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839B1 - 단열 벽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벽체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839B1
KR0173839B1 KR1019960019890A KR19960019890A KR0173839B1 KR 0173839 B1 KR0173839 B1 KR 0173839B1 KR 1019960019890 A KR1019960019890 A KR 1019960019890A KR 19960019890 A KR19960019890 A KR 19960019890A KR 0173839 B1 KR0173839 B1 KR 0173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urface
heat insulating
rim
cent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610A (ko
Inventor
신용판
신태기
Original Assignee
신용판
주식회사대진산업
신태기
주식회사금성인테리어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판, 주식회사대진산업, 신태기, 주식회사금성인테리어디자인 filed Critical 신용판
Priority to KR1019960019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839B1/ko
Publication of KR960034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37Anchoring of separate elements through the lining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시공방법에서 볼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정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단기간에 완공할 수 있고 하자 보수시에도 폐자재의 발생이 극히 적게되는 새로운 구조의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콘크리트 벽면(1)에 종횡으로 고정판(4)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고정판(4)의 중심핀(6)에 단열재(7)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판(4)의 중심핀(6)에 지지판을 끼워 고정하는 단계; 석고본드를 바르는 단계; 석고보드를 부착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 벽체 시공 방법
제1(a)도는 종래의 단열재 시공 방법에서 벽면에 목편을 배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b)도는 상기 목편에 따라 목제틀을 배열하는 시공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단열 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지지핀의 사시도 및 분리 수평 단면도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A-A 단면 및 B-B 단면으로 절단된 본 발명의 단열 벽체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벽면 4 : 고정판
5 : 접합면 6 : 중심핀
7 : 단열재 9 : 지지판
10 : 장착면 10A : 장착면부
10B : 구획돌기부 11 : 중공축
12 : 구획벽 13 : 석고 본드
14 : 석고보드 15 : 돌기홈
16a : 테두리부 구멍 16b : 중앙부 구멍
17 : 구획 돌기부 구멍 18 : 연결부
19 : 테두리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면에 축조되는 단열 벽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단기간에 시공할 수 있으며 폐자재의 발생이 적고 단열 벽체의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 벽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건물의 내벽으로 시공되는 단열재는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과 석고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스티로폴과 유리면은 단열과 방음 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석고보드는 표면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상기 스티로폴과 유리면의 시공부위에 대한 마감재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스티로폴이나 유리면과 같은 단열재를 벽면 전반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은 대단히 번거롭고 품이 많이 소요되는 공사이다.
제1도는 종래의 단열 벽체 축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써, 제1(a)도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1)에 다수개의 목편(2)이 배열된다. 상기 목편은 벽면에 구멍을 뚫고 때려 박거나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매립해 놓아야 하는 것인 바, 이를 설치하는 공정이 매우 번거롭다. 다음에 배열된 목편을 교점으로 제1도(b)와 같이 격자상의 목제틀(3)을 설치한다. 설치된 목제틀(3)에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과 같은 단열재를 부착하고 다시 그 위로 석고보드를 부착한다. 상기 단열재가 유리면인 경우에는 석고보드를 시공하기 전에 PE 필름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시공 방법에서는 목제틀(3)을 만들어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목재 폐자재의 발생이 많으며 숙련 기능공을 필요로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공정이 간편하고 폐자재의 발생이 적으며 비숙련공일지라도 시공이 용이한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공정이 단순하여 공사 기간의 단축에 유리한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자재의 발생이 적은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이 용이하여 비숙련공일지라도 충분히 작업이 가능한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열재간의 조인트가 적어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 벽체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2도는 본 발명의 단열 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단열 벽체에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지핀의 사시도와 지지핀의 분리 수평 단면도이다.
지지핀은 고정판(4)과 상기 고정판(4)에 결합되는 지지판(9)으로 구성된다.
