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149B1 -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149B1
KR102338149B1 KR1020200047392A KR20200047392A KR102338149B1 KR 102338149 B1 KR102338149 B1 KR 102338149B1 KR 1020200047392 A KR1020200047392 A KR 1020200047392A KR 20200047392 A KR20200047392 A KR 20200047392A KR 102338149 B1 KR102338149 B1 KR 102338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re
housing
cluster block
motor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471A (ko
Inventor
슈지 다키모토
다쿠 아다니야
쇼조 하마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125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2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2/0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of internal axi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2Manufacturing the terminal arrangement per se; Connecting the terminals to an external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30/00Manufacture
    • F04C2230/60Assembly methods
    • F04C2230/604Mounting devices for pumps or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3Electric connectors or cables; Fit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클러스터 블록은, 접속 단자를 수용함과 함께,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는다. 클러스터 블록은, 하우징의 바닥벽과 제 2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된다.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은,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클러스터 블록은, 전동 모터 부근에 제 2 벽부를 갖고, 하우징의 바닥벽 부근에 제 1 벽부를 갖는다. 제 2 벽부는,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가압면을 갖는다. 제 1 벽부의 외면은,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가압면과 나열되어 배치되는 맞닿음면을 갖는다. 맞닿음면은, 하우징의 바닥벽과 맞닿음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OF ASSEMBLING MOTOR-DRIVEN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스테이터는, 통상 (筒狀) 의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단면 (端面) 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엔드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을 갖고 있다. 하우징은, 통상의 둘레벽과, 둘레벽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되는 단벽 (端壁) 을 갖고 있다. 둘레벽의 내주면에는, 스테이터 코어가 고정되어 있다. 단벽은,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전동 모터와 나열되어 있다. 또, 전동 압축기는, 모터 구동 회로, 도전 부재, 모터 배선, 접속 단자, 클러스터 블록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 구동 회로는, 전동 모터를 구동시킨다. 도전 부재는,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모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모터 배선은, 코일 엔드로부터 인출된다. 접속 단자는, 도전 부재와 모터 배선을 접속시킨다. 클러스터 블록은, 절연성이고, 접속 단자를 내부에 수용함과 함께,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68832호에 기재된 전동 압축기에서는, 클러스터 블록은,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의 단벽과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의 일부는,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코일 엔드와 대향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클러스터 블록이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전동 모터를 향하여 이동한 경우, 클러스터 블록은, 그 일부를 코일 엔드에 접촉시킴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전동 압축기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있어서 클러스터 블록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전 부재를 하우징의 단벽으로부터 클러스터 블록 내로 밀어넣어 접속 단자에 접속시킬 때, 클러스터 블록이 전동 모터측으로 이동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이 코일 엔드에 접촉하여, 코일 엔드가 손상되거나, 클러스터 블록이 변형 또는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전 부재를 접속 단자에 접속시킬 때의 클러스터 블록과 코일 엔드의 접촉 및 클러스터 블록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전동 압축기가 제공된다.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로서, 상기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통상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엔드를 갖는, 전동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통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동 모터와 나열되어 배치되는 단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상기 코일 엔드로부터 인출된 모터 배선과,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모터 배선을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의 클러스터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전동 모터 부근에 모터측 단면을 갖고 있다. 상기 모터측 단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가압면을 갖고 있다.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단벽 부근에 하우징측 단면을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측 단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가압면과 나열되어 배치되는 맞닿음면을 갖고 있다.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맞닿음 가능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로서, 상기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통상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엔드를 갖는, 전동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통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동 모터와 나열되어 배치되는 단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상기 코일 엔드로부터 인출된 모터 배선과,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모터 배선을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의 클러스터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배치하는 것과, 상기 클러스터 블록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그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단벽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 부근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지그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과 나열되어 배치되는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와 상기 하우징의 단벽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협지하는 것과, 상기 클러스터 블록이 상기 지그와 상기 하우징의 단벽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및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에 상기 도전 부재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접속 단자를 접속시키는 것을 구비한다.
도 1 은, 전동 압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2-2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5A 는, 클러스터 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5B 는, 클러스터 블록의 바닥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있어서의 6-6 선 단면도이다.
도 7A 는, 도 6 에 있어서의 7A-7A 선 단면도이다.
도 7B 는, 도 6 에 있어서의 7B-7B 선 단면도이다.
도 8 은, 가압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은,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있어서의 12-12 선 단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있어서의 13-13 선 단면도이다.
