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700A -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700A
KR980009700A KR1019970060895A KR19970060895A KR980009700A KR 980009700 A KR980009700 A KR 980009700A KR 1019970060895 A KR1019970060895 A KR 1019970060895A KR 19970060895 A KR19970060895 A KR 19970060895A KR 980009700 A KR980009700 A KR 98000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racket
tile
tile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철
Original Assignee
최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철 filed Critical 최윤철
Priority to KR101997006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700A/ko
Publication of KR98000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70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규격으로 절단된 패널의 표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한 뒤 브라켓에 의해 벽면으로 조립함으로서 시멘트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다른 작업의 병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한 작업성에 의한 작업능률의 향상과 공사기간를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현장의 청정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부착시키기 위한 패널의 가공공정과, 상기 패널을 벽면에 못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의 상, 하측부로 리벳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의 결합공정과, 상기 패널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타일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키는 타일부착공정과,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된 타일들 사이의 공간을 백시멘트에 의해 줄눈처리하여 메워줌으로서 타일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타일의 줄눈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과, 벽면에 다수개의 타일들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못 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시킬수 있도록 패널에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의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본발명은 건축용 타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규격으로 절단된 패널의 표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한 뒤 브라켓에 의해 벽면으로 조립함으로서 시멘트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게 되어 다른 작업의 병행이 가능하게 되므로 신속한 작업성에 의한 작업능률의 향상과 공사기간를 단축시킬 수 있고 작업현장의 청정 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된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벽면에 타일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벽면에 시멘트 몰탈로 미장을 먼저하여야 한다.
상기 시멘트 몰탈에 의한 미장이 완료되면 상기의 미장면에 타일을 한 개씩 부착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의 타일을 벽면의 미장면에 한 개씩 부착시킴으로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어진다.
또한, 상기의 타일을 작업자가 한 개씩 부착을 하기 때문에 넓은 벽면에 타일을 부착시킬 경우에는 부착된 타일면의 평활도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벽면에 부착된 타일면이 울퉁불퉁하게 부착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기의 타일부착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벽면과 타일사이의 미장면을 양생시켜야 비로소 벽면에 부착된 타일면을 얻을수 있는바, 상기의 양생기간은 약 2-3일간을 소요하게 되므로 양생기간내에는 다른 작업을 병행치 못하게 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미장면이 양생된 후에는 타일과 타일사이의 공간부에 백시멘트를 투입하여 메워주는 줄눈처리 작업을 해야 하고 줄눈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또다시 백시멘트를 양생시키는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타일작업시의 시간낭비가 너무 많게 된다.
또한, 상기의 타일 부착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의 각종 자재가 어지럽게 건물내에 널려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현장이 지저분하고 불결한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작업에 임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 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어지는 타일을 다량으로 한꺼번에 부착시킬수 있도록 함으로서 타일부착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되어 향상된 작업능률을 얻을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타일을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벽면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양생 기간에 따른 시간적 낭비를 제거함으로서 다른 작업의 병행이 가능한 동시에 공사기간 등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현장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패널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타일들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키고 상기 패널의 상,하측부에는 브라켓을 리벳으로 결합한 뒤 상기의 타일이 부착된 패널들의 브라켓을 작업현장의 벽면에 못 또는 스크류들을 이용하여 부착시킬수 있도록 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 할수 있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 타일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타일판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패널 102:관통공
111:브라켓 112:통공
113:삽입공 121:보조브라켓
122:결합공 131:타일
141:리벳 151:접착제
161:백시멘트 171:발포우레탄층
181:못 191:벽면
본 발명의 패널에 타일과 브라켓을 부착하는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건축물의 벽면(191)에 다수개의 타일(131)을 부착시키기 위한 패널(101)의 가공 공정과, 상기 패널(101)을 벽면(191)에 못(181)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부착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101)의 상,하측부로 리벳(141)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111)의 결합공정과, 상기 패널(101)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타일(131)을 접착제(151)에 의해 부착시키는 타일(131)부착공정과, 상기 패널(101)의 표면에 부착된 타일(131)들 사이의 공간을 백시멘트(161)에 의해 줄눈처리하여 메워줌으로서 타일(131)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타일(131)의 줄눈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의 패널에 타일과 브라켓이 부착된 구성을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벽면(191)에 다수개의 타일(131)을 한꺼번에 부착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일(131)들을 접착제(151)에 의해 부착하고 있는 패널(101)과, 상기 패널(101)을 못(181)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벽면(19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패널(101)에 결합되는 통공(112)이 형성된 브라켓(111)과, 상기 브라켓(111)을 패널(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의 고정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브라켓의 고정수단은 브라켓(111)의 하측부에 형성된 삽입공(113)과, 상기 삽입공(113)과 일치되도록 패널(101)에 형성되는 관통공(102)과, 상기 브라켓(111)반대편의 패널(101)면에 접촉되어 관통공(102)과 일치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122)이 형성된 보조브라켓(121)과, 상기 보조브라켓(121)의 결합공(122)과 패널(101)의 관통공(102)그리고 브라켓(111)의 삽입공(113)으로 결합되어 코킹에 의해 고정되는 리벳(141)으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패널(101)이 부착된 벽면(191)과 패널(101)사이의 공간부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 하기 위하여 벽면(191)과 패널(101)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발포우레탄층(171)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패널 제조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 패널의 가공공정
먼저, 규산칼슘 재질로 된 판체를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하여 패널(101)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의 패널(101)상,하측부에는 관통공(102)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의 관통공(102)은 드릴 작업에 의해 천공을 하고 패널(101)의 상,하측 1개소 내지 2개소에 천공을 하게 된다.
