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786B1 -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4786B1 KR102344786B1 KR1020190139221A KR20190139221A KR102344786B1 KR 102344786 B1 KR102344786 B1 KR 102344786B1 KR 1020190139221 A KR1020190139221 A KR 1020190139221A KR 20190139221 A KR20190139221 A KR 20190139221A KR 102344786 B1 KR102344786 B1 KR 102344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ble
- attached
- angle
- adhesive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a) 격자형태로 각파이프가 설치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에 석고보드가 부착되고, 이후 상기 석고보드에 시멘트보드 또는 합판이 부착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시멘트보드 또는 합판에 메탈라스망이 부착되는 단계; (c) 상기 메탈라스망이 부착된 상태의 상기 시멘트보드 또는 합판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도포된 상기 접착제 속에 상기 메탈라스망이 위치되는 단계; 및 (d) 상기 접착제에 대리석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대리석 접착용 접착제의 접착력 증대와 더불어 대리석 일부만이 파손된 경우에도 나머지 부분이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메탈라스망을 추가로 부착하여 접착제가 이러한 메탈라스망에도 도포되도록 하고, 나아가 부착된 대리석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대리석과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대리석을 접착제 쪽으로 잡아당긴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앵글이 부착되어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리석은 고급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천연대리석 뿐만 아니라 천연대리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인조대리석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리석은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며, 작업 완료된 상태에서 대리석을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건축벽이나 바닥면에 부착시켜 마감하게 된다.
접착제로 벽 등에 부착된 대리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해지고, 이에 따라 약간의 충격에도 벽 등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나아가, 접착력이 약해진 상태에서 대리석이 벽 등으로부터 떨어지되, 일정한 사이즈의 단위 대리석 일부분에 접착력이 약해져 일부분만이 떨어지는 경우라도, 일부분이 떨어지면서 나머지 부분에서의 접착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대리석 전체가 한꺼번에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007181호를 살펴본다.
종래기술은 인공 대리석을 외벽에 부착할 때, 본드 및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못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본드 및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며, 벽뿐만이 아니라, 목재 및 철재로 된 부분에도 부착 할 수 있어 사용 범위가 넓으며, 전문가의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노동력이 절감되므로, 일반 사용자들이 손 쉽게 부착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심미감 측면에서 퍼즐형으로 조립하여 부착한 후, 대리석 외측면에서 못을 관통시켜 조립된 퍼즐형 대리석을 고정시키는 기술적 특징을 개시하고 있는 바,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이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경우 등 그 외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전혀 전용할 수 없는 기술적 특징으로 그 적용이 매우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나아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면에 못이 박혀 있는 바, 퍼즐형 대리석 부착 이외의 일반적인 대리석에 적용되기에는 심미감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이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되는 경우, 일정한 외력에도 대리석이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더 나아가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 중 일부분이 떨어져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나머지 부분은 여전히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2019-0007181 A
(특허문헌 2) KR10-2014-0123791 A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리석을 건물 내외벽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대리석 부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접착제의 접착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의 일부분이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부분이 이러한 파손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견고하기 유지될 수 있는 대리석 부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일차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대리석이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차적으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부착된 대리석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부착된 대리석을 벽 쪽으로 잡아당기는 상태로 유지되어 부착된 대리석의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대리석 부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은, (a) 격자형태로 각파이프(100)가 설치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에 석고보드(200)가 부착되고, 이후 상기 석고보드(200)에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이 부착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는 단계; (c)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된 상태의 상기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에 접착제(600)가 도포되어, 도포된 상기 접착제(600) 속에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위치되는 단계; 및 (d) 상기 접착제(600)에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b-1)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앵글(520)이 부착되고, 앵글고정수단(530)이 상기 앵글(520)과 상기 메탈라스망(400)을 관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앵글(520)은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접촉되는 수직방향의 접촉부(522); 및 상기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대리석(700)을 지지하는 대리석지지부(524)를 포함하며,