도 14 는,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14 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압축기 (10) 는, 하우징 (11) 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바닥이 있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 (12) 을 갖고 있다. 모터 하우징 (12) 은, 바닥벽 (12a) 과, 바닥벽 (12a) 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통상으로 연장 형성된 둘레벽 (12b) 을 갖고 있다. 바닥벽 (12a) 은, 둘레벽 (12b) 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되는 단벽이다. 하우징 (11) 은, 바닥이 있는 통상의 토출 하우징 (13) 과, 바닥이 있는 통상의 커버 (14) 를 갖고 있다. 토출 하우징 (13) 은, 모터 하우징 (12) 의 개구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커버 (14)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커버 (14) 에 의해, 수용 공간 (S1) 이 구획되어 있다.
토출 하우징 (13) 의 바닥벽에는, 토출 포트 (13h) 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포트 (13h) 에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 냉매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에는, 흡입 포트 (12h) 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 (12h) 에는, 외부 냉매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2) 내에는, 회전축 (16), 압축부 (17), 전동 모터 (18) 가 수용되어 있다. 압축부 (17) 는, 회전축 (16) 이 회전함으로써, 유체로서의 냉매를 압축한다. 전동 모터 (18) 는, 회전축 (16) 을 회전시킴으로써, 압축부 (17) 를 구동시킨다. 전동 모터 (18) 는, 압축부 (17) 보다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공간 (S1) 내에는, 전동 모터 (18) 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 (19) 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부 (17), 전동 모터 (18), 및 모터 구동 회로 (19) 는, 이 순서로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압축부 (17) 는, 모터 하우징 (12) 내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 (17a) 과, 고정 스크롤 (17a) 에 대향 배치된 가동 스크롤 (17b) 을 구비한다. 고정 스크롤 (17a) 과 가동 스크롤 (17b) 사이에는, 용적 변경 가능한 압축실 (S2) 이 구획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17a) 과 토출 하우징 (13) 에 의해, 토출실 (S3) 이 구획되어 있다. 압축실 (S2) 의 용적 변경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토출실 (S3) 에 토출된다.
전동 모터 (18) 는, 회전축 (16) 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 (21) (회전자) 와, 로터 (21) 를 둘러싸는 스테이터 (22) (고정자) 로 구성되어 있다. 로터 (21) 는, 원통 형상을 이루는 로터 코어 (23) 를 갖는다. 로터 코어 (23) 는, 회전축 (16) 에 고정되어 있다. 로터 코어 (23) 에는, 복수의 영구 자석 (24) 이 매설되어 있다. 복수의 영구 자석 (24) 은, 로터 코어 (23) 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터 (22) 는, 원통상의 스테이터 코어 (25) 와, 스테이터 코어 (25) 에 형성되는 U 상 (相), V 상, W 상의 코일 (26) 을 갖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 (25)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은,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스테이터 코어 (25) 의 제 1 단면 (251) 으로부터는, 각 상의 제 1 코일 엔드 (261) 가 돌출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 (25) 의 제 2 단면 (252) 으로부터는, 각 상의 제 2 코일 엔드 (262) 가 돌출되어 있다. 제 1 코일 엔드 (261) 는,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압축부 (17)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코일 엔드 (262) 는,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 구동 회로 (19)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코일 엔드 (262) 는, 제 2 단면 (252) 과 반대측에 코일 단면 (262a) 을 갖고 있다.
