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22B1 - 안테나 - Google Patents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22B1
KR102341622B1 KR1020200005207A KR20200005207A KR102341622B1 KR 102341622 B1 KR102341622 B1 KR 102341622B1 KR 1020200005207 A KR1020200005207 A KR 1020200005207A KR 20200005207 A KR20200005207 A KR 20200005207A KR 102341622 B1 KR102341622 B1 KR 10234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opposing
opposing par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818A (ko
Inventor
오사무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6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14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in a stacked or folded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Abstract

(과제) 대상물에 탑재되는 안테나로서, 안정된 특성이 얻어지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안테나(10)의 주부(20)는, 끊긴 부분(22)이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갖고, 끊긴 부분(22)을 형성하는 제1 단부(221)와 제2 단부(223)를 갖고 있다. 대향부(30)는, 제1 단부(221)에 형성된 제1 대향부(301)와, 제2 단부(223)에 형성된 제2 대향부(303)를 갖고 있다.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는, 서로 떨어져 대향하고 있다. 제1 급전 단자(40), 제2 급전 단자(50) 및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에 형성되고, 안테나(10)가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대상물에 고정된다.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 상에 있어서, 제2 급전 단자(50)보다도 제1 단부(221)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상에 있어서, 제2 급전 단자(50)보다도 제2 단부(223)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Description

안테나{ANTENNA}
본 발명은, 대상물에 탑재되는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는 안테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안테나(90)는, 유전체층(910)과, 유전체층(910)의 한 쌍의 주면(主面)의 한쪽에 형성된 도체층(920)과, 유전체층(910)의 다른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급전선(930)을 갖고 있다. 도체층(920)은,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체층(920)의 양 단부는, 서로 떨어져 대향하고, 캐패시터(940)를 형성하고 있다. 도체층(920)과 급전선(930)은, 유전체층(910)을 관통하는 비어(950)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비어(950)는, 급전선(930)의 단부를 도체층(920)의 한쪽의 단부(端部)의 근방에 접속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6-225956호
특허문헌 1의 안테나는, 프린트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프린트 기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안테나는, 제조 편차 등에 의해 소망하는 특성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 인덕터나 캐패시터 등의 정합 회로를 추가하거나, 기판 자체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안테나에는, 고비용이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비용이고 또한 안정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문헌 1의 안테나에 있어서의 문제는, 안테나를 디스크리트(discrete) 부품으로서 제조함으로써 축소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경우, 안테나를 기판 등의 대상물에 탑재하기 위해 행해지는 리플로우 공정에 있어서, 안테나와 대상물의 사이의 선 팽창 계수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안테나 특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대상물에 탑재되는 안테나로서, 이하에 드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안테나로서, 대상물에 탑재되는 안테나이며,
상기 안테나는, 주부와, 대향부와, 제1 급전 단자와, 제2 급전 단자와, 부가적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主部)는, 끊긴 부분이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끊긴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대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는, 서로 떨어져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1 급전 단자, 상기 제2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1 급전 단자는, 상기 주부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주부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안테나로서, 제1 안테나이며,
상기 부가적 단자와 상기 제2 대향부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부가적 단자와 상기 제2 급전 단자의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 안테나로서, 제1 또는 제2 안테나이며,
상기 제1 급전 단자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대향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대향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4 안테나로서, 제1 내지 제3의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1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의 각각은, 상기 주부로부터 그 내측으로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부는,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5 안테나로서, 제1 내지 제4 안테나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주부는, 4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환상이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4변 중 특정의 1변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6 안테나로서, 제5 안테나이며,
상기 제1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특정의 1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7 안테나로서, 제1 내지 제6 안테나이며,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의 각각은 빗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의 사이에는, 인터 디지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제8 안테나로서, 제1 내지 제7 안테나이며,
복수의 굽힘부를 갖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에 있어서, 제1 급전 단자는,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제1 단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부가적 단자는,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제2 단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1 급전 단자는,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대향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부가적 단자는,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대향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가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제1 대향부와 제2 대향부의 상대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안정된 특성을 갖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하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8의 안테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5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안테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유전체층에는 해칭이 실시되어 있다. 유전체층에 가려 보이지 않는 도체층은, 실선으로 그려져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는, 스플릿 링 공진기 구조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안테나(10)는, 주부(20)와, 대향부(30)와, 제1 급전 단자(40)와, 3개의 제2 급전 단자(50)(501, 503, 505)와, 부가적 단자(60)와, 3개의 피(被)고정부(70)(701, 703, 70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테나(10)는, 단일 금속판에 대하여 펀칭 가공 및 굽힘 가공을 행하여 형성되는 일체물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부(20)는, 끊긴 부분(22)이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환상」은, 원환 형상뿐만 아니라, 타원 환형상이나 다각 환형상도 포함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주부(20)는, 4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주부(20)는, 끊긴 부분(22)을 형성하는 제1 단부(221)와 제2 단부(223)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주부(2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변부(201)와, 제1 변부(201)의 양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변부(203) 및 제3 변부(205)와, 제2 변부(203)의 전단부와 제3 변부(205)의 전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변부(20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횡방향은 X 방향이다. 또한, 전후 방향은 Y 방향이고, -Y 방향이 전방, +Y 방향이 후방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횡방향에 있어서, 제4 변부(207)의 중앙에는, 끊긴 부분(22)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4 변부(207)는, 끊긴 부분(22)에 의해 제4 변우부(207R)와 제4 변좌부(207L)로 분할되어 있다. 주부(20)의 제1 단부(221)는, 제4 변우부(207R)의 한쪽의 단부이고, 제2 단부(223)는, 제4 변좌부(207L)의 한쪽의 단부이다.