상기 대리석지지부(524)는 상기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이후 두 개의 부분으로 분기되고,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인 위방향돌출분기(524-1)는 위 방향으로 꺽어지고 나머지 한 부분인 아래방향돌출분기(524-2)는 아래방향으로 꺽어진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앵글(520)은 상기 각파이프(10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메탈라스망(400)의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앵글고정수단(530)이 상기 앵글(520), 상기 메탈라스망(400), 상기 시멘트보드(320), 상기 석고보드(200)를 관통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앵글(520)이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리석(700)의 하단면 중 일측에는 상기 위방향돌출분기(524-1)가 삽입되도록 위방향으로 하단삽입홈(7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리석(700)의 상단면에는 상기 대리석지지부(524)가 안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파인 형태의 지지부안착홈(720)과 상기 아래방향돌출분기(524-2)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안착홈(720)의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상단삽입홈(730)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탈라스망(400)은 상기 각파이프(10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시멘트보드(320)의 부분에 부착되되, 일정한 사이즈의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b-2)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와셔(540)가 위치된 상태에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상기 와셔(540), 상기 메탈라스망(400), 상기 시멘트보드(320), 상기 석고보드(200)를 관통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상기 시멘트보드(320)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와셔(540)가 위치된 상태에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상기 와셔(540), 상기 메탈라스망(400), 상기 합판(340), 상기 석고보드(2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상기 합판(340)에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대리석(700) 사이의 줄눈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각파이프(100)가 위치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대리석과 벽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력이 유지됨에 있어서, 접착제의 접착력이 증대되도록 벽에 고정된 메탈라스망이 부착된 상태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바, 메탈라스망에 의해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욱 증대된다.
나아가, 대리석과 벽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되, 이러한 접착제 속에 벽에 고정된 메탈라스망이 위치됨에 따라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 각각의 부분에서 각각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 중 일부분이 파손되거나 접착력이 약해져 떨어지더라도, 나머지 부분은 여전히 메탈라스망의 위치로 인하여 접착제의 접착력이 유지되는 바, 파손된 일부분만이 떨어지더라도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 전체가 한꺼번에 떨어지지 않고 유지되어 대리석이 떨어짐으로써 발생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일차적으로 접착제의 의해 대리석이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 이차적으로 앵글이 대리석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대리석을 벽 쪽으로 끌어 당긴채 유지되는 바 대리석의 부착력을 더욱 증대시키고,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해져 대리석이 벽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이차적으로 이러한 앵글로 대리석을 지지하는 바, 대리석이 떨어짐으로써 발생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벽에 대리석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벽에 대리석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대리석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글과 대리석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벽에 대리석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대리석의 하중을 지지하는 앵글과 대리석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벽이 형성되는 단계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벽이 형성되기 위하여, 벽이 이뤄질 공간에 격자형태의 각파이프(100)가 설치되고, 이후 각파이프(100)에 석고보드(200)가 부착되고, 이후 석고보드(200)에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이 부착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한쪽 방향으로만 벽이 형성되고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파이프(100)를 중심으로 양쪽 방향으로 벽이 형성되고 양쪽에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격자형태의 각파이프(100)에서 빈공간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각파이프(100)의 측면에 석고보드(200)의 일측면이 부착되고, 다시 석고보드(200)의 타측면에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일측면이 부착되면서 벽이 형성된다.
2. 메탈라스망이 부착되는 단계
석고보드(200)의 타측면에 부착된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일측면에 대응되는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된다.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부착되는 메탈라스망(400)의 메쉬 크기는 후술할 한덩어리의 접착제 속에 다수의 메쉬 단위가 위치될 수 있도록 작은 사이즈일 수 있다.
접착제(600) 속에 위치된 메탈라스망(400)에 의해, 접착제(600)가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접착된 상태에서도 추가적으로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고정된 메탈라스망(400)이 접착제(600)에 접착된 상태인 바,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과 접착제(600)의 접착력에 더하여 메탈라스망(400)과 접착제(600)의 접착력으로 접착력이 증대된다.