각 상의 제 2 코일 엔드 (262) 로부터는, 모터 배선 (27) 이 2 개씩 인출되어 있다. U 상, V 상, W 상의 코일 (26) 은, 저전압화를 도모하기 위해, 2 개의 도선이 권회되어 형성된 이중선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 은, 1 개의 모터 배선 (27) 만을 나타내고 있다. 코일 (26) 의 도선은,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의 양 단면 중, 전동 모터 (18) 와 대향하는 단면을 모터측 벽면으로서의 내면 (121) 으로 하고, 내면 (121) 과 반대측의 단면을 외면 (122) 으로 한다.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는, 수용 오목부 (12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으로부터는, 보스부 (124) 가 전동 모터 (18) 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 (124) 의 선단면에는, 베어링 수용부 (124a) 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 (12a) 의 외면 (122) 은 평면상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16) 의 축 방향에서 본 경우, 수용 오목부 (123) 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 (12) 내에 있어서, 축 지지 부재 (15) 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 부재 (15) 는, 전동 모터 (18) 와 압축부 (1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축 지지 부재 (15) 의 중앙부에는, 회전축 (16) 의 제 1 단부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공 (15a) 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통과공 (15a) 과 회전축 (16) 의 제 1 단부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 (20a)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16) 의 제 1 단부는, 래디얼 베어링 (20a) 을 통하여, 축 지지 부재 (15)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 수용부 (124a) 의 내측에는, 회전축 (16) 의 제 2 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베어링 수용부 (124a) 와 회전축 (16) 의 제 2 단부 사이에는, 래디얼 베어링 (20b)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16) 의 제 2 단부는, 래디얼 베어링 (20b) 을 통하여, 베어링 수용부 (124a)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압축기 (10) 는, 하우징 (11) 내에 수용된 기밀 단자 (31) 를 구비하고 있다. 기밀 단자 (31) 는, 3 개의 도전 부재 (32) 와, 지지 플레이트 (33) 를 갖고 있다. 3 개의 도전 부재 (32) 는, U 상, V 상, W 상의 각 코일 (26) 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 (33) 는, 3 개의 도전 부재 (32) 를 서로 절연시킨 상태에서 지지하고 있다. 도 1 은, 1 개의 도전 부재 (32) 만을 나타내고 있다. 각 도전 부재 (32) 는,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상의 금속 단자이다. 각 도전 부재 (32) 의 제 1 단부는, 수용 공간 (S1) 내에 있어서, 모터 구동 회로 (19)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도전 부재 (32) 의 제 2 단부는, 관통공 (125) 을 통하여, 수용 공간 (S1) 으로부터 모터 하우징 (12) 내로 돌출되어 있다. 관통공 (125) 은,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에 형성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 (12) 내에는, 모터 배선 (27) 과 도전 부재 (32) 를 접속시키는 커넥터 (34) 가 수용되어 있다. 커넥터 (34) 는,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전동 모터 (18)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34) 는, U 상, V 상, W 상의 코일 (26) 에 대응하는 3 개의 접속 단자 (40)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커넥터 (34) 는, 3 개의 접속 단자 (40) 를 수용하는 절연성의 클러스터 블록 (50) 을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접속 단자 (40) 는, 각 상의 2 개의 모터 배선 (27)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속부 (41) 와, 각 도전 부재 (32)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부 (42) 를 갖고 있다. 제 1 접속부 (41) 는,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41) 에는, 2 개의 모터 배선 (27) 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각 상의 2 개의 모터 배선 (27) 은, 튜브 부재 (28) 에 의해 덮여져 있다. 튜브 부재 (28) 는, 원통상이고, 절연성이다. 각 모터 배선 (27) 의 선단부에서는, 튜브 부재 (28) 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고, 또, 절연 피막이 제거되어 있기 때문에, 도선이 노출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접속 단자 (40) 는, 코킹부 (43) 를 갖고 있다. 코킹부 (43) 는, 튜브 부재 (28) 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 (41) 측의 단부와, 2 개의 모터 배선 (27) 의 제 1 접속부 (41) 측의 일부를 코킹한다. 코킹부 (43) 는, 제 1 접속부 (41) 에 있어서의 튜브 부재 (28) 부근의 제 1 단부로부터, 튜브 부재 (28) 를 둘러싸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각 모터 배선 (27) 은, 튜브 부재 (28) 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코킹부 (43) 에 의해 코킹됨으로써, 각 접속 단자 (40) 에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2) 는, 제 1 접속부 (41) 에 있어서의 튜브 부재 (28) 와 반대측의 제 2 단부에 연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2) 는, 대략 사각통상이다. 제 2 접속부 (42) 는, 제 1 접속부 (41) 의 제 2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1 쌍의 장측벽 (421) 과, 1 쌍의 장측벽 (421) 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가설 (架設) 된 제 1 단측벽 (422) 과, 1 쌍의 장측벽 (421) 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가설된 제 2 단측벽 (423) 을 갖는다. 제 2 접속부 (42) 의 축심은, 제 1 접속부 (4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고, 장측벽 (421)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2) 의 내측에는, 도전 부재 (32) 의 제 2 단부가 삽입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은, 제 1 ∼ 제 5 벽부 (51 ∼ 55) 를 갖는다. 제 1 벽부 (51) 및 제 2 벽부 (52) 는 각각, 단 (段) 형상을 이루는 1 쌍의 가장자리부와,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장자리부를 갖고 있다. 제 3 벽부 (53) 는, 제 1 벽부 (51) 의 단 형상을 이루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일방과, 제 2 벽부 (52) 의 단 형상을 이루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일방을 접속시킨다. 제 4 벽부 (54) 는, 제 1 벽부 (51) 의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일방과, 제 2 벽부 (52) 의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일방을 접속시킨다. 제 5 벽부 (55) 는, 제 1 벽부 (51) 의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타방과, 제 2 벽부 (52) 의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가장자리부 중 타방을 접속시킨다. 제 1 벽부 (51) 및 제 2 벽부 (52) 가 대향하는 방향을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으로 하고, 제 4 벽부 (54) 및 제 5 벽부 (55) 가 대향하는 방향을 클러스터 블록 (50) 의 폭 방향으로 한다. 또,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 및 폭 방향의 양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으로 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은, 내부에 3 개의 수용공 (50h) 을 갖고 있다. 3 개의 수용공 (50h)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수용공 (50h) 은, 구획벽 (56) 에 의해 다른 수용공 (50h) 과 구획되어 있다. 각 수용공 (50h) 은, 가늘고 긴 구멍상이고,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심을 갖는다. 각 수용공 (50h) 은, 제 3 벽부 (53) 와 반대측에 개구되어 있다. 각 수용공 (50h) 은, 개구측에서 봤을 때, 장방형상이다.
