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58B1 -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 Google Patents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58B1
KR102339958B1 KR1020200018994A KR20200018994A KR102339958B1 KR 102339958 B1 KR102339958 B1 KR 102339958B1 KR 1020200018994 A KR1020200018994 A KR 1020200018994A KR 20200018994 A KR20200018994 A KR 20200018994A KR 102339958 B1 KR102339958 B1 KR 10233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wheel
type resonator
band
reso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200A (ko
Inventor
스원 쉬
밍보 천
밍레이 리
사오빙 황
티에펑 후
수웨이 펑
다둥 왕
웨이둥 류
Original Assignee
씨틱 디카스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틱 디카스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씨틱 디카스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02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 B60B21/026Rims characterised by transverse section the shape of rim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1)에 관한 것이며, 상기 흡음장치는 휠 공기실 내에 설치되어 음향 공진을 감소하되, 그 중, 상기 흡음장치는 납작 6면체 형상의 카세트식 공명기(6)로 구성되며 밴드(15)를 통해 휠 허브에 체결되고,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6) 사이에는 제1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6)와 밴드(15) 사이에는 제2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카세트식 공명기와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방안에 따르면, 공명기가 휠에서의 보다 신뢰성 있는 위치 확정 및 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동시에, 가공 제조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설치 조작이 편리하고 제어 가능하다.

Description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WHEEL WITH SOUND ABSORBER}
본 발명은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타이어가 마련되는 차량 휠에 관한 것이다.
휠의 정상적인 주행 과정에서, 휠에 대한 노면의 마찰과 휠의 불평형 회전으로 인한 휠축이 휠에 대한 마찰은 모두 휠 내의 공기실에서의 음향 공진을 유발하며, 상기 공진은 또한 휠축, 서스펜션 시스템을 지나 차체 구조로 전달되어 차의 내부로 소음을 방사한다. 상기 소음은 저주파 및 협대역을 주요 특징으로, 강도가 비교적 높고, 차내 탑승 환경에 소음 방해를 형성하므로 효과적인 제어가 필요하다.
현재, 많은 연구와 특허에서 상기 음향 공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방법들을 제공하였다. 상기 방법들은 주로 흡음 제어 원리를 이용하였으며, 그 중, 헬름홀츠 공진 흡음의 응용이 비교적 널리 사용되고, 비교적 좋은 효과를 가진다. 일례로, 중국 특허 CN101301842B, CN104981359B, CN105209267B, CN104908513B는 헬름홀츠 공명기 소음 감소법에 기반하여 실시한 일련의 휠 기술방안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 방안에서, 헬름홀츠 공명기의 구조 설계 및 설치 구조는 비교적 복잡하며, 이로 인해 공명기 부품("서브 공기실 부재")에는 플랜지 형상 박판 플랜지("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휠 허브에 특별히 구성된 벽면에는 홈("홈부")이 형성되며, 공명기 부품의 위치 확정 및 고정은 플랜지 형상 박판 플랜지와 벽면 홈부의 삽입을 통해 실현되고, 이러한 삽입기구는 일면으로 박벽 특징에 제한 받아 연결 강도를 보장할 수 없으며, 다른 일면으로 부품 양쪽 연결의 실현은 주로 구조 사이즈 정밀도에 의거하기에, 부품의 가공 제조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또한, 부품 양쪽의 대위 설치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최종 설치 체결력도 제어할 수 없다.
또한, KR101822271B1에서 알루미늄 휠을 제공하였는데, 휠 림 둘레면을 따라 공명 튜브가 설치되었으며, 고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휠 림은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된 단일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단일 측벽은 휠 림 중심을 향해 연장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공명 튜브의 양측에는 일측 플랜지 및 다른 일측 플랜지가 형성되고, 공명 튜브는 일측 플랜지가 걸림돌기에 삽입되고 걸리며, 다른 일측 플랜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와 매칭되는 볼트 부재를 통해 공명 튜브를 휠 림 둘레면에 고정한다. 공명 튜브의 이러한 고정 방안은, 휠 축방향 및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 확정에서 부족함을 나타내며, 플랜지, 걸림돌기 및 나사 부품으로 고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구조적 불합리, 높은 제조 요구, 불편한 조립 등 문제들이 존재하며, 중요한 것은, 최종 설치 체결력은 여전히 제어하기 힘들며, 탈착 방지를 위한 필요한 보호 조치들도 부족하다.