나아가,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에는 접착제(600)가 접착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다수의 접착제(600)가 접착된 상태이어서,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 중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되거나 접착력이 약해져 떨어지더라도, 여전히 나머지 부분에서의 접착력이 유지되어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 전체가 떨어질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구체적으로,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 중 어느 한 부분에 접착된 접착제(600)가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으로부터 떨어지더라도, 다른 부분에서는 여전히 접착제(600)가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 및 메탈라스망(400)에 접촉된 상태로 접착력을 유지하는 바,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 전체가 한꺼번에 떨어질 위험성이 최소화된다.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과 대리석(700)의 일측면 사이에 위치된 접착제(600)의 접착 표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다수의 단위 메쉬가 접착제(600) 속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메탈라스망(400)의 접착 표면적은 접착제(600)가 접촉하는 평평한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의 접착 표면적보다 넓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순히 메탈라스망(400) 없이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접착제(600)가 접착하는 것보다, 이에 더하여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고정된 메탈라스망(400)에 접착제(600)가 접착함으로써 접착력이 2배 이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600)는 우레탄 또는 에폭시 계열 접착제일 수 있다.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메탈라스망(400)은 일정한 사이즈의 메탈라스망(400)이 다수로 위치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원가절감 차원에서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 전체에 부착되는 것보다는, 대리석(700)의 접착력을 위해 접착제(600) 및 후술할 와셔(540)가 위치되는 부분과 대리석(700)의 지지력을 위해 후술할 앵글(520)이 위치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3. 시멘트보드(320)나 합판(340)의 타측면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단계
메탈라스망(400)에 메쉬 크기보다 큰 사이즈의 와셔(540)가 부착되어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메탈라스망(400)에 와셔(540)가 위치된 상태에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와셔(540), 메탈라스망(400), 시멘트보드(320), 석고보드(200)를 순서대로 관통하고, 이후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메탈라스망(400)이 시멘트보드(320)에 고정된다.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각파이프(100)에 관통됨에 따라 고정력이 증대되고, 따라서 시멘트보드(320)의 타측면에서의 메탈라스망(400)의 고정력이 증대된다. 시멘트보드(320)에만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관통하는 경우, 시멘트보드(320)는 경질재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는 바,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을 각파이프(100)에 관통시킴으로써 고정력을 보완한다(도 2의 (a) 참조).
이러한 시멘트보드(320)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일정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시멘트보드(320)가 적용되는 경우,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 및 후술할 앵글고정수단(530)이 관통되는 부분에 각파이프(100)가 위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각파이프(100)는 격자형태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앵글(520)은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파이프(100)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과 앵글고정수단(530)이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는 각파이프(100)를 관통하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메탈라스망(400)에 와셔(540)가 위치된 상태에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와셔(540), 메탈라스망(400), 합판(340), 석고보드(200)를 순서대로 관통함으로써 메탈라스망(400)이 합판(340)의 타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시멘트보드(320)와 달리 합판(340)인 경우, 합판(340)과 석고보드(200)를 관통하는 것만으로 메탈라스망(400)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바, 합판(340)을 관통하는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각파이프(100)를 관통하는 것과 상관없이 고정력이 유지된다(도 2의 (b)참조).
이러한 합판(340)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합판(340)이 적용되는 경우,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 및 후술할 앵글고정수단(530)이 합판(340)과 석고보드(200)를 관통한 후 반드시 각파이프(100)를 관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앵글(520)의 위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파이프(100)의 위치에 대응될 필요가 없어, 일정한 간격과 상관없는 다양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과 앵글고정수단(530)이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는 각파이프(100)를 관통하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4. 메탈라스망(400)에 앵글(520)이 부착되고 고정되는 단계
시멘트보드(320))의 타측면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부착될 대리석(7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고, 앵글고정수단(530)이 앵글(520), 메탈라스망(400), 시멘트보드(320), 석고보드(200)를 관통하고, 이후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고정된다.