도 1에서 도 4까지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향부(3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부(20)의 제1 변부(201)와 제4 변부(20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대향부(30)는, 횡방향에 있어서 주부(20)의 제2 변부(203)와 제3 변부(20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추가로, 대향부(30)는, 주부(20)와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 대향부(30)는, 주부(20)의 특정의 1변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향부(30)는, 주부(20)의 제4 변부(207)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정의 1변은, 제4 변부(207)이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향부(30)는, 제2 변부(203) 및 제3 변부(205)의 한쪽까지의 거리가 다른 한쪽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그 경우, 주부(20)의 끊긴 부분(22)의 위치도 제2 변부(203) 및 제3 변부(205)의 한쪽에 의해 가까운 위치가 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향부(3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주부(20)의 제1 변부(201)와 제4 변부(20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대향부(30)는, 횡방향에 있어서 주부(20)의 제2 변부(203)와 제3 변부(205)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대향부(30)는,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는, 주부(20)의 제1 단부(221) 및 제2 단부(223)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는, 제1 단부(221) 및 제2 단부(22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는, 주부(20)의 제1 변부(201), 제2 변부(203) 및 제3 변부(205)로부터 떨어져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는, 서로 떨어져 대향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의 각각은, 빗살 형상을 갖고 있고,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제1 대향부(301)의 톱니와 제2 대향부(303)의 톱니가 교호(交互)로 나열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는, 인터 디지털부(30)를 형성하고 있고, 그들 사이에는, 인터 디지털 슬롯(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는, 캐패시터를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형태에 있어서, 주부(20)의 제1 단부(221) 및 제2 단부(223)도, 인터 디지털부(30)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 한편으로, 주부(20)는, 인덕터를 구성하고, 대향부(30)와 함께 LC 공진 회로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상에 있어서, 어느 제2 급전 단자(50)보다도 제1 단부(22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상에 있어서, 제2 급전 단자(50)와 제1 단부(22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급전 단자(40)와 제1 단부(221)의 사이의 전류 경로가, 제1 급전 단자(40)와 제2 급전 단자(50)의 각각의 사이의 전류 경로보다도 짧아지도록,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의 제4 변우부(207R)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급전 단자(40)는, 제1 단부(221)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1 단부(221) 및 제1 대향부(30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한, 제1 급전 단자(40)와 제1 대향부(301)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1 급전 단자(40)와 제2 급전 단자(503)의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급전 단자(40)는, 주부(20)의 제4 변우부(207R)의 내연으로부터 주부(2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401)와, 제1부(401)의 단부로부터 굽힘부(410)를 통하여 내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403)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교차 방향은 하방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하 방향은 Z 방향이다. +Z 방향이 상방이고, -Z 방향이 하방이다.
도 1에서 도 4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부가적 단자(60)는, 대향부(30)를 사이에 끼고, 제1 급전 단자(40)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가적 단자(6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제1 급전 단자(40)와 대칭인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환언하면,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상에 있어서, 제2 급전 단자(50)와 제2 단부(22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부가적 단자(60)는, 횡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대향부(30)의 횡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면(이하, 기준면이라고 함)에 관하여, 제1 급전 단자(40)와 면 대칭의 위치에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적 단자(60)는, 제1 급전 단자(40)와 대칭의 위치에 없어도 좋다.