고정판(4)은 콘크리트 등 벽면에 부착되는 구성부재인데, 상기 고정판(4)은 직사각형의 판상의 접합면(5)과 상기 접합면(5)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중심핀(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면(5)에는 가로,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격자형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고정판(4)을 본드로 콘크리트 벽체에 부착할 경우 본드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상기 구멍에 본드가 삽입되어 본드와 고정판(4)과의 기계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접합면(5)에 형성된 구멍은 단면이 역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제조되어 본드와의 기계적 결합력을 극대화한다. 상기 접합면(5)의 크기는 60mm×6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벽돌벽의 경우 고정판(4)을 설치할 때 벽돌 1장의 측면 크기를 벗어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벽돌벽의 수직도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고정판(4)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판(9)은 상기 접합면(5)보다 조금 더 큰 직사각형의 판상의 장착면(10)과 상기 장착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중공축(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축(11)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의 중심핀(6)이 상기 중공에 삽입된다. 상기 중공축(11)에 형성된 중공의 내경과 고정판의 중심핀(6)의 외경은 서로 일치하여 마찰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중공축(11)에 중심핀(6)을 끼우고 고무망치 등으로 두드려서 단열 벽체의 두께와 수직도를 조정한다.
상기 장착면(10)은 장착면부(10A)와 돌출구획부(10B)로 구성된다. 장착면(10)은 석고본드에 의하여 석고보드와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평면과 단면구조를 가진다.
상기 장착면부(10A)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평면을 가진다. 평면에는 석고본드가 관통될 수 있도록 장방형 평면의 구멍(16a,16b)이 뚫려 있다. 구멍의 단면 형상은 역사다리꼴로 석고본드의 기계적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테두리부분 중 마주 보는 두 변에는 테두리 방향을 따라 한 변에 장방형으로 된 테두리부 구멍(16a)이 3개 뚫려 있고, 다른 마주 보는 두 변에는 테두리 방향으로 장방형으로 된 테두리부 구멍(16a)이 2개가 양끝에 배치되고 가운데에는 중앙부 구멍(16b)이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장착면부(10A)의 중앙부에는 장방형의 중앙부 구멍(16b)이 한 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3개의 장방형 테두리부 구멍(16a)이 있는 장착면 부분은 결과적으로 테두리부 구멍(16a), 테두리(19), 테두리(19)를 장착면부(10A)에 연결하는 연결부(18)로 이루어지는 날개부(W)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W)는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작업칼로 쉽게 절단·제거할 수 있다.
상기 돌출구획부(10B)는 양쪽 날개부(W)를 제외한 장착면부(10A) 위에서부터 연장 돌출된다. 돌출구획부(10B)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장변은 상기 장착면부(10A)의 한 변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이고, 단변은 상기 장착면부(10A)의 한 변에서 양 쪽 날개부(W)의 폭을 제외한 길이와 거의 같다. 돌출구획부(10B)의 구조는 단변 방향의 양쪽에 각각 2개씩 구획벽(12)이 돌출구획부 구멍(17)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고, 상기 구획벽(12)의 사이에 즉 장변 방향으로 돌기홈(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상기 구획벽(12)은 석고보드를 석고본드로 접착하기 위하여 석고본드를 바를 때 석고본드가 장착면부(10A) 바깥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석고본드를 낭비하지 않게 하는 역할과, 구획벽(12) 사이에 구획벽부 구멍(17)을 형성하여 석고본드가 상기 돌기홈(15)과 상기 구획벽부 구멍(17)으로 밀려들어가 결합함으로서 석고보드가 지지판(9)이 석고본드의 기계적 결합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석고본드는 지지판(9)면에 부착력으로 결합될 수 없기 때문에 지지판(9)의 구조가 석고본드를 기계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면 석고본드를 완전하게 결합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 지지판(9)의 구조는 이와 같이 석고본드의 기계적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장착면부(10A)의 양쪽에 한 쌍으로 돌출된 날개부(W)는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칼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핀을 설치할 공간이 좁은 코너 벽체 등에 지지핀을 설치할 경우, 지지판(9)이 고정판(4)의 접합면(5)보다 치수가 큰 관계로 지지판(9)을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지지판(9)의 날개부(W)를 절단하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이런 활용기능이 없다면 비록 고정판(4)을 설치했다하더라도 공간이 좁아 지지판(9)을 설치할 공간 여유가 부족하다면 도리없이 고정판(4)을 제거하여 다시 설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지지핀은 고정판(4)이 설치된 곳에는 지지판(9)은 어디나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어 재작업을 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위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한 장착면부(10A)의 크기는 80mm×80mm, 돌출구획부(12)의 외부 치수는 60mm×80mm이다.