본 발명은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을 제공하여 종래의 기술 중 존재하는 상기 결함들을 극복하였으며, 특히, 흡음장치(또는 공명기)가 휠에서의 보다 신뢰성 있는 위치 확정 및 고정을 실현하였고, 동시에, 가공 제조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설치 조작이 편리하고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주로 다음과 같은 사상에 기반하였다. 즉, 외형이 간단한 카세트식 공명기를 사용하고 플랜지 추가 등 제조, 저장 및 조작에 불리한 구조를 포기하였으며, 밴드(일례로, 가격이 싼 띠강으로 제조, 바람직하게 클립 포함)를 독립적인 체결 소자로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편리한 설치를 실현하였으며 밴드 장력(더 나아가서 체결력)은 조절 및 제어가 가능하고, 동시에 국부적 설계한 위치 확정 기구를 사용하여 공명기가 휠의 각 방향에서 안전하게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였다. 상기 방식으로 구성된 휠 조립체, 특히 그 공명기 고정 시스템은, 탈부착이 매우 편리하고, 후기의 유지 보수 및 부품 교체에 유리하며, 이는 본 발명 기술방안의 또 하나의 장점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을 제공하며, 상기 흡음장치는 휠 공기실 내에 설치되어 음향 공진을 감소한다. 그 중, 흡음장치는 납작 6면체 형상의 카세트식 공명기로 구성되며 밴드를 통해 휠 허브에 체결되고,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 사이에는 제1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와 밴드 사이에는 제2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카세트식 공명기와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상기 "납작 6면체 형상"은 기하학적 의미의 정밀한 6면체(예를 들어 직면체)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대체로 유사하게 직6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이면 되며, 그 중, 하나 또는 복수개의 면은 일정한 호도 및/또는 부분적인 돌기 또는 오목 구조를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교차된 면 사이는 절대적인 직각을 형성하지 않으며, 서로 마주하는 면은 절대적으로 평행되지 않아도 본 발명의 기술방안의 실시에 영향주지 않는다.
실행 가능하게, 휠 전체의 흡음 및 소음 감소 효과 및/또는 동적 평형 특성의 최적화를 위해, 휠 허브에 하나의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 또는 복수개의 휠 허브의 둘레를 따라 분포 설치되는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가 설치된다.
유리하게, 상기 밴드는 카세트식 공명기 윗면에서 카세트식 공명기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을 향해 누르며 휠 허브를 한바퀴 둘러 상기 공명기를 체결하고, 밴드의 양단은 클립을 통해 고정 연결되며, 이를 통해 둘레 방향을 따른 밴드의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여 휠 방사방향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를 고정하며, 상기 사전 체결력에 대응되는 밴드 체결력은 체결 공구를 통해 조정 및/또는 표시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제1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를 고정하는 제1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를 고정하는 제2 매칭구조를 포함한다.
일 구체적인 설계에 따르면, 상기 제1 매칭구조는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 바닥면에 설치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매칭구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노치 및 상기 노치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기 홈 연장 경로에 설치되는 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레일은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돌출 리브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 바닥면에는 두 개의 상기 홈이 설치되며, 휠 허브 쪽의 각 돌출 리브에는 하나의 상기 노치가 각각 마련되고,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각 홈의 연장 경로에는 하나의 상기 보스가 각각 형성된다.
두 돌출 리브 사이의 바람직한 거리는, 카세트식 공명기 설치 상태에서 휠 허브를 둘러 설치되는 밴드가 둘러싸는 돌출 리브 사이에 수용될 수 있어 밴드에 부가 위치 확인 조치, 특히 휠 허브에 대응되는 휠 축방향에서의 위치 확인 고정에 도움이 된다.
유리하게, 카세트식 공명기의 설치 상태에서, 휠 허브 쪽의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은 서로 접합되어 휠 축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휠 허브 쪽의 상기 노치와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보스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의 바닥면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 사이에 간극을 구비한다.
유리하게, 상기 제2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제3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를 고정하기 위한 제4 매칭구조를 포함한다.