제2공정 : 브라켓의 결합공정
상기의 제1공정에서 얻은 패널(101)을 벽면(191)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브라켓(111)을 결합시켜야 한다.
상기 브라켓(111)의 상측부에는 벽면(191)에 못이나 스크류(181) 등에 의해 고정 시킬수 있도록 통공(112)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하측부에는 삽입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삽입공(113)을 패널(101)에 형성된 관통공(102)으로 일치시킨 뒤 리벳(141)을 삽입하여 코킹하면 브라켓(111)을 패널(101)에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패널(101)재질은 브라켓(111)이나 리벳(141)의 금속재질 보다는 약한 재질이므로 패널(101)의 관통공(102)이 파손되면서 브라켓(111)으로부터 탈거될 염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상기의 브라켓(111)을 결합시 패널(101)의 반대면에 보조 브라켓(121)을 결합한 뒤 브라켓(111)의 삽입공(113)과 패널(101)의 관통공(102) 그리고 보조브라켓(111)의 결합공(122)으로 리벳(141)을 결합하여 코킹하면 매우 견고한 결합구조를 얻을수 있게 된다.
제3공정 : 타일부착공정
상기의 제2공정에서 얻은 패널(101)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타일(131)을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의 타일(131)들은 접착제(151)에 의해 부착을 시킴으로서 신속하고 강력한 접척력을 얻을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101)의 평면에 타일(131)들이 부착되어지는 것이므로 울퉁불퉁한면이 없이 평활한 타일면을 얻을수 있게 된다.
제4공정 : 줄눈처리공정
상기 제3공정에 얻은 패널(101)에 부착된 타일(131)과 타일(131)사이의 공간부를 백시멘트(161)에 의해 메워주는 줄눈처리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백시멘트(161)에 의한 줄눈 처리작업에 의해 타일(131)과 타일(131)사이의 강력한 접착력을 얻을수 있고 타일(131)의 미관도 돋보이게 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타일(131)이 부착된 패널(101)은 공장에서 사전에 양산되어 작업 현장으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의 공장에서는 일정규격으로 절단된 패널(101)의 상, 하측 후면부로 브라켓(111)을 위치시키고 패널(101)의 상, 하측 전면부에는 보조브라켓(121)을 위치시킨 뒤 상기 보조브라켓(121)에 형성된 결합공(122)과 패널(101)에 형성된 관통공(102) 그리고 브라켓(111)에 형성된 삽입공(113)으로 리벳(141)을 결합하여 코킹작업을 함으로서 패널(101)에 브라켓(111)을 고정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패널(101)전면에는 다수개의 타일(131)을 접착제(152)에 의해 접착을 시키고 타일(131)과 타일(131)사이에는 백시멘트(161)로 메우는 눈줄처리작업을 한 뒤 일정기간 양생을 시키면 타일(131)이 부착된 패널(101)을 얻을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장에서 사정에 조립완료된 패널(101)은 작업현장으로 운반하여 건축물의 벽면(191)에 부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의 패널(101)을 벽면에 밀착시키면 패널(101)상, 하측부로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111)이 벽면과 접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11)의 통공(112)으로 못이나 스크류(181)를 삽입하여 벽면(191)으로 박으면 패널(101)을 용이하게 벽면(191)에 도2와 같이 부착시킬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패널(101)을 벽면(191)에 고정시키면 패널(101)과 벽면(191)이 브라켓(111)에 의해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간격을 그대로 방치하면 외부의 진동이나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어지게 되기 때문에 본발명에서는 이를 발포우레탄층(171)에 의해 메워주게된다.
