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203B1 - 홀드 장치 - Google Patents
홀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8203B1 KR102338203B1 KR1020207019330A KR20207019330A KR102338203B1 KR 102338203 B1 KR102338203 B1 KR 102338203B1 KR 1020207019330 A KR1020207019330 A KR 1020207019330A KR 20207019330 A KR20207019330 A KR 20207019330A KR 102338203 B1 KR102338203 B1 KR 102338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tance
- holder
- distance member
- pad
- m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6—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having relatively-movable di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2—Deep-drawing with devices for holding the edge of the bl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21D22/26—Deep-drawing for making peculiarly, e.g. irregularly, shap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04—Blank holders; Moun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0—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 B21D24/12—Devices controlling or operating blank holders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dies mechanic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4/00—Special deep-drawing arrangements in, or in connection with, presses
- B21D24/16—Additional equi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tools, e.g. for shearing, for trimm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홀드 장치는, 금형 장치에 장착하여 이용된다. 홀드 장치는, 홀더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턴스 멤버와, 제1 금형 유닛에 장착되고, 또한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는 요동 장치를 구비한다. 홀더는, 펀치에 대해서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드는, 다이에 대해서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디스턴스 멤버는, 제2 금형에 접촉하지 않는 원위치와, 패드와 홀더의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의 사이에 요동 가능하다.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 제2 금형 유닛으로부터 제1 금형 유닛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요동 장치는, 홀더가 펀치에 대해서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턴스 멤버를 원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로 향해 요동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형 장치에 장착하여 이용되는 홀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런트 사이드 멤버, 크로스 멤버, A필러, 및 B필러 등의 자동차용 구조 부재는, 소재(예를 들면, 금속판)를 드로잉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드로잉 성형에는, 일반적으로, 다이로 이루어지는 상금형과, 펀치 및 홀더로 이루어지는 하금형을 구비하는 금형 장치가 이용된다.
드로잉 성형에서는, 예를 들면, 소재의 외연부를 홀더에 의해서 다이에 누르면서, 소재의 중앙부를 펀치에 의해서 다이측에 밀어넣는다. 이에 의해, 원하는 형상의 성형품이 제조된다.
드로잉 성형의 과정에서는, 홀더의 다이에 대한 누르는 힘에 의해서, 소재의 외연부에 유입 저항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소재에 장력을 부가한 상태로 소재를 성형할 수 있어, 성형 시의 재료 남음에 의한 주름의 발생이 억제된다.
근년, 충돌 안전성의 향상 및 차체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590MPa 이상, 또한 980MPa 이상의 인장강도를 갖는 고장력강이, 자동차용 구조 부재의 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재의 성형성은 소재의 고강도화에 따라 저하한다. 그 때문에, 고장력강으로 이루어지는 소재에 드로잉 성형을 행할 때에, 소재의 외연부에 발생하는 유입 저항이 너무 크면, 성형품의 각 부의 판두께가 감소하여, 성형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균열의 발생은, 홀더가 누르는 힘을 작게 하여 소재의 외연부에 발생하는 유입 저항을 작게 함으로써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소재의 외연부에 발생하는 유입 저항이 작아지면, 소재를 적절히 늘리지 못하고, 재료 남음에 의한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종래, 상기와 같은 균열 및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프레스 부품의 제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제조 장치는, 프레스기 볼스터에 설치되는 제1의 금형과, 프레스기 슬라이드에 설치되는 제2의 금형을 구비하고 있다. 제1의 금형은, 프레스기 볼스터에 고정되는 펀치 다이와, 펀치 다이의 외측에 배치되는 블랭크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제2의 금형은, 프레스기 슬라이드에 설치되는 가동 패드와, 가동 패드의 외측에 배치되는 굽힘날과, 가동 패드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굽힘날의 외측에 배치되는 캐처와, 캐처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캠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블랭크 홀더와 굽힘날에 의해서 블랭크의 외연부를 협지하면서, 가동 패드와 펀치 다이에 의해서 블랭크의 중심부를 협지한 상태로, 펀치 다이에 의해서 블랭크의 중심부를 굽힘날 측으로 누름으로써, 드로잉 성형이 행해진다. 이 경우, 가동 패드와 펀치 다이에 의해서 협지된 부분에서는, 성형 과정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 때문에, 블랭크 홀더의 누르는 힘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아도, 가동 패드와 펀치 다이에 의해서 협지된 부분으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성형품에 있어서 균열 및 주름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드로잉 성형 후에 성형품을 꺼낼 때에는, 제1의 금형과 제2의 금형을 이형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레스 성형 후도, 가동 패드 및 블랭크 홀더에 대해서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금형과 제2의 금형을 단순히 이형시키면, 가동 패드 및 블랭크 홀더로부터의 가압에 의해서 성형품이 이형 시에 변형된다.
상기와 같은 성형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는, 블랭크 홀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인트 링크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성형 하사점에 있어서 조인트 링크와 캐처를 걸어맞춤으로써, 가동 패드 및 블랭크 홀더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형 시에, 가동 패드 및 블랭크 홀더로부터의 가압에 의해서 성형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조인트 링크와 캐처를 걸어맞추기 위해서, 제2의 금형의 아우터 캠을 제1의 금형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아우터 캠과 조인트 링크를 접촉시켜, 조인트 링크를 금형의 내측을 향하여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의 상세한 검토의 결과,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조인트 링크 및 아우터 캠이 소모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의 제조 장치에서는, 제1의 금형에 조인트 링크가 설치되고, 제2의 금형에 아우터 캠이 설치되므로, 조인트 링크의 중심과 아우터 캠의 중심의 거리가 커진다. 이 때문에, 조인트 링크와 아우터 캠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워져, 조인트 링크와 아우터 캠이 접촉할 때에, 조인트 링크 및 아우터 캠에 대해서, 설계상 고려하고 있지 않은 방향의 하중이 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 조인트 링크 및 아우터 캠이 손상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조 장치의 메인터넌스 비용의 저감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터넌스 비용을 억제하면서 이형 시의 성형품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홀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홀드 장치를 요지로 한다.