경재질인 시멘트보드(320)로 인하여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어 고정되기 위해서는 앵글고정수단(530)이 각파이프(100)를 관통하여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앵글(520)은 각파이프(10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메탈라스망(400)의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앵글(520)은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되고, 이러한 앵글(520)의 앵글고정수단(530)이 격자 형태의 각파이프(100)를 관통해야 하는 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파이프(100)에 대응되도록 동일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또는, 합판(340))의 타측면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부착될 대리석(7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고, 앵글고정수단(530)이 앵글(520), 메탈라스망(400), 합판(340), 석고보드(200)를 관통함으로써 이후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고정된다.
시멘트보드(320)의 타측면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고 고정된 상태와 달리, 앵글고정수단(530)이 합판(340)과 석고보드(200)를 관통하는 경우 앵글(520)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기에, 반드시 앵글고정수단(530)이 각파이프(100)를 관통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각파이프(100)의 위치와 상관없이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의 일측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각파이프(100)와 상관없는 다양한 규격 사이즈의 대리석(700)을 연속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앵글(520)은 메탈라스망(400)에 접촉되는 수직방향의 접촉부(522) 및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로 대리석(700)을 지지하는 대리석지지부(524)를 포함한다.
나아가, 대리석지지부(524)는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이후 두 개의 부분으로 분기되고, 두 개의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인 위방향돌출분기(524-1)는 위방향으로 꺽어지고 나머지 한 부분인 아래방향돌출분기(524-2)는 아래방향으로 꺽어진 형태일 수 있다(도 3 참조).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대리석지지부(524)로 대리석(70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대리석(700)의 하단면 중 일측에는 위방향으로 하단삽입홈(740)이 형성되어 있어 위방향돌출분기(524-1)가 삽입된다. 대리석(7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대리석(700)을 접착제(600)가 위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유지시킨다.
대리석(700)의 상단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파인 형태의 지지부안착홈(720)이 형성되어 있어 대리석지지부(524)가 지지부안착홈(720)에 안착되며, 지지부안착홈(720)의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상단삽입홈(730)이 형성되어 있어 아래방향돌출분기(524-2)가 삽입된다(도 3 참조).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동시에 대리석(700)을 접착제(600)가 위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유지시킨다.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대리석지지부(524)가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이후 대리석(700)이 접착제(600)에 접착되면서 동시에 앵글(5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앵글(520) 중 대리석지지부(524)는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의 줄눈 부분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리석지지부(524), 위방향돌출분기(524-1)와 아래방향돌출분기(524-2)가 대리석(700)의 지지부안착홈(720),하단삽입홈(740)과 상단삽입홈(730)에 삽입된다.
시멘트보드(320)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경우, 각파이프(100)는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의 줄눈 부분에 대응하여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대리석(700)과 대리석(700) 사이의 줄눈 부분에 앵글(520)이 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이다.
5.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된 상태의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에 접착제(600)가 도포되어, 도포된 접착제(600) 속에 메탈라스망(400)이 위치되는 단계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되고, 앵글(520)이 메탈라스망(400)에 부착되어 고정된 이후, 접착제(600)가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된 상태의 시멘트보드(320) 또는 합판(340)에 도포된다.
접착제(600)가 전체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탈라스망(400)이 위치되는 부분에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600)의 접착력이 메탈라스망(400)으로 인하여 2배 이상으로 증대될 수 있다.
6. 접착제(600)에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단계
접착제(600)가 도포된 이후 대리석(700)을 접착제(600)에 부착시킨다. 접착제(600)가 도포된 이후 일정 시간 이내에 대리석(700)이 부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접착제(600)가 에폭시인 경우, 도포된 이후 5분 이내에 대리석(700)이 부착되어야 한다.