일 구체적인 설계 방안에 따르면, 상기 제3 매칭구조는 밴드에 대응되는 카세트식 공명기 윗면에 설치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매칭구조는 상기 홈의 바닥표면에 설치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밴드에 설치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유리하게, 카세트식 공명기의 설치 상태에서, 밴드는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홈의 측벽면은 휠 축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의 고정에 사용되며, 동시에,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돌기와 밴드 쪽의 상기 노치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밴드의 하표면과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기 홈의 바닥 표면은 접촉 매칭된다.
도 1은 투시도를 통해 본 발명의 휠을 도시하였으며, 휠 허브 및 밴드를 통해 이에 조립된 공명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A-A 절단면 단면도이다.
도 3은 투시도를 통해 본 발명의 휠 허브를 도시하였으며, 공명기 및 밴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4는 도 3의 휠 허브를 방사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투시도를 통해 본 발명의 카세트식 공명기의 외형을 도시하였으며, 해당 시각에서 카세트식 공명기의 윗면을 관찰할 수 있다.
도 6은 투시도를 통해 본 발명의 카세트식 공명기의 외형을 도시하였으며, 해당 시각에서 카세트식 공명기의 바닥면을 관찰할 수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카세트식 공명기의 횡단면 단면도이다.
도 8은 확대한 투시도를 통해 휠 허브의 노치를 포함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부분 구간을 도시하였다.
도 9는 확대한 투시도를 통해 카세트식 공명기 바닥면의 보스를 포함하는 두 개의 홈의 부분 구간을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되,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당업자들이 진보성 노동을 통하지 않고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청구하는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및 상기 도면의 용어 "제1", "제2", "제3", "제4" 등은 서로 다른 대상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용어 "포함한다" 및 "구비한다" 및 이들의 기타 변환 어휘는, 배제하지 않는 포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설비는 이미 열거된 단계 또는 유닛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 가능하게 열거되지 않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또는 선택 가능하게 상기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설비에 대한 고유적인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설명에서, 용어 "종방향", "횡방향",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위", "바닥", "내부", "외부" 등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이고, 본 발명의 설명 및 간략 설명에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설명하는 장치, 기구, 구조 또는 부재가 반드시 특정된 방향, 특정된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조작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에 대한 한정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는, 실시예와 결합하여 설명되는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각 위치에서 나타난 해당 단어는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이 아닐 수 있으며, 기타 실시예와 서로 모순되는 독립적인, 또는 예비 실시예도 아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가 기타 실시예와 서로 결합될 수 있음을 명시적 및 암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본 발명은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1)을 제공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은 특히 공기 타이어가 마련되는 차량 휠이고, 설명의 편리와 명확성을 위해, 본 발명의 설계 요점과 관련된 구성 부분만 표시하였다. 상기 흡음 장치는 휠 공기실 내에 설치되어 음향 공진을 감소하는데, 그 중, 상기 흡음장치는 납작 6면체 형상의 카세트식 공명기(6)로 구성되며 밴드(15)를 통해 휠 허브에 체결되고,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6) 사이에는 제1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6)와 밴드(15) 사이에는 제2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카세트식 공명기와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한다.
실행 가능하게, 휠 허브에 하나의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 또는 복수개의 휠 허브의 둘레를 따라 분포 설치되는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가 설치된다.
상기 밴드(15)는 카세트식 공명기(6) 윗면에서 카세트식 공명기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을 향해 누르며 휠 허브를 한바퀴 둘러 상기 공명기(6)를 체결하고, 밴드(15)의 양단은 클립(17)을 통해 고정 연결되며, 이를 통해 둘레 방향을 따른 밴드의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여 휠 방사방향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며, 상기 사전 체결력에 대응되는 밴드 체결력은 체결 공구를 통해 조정 및/또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는 제1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는 제2 매칭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매칭구조는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 바닥면에 설치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매칭구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노치 및 상기 노치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의 상기 홈 연장 경로에 설치되는 보스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돌출 리브(2, 3)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 바닥면에는 두 개의 홈(9, 10)이 설치되며, 휠 허브 쪽의 각 돌출 리브에는 하나의 노치(4, 5)가 각각 마련되고,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각 홈의 연장 경로에는 하나의 보스(11, 12)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두 개의 돌출 리브(2, 3)의 간격은 바람직하게, 카세트식 공명기(6) 설치 상태에서 휠 허브를 둘러 설치되는 밴드(15)가 둘러싸는 돌출 리브 사이에 수용될 수 있어 밴드에 부가 위치 확인 조치, 특히 휠 허브에 대응되는 휠 축방향에서의 위치 확인 고정에 도움이 된다.