(1) 금형 장치에 장착하여 이용되는 홀드 장치로서,
상기 금형 장치는, 펀치 및 홀더를 갖는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펀치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패드 및 상기 홀더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다이를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의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소재를 프레스 성형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기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당해 홀드 장치는,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멤버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 유닛에 장착되는 요동 장치(moving device)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금형 유닛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턴스 멤버 및 상기 요동 장치가 상기 금형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제2 금형 유닛에 접촉하지 않는 원위치와,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홀더가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는, 홀드 장치.
(2)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음으로써,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홀드 장치.
(3)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디스턴스 멤버가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하중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전달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홀드 장치.
(4)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있어서, 상기 하중을 받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는, 상기 요동 장치로부터 상기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보다 큰, 상기 (3)에 기재된 홀드 장치.
(5)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있어서, 상기 하중을 받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는, 상기 요동 장치로부터 상기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 이하인, 상기 (3)에 기재된 홀드 장치.
(6) 상기 요동 장치는, 반발력 생성부를 갖고 또한 상기 펀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홀더가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반발력 생성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押壓)하고,
상기 반발력 생성부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상기 제2 방향의 반발력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반발력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반발력을 받아,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홀드 장치.
(7)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홀드 장치.
(8) 상기 원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접촉하도록 상기 패드에 고정되는 받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홀드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터넌스 비용을 억제하면서 이형 시의 성형품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요동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요동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프레스 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너츠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원통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구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B필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A필러 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루프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7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요동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요동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프레스 부품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도너츠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원통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구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링 형상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B필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A필러 로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프런트 사이드 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루프 레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금형 장치의 개략)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 및 당해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2~도 6은, 도 1의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도 6에는, 서로 직교하는 X 방향 및 Z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X 방향을 금형 장치의 폭방향으로 한다. Z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X 방향을 폭방향(X)으로 기재하고, Z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기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장치(100)는, 제1 금형(하형) 유닛(20)과 제2 금형(상형) 유닛(22)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금형 장치(100)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공지의 프레스기에 장착하여 이용된다. 제1 금형 유닛(20)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가 장착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데, 홀드 장치(1)는, 디스턴스 멤버(24)와, 지지 부재(25)와, 요동 장치(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판 형상의 소재(300)로부터 단면 햇 형상을 갖는 프레스 부품(200)(후술하는 도 6 참조)을 제조하기 위한 홀드 장치(1) 및 금형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홀드 장치(1)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프레스 부품은, 도 6에 나타내는 프레스 부품(200)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홀드 장치의 구성 및 동작, 본 발명에 따른 홀드 장치가 장착되는 금형 장치의 구성 및 동작도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제조되는 프레스 부품의 형상에 의해서 적절히 변경된다.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 장치(100)는,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의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소재(300)를 프레스 성형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Z)이 프레스 방향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제1 금형 유닛(2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Z1)으로 하고, 제1 금형 유닛(20)으로부터 제2 금형 유닛(22)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Z2)으로 한다.
제1 금형 유닛(20)은, 펀치(32)와, 홀더(34)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금형 유닛(22)은, 다이(36)와, 패드(38)를 구비하고 있다.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다이(36)는 홀더(34)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패드(38)는 펀치(3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홀더(34)는, 펀치(32)에 대해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패드(38)는, 다이(36)에 대해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홀드 장치(1)의 디스턴스 멤버(24)는, 홀더(34)에 대해서,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지지 부재(25)를 개재하여, 요동 가능한 상태로 홀더(34)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지지 부재(2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 부재(25)가 홀더(34)에 장착된다. 디스턴스 멤버(24)는, 홀더(34)의 상하 방향(Z)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Z)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제2 금형 유닛(22)에 접촉하지 않는 원위치(도 1에 나타내는 위치)와, 후술하는 방지 위치(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홀더(34)에 장착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데, 원위치에서는,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디스턴스 멤버(24)에 대해서 하중은 부여되지 않는다. 한편, 방지 위치에서는, 제2 금형 유닛(22)의 패드(38)로부터 디스턴스 멤버(24)에 대해서, 제1 방향(Z1)의 하중이 부여된다.
요동 장치(26)는,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26)는,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킬 수 있도록,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요동 장치(26)는, 홀더(34)가 펀치(32)에 대해서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도 1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요동 장치(26)가 펀치(32)에 장착되어 있는데, 요동 장치(26)는, 제1 금형 유닛(20)의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장착되어 있으면 된다.