즉, 상기 패널(101)과 벽면(191)사이를 메워주는 발포우레탄층(171)에 의해 외부의 진동과 소음을 방지할 뿐만아니라 패널(101)을 더욱 견고하게 벽면(191)에 부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타일(131)이 부착된 패널(101)을 벽면(191)에 매우 간편하게 부착시킬수 있게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능률적인 작업을 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패널(101)은 벽면(191)에 별도의 미장작업을 하지 않고 직접 부착되는 것이므로 시멘트몰탈의 양생기간이 필요치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양생기간을 절약할수 있게 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의 미장작업을 하지 않게 되므로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보다 청결한 상태로 작업에 임할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101)의 평면에 타일(131)들이 부착되어지는 것 이므로 울퉁불퉁 한면이 없이 평활한 타일면을 얻을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패널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타일들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키고 상기 패널의 상,하측부에는 브라켓을 리벳으로 결합한 뒤 상기의 타일이 부착된 패널들의 브라켓을 작업현장의 벽면에 못 또는 스크류들을 이용하여 부착시킴으로서 타일부착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수 있게 되어 향상된 작업능률을 얻을수 있고, 상기의 타일을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벽면에 조립할수 있도록 하여 양생 기간에 따른 시간적 낭비를 제거함으로서 다른 작업의 병행이 가능한 동시에 공사기간 등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현장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건축물의 벽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부착시키기 위한 패널의 가공공정과, 상기 패널을 벽면에 못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부착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패널의 상,하측부로 리벳에 의해 결합되는 브라켓의 결합공정과, 상기 패널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타일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시키는 타일부착공정과,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된 타일들 사이의 공간을 백시멘트에 의해 줄눈처리하여 메워줌으로서 타일의 부착강도를 높여주기 위한 타일의 줄눈처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2. 벽면에 다수개의 타일을 한꺼번에 부착시킬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일들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고 있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못이나 스크류를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시킬수 있도록 패널에 결합되는 통공이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을 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의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고정수단은 브라켓의 하측부에 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과 치도록 패널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브라켓 반대편의 패널면에 접촉되어 관통공과 일치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의 결합공과 패널의 관통공 그리고 브라켓의 삽입공으로 결합되어 코킹에 의해 고정되는 리벳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이 부착된 벽면과 패널 사이의 공간부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 하기 위하여 벽면과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발포우레탄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타일판넬의 구조.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60895A 1997-11-18 1997-11-18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KR9800097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95A KR980009700A (ko) 1997-11-18 1997-11-18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0895A KR980009700A (ko) 1997-11-18 1997-11-18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700A true KR980009700A (ko) 1998-04-30

Family

ID=6609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0895A KR980009700A (ko) 1997-11-18 1997-11-18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KR100937016B1 (ko) * 2009-02-27 2010-01-18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타일과 이를 이용하여 방수처리된 수처리용 콘크리트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4147B1 (ko) * 2012-05-04 2013-01-21 권기목 황토타일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59B1 (ko) * 2007-11-20 2008-03-24 (주)에이치에이앤스틸 마감재 모듈
KR100937016B1 (ko) * 2009-02-27 2010-01-18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타일과 이를 이용하여 방수처리된 수처리용 콘크리트 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4147B1 (ko) * 2012-05-04 2013-01-21 권기목 황토타일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488B1 (ko) 건물외장용 인조스톤패널의 시공방법
WO2000008274A1 (en) Modular structural element
KR100274218B1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200414118Y1 (ko) 건축물 외장재 및 이의 시공구조
KR980009700A (ko) 건축용 타일판넬의 제조방법 및 구조
KR100845245B1 (ko) 건물외장용 패널의 시공방법
KR200407350Y1 (ko) 건축물 외장재 및 이의 시공구조
JPH111976A (ja) 建築物の取り合い構造
JP4758820B2 (ja) タイル貼付用の下地板とその取付方法及び外壁構造
JPH04222752A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H05280178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2753982B2 (ja) 入隅、出隅付近の施工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入隅部品および出隅部品、並びに、端部用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端部付近の施工方法
JP2005120705A (ja) 外壁パネル
JPH06136903A (ja) 硬質壁材の取付構造
JP2572478B2 (ja) 無機面材貼りパネルの接合構造
JP356066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自然石接着パネル型枠及び自然石接着パネル型枠用連結金具
JPH06167090A (ja) 石張り工法
JPS5919075Y2 (ja) Alc板の取付構造
JP2001081945A (ja) 成形仕上材の取付構造
JPH0230577Y2 (ko)
JPS63247466A (ja) 木質系化粧床の施工方法
KR0173839B1 (ko) 단열 벽체 시공 방법
KR960003315Y1 (ko) 건축용 패널
JP3106130U (ja) レンガ貼付用コンクリートパネル
JPH0699985B2 (ja) 外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