카세트식 공명기(6)의 설치 상태에서, 휠 허브 쪽의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은 서로 접합되어 휠 축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휠 허브 쪽의 상기 노치와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보스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6)의 바닥면(14a, 14b, 14c)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13a, 13b, 13c) 사이에 간극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카세트식 공명기(6)와 밴드(15)를 고정하기 위한 제3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카세트식 공명기(6)와 밴드(15)를 고정하기 위한 제4 매칭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매칭구조는 밴드(15)에 대응되는 카세트식 공명기 윗면에 설치한 홈(7)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매칭구조는 상기 홈의 바닥표면에 설치되는 돌기(8)(상기 돌기는 원기둥 형태로 설계 가능하다)와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밴드에 설치되는 노치(16)(상기 노치는 관통홀 또는 블라인드 홀일 수 있다)를 포함한다.
카세트식 공명기(6)의 설치 상태에서, 밴드(15)는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7)에 삽입되고, 상기 홈(7)의 측벽면은 휠 축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의 고정에 사용되며, 동시에,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돌기(8)와 밴드 쪽의 상기 노치(16)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밴드(15)의 하표면(15a)과 카세트식 공명기(6)의 상기 홈(7)의 바닥 표면은 접촉 매칭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하 자세한 설계 특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에는 두 개의 링형상 돌출 리브(2, 3)가 설계되고, 휠에 대응되는 공명기의 축방향 변위의 고정에 사용되며, 돌출 리브(2, 3)에는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4, 5)가 설계되고, 휠에 대응되는 공명기의 둘레 방향 변위의 고정에 사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의 위치 확정 홈(9, 10)은 휠 링형상 돌출 리브와의 매칭에 사용되며, 휠에 대응되는 공명기의 축방향 변위를 고정하고, 11, 12는 공명기 위치 확인 보스로서, 휠 돌출 리브의 위치 확정 노치(4, 5)와의 매칭에 사용되며, 휠에 대응되는 공명기의 둘레 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밴드(15)는 휠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방사방향 변위의 고정에 사용된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6)에는 밴드를 안치하기 위한 밴드 홈(7)이 설계되어 있고, 휠에 대응되는 밴드의 축방향 변위를 고정하며, 공명기의 위치 확정 보스(즉 상기 돌기(8))와 밴드(15)의 위치 확정 홀(즉 상기 노치(16))은 매칭되며, 휠에 대응되는 밴드의 둘레 방향 변위의 고정에 사용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리브(2)는 3개의 면을 포함하고, 각각 2a, 2b, 2c이며, 면(2a)와 면(2c)는 서로 평행되지 않는 면이고, 면(2a) 또는 면(2c)는 휠의 방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구비한다(도 4에 표시된 실시예와 같이, 면(2a)은 각도가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면(2a)은 경사형상으로 휠 림 외표면으로부터 둔각을 이루며 위로 연장된다). 면(2b)은 휠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형상 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리브(2)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4)는 4a, 4b, 4c 3개의 면을 포함하고, 세 면은 U형의 갭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돌출 리브(3)는 3a, 3b, 3c, 세 면을 포함하고, 면(3a)와 면(3c)는 서로 평행되지 않는 면이고, 면(3a) 또는 면(3c)는 휠의 방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구비하며(도 4에 표시된 실시예와 같이, 면(3a)은 각도가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면(3a)은 경사형상으로 휠 림 외표면으로부터 둔각을 이루며 위로 연장된다), 면(3b)는 휠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형상 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리브(3)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5)는 5a, 5b, 5c 3개의 면을 포함하고, 세 면은 U형의 갭을 형성한다.