이하, 소재(300)에 프레스 성형을 행하는 경우의 홀드 장치(1) 및 금형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홀드 장치(1)가 장착된 금형 장치(100)를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펀치(32) 및 홀더(34)상에 판 형상의 소재(300)가 배치된다. 이 때,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도 1에 있어서는, 홀드 장치(1) 및 금형 장치(100)의 각 구성 부재는, 원위치 상태이다. 또한, 디스턴스 멤버(24)는, 원위치에 있어서는,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원위치에 있어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하중을 받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 및 제2 금형 유닛(22)이,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제2 금형 유닛(22)의 다이(36)가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펀치(32) 및 홀더(34)와, 패드(38) 및 다이(36)에 의해서 소재(300)가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원위치 상태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다이(36)가 더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펀치(32) 및 패드(38)에 대해서, 홀더(34) 및 다이(36)가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소재(300)에 대해서 성형이 개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치(32) 및 패드(38)에 대해서, 홀더(34) 및 다이(36)가 더 제1 방향(Z1)으로 이동하고, 성형 하사점(성형 완료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소정의 성형 높이의 프레스 부품(200)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치(32)에 대해서 홀더(34)가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홀드 장치(1)의 요동 장치(26)가,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킨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패드(38)가 홀더(3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으로 이동하는 것은,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에 의해, 홀더(34)와 패드(38)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의 성형 높이 이상으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홀더(34)와 패드(38)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이,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4)와 패드(38)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턴스 멤버(24)의 위치(도 4에 나타내는 위치)를, 방지 위치라고 한다. 방지 위치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패드(38)에 연결됨으로써, 패드(38)로부터의 제1 방향(Z1)의 하중을 받는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방지 위치에 있어서, 패드(38)에 접촉하고 있는데,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패드(38)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도 된다. 즉, 디스턴스 멤버(24)는, 패드(38)로부터의 제1 방향(Z1)의 하중을, 패드(38)로부터 직접 받아도 되고, 다른 부재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받아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홀더와 패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드 장치의 기능을 로킹 기능이라고 하고, 홀더와 패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드 장치의 동작을 로킹 동작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36)와 더불어, 홀더(34) 및 패드(38)가, 펀치(32)에 대해서 제2 방향(Z2)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펀치(32)가, 패드(38)에 대해서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펀치(32)가, 패드(3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이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더 떨어지고, 프레스 부품(200)이 꺼내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34)와 패드(38)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는, 홀드 장치(1)의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소정의 성형 높이 이상으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홀더(34)로부터 제2 방향(Z2)으로 가해지는 압력 및 패드(38)로부터 제1 방향(Z1)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모두,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받아진다. 이에 의해, 홀더(34) 및 패드(38)로부터 프레스 부품(200)에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형 시에, 프레스 부품(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가 모두,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동 장치(26)를 제2 금형 유닛(22)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디스턴스 멤버(24)의 중심과 요동 장치(26)의 중심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를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할 때에, 디스턴스 멤버(24)와 요동 장치(26)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요동 장치(26)로부터 디스턴스 멤버(24)에 힘을 전달할 때(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킬 때)에,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에 대해서, 설계상 고려하고 있지 않는 방향의 하중이 부하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가 손상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즉, 홀드 장치(1)의 메인터넌스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디스턴스 멤버(24)의 중심과 요동 장치(26)의 중심의 거리가 작아짐으로써, 요동 장치(26)의 작은 동작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요동 장치(26) 자체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요동 장치(26)의 중심과, 요동 장치(26)의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한 장착 위치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장치(26)로부터 디스턴스 멤버(24)에 힘을 전달할 때에, 디스턴스 멤버(24)로부터 요동 장치(26)에 부여되는 힘의 모멘트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요동 장치(26)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요동 장치(26)를 작게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한 요동 장치(26)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턴스 멤버(24)와 요동 장치(26)가 접촉할 때에, 미스얼라이먼트에 의거하는 불필요한 하중이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에 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은 동력으로 디스턴스 멤버(24)를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는 것과 더불어,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요동 장치(26)의 동작 범위 및 구성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금형 장치(100) 자체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금형 장치의 외측 부분의 치수 및 구성에 대한 요구가 엄격한 트랜스퍼형의 프레스기에 있어서도, 홀드 장치(1)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는, 금형 장치(100)에 대해서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비의 홀드 장치(1)를 준비하여 둠으로써, 홀드 장치(1)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고장났다고 해도, 예비의 홀드 장치(1)로 교환함으로써, 금형 장치(100)의 가동을 계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홀드 장치(1)에 예상 외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홀드 장치(1)를 교환함으로써, 그 고장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 장치(1)에 의해서 로킹 기능이 발휘된다. 이 때문에, 홀드 장치(1)를 금형 장치(100)에 장착할 때에 홀드 장치(1)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금형 장치(100)를 프레스기에 장착할 때의 로킹 동작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장치(100)는, 홀드 장치(1)를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금형 장치(100)의 본질적인 부분의 구성에는, 공지의 금형 장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존의 금형 장치(100)에 대해서, 홀드 장치(1)를 장착하기 위한 간단한 가공을 행함으로써, 기존의 금형 장치(100)에 홀드 장치(1)를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형 장치(100)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장치(100)의 프레스기에 대한 장착 조정과는 별도로, 홀드 장치(1)의 장착 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형 장치(100)를 프레스기에 장착하기 전에, 홀드 장치(1)를 금형 장치(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드 장치(1)의 장착 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홀드 장치(1)를 금형 장치(100)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홀드 장치(1)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장치를 갱신하는 경우 및 금형 장치의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 등에, 홀드 장치(1)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구성요소를 재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러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장치(100)를 설계할 때에는, 홀드 장치(1)의 배치 및 장착 구조 등을 고려할 필요는 있으나, 로킹 기능에 대한 상세한 검토는 불필요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프레스 하중 등의 소정의 조건에 따라 홀드 장치(1)를 시리즈화하고, 시리즈마다 복수의 홀드 장치(1)의 설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금형 장치(100)를 설계한 후, 그 금형 장치(100)에 대응하는 시리즈 중에서, 소재(300)의 치수 등에 따른 적절한 홀드 장치(1)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홀드 장치(1) 및 금형 장치(100)를 적절하고 용이하게 조합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홀드 장치(1)와 금형 장치(100)를 일체적으로 설계하는 경우에 비해, 금형 장치(100)의 설계 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 및 홀드 장치가 장착되는 금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 및 당해 홀드 장치가 장착된 금형 장치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는, 서로 직교하는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X 방향을 금형 장치의 폭방향으로 하고, Y 방향을 금형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한다. 또, Z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X 방향을 폭방향(X)이라고 기재하고, Y 방향을 길이 방향(Y)이라고 기재하고, Z 방향을 상하 방향(Z)으로 기재한다. 후술하는 도 8~도 13에 있어서도, 폭방향(X) 및 상하 방향(Z)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7의 금형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후술하는 도 9~도 13에 있어서는, 금형 장치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단면 햇 형상을 갖는 프레스 부품(200)(후술하는 도 13 참조)을 제조하기 위한 홀드 장치(1a) 및 금형 장치(100a)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장치(100a)는, 제1 금형(하형) 유닛(20)과, 제2 금형(상형) 유닛(22)과, 스토퍼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금형 장치(100a)는,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의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소재(300)를 프레스 성형하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Z)이 프레스 방향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제1 금형 유닛(2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Z1)으로 하고, 제1 금형 유닛(20)으로부터 제2 금형 유닛(22)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Z2)으로 한다.
제1 금형 유닛(20)은, 펀치(32)와, 홀더(34)를 구비하고 있다. 펀치(32)는, 도시하지 않는 프레스기의 볼스터에 고정되는 기부(32a)와, 기부(32a)로부터 제2 방향(Z2)(상방)으로 돌출하는 펀치 본체부(32b)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부(32a)의 중앙부에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볼록부(32c)가 형성되고, 볼록부(32c)로부터 제2 방향(Z2)으로 돌출하도록 펀치 본체부(32b)가 설치되어 있다.
