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503B1 - 자동차 휠의 공명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휠의 공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503B1
KR102552503B1 KR1020180134714A KR20180134714A KR102552503B1 KR 102552503 B1 KR102552503 B1 KR 102552503B1 KR 1020180134714 A KR1020180134714 A KR 1020180134714A KR 20180134714 A KR20180134714 A KR 20180134714A KR 102552503 B1 KR102552503 B1 KR 10255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alve
rim
resonato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390A (ko
Inventor
추교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5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47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 B60B27/0068Hubs characterised by functional integration of other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의 림부에 설치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 휠의 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서 림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림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걸림돌기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기준방향 측의 말단에 구비되되, 림부의 타측에 형성된 밸브홀과 연통되는 밸브 연결부를 포함하되 휠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연장부의 내부에 휠의 원주방향으로 공명공간들이 형성된 공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의 일단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몸체부의 타단은 밸브 연결부를 거쳐 밸브홀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에 몸체부가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휠의 공명기{Resonator of a car wheel}
본 발명은 자동차 휠의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을 하게 되면 노면에 의한 타이어의 가진으로 의해 타이어의 사이드 월(side wall)이 진동을 하게 되고, 사이드 월의 진동에 의해 타이어의 내부공간에서는 공진이 발생하게 되며, 공진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공명음이 발생하게 된다.
공명음은 차량의 샤시계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실내 승객에게 전달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공명음을 줄이기 위하여, 림부에 공명부를 장착하고, 공명부 외주면에 스트랩으로 감싸 고정시켜, 공명부를 림부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부품(스트랩)을 사용함으로써, 원가가 많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추가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림부에 공명부를 장착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일단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홀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가 결합될 수 있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휠의 림부에 설치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 휠의 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서 림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림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걸림돌기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걸림부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연장부의 기준방향 측의 말단에 구비되되, 림부의 타측에 형성된 밸브홀과 연통되는 밸브 연결부를 포함하되 휠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와, 연장부의 내부에 휠의 원주방향으로 공명공간들이 형성된 공명부를 포함한다. 몸체부의 일단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몸체부의 타단은 밸브 연결부를 거쳐 밸브홀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에 몸체부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일단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홀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휠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센서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7은 휠의 외측에서 밸브부에 너트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휠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센서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7은 휠의 외측에서 밸브부에 너트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의 림부(2)에 설치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100)는 몸체부(10), 공명부(50)를 포함한다.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걸림부(20), 연장부(30), 밸브 연결부(40)를 포함한다.
걸림부(20)는 휠(1)의 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림부(2)의 일측에서 타측을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림부(2)의 일측에서 돌출된 걸림돌기(3)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4)에 삽입된다.
연장부(30)는 걸림부(20)에서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밸브 연결부(40)는 연장부(30)의 기준방향 측의 말단에 구비되며, 림부(2)의 타측에 형성된 밸브홀(5)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몸체부(10)는 휠(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의 일단은 걸림돌기(3)에 의해 고정되고, 몸체부(10)의 타단은 밸브 연결부(40)를 거쳐 밸브홀(5)에 결합되는 센서(6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2)에 몸체부(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부(50)는 연장부(30)의 내부에 휠(1)의 원주방향으로 공명공간들(51)이 형성된다.
공명부(50)는, 휠(1)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2 홀(52,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2 홀(52,54)은 공명공간(51)들 각각에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명공간(51)과 림부(2)의 외면에 장착되는 타이어(미도시)와의 내부공간이 연통됨으로써, 내부공간 내의 공기와 공명공간들(51) 내의 공기가 제1 및 2 홀(52,54)을 통해 출입됨에 따라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에 의하여, 흡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바닥면이 림부(2)에 면착되게 설치될 수 있어 공명공간(51)과 림부(2)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주행중 타이어의 진동에 의해서도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림부(2)의 호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100)가 복수 개 배치되지 않고, 한 개만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0)는 센서(60)가 배치되도록 휠(1)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안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60)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공기압 센서(60)의 밸브부(61)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60)가 안착부(31)에 안착된 상태에서 밸브 연결부(40)를 거쳐 밸브홀(5)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홀(5)을 통과한 밸브부(61)에는 휠(1)의 외측에서 너트(63)가 체결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일단은 걸림돌기(3)에 의해 고정되고, 몸체부(10)의 타단은 센서(6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림부(2)를 감싸는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림부(2)에 몸체부(10)가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연결부(40)는 제1 연결부분(41), 제2 연결부분(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분(41)은, 안착부(31)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연결부분(41)은 타이어 공기압 센서(60)의 밸브부(61)의 일단이 지지되게 지지홈(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타이어 공기압 센서(60)의 밸브부(61)의 직경은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홈(42)은 밸브부(61)의 직경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분(44)은 제1 연결부분(41)에 기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결부분(44)은 밸브홀(5)과 접촉되고 밸브홀(5)에 대응되는 관통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3)의 내측면은 지지홈(42)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홈(42)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관통홀(43)의 내측면으로 인해, 제2 연결부분(44)에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60)의 밸브부(61)가 안착되는 안착면(45)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1)에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60)가 배치되고, 안착면(45)에는 밸브부(61)가 안정되게 지지됨으로써, 타이어 공기압 센서(60)를 통해 림부(2)에 몸체부(10)는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종래에 몸체부(10)를 림부(2)에 설치한 후에, 타이어 공기압 센서(60)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60)를 통해 몸체부(10)를 림부(2)에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부품(스트랩)을 사용하지 않고도, 림부(2)에 자동차 휠의 공명기(100)를 너트(63)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스트랩의 체결력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을 너트(63)를 통해 체결토크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조립 및 관리가 수월한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휠 2: 림부
3: 걸림돌기 5: 밸브홀
10: 몸체부 20: 걸림부
30: 연장부 31: 안착부
40: 밸브 연결부 41: 제1 연결부분
42: 지지홈 43: 관통홀
44: 제2 연결부분 45: 안착면
50: 공명부 51: 공명공간
52: 제1 홀 54: 제2 홀
60: 센서 61: 밸브부
63: 너트 100: 자동차 휠의 공명기