중심핀(6)의 길이는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건축물 벽체에 시공되는 단열재의 두께는 벽체의 부위별로, 지역별로 다르게 규정되어 있으므로 이에 따라서 지지핀 규격을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 벽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면에 종횡으로 부착되는 고정판(4)과 상기 고정판(4)의 중심핀(6)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단열재(7)와 상기 고정판(4)의 중심핀(6)에 끼워져서 상기 단열재를 고정판(4)에 고정시키는 지지판(9)과 상기 지지판(9)의 상면에 석고본드(13)에 의해 고정되는 석고보드(1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단열 벽체를 축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제1공정은 단열재를 설치할 콘크리트 벽체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철근이나 못, 각재 등과 같은 바탕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계획된 도면에 따라 지지핀을 부착할 위치에 먹메김을 한다. 먹메김은 석고보드나 단열재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사전에 시공도를 작성한 후 실시한다.
제2공정은 먹메김된 위치에 지지핀 부착용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판(4)을 부착한다. 본드는 사용하기 직전에 잘 저어서 고정판(4)의 뒷면 전체에 충분히 발라 탈락하지 않도록 압착한다.
석고보드는 통상 910mm×1,820mm의 규격품을 사용하므로 고정판(4)은 수평으로 270mm, 수직으로 320mm 간격으로 설치하고 간격이 수평으로 540mm, 수직으로 640mm 이하인 경우에는 그 간격이 1/2 위치에 고정판(4)을 부착한다. 외벽 창문이나 외벽 문의 상부 등 폭이 좁은 부분은 폭이 200mm 이하인 경우는 1열, 200~320mm의 경우는 2열, 320mm 이상인 경우는 3열로 고정판을 설치한다.
제3공정은 고정판(4)에 콘크리트 못을 타정하는 단계이다. 콘크리트 못은 압축 공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못 타정용 전용 총(타카)을 사용하여 본드가 경화되기 전에 타정한다. 일반적으로 본드 부착후 36시간 이내에 타정하는 것이 좋다. 다만, 접착제만으로도 충분한 부착력이 확보되고 하자 발생의 우려가 없다면 콘크리트 못을 타정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제4공정은 단열재를 상기 고정판(4)에 끼우는 단계이다. 본드가 충분히 경화하여 고정판(4)이 콘크리트 벽체에 충분히 고정되면 고정판(4)의 중앙에 돌출된 중심핀(6)에 단열재를 끼워 넣는다. 단열재로써는 스티로폴, 유리면 또는 암면과 같은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중심핀(6)의 단부가 뾰족하게 되어 있어 손으로 단열재를 밀어 넣으면 손쉽게 단열재를 중심핀(6)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단열재는 미리 나누기도를 작성하여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며, 유리면이나 암면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Roll)로 된 재료를 사용하면 재료의 손실을 더욱 절감할 수 있고, 규격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단열재 사이의 조인트가 적어지는 바 단열 성능에 있어서도 더 유리하다. 유리면이나 암면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습기가 단열재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PE 필름을 전면에 부착한다.
제5공정은 PE 필름을 설치하고 지지판(9)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PE 필름을 중심핀(6)에 끼워 설치하고 그 위로 지지판(9)을 끼워 단열재를 고정한다. 지지판(9)은 고무창치 등으로 가볍게 때려서 중심핀(6)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고정판(4)과 지지판(9)의 고정은 별도의 고정 장치가 없이 중심핀(6)의 외경과 중공축(11)의 내경이 서로 일치하여 삽입할 수록 더욱 조여진다. 따라서, 고정판(4)과 지지판(9)을 결속하는 작업이 간단하며, 한번 결속되면 쉽게 빠지지 않아 석고보드를 고정하기에 충분하다.