홀더(34)는, 평면에서 볼 때 중공 또한 직사각형상을 갖고 있다. 펀치(32)의 펀치 본체부(32b)는, 홀더(34)를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4)는, 펀치 본체부(32b)에 대해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홀더(34)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핀(35)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복수의 지지핀(35)은, 펀치(32)의 기부(32a)를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또한 펀치(32)에 대해서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4)에는, 복수의 지지핀(35)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는 프레스기의 다이 쿠션 장치로부터, 제1 방향(Z1)의 힘(F1)이 부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홀더(34)는, 제2 금형 유닛(22)을 향하여 탄성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지지핀(35) 및 다이 쿠션 장치 대신에, 펀치(32)에 내장한 가스 스프링 장치 또는 코일 스프링 등의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홀더(34)를 탄성가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4)가 펀치 본체부(32b)보다 제2 방향(Z2)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홀더(34)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홀더(34)로 제1 방향(Z1)의 힘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상태(펀치(32) 및 홀더(34)의 원위치)에서는, 펀치 본체부(32b)의 상면과 홀더(34)의 상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펀치(32) 및 홀더(34)가 설치되어 있다. 단, 펀치와 홀더의 위치 관계는, 제조되는 프레스 부품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 장치(1a)는, 제1 금형 유닛(20) 및 제2 금형 유닛(22)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홀드 장치(1a)는,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디스턴스 멤버(24)와, 복수의 지지 부재(25)와, 복수의 요동 장치(26)와, 복수의 지지 부재(7)와, 복수의 되돌림 장치(28)를 갖고 있다. 또, 홀드 장치(1a)는, 제2 금형 유닛(22)에 장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받이 부재(39)를 갖고 있다.
홀더(34)의 측면에, 홀드 장치(1a)의 복수의 지지 부재(25)가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지지 부재(25)가, 홀더(34)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고정되고, 다른 2개의 지지 부재(25)가, 홀더(34)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타방측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25)는,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서 홀더(34)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볼트를 폭방향(X)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이 지지 부재(25)에 형성됨과 더불어, 볼트를 폭방향(X)으로 삽입하기 위한 볼트 구멍이 홀더(34)에 형성된다. 그리고, 금형 장치(100a)의 외측으로부터, 지지 부재(25)를 관통하도록 홀더(34)에 볼트를 삽입함으로써, 지지 부재(25)를 홀더(34)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홀드 장치(1a)의 구성요소(요동부(24a) 등)가 마모 등 했을 경우에는, 볼트와 지지 부재(25)의 사이에 심플레이트 등을 사이에 둠으로써, 홀드 장치(1a)의 구성요소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각 지지 부재(25)에는, 제2 방향(Z2)을 향하여 열리도록, 단면이 대략 원호 형상인 오목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 장치(1a)는, 4개의 디스턴스 멤버(24)를 갖고 있다. 각 디스턴스 멤버(24)는, 봉 형상의 요동부(24a)와, 1쌍의 판 형상의 아암부(24b)와, 1쌍의 원 기둥 형상의 압압부(24c)를 갖고 있다. 요동부(24a)의 일단부(一端部)(하단부)는, 지지 부재(25)의 오목부(25a)에, 폭방향(X)으로 요동 가능하게 끼워넣어진다. 이에 의해, 요동부(24a)는, 하단부를 요동 중심으로서, 폭방향(X)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25)로 지지된다. 즉, 요동부(24a)는, 지지 부재(25)를 개재하여, 홀더(34)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제2 금형 유닛(22)에 접촉하지 않는 원위치(도 8에 나타내는 위치)와, 후술하는 방지 위치(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홀더(3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데, 요동부(24a)는,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지지축을 개재하여 지지 부재(25)에 요동 가능(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된다.
1쌍의 아암부(24b)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요동부(24a)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1쌍의 아암부(24b)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각각, 압압부(24c)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드 장치(1a)는, 4개의 디스턴스 멤버(24)에 대응하도록, 4개의 요동 장치(26), 4개의 지지 부재(27) 및 4개의 되돌림 장치(28)를 갖고 있다. 각 요동 장치(26)는, 1쌍의 탄성 부재(26a)와, 1쌍의 전달 부재(26b)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26a)는, 코일 스프링이다. 이하, 탄성 부재(26a)를, 코일 스프링(26a)이라고 기재한다.
전달 부재(26b)는,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축부(6a)와, 축부(6a)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b)와, 축부(6a)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6c)를 갖고 있다. 전달 부재(26b)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 부재(27)에 삽입되어 있다. 플랜지부(6b)와 지지 부재(27)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축부(6a)의 외측에 코일 스프링(26a)이 끼워져 있다. 코일 스프링(26a)은, 플랜지부(6b)를 제2 방향(Z2)(상방)을 향하여 누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6c)가 지지 부재(27)에 걸어맞춤으로써, 전달 부재(26b)의 제2 방향(Z2)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지지 부재(27)는,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서 펀치(32)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26)는, 지지 부재(27)를 개재하여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의 원위치에 있어서, 플랜지부(6b)상에 압압부(24c)가 위치하도록, 요동 장치(26)가 설치된다. 또한, 디스턴스 멤버(24)의 원위치에 있어서, 플랜지부(6b)와 압압부(24c)가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플랜지부(6b)와 압압부(24c)가 상하 방향(Z)으로 떨어져 있어도 된다. 단, 플랜지부(6b)와 압압부(24c)가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플랜지부(6b)와 압압부(24c)의 상하 방향(Z)의 거리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요동 장치(26)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홀더(34)가 펀치(32)에 대해서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도 8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는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되돌림 장치(28)는, 지지 부재(25)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되돌림 장치(28)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디스턴스 멤버(24)에 연결되고, 또한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로 돌아오도록 탄성가압하고 있다.