클러스터 블록 (50) 은, 제 1 벽부 (51) 를 관통하는 3 개의 관통부 (51h) 와, 원통상의 3 개의 가이드부 (57) 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가이드부 (57) 는,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각 관통부 (51h) 및 각 가이드부 (57) 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3 벽부 (53)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각 가이드부 (57) 의 내측은, 각 관통부 (51h) 에 연통되어 있다. 각 관통부 (51h) 는, 각 수용공 (50h) 에 연통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단자 (40) 는, 수용공 (50h) 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41) 가 연장되는 방향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제 1 접속부 (41) 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수용공 (50h) 의 개구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접속부 (42) 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3 벽부 (53)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2 접속부 (42) 의 축심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속 단자 (40) 의 내측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관통부 (51h) 와 가이드부 (57) 의 내측에 연통되어 있다. 도전 부재 (32) 의 제 2 단부는, 가이드부 (57) 의 내측 및 관통부 (51h) 를 개재하여, 접속 단자 (40) 의 제 2 접속부 (42) 의 내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부 (57) 의 내주면 및 관통부 (51h) 는, 도전 부재 (32) 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은, 3 개의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을 갖고 있다.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의 둘레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이외의 부분과 비교하여 취약하여, 강성이나 강도가 떨어진다. 각 수용공 (50h) 의 개구 부근, 즉, 튜브 부재 (28) 의 외주면과 수용공 (50h) 의 내주면 사이에는, 수지 (59) 가 충전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은,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으로부터 돌출되는 걸어 맞춤부로서의 블록측 핀 (61) 을 갖고 있다. 블록측 핀 (61) 은, 원기둥상이다. 블록측 핀 (61) 의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블록측 핀 (61) 의 선단부의 외경은, 제 2 벽부 (52) 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블록측 핀 (61)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 3 벽부 (53) 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블록측 핀 (61)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길이 방향으로, 3 개의 가이드부 (57) 중 중앙에 위치하는 가이드부 (57) 와 나열되어 있다.