제6공정은 지지판(9) 위에 석고본드를 바르고 석고보드를 수직, 수평을 맞추면서 설치하는 단계이다. 석고보드는 고무망치 등으로 두드리면서 수직, 수평을 조정하여 설치한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단열 벽체가 완성되며 석고본드가 충분히 경화할 때까지 충격이나 진동 등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Claims (3)

  1. 벽체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평평한 판상체에 가로, 세로로 일정한 간격으로 단면의 형상이 역사다리꼴 형상인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접합면(5)과 상기 접합면(5)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한 중심핀(6)으로 구성되는 고정판(4)을 벽체에 수직,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중심핀(6)에 단열재(7)을 끼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접합면(5)보다 더 큰 직사각형의 판상의 장착면(10); 과 상기 장착면(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판(4)의 중심핀(6)이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축(11); 으로 구성되며, 상기 장착면(10)은 장착면부(10A)와 돌출구획부(10B)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면부(10A)는 전체적으로 정사각형 평면이고 테두리부분 중 마주 보는 두 변에는 테두리 방향을 따라 한 변에 장방형이고 사다리꼴 단면으로 된 테두리부 구멍(16a)이 3개 뚫려 있고, 다른 마주 보는 두 변에는 테두리 방향으로 장방형이고 사다리꼴 단면으로 된 테두리부 구멍(16a)이 2개가 양끝에 배치되고 가운데에는 중앙부 구멍(16b)이 테두리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장착면부(10A)의 중앙부에는 장방형의 중앙부구멍(16b)이 한 방향으로 균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 3개의 장방형 테두리부구멍(16a)이 있는 장착면 부분은 테두리부 구멍(16a)과 테두리(19)와 테두리(19)를 장착면부(10A)에 연결하는 연결부(18)로 이루어지는 날개부(W)가 형성된 장착면부(10a)이고, 상기 돌출구획부(10B)는 양 쪽 날개부(W)를 제외한 장착면부(10A)에서부터 연장 돌출되며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장변은 상기 장착면부(10A)의 한 변의 길이와 거의 같은 길이이고 단변은 상기 장착면부(10A)의 한 변에서 양 쪽 날개부(W)의 폭을 제외한 길이와 거의 같은 상기 돌출구획부(10B)로 구성된 상기 장착면(10)을 포함하는 지지판(9)을 상기 중심핀(6)에 끼우는 단계; 상기 장착면(10)에 석고본드(13)를 바르는 단계; 그리고, 석고보드(14)를 수직, 수평을 유지하면서 설치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7) 위에 PE 필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시공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고정판(4)을 콘크리트 못을 타정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벽체 시공 방법.
KR1019960019890A 1996-06-04 1996-06-04 단열 벽체 시공 방법 KR0173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890A KR0173839B1 (ko) 1996-06-04 1996-06-04 단열 벽체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890A KR0173839B1 (ko) 1996-06-04 1996-06-04 단열 벽체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10A KR960034610A (ko) 1996-10-24
KR0173839B1 true KR0173839B1 (ko) 1999-02-18

Family

ID=1946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890A KR0173839B1 (ko) 1996-06-04 1996-06-04 단열 벽체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131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벽산 지지핀 캡을 이용한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610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734B1 (ko)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0173839B1 (ko) 단열 벽체 시공 방법
US5167106A (en) Fixing structure of wall materials
KR0173837B1 (ko) 단열 벽체 및 단열재 고정용 지지핀
US4548008A (en) Tile panel having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ound substrate board,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20010091455A (ko) 벽체용 패널의 접합구조 및 조립시공방법
JP4427009B2 (ja) 出隅用壁材留具及び断熱壁
CN211899417U (zh) 地板板块拼装系统
JP4500223B2 (ja) 入隅用壁材留具及び断熱壁
KR101512959B1 (ko) 건물 외벽 단열재 및 그 시공방법
KR0173838B1 (ko) 내하중 단열 벽체 및 내하중 지지핀
JPH08165727A (ja) 構築用パネル体とその連結方法
US4513941A (en) Tile holding device for presetting tiles
KR100438756B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JPS6262226B2 (ko)
JP4191305B2 (ja) 屋根の構造、およびその解体方法
KR102428858B1 (ko) 프레임 일체형 단열재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 시공 방법
JPH0125137Y2 (ko)
JPH0748914A (ja) 壁タイル支持具および壁タイル保持構造
KR970007697B1 (ko) 단열벽체 시공방법
JP2001173203A (ja) 外壁材の取付構造および外壁材付壁パネル
KR200258316Y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JP2000199291A (ja) 外装材の取付構造
JPH0663340B2 (ja) タイルの取付け工法
JP2001159204A (ja) 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101999000198; OPPOSITION DATE: 19990413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19990930

Effective date: 2000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910300001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19990930

Effective date: 200004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0

Year of fee payment: 5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