제2 금형 유닛(22)은, 다이(36)와, 패드(3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36)는, 도시하지 않는 프레스기의 슬라이드에 고정되는 기부(36a)와, 기부(36a)로부터 제1 방향(Z1)(하방)으로 돌출하는 다이 본체부(36b)를 갖고 있다. 다이 본체부(36b)는, 하방으로부터 보면, 중공 또는 직사각형상을 갖고 있다. 다이 본체부(36b)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 홀더(34)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패드(38)는, 다이 본체부(36b)의 내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패드 본체부(38a)와, 다이 본체부(36b)를 관통하도록 패드 본체부(38a)로부터 폭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아암부(38b)를 갖고 있다. 패드 본체부(38a)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 펀치(32)의 펀치 본체부(32b)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이 본체부(36b)의 외측에 있어서, 각 아암부(38b)의 선단에, 홀드 장치(1a)의 받이 부재(39)가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이 부재(39)는, 예를 들면,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서 아암부(38b)에 고정된다. 또한, 받이 부재(39)를 아암부(38b)에 장착하는 구성으로는, 지지 부재(25)를 홀더(34)에 장착하는 구성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이 부재(39)는, 길이 방향(Y)에서 보면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고 또한 아암부(38b)에 고정되는 걸림부(39a)와, 걸림부(39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캐처부(39b)를 갖고 있다. 걸림부(39a)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 홀드 장치(1a)의 지지 부재(25)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36)의 기부(36a)와 패드(38)의 패드 본체부(38a)의 사이에, 복수의 탄성가압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가압 장치(40)는, 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고, 패드 본체부(38a)에 대해서 제2 방향(Z2)의 힘(F2)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의해, 패드(38)는, 제1 금형 유닛(20)을 향하여 탄성가압되어 있다. 또한, 탄성가압 장치(40)로서, 가스 스프링 대신에, 코일 스프링 등의 다른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36) 및 패드(38)의 원위치에서는, 다이 본체부(36b)의 하면과 패드 본체부(38a)의 하면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다이(36) 및 패드(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와 패드의 위치 관계는, 제조되는 프레스 부품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각 받이 부재(39)의 걸림부(39a)에, 스토퍼 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스토퍼 장치(30)는, 스토퍼 부재(30a)와, 걸림부(39a)의 사이에서 스토퍼 부재(30a)를 상하 방향(Z)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부재(30b)와, 유지 부재(30b)에 대해서 스토퍼 부재(30a)를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 부재(30c)를 갖고 있다. 스토퍼 부재(30a)는, 원위치에 있어서 걸림부(39a)보다 제1 방향(Z1)(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홀드 장치(1a) 및 금형 장치(100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도 13은, 홀드 장치 및 금형 장치에 의한 프레스 부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제5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소재로부터 프레스 부품이 제조된다.
(제1 공정)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펀치(32) 및 홀더(34)상에 판 형상의 소재(300)가 배치된다. 이 때,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제1 공정에서는, 홀드 장치(1a) 및 금형 장치(100a)의 각 구성 부재는, 원위치 상태이다. 또한, 디스턴스 멤버(24)는, 원위치에 있어서는, 제2 금형 유닛(22)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또, 원위치에 있어서는,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부(24a)의 상단부는, 폭방향(X)에 있어서 받이 부재(39)의 걸림부(39a)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원위치에 있어서는, 요동부(24a)의 상단부와 스토퍼 부재(30a)의 하단부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소재(300)로는, 예를 들면, 인장강도가 590~1600MPa인 고강도재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공정)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 및 제2 금형 유닛(22)이,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프레스기에 의해서,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제2 금형 유닛(22)(다이(36))이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펀치(32)(펀치 본체부(32b)) 및 홀더(34)와, 패드(38)(패드 본체부(38a)) 및 다이(36)(다이 본체부(36b))에 의해서 소재(300)가 사이에 끼워진다. 또, 각 스토퍼 장치(30)의 스토퍼 부재(30a)는, 요동부(24a)에 눌림으로써, 받이 부재(39)의 걸림부(39a)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2 방향(Z2)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원위치 상태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다이(36)가 더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펀치(32) 및 패드(38)에 대해서, 홀더(34) 및 다이(36)가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소재(300)에 대해서 성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재(300) 중, 폭방향(X)에 있어서의 양단부(홀더(34)와 다이 본체부(36b)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대해서, 폭방향(X)에 있어서의 중앙부(펀치 본체부(32b)와 패드 본체부(38a)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부분)가 제2 방향(Z2)을 향하여 밀려난다.
또, 펀치(32)에 대해서 홀더(34)가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지지 부재(25)를 개재하여 홀더(34)에 장착된 디스턴스 멤버(24)가, 지지 부재(27)를 개재하여 펀치(32)에 장착된 요동 장치(26)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압압부(24c)에 의해서 전달 부재(26b)가 제1 방향(Z1)에 눌려 코일 스프링(26a)이 압축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26a)에 있어서, 전달 부재(26b)를 제2 방향(Z2)으로 누르는 반발력이 발생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탄성 부재)(26a)은, 전달 부재(26b)를 개재하여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제1 방향으로 Z1에 압압됨으로써 제2 방향(Z2)의 반발력을 발생시키는 반발력 생성부로서 기능한다. 코일 스프링(26a)에 있어서 발생한 제2 방향(Z2)의 반발력은, 전달 부재(26b)를 개재하여 디스턴스 멤버(24)의 압압부(24c)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요동부(24a)의 하단부를 요동 중심으로서 디스턴스 멤버(24)를 금형 장치(100a)의 내측을 향하여 요동(회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요동 장치(26)로부터 디스턴스 멤버(24)에 부여된다. 그러나, 소재(300)에 대한 성형 개시 직후는, 금형 장치(100a)의 내측으로 향하는 요동부(24a)의 이동은, 걸림부(39a)에 의해서 규제된다. 즉, 걸림부(39a)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의 내측에 대한 요동이 규제된다.