이에 대응되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 위치 확정 홈(9)은 3개의 면을 포함하고, 각각 9a, 9b, 9c이며, 면(9a)와 면(9c)는 서로 평행되지 않는 면이고, 면(9a) 또는 면(9c)는 휠의 방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구비한다(도 7에 표시된 실시예와 같이, 면(9a)은 각도가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면(9a)은 경사형상으로 홈(9) 바닥면(9b)으로부터 둔각을 이루며 아래로 연장된다). 면(9b)는 휠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형상 면이다.
마찬가지로, 공명기 위치 확정 홈(10)은 3개의 면을 포함하고, 각각 10a, 10b, 10c이며, 면(10a)와 면(10c)는 서로 평행되지 않는 면이고, 면(10a) 또는 면(10c)는 휠의 방사방향에 상대적으로 일정한 각도를 구비한다(도 7에 표시된 실시예와 같이, 면(10a)은 각도가 존재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면(10a)은 경사형상으로 홈(10) 바닥면(10b)으로부터 둔각을 이루며 아래로 연장된다). 면(10b)은 휠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형상 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1)는 11a, 11b, 11c 세 면을 포함한다. 공명기 위치 확정 홈(9)의 면(9a)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1) 위치에서 절단되어, 보스(11)와 공명기 위치 확인 홈(9)의 면(9a)의 간섭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2)는 12a, 12b, 12c 세 면을 포함한다. 공명기 위치 확정 홈(10)의 면(10a)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2) 위치에서 절단되어, 보스(12)와 공명기 위치 확인 홈(10)의 면(10a)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5)와 클립(17)은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방사방향 체결소자를 구성하며, 클립(17)은 밴드(15)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고, 밴드(15)에는 위치 확정홀(즉 상기 노치(16))이 설계되어 있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공명기 밴드 홈(7)은 3개의 면을 포함하고, 각각 7a, 7b, 7c이며, 면(7b)는 휠 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링형상 면이다.
돌출 리브(2)의 면(2a)은 공명기 위치 확정 홈(9)의 면(9a)와 매칭되어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축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돌출 리브(2)의 면(2b)과 공명기 위치 확정 홈(9)의 면(9b)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돌출 리브(2)의 면(2c)와 공명기 위치 확정 홈(9)의 면(9c)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돌출 리브(3)의 면(3a)은 공명기 위치 확정 홈(10)의 면(10a)와 매칭되어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축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돌출 리브(3)의 면(3b)과 공명기 위치 확정 홈(10)의 면(10b)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리브(3)의 면(3c)과 공명기 위치 확정 홈(10)의 면(10c)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돌출 리브(2)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4)의 면(4a)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1)의 면(11a)와 매칭되고, 돌출 리브(2)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4)의 면(4c)는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1)의 면(11c)과 매칭되어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둘레 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가이드 레일(2)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4)의 면(4b)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1)의 면(11b)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돌출 리브(3)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5)의 면(5a)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2)의 면(12a)와 매칭되고, 돌출 리브(3)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5)의 면(5c)는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2)의 면(12c)과 매칭되어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둘레 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가이드 레일(3)의 공명기 위치 확정 노치(5)의 면(5b)와 공명기 위치 확정 보스(12)의 면(12b)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공명기(6)의 공명기 밴드 홈(7)의 면(7b)과 밴드(15)의 면(15a)은 밴드 체결력의 작용하에 접촉되며, 휠(1)에 대응되는 공명기(6)의 방사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공명기 밴드 홈(7)의 밴드 위치 확정 보스(즉 상기 돌기(8))는 밴드(15) 위치 확정 홀(즉 상기 노치(16))과 매칭된다. 휠(1)과 공명기(6)에 대응되는 밴드(15)의 둘레 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공명기 밴드 홈(7)의 면(7a)와 (7c)는 휠(1)과 공명기(6)에 대응되는 밴드(15)의 축방향 변위의 고정에 사용된다.
밴드(15)는 클립(17)의 사전 체결력에 의해, 휠(1)과 공명기(6)에 대응되는 밴드(15)의 방사 방향 변위를 고정한다.
공명기(6)의 바닥면(14a, 14b, 14c)과 휠 림 외표면(13a, 13b, 13c)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한다.