제 4 벽부 (54) 의 외면 (54a) 으로부터는, 돌출부 (62) 가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62) 의 제 1 벽부 (51) 측의 제 1 단면 (62a) 은,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보다 패여져 있다. 한편, 돌출부 (62) 의 제 2 벽부 (52) 측의 제 2 단면 (62b) 은,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보다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62) 에는, 원공상 (圓孔狀) 의 블록측 삽입공 (63) 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측 삽입공 (63) 은, 돌출부 (62) 를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블록측 삽입공 (63) 의 제 2 단면 (62b) 부근의 부분은, 테이퍼면 (63a) 으로 되어 있다. 블록측 삽입공 (63) 의 내경은,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으로부터 제 1 단면 (62a) 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은,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전동 모터 (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은,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이 경우,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부근에 위치하고,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은, 전동 모터 (18)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을,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부근에 위치하는 하우징측 단면으로 한다. 또,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을, 전동 모터 (18) 부근에 위치하는 모터측 단면으로 한다. 또, 제 3 ∼ 제 5 벽부 (53 ∼ 55) 의 외면 (53a ∼ 55a) 은,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과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을 접속시키는 측면으로 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은,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부위 (50a) 와,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부위 (50b) 를 갖고 있다. 도 6 은, 모터 하우징 (12) 을 생략하고 있다. 외주측 부위 (50a) 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일부, 제 2 벽부 (52) 의 일부, 제 3 벽부 (53), 제 4 벽부 (54) 의 일부, 및 제 5 벽부 (55) 를 포함한다. 외주측 부위 (50a) 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을 포함한다. 내주측 부위 (50b) 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일부, 제 2 벽부 (52) 의 일부, 및 제 4 벽부 (54) 의 일부를 포함한다. 내주측 부위 (50b) 는, 블록측 핀 (61) 및 돌출부 (62) 를 포함한다. 외주측 부위 (50a) 는, 회전축 (16) 의 축 방향으로 제 2 코일 엔드 (262) 와 나열되어 있다. 내주측 부위 (50b) 는, 회전축 (16) 의 축 방향으로 로터 (21) 와 나열되어 있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은,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과 맞닿음 가능하다.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은,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과 맞닿음 가능하다. 따라서,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중,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은,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보다 돌출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각 가이드부 (57) 는,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의 관통공 (125) 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써, 바닥벽 (12a) 의 관통공 (125)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의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이 위치 결정된다.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과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의 거리를,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의 치수 A 로 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의 치수 A 는,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벽 (12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의 거리 B 보다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벽 (12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의 거리 B 는, 바닥벽 (12a) 의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의 코일 단면 (262a) 사이의 거리이다.
다음으로, 전동 압축기 (10) 의 조립에 사용되는 가압 지그 (70) 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지그 (70) 는, 본체부 (71) 를 갖고 있다. 본체부 (71) 는,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과 동 형상의 외주측 만곡면 (71a) 을 갖고 있다. 또, 본체부 (71) 는, 외주측 만곡면 (71a) 과 쌍을 이루고 또한 외주측 만곡면 (71a) 을 향하여 오목상을 이루는 내주측 만곡면 (71b) 을 갖고 있다. 또, 본체부 (71) 는, 외주측 만곡면 (71a) 과 내주측 만곡면 (71b) 을 직경 방향으로 연결하는 접속면 (71c) 을 갖고 있다. 접속면 (71c) 에서는, 내주측 만곡면 (71b) 부근의 부분이, 외주측 만곡면 (71a) 부근의 부분보다 패여져 있어, 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접속면 (71c) 에 있어서의 외주측 만곡면 (71a) 부근의 고단 (高段) 부분에는, 오목상을 이루는 릴리프부 (71d) 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 (71d) 에는, 돌출부 (62) 에 있어서의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보다 돌출된 부분이 삽입된다.
가압 지그 (70) 는, 릴리프부 (71d) 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그측 핀 (72) 을 갖고 있다. 지그측 핀 (72) 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지그측 핀 (72) 의 외경은, 접속면 (71c)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지그측 핀 (72) 의 외경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삽입공 (63) 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체부 (71) 의 접속면 (71c) 에는, 원공상의 지그측 삽입공 (73) 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측 삽입공 (73) 의 개구 부근의 부분은, 테이퍼면 (73a) 으로 되어 있다. 즉, 지그측 삽입공 (73) 의 내경은, 구멍의 개구로부터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지그측 삽입공 (73) 의 내경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을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지그측 핀 (72) 과 지그측 삽입공 (73) 을 연결하는 가압 지그 (70) 의 접속면 (71c) 상의 최단 거리는, 블록측 핀 (61) 과 블록측 삽입공 (63) 을 연결하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상의 최단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다음으로, 전동 압축기 (10) 의 조립 방법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을,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에 배치한다. 이 때, 클러스터 블록 (50) 은,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에서 본 경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클러스터 블록 (50) 은,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측 부위 (50a) 와,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내주측 부위 (50b) 를 갖고 있다.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이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 지그 (70) 의 본체부 (71) 를 접속면 (71c) 측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측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가압 지그 (70)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을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 때, 본체부 (71) 의 외주측 만곡면 (71a) 은,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과 대향하고 있다. 도 11 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터 하우징 (12) 을 생략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지그 (70) 를 삽입하는 경우, 먼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을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에 삽입한다. 요컨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을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에 걸어 맞춘다. 따라서, 블록측 핀 (61) 은, 가압 지그 (70) 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이다.