도 1에서 도 4까지의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의 제4 변좌부(207L)에 형성되어 있다.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상에 있어서, 어느 제2 급전 단자(50)보다도 제2 단부(223)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가적 단자(60)는, 제2 단부(223)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지만, 제2 단부(223) 및 제2 대향부(303)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또한, 부가적 단자(60)와 제2 대향부(303)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부가적 단자(60)와 제2 급전 단자(505)의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가적 단자(60)는, 제1 급전 단자(4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가적 단자(60)는, 주부(20)의 제4 변좌부(207L)의 내연으로부터 주부(2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601)와, 제1부(601)의 단부로부터 굽힘부(610)를 통하여 내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603)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가적 단자(60)의 제2부(603)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부가적 단자(60)는, 제1 급전 단자(40)와 상이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어도 좋다. 부가적 단자(60)의 위치, 형상 및 치수의 어느 하나 이상을 변경함으로써, 안테나(10)의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급전 단자(40)와 부가적 단자(60)가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를 갖고,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쪽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설계가 용이하다.
도 2 및 도 4에서 도 7까지의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의 각각은, 굽힘부(510)를 통하여 주부(20)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는, 주부(20)의 제1 변부(201), 제2 변부(203) 및 제3 변부(205)에 각각 굽힘부(510)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급전 단자(501)는, 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급전 단자(503, 505)의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이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급전 단자(5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급전 단자(5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급전 단자(50)는, 적어도 1개 있으면 좋다.
도 2 및 도 4에서 도 7까지의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701, 703, 705)는,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고정부(70)의 수는, 제2 급전 단자(50)의 수에 일치하고 있지만,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의 각각에 복수의 피고정부(70)를 형성해도 좋다.
도 2 및 도 4에서 도 7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701, 703, 705)는,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고정부(701, 703, 705)는,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의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추가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701, 703, 705)를 제2 급전 단자(501, 503, 505)의 일부로 간주할 수도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피고정부(701, 703, 705)의 하단의 위치는, 제1 급전 단자(40)의 하단 및 부가적 단자(60)의 하단의 위치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피고정부(7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부(70)는, 기준면에 관하여, 면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고정부(701)는, 횡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제2 급전 단자(501)의 횡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고정부(703) 및 피고정부(705)는,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고, 제2 변부(203)의 전단부 및 제3 변부(205)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고정부(7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러나, 복수의 피고정부(70)를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리플로우 시에 안테나(10)에 생기는 변형을 균등하게 발생시켜, 안테나(10)의 특성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0)에 예기치 못한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을 적절히 분산시켜, 안테나(10)의 변형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도 1 및 도 2 참조)는, 사용 시에,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에 탑재된다. 대상물은, 예를 들면, 프린트 회로 기판이다. 대상물은, 안테나 탑재면(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안테나 탑재면에는, 복수의 접속 패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상물은, 안테나(10)의 제1 급전 단자(40)에 접속되는 급전선(도시하지 않음)과, 제2 급전 단자(50)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플레인(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안테나(10)(도 1 및 도 2 참조)가 대상물에 탑재될 때, 제1 급전 단자(40)의 제2부(403), 부가적 단자(60)의 제2부(603) 및 피고정부(70)의 각각은, 대응하는 접속 패드(도시하지 않음)상에 고정된다. 제1 급전 단자(40)는, 대응하는 접속 패드를 통하여 급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2 급전 단자(50)는, 피고정부(70) 및 대응하는 접속 패드를 통하여 그라운드 플레인(ground plane)(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1 급전 단자(40)와 제2 급전 단자(50)의 사이에 급전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가적 단자(60)는, 급전선 및 그라운드 플레인의 어느 것에도 접속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급전 단자(40)가 제1 대향부(301)의 가까이에 형성되고, 부가적 단자(60)가 제2 대향부(303)의 가까이에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제1 급전 단자(40) 및 부가적 단자(60)는, 함께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4 변우부(207R)와 제4 변좌부(207L)의 기계적 강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 즉, 안테나(10)를 대상물에 탑재할 때의 리플로우 공정에 있어서, 제4 변우부(207R) 및 제1 대향부(301)로의 영향과, 제4 변좌부(207L) 및 제2 대향부(303)로의 영향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결과, 리플로우 공정에 의한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의 상대 위치의 변화를 고려한 설계가 가능해져, 안정된 특성의 안테나(10)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A)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와 동일한 구성에 더하여, 제3 대향부(305)와 제4 대향부(307)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3 대향부(305)는, 제1 연결부(311)와 제1 빗살 형상부(313)를 갖고 있다. 또한, 제3 대향부(305)는, 제2 연결부(315)와 제2 빗살 형상부(317)를 갖고 있다.