밴드(15)의 하표면(15a)과 공명기 밴드 홈(7)의 면(7b)은 접촉하여 매칭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로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방식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의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일 뿐이며, 업자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의해 구체적인 실시 방식 및 응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Claims (10)

  1. 휠 공기실 내에 설치되어 음향 공진을 감소하는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1)에 있어서,
    상기 흡음장치는 납작 6면체 형상의 카세트식 공명기(6)로 구성되며 밴드(15)를 통해 휠 허브에 체결되고, 그 중,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6) 사이에는 제1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휠 허브와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6)와 밴드(15) 사이에는 제2 위치 확정 기구가 마련되어 카세트식 공명기와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제1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는 제1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는 제2 매칭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매칭구조는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 바닥면에 설치한 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매칭구조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노치 및 상기 노치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의 상기 홈 연장 경로에 설치되는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휠 허브에 하나의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 또는 휠 허브의 둘레를 따라 분포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15)는 카세트식 공명기(6) 윗면에서 카세트식 공명기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을 향해 누르며 휠 허브를 한바퀴 둘러 상기 공명기(6)를 체결하고, 밴드(15)의 양단은 클립(17)을 통해 고정 연결되며, 이를 통해 둘레 방향을 따른 밴드의 사전 체결력을 제공하여 휠 방사방향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6)를 고정하며, 상기 사전 체결력에 대응되는 밴드 체결력은 체결 공구를 통해 조정 및 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휠 허브 둘레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두 개의 돌출 리브(2, 3)를 포함하고, 이에 대응되게, 카세트식 공명기 바닥면에는 두 개의 상기 홈(9, 10)이 설치되며, 휠 허브 쪽의 각 돌출 리브에는 하나의 노치(4, 5)가 각각 마련되고,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각 홈의 연장 경로에는 하나의 보스(11, 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카세트식 공명기(6)의 설치 상태에서, 휠 허브 쪽의 상기 가이드 레일과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은 서로 접합되어 휠 축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고, 이와 동시에, 휠 허브 쪽의 상기 노치와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보스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휠 허브와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며, 카세트식 공명기(6)의 바닥면(14a, 14b, 14c)과 휠 허브의 휠 림 외표면(13a, 13b, 13c) 사이에 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확정 기구는 휠 축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와 상기 밴드(15)를 고정하기 위한 제3 매칭구조 및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6)와 상기 밴드(15)를 고정하기 위한 제4 매칭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매칭구조는 밴드(15)에 대응되는 카세트식 공명기 윗면에 설치한 홈(7)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매칭구조는 상기 홈의 바닥표면에 설치되는 돌기(8)와 상기 돌기에 대응되게 밴드에 설치되는 노치(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8. 청구항 7에 있어서,
    카세트식 공명기(6)의 설치 상태에서, 밴드(15)는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상기 홈(7)에 삽입되고, 상기 홈(7)의 측벽면은 휠 축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의 고정에 사용되며, 동시에, 카세트식 공명기 쪽의 돌기(8)와 밴드 쪽의 상기 노치(16)는 서로 접합되어 휠 둘레 방향에서 상기 카세트식 공명기와 상기 밴드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며, 밴드(15)의 하표면(15a)과 카세트식 공명기(6)의 상기 홈(7)의 바닥 표면은 접촉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18994A 2019-11-08 2020-02-17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KR102339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85352.0A CN110758007A (zh) 2019-11-08 2019-11-08 具有吸声装置的车轮
CN201911085352.0 2019-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00A KR20210056200A (ko) 2021-05-18
KR102339958B1 true KR102339958B1 (ko) 2021-12-15

Family

ID=6933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994A KR102339958B1 (ko) 2019-11-08 2020-02-17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71927B2 (ko)
EP (1) EP3819135B1 (ko)
JP (1) JP6994084B2 (ko)
KR (1) KR102339958B1 (ko)
CN (1) CN110758007A (ko)
MA (1) MA514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4728A (zh) * 2020-05-14 2021-11-19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吸声器单元和具有吸声装置的车轮
CN114550683B (zh) * 2020-11-11 2024-05-14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吸声器单元和具有吸声装置的车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1842A (zh) 2007-05-10 2008-11-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轮
JP2009248870A (ja) 2008-04-09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03A (ja)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1057006A (ja) 2009-09-08 2011-03-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5844000B2 (ja) 2013-02-28 2016-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US20180029425A1 (en) 2015-03-05 2018-02-01 Jaguar Land Rover Limited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KR101893350B1 (ko) *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KR101897623B1 (ko) * 2018-06-27 2018-09-12 엔디케이테크(주)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1317A (en) * 1980-08-15 1983-07-05 Savage Bernard J Band device for retaining a tire on a wheel rim
JP3244542B2 (ja) 1992-09-29 2002-01-07 マツダ株式会社 低ロードノイズホイールの製造方法
FR2805214B1 (fr) * 2000-02-21 2002-04-05 Michelin Soc Tech Jante et ensemble d'une telle jante avec un appui de soutien
JP2004306714A (ja) * 2003-04-04 2004-11-04 Honda Motor Co Ltd ホイール用共振防止器具
JP2006256535A (ja) * 2005-03-18 2006-09-28 Rintekkusu Kk 車両用ホイール
MX365150B (es) 2013-05-21 2019-05-24 Honda Motor Co Ltd Rueda para vehiculo.