대리석(700)이 접착제(600)에 부착됨과 동시에, 대리석(700)의 하단면의 하단삽입홈(740)에 앵글(520)의 위방향돌출분기(524-1)가 삽입되고, 대리석(700)의 상단면의 지지부안착홈(720)에 앵글(520)의 대리석지지부(524)가 안착되고, 대리석(700)의 상단면의 상단삽입홈(730)에 앵글(520)의 아래방향돌출분기(524-2)가 삽입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각파이프
200: 석고보드
320: 시멘트보드 340: 합판
400: 메탈라스망
520: 앵글 522: 접촉부 524: 대리석지지부
524-1: 위방향돌출분기 524-2: 아래방행돌출분기
530: 앵글고정수단
540: 와셔 550: 메탈라스망고정수단
600: 접착제
700: 대리석
200: 석고보드
320: 시멘트보드 340: 합판
400: 메탈라스망
520: 앵글 522: 접촉부 524: 대리석지지부
524-1: 위방향돌출분기 524-2: 아래방행돌출분기
530: 앵글고정수단
540: 와셔 550: 메탈라스망고정수단
600: 접착제
700: 대리석
Claims (5)
- (a) 격자형태로 각파이프(100)가 설치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에 석고보드(200)가 부착되고, 이후 상기 석고보드(200)에 시멘트보드(320)가 부착되는 단계;
(b) 상기 시멘트보드(320)에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는 단계;
(b-1)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앵글(520)이 부착되고, 앵글고정수단(530)이 상기 앵글(520), 상기 메탈라스망(400), 상기 시멘트보드(320) 및 상기 석고보드(200)를 관통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앵글(520)이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고정되는 단계;
(b-2)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와셔(540)가 위치된 상태에서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이, 상기 와셔(540), 상기 메탈라스망(400), 상기 시멘트보드(320) 및 상기 석고보드(200)를 관통하고, 이후 상기 각파이프(100)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상기 시멘트보드(320)에 고정되는 단계;
(c)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부착되어 고정된 상태의 상기 시멘트보드(320)에 접착제(600)가 도포되어, 도포된 상기 접착제(600) 속에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위치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도포된 상기 접착제(600)에 대리석(700)이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메탈라스망(400)은 상기 각파이프(10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시멘트보드(320)의 부분에 부착되되, 일정한 사이즈의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부착되며,
상기 (b-1) 단계에서, 상기 앵글(520)은 상기 각파이프(100)가 위치되는 부분에 대응되는 상기 메탈라스망(400)의 부분에 부착되며,
상기 메탈라스망(400)이 상기 시멘트보드(320)의 부분에 부착되어 고정되되, 상기 접착제(600)가 도포된 부분, 상기 와셔(540)가 위치되는 부분 및 상기 앵글(520)이 위치되는 부분에만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메탈라스망고정수단(550)과 상기 앵글고정수단(530)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는 상기 각파이프(100)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520)은 상기 메탈라스망(400)에 접촉되는 수직방향의 접촉부(522); 및 상기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태로 상기 대리석(700)을 지지하는 대리석지지부(524)를 포함하며,
상기 대리석지지부(524)는 상기 접촉부(522)의 하단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이후 두 개의 부분으로 분기되고, 상기 두 개의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인 위방향돌출분기(524-1)는 위 방향으로 꺽어지고 나머지 한 부분인 아래방향돌출분기(524-2)는 아래방향으로 꺽어진 형태인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석(700)의 하단면 중 일측에는 상기 위방향돌출분기(524-1)가 삽입되도록 위방향으로 하단삽입홈(7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대리석(700)의 상단면에는 상기 대리석지지부(524)가 안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파인 형태의 지지부안착홈(720)과 상기 아래방향돌출분기(524-2)가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안착홈(720)의 일측에서 아래방향으로 상단삽입홈(730)이 형성되어 있는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9221A KR102344786B1 (ko) | 2019-11-04 | 2019-11-04 |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9221A KR102344786B1 (ko) | 2019-11-04 | 2019-11-04 |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523A KR20210053523A (ko) | 2021-05-12 |