(제3 공정)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펀치(32) 및 패드(38)에 대해서, 홀더(34) 및 다이(36)가 더 제1 방향(Z1)으로 이동하고, 성형 하사점(성형 완료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소정의 성형 높이의 프레스 부품(200)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홀더(34)와 더불어 디스턴스 멤버(24)가 제1 방향(Z1)으로 이동함으로써, 요동 장치(26)에 있어서 발생하는 제2 방향(Z2)의 반발력이 커진다. 즉, 디스턴스 멤버(24)를 금형 장치(100a)의 내측을 향하여 요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진다. 이 상태에서, 홀더(34)와 받이 부재(39)(걸림부(39a))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커짐으로써, 요동부(24a)의 내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져, 디스턴스 멤버(24)가 금형 장치(100a)의 내측을 향하여 순간적으로 요동한다.
요동부(24a)가 캐처부(39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요동하면, 탄성 부재(30c)에 눌림으로써 스토퍼 부재(30a)가 제1 방향(Z1)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요동부(24a)는, 캐처부(39b)와 스토퍼 부재(30a)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요동부(24a)의 요동이 규제된다. 즉,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이 규제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패드(38)가 홀더(3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제1 방향(Z1)으로 이동하는 것은,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부(24a)에 의해서 규제된다. 이에 의해, 홀더(34)와 패드 본체부(38a)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의 성형 높이 이상으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홀더(34)와 패드(38)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이,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더(34)와 패드(38)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턴스 멤버(24)의 위치(도 11에 나타내는 위치)를, 방지 위치라고 한다.
(제4 공정)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이(36)가 제1 금형 유닛(20)에 대해서 제2 방향(Z2)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다이(36)와 더불어, 홀더(34) 및 패드(38)가, 펀치(32)에 대해서 제2 방향(Z2)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펀치(32)의 펀치 본체부(32b)가, 패드(38)의 패드 본체부(38a)에 대해서 제1 방향(Z1)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펀치 본체부(32b)는, 패드 본체부(38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34)와 패드 본체부(38a)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는,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부(24a)에 의해서 소정의 성형 높이 이상으로 유지된다. 바꾸어 말하면, 홀더(34)로부터 제2 방향(Z2)에 가해지는 압력 및 패드(38)로부터 제1 방향(Z1)에 가해지는 압력은 모두,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부(24a)에 의해서 받아진다. 이에 의해, 홀더(34) 및 패드(38)로부터 프레스 부품(200)에 큰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형 시에, 프레스 부품(20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공정)
마지막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금형 유닛(20)과 제2 금형 유닛(22)이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더 멀어지고, 프레스 부품(200)이 꺼내어진다. 이 때, 디스턴스 멤버(24)는 되돌림 장치(28)에 의해서 원위치에 되돌려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a)에서는, 상술한 홀드 장치(1)와 같이,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가 모두,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홀드 장치(1)와 같이, 홀드 장치(1a)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상술한 홀드 장치(1)와 같이, 홀드 장치(1a)는, 트랜스퍼형의 프레스기에 있어서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a)의 각 구성요소는, 상술한 홀드 장치(1)와 같이, 금형 장치(100a)에 대해서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비 홀드 장치(1a)를 준비해 둠으로써, 홀드 장치(1a)의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그 구성요소를 교환함으로써, 고장에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상술한 홀드 장치(1)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금형 장치(100a)를 프레스기에 장착할 때에 로킹 동작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홀드 장치(1a)의 장착 정밀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홀드 장치(1a)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고, 러닝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금형 장치(100a)의 설계 공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장치(100a)는, 홀드 장치(1a)를 장착 및 떼어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금형 장치(100a)의 본질적인 부분의 구성에는, 공지의 금형 장치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형 장치(100a)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요동 장치를 제2 금형 유닛(2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턴스 멤버(24)를 외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는 부재(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아우터 캠)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이 점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26)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를 제2 방향(Z2)에 누름으로써 디스턴스 멤버(24)를 방지 위치까지 요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요동 장치(26)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으므로, 금형 장치(100a)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26)는, 코일 스프링(26a)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요동 장치(26)를 소형으로 구성하면서, 충분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코일 스프링(26a)을 이용함으로써, 프레스 부품(200)의 성형 사이클을 짧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요동 장치(26)의 제어가 불필요하므로,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1a)에서는, 요동 장치(26)는,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디스턴스 멤버(24)가 패드(38)로부터 하중을 받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이 부재(39)에 접촉하는 요동부(24a)의 상단부)와는 상이한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24c))에 있어서, 디스턴스 멤버(24)에 전달한다. 이 경우, 디스턴스 멤버(24)에 있어서 상기 하중을 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위치가 같은 위치인 경우에 비해, 디스턴스 멤버(24)의 손상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드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위치에 있어서의 요동부(24a)의 각도를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원위치에 있어서, 요동부(24a)의 상단의 위치를, 홀더(34) 및 펀치(32)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조정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트랜스퍼형의 프레스기에 있어서 홀드 장치를 이용할 때에, 소재(300)의 배치 및 프레스 부품(200)의 꺼냄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턴스 멤버(24)에 있어서, 상기 하중을 받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를, 상기 요동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보다 크게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로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턴스 멤버(24)에 있어서, 상기 하중을 받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를, 상기 요동시키기 위한 힘이 전달되는 위치와 요동 중심의 거리 이하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작은 힘으로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26)가 펀치(32)에 장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요동 장치는 펀치(32) 이외의 제1 금형 유닛의 구성요소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볼스터에 고정된 다른 구성요소에, 요동 장치가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요동 장치의 구성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 장치는, 홀더가 펀치에 대해서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디스턴스 멤버를 원위치로부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요동 장치로서,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해도 된다. 