JP6348736B2 (ja) 2014-03-13 2018-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CN204037227U (zh) * 2014-07-18 2014-12-24 何晓艳 一种安装在整体式轮毂轮槽上的安全装置
KR102262129B1 (ko) 2015-12-08 202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타이어휠 구조
KR101822271B1 (ko) 2016-04-11 2018-01-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알루미늄 휠
CN205588902U (zh) * 2016-05-09 2016-09-21 杨同全 轮毂
KR20180013177A (ko) 2016-07-28 2018-02-07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멀티 공명기
KR101988641B1 (ko) * 2017-12-29 2019-06-12 주식회사 팔 타이어소음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01842A (zh) 2007-05-10 2008-11-1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用轮
JP2009248870A (ja) 2008-04-09 2009-10-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0095103A (ja) 2008-10-15 2010-04-3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2011057006A (ja) 2009-09-08 2011-03-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5844000B2 (ja) 2013-02-28 2016-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US20180029425A1 (en) 2015-03-05 2018-02-01 Jaguar Land Rover Limited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KR101893350B1 (ko) * 2018-02-01 2018-08-31 핸즈코퍼레이션주식회사 공명기 휠
KR101897623B1 (ko) * 2018-06-27 2018-09-12 엔디케이테크(주) 자동차용 타이어 휠에 공명기를 설치하기 위한 체결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9135B1 (en) 2023-10-04
US20210138832A1 (en) 2021-05-13
JP2021075261A (ja) 2021-05-20
CN110758007A (zh) 2020-02-07
EP3819135A1 (en) 2021-05-12
US11571927B2 (en) 2023-02-07
MA51467A (fr) 2021-05-12
KR20210056200A (ko) 2021-05-18
JP6994084B2 (ja)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958B1 (ko) 흡음장치를 구비하는 휠
US20090151836A1 (en) Tire wheel assembly
US20200316988A1 (en) Resonator wheel
CN104369624B (zh) 用于车辆的车轮组件
US10011148B2 (en) Vehicle wheel
US9545820B2 (en) Wheel with aluminum foam for tire cavity noise suppression
JP5961309B1 (ja) ハブ取付部のボルト孔間にキャビティーが形成された自動車ホイール
KR20180013177A (ko) 멀티 공명기
US20170058993A1 (en) 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automobile wheel
KR102339957B1 (ko) 흡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휠
US7475713B2 (en) Tire/wheel assembly and noise reduction interior member
US11505012B2 (en) Vehicle wheel
US20190070894A1 (en) Vehicle wheel
CN210970534U (zh) 具有吸声装置的车轮
KR20200106622A (ko) 차량용 휠의 헬름홀츠 공명기
US20220144014A1 (en) Sound absorber unit and wheel with sound absorber device
JP2010095104A (ja) 車両用ホイール
JP2007326533A (ja) スポークホイール及び車両用騒音防止方法
KR101575465B1 (ko) 마운팅 유닛
JP2017024503A (ja) 自動車用ホイール
KR102552503B1 (ko) 자동차 휠의 공명기
WO2020157907A1 (ja) 中空構造体および共鳴音低減体
KR20160065521A (ko) 2피스 접합 방식의 차량용 중공흡음 로드휠 및 그 제조방법
JP2015168404A (ja) レゾネータ
JP2010269695A (ja) ホイ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