KR102344786B1 true KR102344786B1 (ko) | 2021-12-29 |
Family
ID=7591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9221A KR102344786B1 (ko) | 2019-11-04 | 2019-11-04 |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478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0016B1 (ko) | 2022-11-30 | 2023-07-26 | 정옥순 | 계단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KR102560022B1 (ko) | 2022-11-30 | 2023-07-26 | 정옥순 | 직사각 기둥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KR102563267B1 (ko) | 2022-11-30 | 2023-08-04 | 정옥순 | 직사각형 벽면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6400Y1 (ko) | 1999-08-06 | 2000-02-15 | 주식회사월드스톤 |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
KR200308557Y1 (ko) * | 2003-01-06 | 2003-03-28 | 장성덕 | 건축용 석재 고정구 |
KR100645488B1 (ko) * | 2005-08-02 | 2006-11-14 | 대보그린하우징주식회사 | 건물외장용 인조스톤패널의 시공방법 |
KR100840343B1 (ko) * | 2007-03-16 | 2008-06-20 | 지영화 |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
-
2019
- 2019-11-04 KR KR1020190139221A patent/KR10234478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6400Y1 (ko) | 1999-08-06 | 2000-02-15 | 주식회사월드스톤 | 석재판넬의 고정브라켓 및 고정장치 |
KR200308557Y1 (ko) * | 2003-01-06 | 2003-03-28 | 장성덕 | 건축용 석재 고정구 |
KR100645488B1 (ko) * | 2005-08-02 | 2006-11-14 | 대보그린하우징주식회사 | 건물외장용 인조스톤패널의 시공방법 |
KR100840343B1 (ko) * | 2007-03-16 | 2008-06-20 | 지영화 |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0016B1 (ko) | 2022-11-30 | 2023-07-26 | 정옥순 | 계단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KR102560022B1 (ko) | 2022-11-30 | 2023-07-26 | 정옥순 | 직사각 기둥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KR102563267B1 (ko) | 2022-11-30 | 2023-08-04 | 정옥순 | 직사각형 벽면에 대한 대리석의 무늬맞춤 시공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3523A (ko) | 2021-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4786B1 (ko) | 건물 내외벽에 대리석을 부착하는 방법 | |
KR101664354B1 (ko) | 외장용 패널 고정장치 | |
JP5222666B2 (ja) | 住宅コンクリート基礎の補強構造 | |
JP5635749B2 (ja) | Alc部材及びalc部材への取付構造 | |
US7749346B1 (en) |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 |
JP2000356021A (ja) | 石製壁材の取付構造及び施工方法 | |
KR102049927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코너부 마감프레임 구조 | |
ITRA20070072A1 (it) | Accorgimenti e mezzi per isolare il battiscopa od altro rivestimento verticale dai suoni impattivi emergenti da un sottostante pavimento galleggiante. | |
KR20110116302A (ko) |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 |
KR200463279Y1 (ko) | 가구용 석재문짝 | |
JP3157739U (ja) | 補強板 | |
JP4678636B2 (ja) | タイルパネルの固定施工方法 | |
KR100415273B1 (ko) |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 |
KR102109659B1 (ko) | 외벽 모서리용 마감 프레임 | |
KR100249940B1 (ko) | 스티로폴 패널을 이용한 건축물 외벽구축용스티로폴 외장벽재 | |
JP5133801B2 (ja) | 壁パネル | |
KR200321140Y1 (ko) | 건축용 스틸 콘크리트 복합패널 | |
JPS6262224B2 (ko) | ||
KR102065245B1 (ko) | 뒤틀림 및 탈락 방지 기능을 갖는 단열외장재 및 그 단열외장재를 포함하는 건물 외장용 단열 조립체 | |
JP4114073B2 (ja) | 部屋の壁構造 | |
KR20240098401A (ko) | 조립식 목재 데크 고정용 브라켓모듈 | |
KR980009700A (ko) |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 |
JP4570416B2 (ja) | タイルの施工方法、これに用いるタイル張り下地ユニットおよびタイル、並びに外壁仕上げ方法、内壁仕上げ方法、床仕上げ方法 | |
JP2001081945A (ja) | 成形仕上材の取付構造 | |
KR20150108526A (ko) | 건축용 외장 몰딩 및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