요동 장치로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요동 장치를 지지 부재(25) 또는 홀더(34)에 장착하고, 디스턴스 멤버에 연결된 회전축을 요동 장치에 의해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요동 장치로서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액추에이터를 되돌림 장치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금형 장치의 구성을 더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장치의 반발력 생성부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반발력 생성부로서 인장 스프링, 비틀림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어큐뮬레이터, 및 가스 스프링 등을 단체로 또는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요동 장치(26)와 같이, 코일 스프링(26a)(도 8 참조) 대신에, 지지 부재(27)에 매설된 가스 스프링(60)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가스 스프링(60)은, 전달 부재(26b)를 개재하여 디스턴스 멤버(24)에 의해서 제1 방향(Z1)에 압압됨으로써, 제2 방향(Z2)의 반발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전달 부재(26b)가 제2 방향(Z2)에 탄성가압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홀드 장치(1a)가 4개의 디스턴스 멤버(24) 및 4개의 요동 장치(26)를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의 수는, 3개 이하여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하중 및 하중 분포 등의 성형 조건을 고려하여, 디스턴스 멤버(24) 및 요동 장치(26)의 수 및 배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요동부(24a)의 형상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요동부(24a)가 봉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또, 지지 부재(25)의 구성도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 부재(25)는, 디스턴스 멤버(24)를 요동 가능하게 홀더(34)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 지지 부재(27)도, 요동 장치(26)를 제1 금형 유닛(20)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는, 방지 위치에 있어서, 받이 부재(39)를 개재하여 패드(38)로부터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패드(38)와 홀더(34)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턴스 멤버가, 방지 위치에 있어서, 패드로부터의 하중을 직접 받음으로써, 패드와 홀더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패드(38) 및 받이 부재(39)를, 패드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술한 홀드 장치(1a)에서는,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해서 되돌림 장치(28)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예를 들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홀드 장치(1b)와 같이, 되돌림 장치(28) 대신에 디스턴스 멤버(24)에 추부(錘部)(50)를 장착하고, 디스턴스 멤버(24)의 자중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를 원위치에 되돌려도 된다. 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되돌림 장치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해도 되고, 에어 실린더, 유압 실린더, 전동 실린더 또는 전동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또, 상술한 금형 장치(100a)에서는, 방지 위치에 있어서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을 확실히 규제하기 위해서, 받이 부재(39)에 캐처부(39b)를 형성함과 더불어, 받이 부재(39)에 스토퍼 장치(30)를 설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방지 위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25)와 받이 부재(39)에 의해서 디스턴스 멤버(24)를 사이에 둠으로써 디스턴스 멤버(24)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금형 장치(100b)와 같이 캐처부(39b) 및 스토퍼 장치(30)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도 17~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장치(100b)에 있어서 홀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도, 상술한 금형 장치(100a)에 있어서 홀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소재(300)로부터 프레스 부품(2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상의 프레스 부품, 여러 가지의 프레스 공법, 및 여러 가지의 재질의 소재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는 프레스 부품(10)을 제조할 때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프레스 부품(10)은, 햇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프레스 부품(10)은, 천판(1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벽(12a, 12b), 및 플랜지(13a, 13b)를 갖고 있다. 세로벽(12a, 12b)의 상단부는, 프레스 부품(1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만곡하는 능선부(14a, 14b)를 개재하여 천판(1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세로벽(12a, 12b)의 하단부는, 프레스 부품(10)의 내측을 향하여 패이는 능선부(15a, 15b)를 개재하여 플랜지(13a, 13b)에 접속되어 있다. 프레스 부품(10)은, 세로벽(12a, 12b)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세로벽(12a, 12b)의 높이 방향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6, 17)를 갖는다. 이러한 프레스 부품(10)을 제조할 때에는, 프레스 부품(10)의 형상에 따라서, 제1 금형 유닛 및 제2 금형 유닛의 각 부의 형상을 조정하면 된다.
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본 발명은, 햇형 단면을 갖는 부품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도너츠 형상 부품, 도 25에 나타내는 원통 형상 부품, 도 26에 나타내는 구 형상 부품, 도 27~도 30에 나타내는 링 형상 부품, A필러, 도 31에 나타내는 B필러, 도 32에 나타내는 A필러 로어, 도 33에 나타내는 프런트 사이드 멤버, 리어 사이드 멤버,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도 34에 나타내는 루프 레일을 제조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1, 1a, 1b 홀드 장치
100, 100a, 100b 금형 장치
20 제 1 금형 유닛
22 제 2 금형 유닛
24 디스턴스 멤버
25 지지 부재
26 요동 장치
27 지지 부재
28 되돌림 장치
30 스토퍼 장치
32 펀치
34 홀더
36 다이
38 패드
39 받이 부재
40 탄성가압 장치
100, 100a, 100b 금형 장치
20 제 1 금형 유닛
22 제 2 금형 유닛
24 디스턴스 멤버
25 지지 부재
26 요동 장치
27 지지 부재
28 되돌림 장치
30 스토퍼 장치
32 펀치
34 홀더
36 다이
38 패드
39 받이 부재
40 탄성가압 장치
Claims (8)
- 금형 장치에 장착하여 이용되는 홀드 장치로서,
상기 금형 장치는, 펀치 및 홀더를 갖는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펀치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패드 및 상기 홀더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다이를 갖는 제2 금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이 상대적으로 접근하도록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금형 유닛과 상기 제2 금형 유닛의 사이에 배치된 판 형상의 소재를 프레스 성형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는,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기 프레스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홀드 장치는,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멤버와,
상기 홀더에 장착된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 유닛에 장착되는 요동 장치(moving device)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금형 유닛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했을 경우에,
상기 디스턴스 멤버 및 상기 요동 장치가 상기 금형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제2 금형 유닛에 접촉하지 않는 원위치와,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고,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홀더가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시키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음으로써,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요동 장치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상기 디스턴스 멤버가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하중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전달하는, 홀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요동 중심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와 상기 방지 위치 사이에서 요동할 때에,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는, 상기 요동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과,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는, 홀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요동 중심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홀더에 지지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와 상기 방지 위치 사이에서 요동할 때에,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는, 상기 요동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의 거리 이하이고,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과,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받는 위치와 상기 요동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을 나타내는, 홀드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장치는, 반발력 생성부를 갖고 또한 상기 펀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홀더가 상기 펀치에 대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반발력 생성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押壓)하고,