도 8, 도 9 및 도 1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11)는, 횡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C자형이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311)는, 주부(20)의 제1 단부(22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연결부(315)는, 제1 연결부(3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2 연결부(315)는, 주부(20)의 제2 단부(22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 상방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빗살 형상부(313) 및 제2 빗살 형상부(317)는, 제1 연결부(311)의 단부 및 제2 연결부(315)의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빗살 형상부(313)는, 제1 대향부(301)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빗살 형상부(317)는, 제2 대향부(303)와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다. 도 12에서 도 14까지의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 빗살 형상부(313)와 제2 빗살 형상부(317)는 동일 평면 상에 있고,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향부(30)는 2층 구조를 갖고 있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3 대향부(305) 및 제4 대향부(307)는,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와 함께 대향부(인터 디지털부)(30)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인터 디지털부(30)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안테나(10A)의 공진 주파수가 일정하다는 조건하에 있어서, 캐패시터의 정전 용량을 크게 하면, 주부(20)의 인덕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는, 안테나(10A)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주부(20)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대상물(도시하지 않음) 상에 있어서의 안테나(10A)의 점유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 11까지의 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A)에 있어서도,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안테나(10)와 마찬가지로, 대향부(30)를 사이에 끼고 제1 급전 단자(40)의 반대측에 부가적 단자(60)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부가적 단자(60)는, 대향부(30)에 관하여, 제1 급전 단자(40)와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10A)를 대상물(도시하지 않음)에 탑재할 때의 리플로우 공정에 있어서, 제4 변우부(207R), 제1 대향부(301) 및 제3 대향부(305)로의 영향과, 제4 변좌부(207L), 제2 대향부(303) 및 제4 대향부(307)로의 영향의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대향부(301)와 제2 대향부(303)의 상대 위치 관계와, 제3 대향부(305)와 제4 대향부(307)의 상대 위치 관계를, 각각 일정하게 유지하여, 안정된 특성의 안테나(10A)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 형태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부(30)의 구조를 2층 구조로 했지만, 3층 이상의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3 대향부(305) 및 제4 대향부(307)가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고 있지만, 제3 대향부(305) 및 제4 대향부(307)는 제1 대향부(301) 및 제2 대향부(303)의 하방에 각각 위치해도 좋다.
10, 10A : 안테나
20 : 주부
201 : 제1 변부
203 : 제2 변부
205 : 제3 변부
207 : 제4 변부
207R : 제4 변우부
207L : 제4 변좌부
22 : 끊긴 부분
221 : 제1 단부
223 : 제2 단부
30 : 대향부(인터 디지털부)
301 : 제1 대향부
303 : 제2 대향부
305 : 제3 대향부
307 : 제4 대향부
311 : 제1 연결부
313 : 제1 빗살 형상부
315 : 제2 연결부
317 : 제2 빗살 형상부
32 : 인터 디지털 슬롯
40 : 제1 급전 단자
401 : 제1부
403 : 제2부
410 : 굽힘부
50, 501, 503, 505 : 제2 급전 단자
510 : 굽힘부
60 : 부가적 단자
601 : 제1부
603 : 제2부
610 : 굽힘부
70, 701, 703, 705 : 피고정부

Claims (8)

  1. 대상물에 탑재되는 안테나로서,
    상기 안테나는, 주부(主部)와, 대향부와, 제1 급전 단자와, 제2 급전 단자와, 부가적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주부는, 끊긴 부분이 있는 환상의 형상을 가짐과 함께, 상기 끊긴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제2 대향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는, 서로 떨어져 대향하고 있고,
    상기 제1 급전 단자, 상기 제2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부위이고,
    상기 제1 급전 단자는, 상기 주부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상기 제1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주부상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전 단자보다도 상기 제2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의 각각은, 상기 주부로부터 그의 내측으로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부는, 상기 안테나가 상기 대상물에 탑재될 때에 상기 대상물에 고정되는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 단자와 상기 제2 대향부의 사이의 최단 거리는, 상기 부가적 단자와 상기 제2 급전 단자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안테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 단자는,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대향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대향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부는, 4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대향부는, 상기 4변 중 특정의 1변에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 단자 및 상기 부가적 단자는, 상기 특정의 1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의 각각은 빗살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의 사이에는, 인터 디지털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안테나.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굽힘부를 갖는 1매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KR1020200005207A 2019-03-05 2020-01-15 안테나 KR1023416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39447 2019-03-05
JP2019039447A JP7216576B2 (ja) 2019-03-05 2019-03-05 アンテ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818A KR20200106818A (ko) 2020-09-15