Claims (7)

  1. 휠의 림부에 설치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에 있어서,
    상기 휠의 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서 상기 림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바라보는 방향인 기준방향을 따라 상기 림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걸림돌기에 의해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서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상기 기준방향 측의 말단에 구비되되, 상기 림부의 타측에 형성된 밸브홀과 연통되는 밸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휠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의 내부에 상기 휠의 원주방향으로 공명공간들이 형성된 공명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은 상기 밸브 연결부를 거쳐 상기 밸브홀에 결합되는 센서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림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센서가 배치되도록, 상기 휠의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인 자동차 휠의 공명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밸브부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센서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 연결부를 거쳐 상기 밸브홀을 통과하고,
    상기 밸브부에 체결되는 너트는, 상기 밸브홀을 통과한 상기 밸브부에, 상기 휠의 외측에서 체결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 연결부는,
    상기 안착부분과 마주하되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밸브부의 일단이 지지되게 지지홈이 형성된 제1 연결부분; 및
    상기 제1 연결부분에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밸브홀과 접촉되고 상기 밸브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연결부분;
    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홈의 내측면 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자동차 휠의 공명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의 내측면보다 내측으로 더 돌출된 상기 밸브홀의 내측면으로 인해, 상기 제2 연결부분에는 상기 타이어 공기압 센서의 밸브부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는, 상기 휠의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공명공간들 각각에 연통되는 제1 및 2 홀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휠의 공명기.
KR1020180134714A 2018-11-05 2018-11-05 자동차 휠의 공명기 KR10255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714A KR102552503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 휠의 공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714A KR102552503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 휠의 공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90A KR20200051390A (ko) 2020-05-13
KR102552503B1 true KR102552503B1 (ko) 2023-07-06

Family

ID=7072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714A KR102552503B1 (ko) 2018-11-05 2018-11-05 자동차 휠의 공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5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253A (ja) 2007-09-19 2009-04-09 Honda Motor Co Ltd 空気圧検出装置の取付構造
JP2011057006A (ja) 2009-09-08 2011-03-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5970718B2 (ja) 2012-12-17 2016-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604B1 (ko) * 2016-12-16 2022-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관 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253A (ja) 2007-09-19 2009-04-09 Honda Motor Co Ltd 空気圧検出装置の取付構造
JP2011057006A (ja) 2009-09-08 2011-03-2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
JP5970718B2 (ja) 2012-12-17 2016-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390A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6242B1 (en) Resonator wheel
US9604583B2 (en) Wheel resonator for vehicle
EP3265328A1 (en) A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KR20180013177A (ko) 멀티 공명기
JP2004262271A (ja) 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及び騒音低減用内装体
KR20180070123A (ko) 차량용 공명관 휠
CN110722925B (zh) 车辆用轮毂
US11571927B2 (en) Wheel with sound absorber
KR102552503B1 (ko) 자동차 휠의 공명기
JP2008143285A (ja) Mac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CN110696549B (zh) 车辆用轮毂
EP3653466B1 (en) Vehicular steering wheel
US10850558B2 (en) Apparatus for reducing tire noise
JP2008143286A (ja)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3736804B2 (ja) タイヤ空気室における部材の保持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保持部付きの部材
EP3653407B1 (en) Strap center fixed type resonator and whee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210970534U (zh) 具有吸声装置的车轮
JP2007137393A (ja) 車両用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2659233B1 (ko) 차량용 휠의 헬름홀츠 공명기
CN112292270B (zh) 中空构造体及共鸣音降低体
KR102110032B1 (ko) 소음감쇠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휠
JP2020111256A (ja) 車両用タイヤホイール組立体
JP2004306659A (ja) 車両用ホイール
US11318789B2 (en) Ultrasonic welding type wheel resonator
JPH11245605A (ja) リ 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