상기 반발력 생성부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의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압압됨으로써 상기 제2 방향의 반발력을 생성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반발력 생성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의 반발력을 받아, 상기 원위치로부터 상기 방지 위치를 향하여 요동하는, 홀드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홀드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접촉하지 않고,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멤버에 접촉하도록 상기 패드에 고정되는 받이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턴스 멤버는, 상기 방지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받이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패드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상기 패드와 상기 홀더의 상기 프레스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가 상기 소정 거리 이하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드 장치.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PCT/JP2017/044052 | 2017-12-07 | ||
PCT/JP2017/044052 WO2019111387A1 (ja) | 2017-12-07 | 2017-12-07 | プレス金型ホールド装置 |
PCT/JP2018/045002 WO2019112023A1 (ja) | 2017-12-07 | 2018-12-06 | ホールド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1912A KR20200091912A (ko) | 2020-07-31 |
KR102338203B1 true KR102338203B1 (ko) | 2021-12-10 |
Family
ID=6675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9330A KR102338203B1 (ko) | 2017-12-07 | 2018-12-06 | 홀드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351591B2 (ko) |
EP (1) | EP3722017A4 (ko) |
JP (1) | JP6597942B1 (ko) |
KR (1) | KR102338203B1 (ko) |
CN (1) | CN111448008B (ko) |
CA (1) | CA3084766C (ko) |
MX (1) | MX2020005966A (ko) |
WO (2) | WO20191113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15444B2 (ja) * | 2019-08-30 | 2022-08-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ハット型断面部品のプレス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3760A (ja) * | 2004-08-09 | 2006-02-16 | Frontier:Kk |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方法 |
WO2015046023A1 (ja) * | 2013-09-24 | 2015-04-02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ハット形断面部品の製造装置 |
JP2017170482A (ja) * | 2016-03-24 | 2017-09-28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ハット断面を有するプレス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7224U (ja) | 1985-07-01 | 1986-01-31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プレスにおける絞り加工装置 |
JP3534801B2 (ja) * | 1993-12-17 | 2004-06-07 | 株式会社アマダ | 折曲げ加工装置 |
JP2924701B2 (ja) * | 1995-04-03 | 1999-07-26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プレス機械のしわ押え方法およびしわ押え装置 |
JPH08332522A (ja) * | 1995-06-09 | 1996-12-17 | Amada Co Ltd | 曲げ金型装置及び曲げ加工機 |
CA2896457C (en) * | 2013-01-07 | 2017-04-25 |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 Press component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ame |
CN204220807U (zh) * | 2014-10-27 | 2015-03-25 | 斯摩摩(武汉)汽车模具有限公司 | 冲压模具延时机构 |
CN205362395U (zh) * | 2016-01-20 | 2016-07-06 | 重庆数码模车身模具有限公司 | 机械式延时机构 |
CN205949659U (zh) * | 2016-07-28 | 2017-02-15 | 东莞勤奋金属科技有限公司 | 一种脱料延时的冲压模具 |
CN206435666U (zh) * | 2017-01-19 | 2017-08-25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 具有延时功能的梁类零件成型模具 |
CN206550212U (zh) * | 2017-01-20 | 2017-10-13 | 东莞市茂鑫金属科技有限公司 | 级进模拉延、压料成型延时复位装置 |
CN107243562A (zh) * | 2017-07-20 | 2017-10-13 | 数码模冲压技术(武汉)有限公司 | 一种冲压拉延模具 |
-
2017
- 2017-12-07 WO PCT/JP2017/044052 patent/WO20191113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
- 2018-12-06 JP JP2019531837A patent/JP6597942B1/ja active Active
- 2018-12-06 US US16/770,417 patent/US11351591B2/en active Active
- 2018-12-06 KR KR1020207019330A patent/KR102338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2-06 CA CA3084766A patent/CA3084766C/en active Active
- 2018-12-06 MX MX2020005966A patent/MX2020005966A/es unknown
- 2018-12-06 CN CN201880079084.9A patent/CN111448008B/zh active Active
- 2018-12-06 WO PCT/JP2018/045002 patent/WO2019112023A1/ja unknown
- 2018-12-06 EP EP18886233.8A patent/EP3722017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3760A (ja) * | 2004-08-09 | 2006-02-16 | Frontier:Kk | プレス装置及びプレス方法 |
WO2015046023A1 (ja) * | 2013-09-24 | 2015-04-02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ハット形断面部品の製造装置 |
JP2017170482A (ja) * | 2016-03-24 | 2017-09-28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ハット断面を有するプレス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12023A1 (ja) | 2019-06-13 |
CN111448008B (zh) | 2023-03-24 |
JPWO2019112023A1 (ja) | 2019-12-12 |
EP3722017A4 (en) | 2021-09-22 |
MX2020005966A (es) | 2020-08-24 |
CA3084766A1 (en) | 2019-06-13 |
CA3084766C (en) | 2022-07-26 |
JP6597942B1 (ja) | 2019-10-30 |
EP3722017A1 (en) | 2020-10-14 |
CN111448008A (zh) | 2020-07-24 |
WO2019111387A1 (ja) | 2019-06-13 |
US11351591B2 (en) | 2022-06-07 |
KR20200091912A (ko) | 2020-07-31 |
US20200290105A1 (en) | 2020-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5028B1 (ko) | 금형 장치 | |
KR101115338B1 (ko) | 토션빔용 금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50619B1 (ko) | 프레스 장치 | |
KR102338203B1 (ko) | 홀드 장치 | |
KR20170013574A (ko) | 차량의 어퍼 암 제조용 금형장치 | |
JP5515279B2 (ja) | プレス成形品、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
EP3785817B1 (en) |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at-shaped cross-section component | |
CN102189174A (zh) | 浮动凸模成型装置 | |
CN103921752B (zh) | 一种设有安全气囊模块定位装置的方向盘 | |
JP6848821B2 (ja) | プレス成形装置及び方法 | |
JP2001259759A (ja) | プレス加工装置 | |
CN103978110A (zh) | 一种副车架左后安装座加强板的拉伸模 | |
CN207839996U (zh) | 一种墩料模锻复合模 | |
KR101880649B1 (ko) | 차량용 로어암 제조방법 | |
CN220808232U (zh) | 一种汽车反光镜的外壳生产模具 | |
KR100412647B1 (ko) | 트랜스퍼 프레스용 패널 리프트 장치 | |
CN207839747U (zh) | 一种装在压料板上的轴杆冲孔结构 | |
KR101481284B1 (ko) | 자동차용 기계식 프레스 장치 | |
KR100412657B1 (ko) | 트랜스퍼 프레스용 패널 리프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