796B1 (en) 2020-04-22
US10310520B2 (en) 2019-06-04
EP2728796A2 (en) 2014-05-07
KR101936738B1 (ko) 2019-04-09
EP2728796A4 (en) 2015-01-28
WO2013002610A3 (ko) 2013-04-04
WO2013002610A2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1985A1 (en) Predictive and preventative maintenance systems for connected water devices
US73174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consumption data from a meter reading system
EP266248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KR101828461B1 (ko) 전기기기, 전력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2430023U (zh) 具有滤芯更换显示装置的净水器
US201703000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supply apparatus
US10865124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WO2016025990A1 (en) Processing of resource consumption data via monitoring physically observable behaviors of an existing resource meter and provision of functionalities based on processing of resource consumption data
US20130282624A1 (en) Restaurant Equipme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JPWO2018124291A1 (ja) 浄水器、浄水器システム、浄水器管理システム及び浄水器使用状況検出方法
US11548795B1 (en) Water delivery control system
KR20150114994A (ko) 휴대 전자 장치에 의한 냉동 설비 제어
JP2007228697A (ja) 省エネルギシステム
KR101936738B1 (ko) 제어 키트를 이용한 댁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제어방법
US10822251B1 (en) Piston valve with annular passages
KR10188713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자가진단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음용수기 제어장치
WO2019218873A1 (zh) 一种水质地图的生成方法及采用水质地图的控制方法
KR102010971B1 (ko) 정수기 제어방법
US11209839B1 (en) Pump controller apparatus
KR101153133B1 (ko) 소비전력 패턴분석시스템용 지능형 콘센트
JP6236061B2 (ja) 電気機器制御装置および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US10822250B1 (en) Valve control apparatus
KR20130095012A (ko) 외부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및 냉온수 공급기 진단 시스템
JP2015029810A (ja) 洗濯機の情報システム
JP2003122871A (ja) 機器保守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