KR102341622B1 true KR102341622B1 (ko) 2021-12-20

Family

ID=6915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07A KR102341622B1 (ko) 2019-03-05 2020-01-15 안테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3115B2 (ko)
EP (1) EP3706240B1 (ko)
JP (1) JP7216576B2 (ko)
KR (1) KR102341622B1 (ko)
CN (1) CN111668587B (ko)
TW (1) TWI721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6577B2 (ja) * 2019-03-05 2023-02-0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
JP2022108977A (ja) 2021-01-14 2022-07-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部材及び組立体
JP1701515S (ko) * 2021-03-17 2021-12-06
JP2023083822A (ja) 2021-12-06 2023-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779A1 (ja) 2014-09-26 2016-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アレイ、無線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アレイの製造方法
JP2016518779A (ja) * 2014-03-13 2016-06-23 ▲華▼▲為▼▲終▼端有限公司 アンテナ及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1839A (en) 1981-03-11 1991-08-20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In Her Britannic Majesty's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Electromagnetic radiation sensors
FI115342B (fi) 2001-11-15 2005-04-15 Filtronic Lk Oy Menetelmä sisäisen antennin valmistamiseksi ja antennielementti
US7079079B2 (en) 2004-06-30 2006-07-18 Skycross, Inc. Low profile compact multi-band meanderline loaded antenna
US7525711B1 (en) 2005-08-31 2009-04-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ctively tunable electromagnetic metamaterial
JP2007221774A (ja) 2006-01-23 2007-08-30 Yokowo Co Ltd 平面型アンテナ
KR100980218B1 (ko) 2008-03-31 2010-09-0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다중 대역에 대한 임피던스 매칭을 지원하는 내장형 안테나
CN102187518B (zh) * 2008-11-17 2014-12-10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天线及无线ic器件
KR20140027246A (ko) 2011-04-25 2014-03-06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반도체 기판들의 마이크로파 프로세싱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JP2014523163A (ja) * 2011-06-23 2014-09-08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電気的に小型の垂直スプリットリング共振器アンテナ
CN102891352B (zh) 2011-07-19 2015-04-29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天线单元、具有它的天线和天线匹配装置
WO2013024391A1 (en) 2011-08-16 2013-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echniques for efficient power transfers in a capacitive wireless powering system
KR101874892B1 (ko) 2012-01-13 2018-07-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소형 안테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72868B2 (ja) * 2012-05-21 2015-09-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5726983B2 (ja) * 2013-10-30 2015-06-03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状アンテナ装置及び送受信用通信回路基板
US9484631B1 (en) * 2014-12-01 2016-11-01 Amazon Technologies, Inc. Split band antenna design
TWI662741B (zh) * 2015-01-23 2019-06-1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天線結構及具有該天線結構的無線通訊裝置
CN105024150B (zh) 2015-05-11 2018-02-06 云南大学 一种应用于WLAN和WiMAX的三频段天线
JP6606871B2 (ja) 2015-06-04 2019-11-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および無線通信機
US10389161B2 (en) * 2017-03-15 2019-08-20 Energous Corporation Surface mount dielectric antennas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s
JP2019213011A (ja) * 2018-06-01 2019-12-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8779A (ja) * 2014-03-13 2016-06-23 ▲華▼▲為▼▲終▼端有限公司 アンテナ及び端末
US20160294048A1 (en) 2014-03-13 2016-10-06 Huawei Device Co., Ltd Antenna and Terminal
WO2016047779A1 (ja) 2014-09-26 2016-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アレイ、無線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アレイの製造方法
US20170301997A1 (en) 2014-09-26 2017-10-19 Nec Corporation Antenna array,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tenna ar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818A (ko) 2020-09-15
CN111668587A (zh) 2020-09-15
US20200287276A1 (en) 2020-09-10
CN111668587B (zh) 2022-01-25
TWI721746B (zh) 2021-03-11
EP3706240B1 (en) 2022-03-23
JP2020145541A (ja) 2020-09-10
TW202034577A (zh) 2020-09-16
US11223115B2 (en) 2022-01-11
JP7216576B2 (ja) 2023-02-01
EP3706240A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622B1 (ko) 안테나
KR102183917B1 (ko) 안테나
JP7196008B2 (ja) アンテナ
US11063360B2 (en) Antenna
US11380997B2 (en) Antenna
CN112751202A (zh) 一种天线
WO2021107052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20210003260A (ko) 스플릿 링 공진기 및 기판
TWI750846B (zh) 天線
WO2020261678A1 (ja) アンテナ
US20220029269A1 (en) Split ring reson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21153435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22108977A (ja) アンテナ部材及び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