또, 블록측 핀 (61) 을 지그측 삽입공 (73) 에 삽입한다. 그것과 동시에, 돌출부 (62) 에 있어서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보다 돌출된 부분을 가압 지그 (70) 의 릴리프부 (71d) 에 삽입함과 함께, 지그측 핀 (72) 을 돌출부 (62) 의 블록측 삽입공 (63) 에 삽입한다. 요컨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삽입공 (63) 에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을 걸어 맞춘다. 따라서, 블록측 삽입공 (63) 은, 가압 지그 (70) 에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이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은, 2 개의 걸어 맞춤부를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지그 (70) 를 더욱 삽입하면, 본체부 (71) 의 접속면 (71c) 중 외주측 만곡면 (71a) 부근의 부분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에 있어서의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이 가압된다. 따라서,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은,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에, 가압 지그 (70) 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 (50c) 을 갖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71) 의 릴리프부 (71d) 의 바닥면에 의해,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은 가압된다. 본체부 (71) 의 접속면 (71c) 중 내주측 만곡면 (71b) 부근의 부분이 외주측 만곡면 (71a) 부근의 부분보다 패여져 있음으로써, 본체부 (71) 와 보스부 (124) 의 간섭이 회피되고 있다.
또한, 가압 지그 (70) 를 삽입하면,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전체는,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에 맞닿는다.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은,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에, 맞닿음면 (50d) 을 갖고 있다. 맞닿음면 (50d)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면 (50c) 과 나열되어 배치됨과 함께,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과 맞닿음 가능하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은,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맞닿는다. 이로써, 클러스터 블록 (50) 은, 가압 지그 (70) 의 본체부 (71)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협지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에 있어서의 외주측 부위 (50a) 를 구성하는 부분은, 제 2 코일 엔드 (262) 의 코일 단면 (262a) 으로부터 거리 P 만큼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중 외주측 부위 (50a) 를 구성하는 부분과, 제 2 코일 엔드 (262) 의 코일 단면 (262a) 사이에는, 간극 P 가 발생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 단자 (40) 에 도전 부재 (32) 를 접속시킨다. 상세하게는, 바닥벽 (12a) 의 외면 (122) 으로부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에 삽입 통과된 도전 부재 (32) 를, 접속 단자 (40) 의 제 2 접속부 (42) 의 내측에 삽입한다. 이 때,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전 부재 (32) 를 접속 단자 (40) 에 접속시킬 때, 가압 지그 (70)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 (22) 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또, 클러스터 블록 (50) 의 가압면 (50c) 과 맞닿음면 (50d)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어 있으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및 제 2 벽부 (52) 의 외면 (51a, 52a) 이 기울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제 2 코일 엔드 (262) 에 접근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을 제 2 코일 엔드 (262) 에 접촉시키지 않고, 도전 부재 (32) 를 접속 단자 (40) 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은,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의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었을 때, 클러스터 블록 (50) 의 취약 부분인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의 둘레에는, 응력이 잘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1) 클러스터 블록 (50) 이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스테이터 (22) 의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가압 지그 (70) 에 의해,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측으로부터, 클러스터 블록 (50) 의 가압면 (50c) 을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로써,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이 모터 하우징 (12) 의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과 맞닿은 상태에서, 클러스터 블록 (50) 은,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전 부재 (32) 를 접속 단자 (40) 에 접속시킴으로써, 가압 지그 (70)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스테이터 (22) 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 가압면 (50c) 과 맞닿음면 (50d)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어 있으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및 제 2 벽부 (52) 의 외면 (51a, 52a) 이 기울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제 2 코일 엔드 (262) 에 접근하지 않는다. 따라서, 클러스터 블록 (50) 을 제 2 코일 엔드 (262) 에 접촉시키지 않고, 도전 부재 (32) 를 접속 단자 (40) 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은, 스테이터 코어 (25) 의 내주면 (25a) 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은,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의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협지되었을 때, 클러스터 블록 (50) 의 취약 부분인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 (58) 의 둘레에는, 응력이 잘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을 협지하였을 때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변형되지 않고, 파손되지 않는다.
(2) 클러스터 블록 (50) 은, 블록측 핀 (61) 을 갖고 있다. 블록측 핀 (61) 은,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에 있어서의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블록측 핀 (61) 은, 가압 지그 (70) 의 본체부 (71) 의 접속면 (71c) 에 형성된 지그측 삽입공 (73) 에 삽입된다. 이로써,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을 협지할 때,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 클러스터 블록 (50) 은, 돌출부 (62) 를 갖고 있다. 돌출부 (62) 는, 제 4 벽부 (54) 의 외면 (54a) 에 있어서의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 돌출부 (62) 에는, 돌출부 (62) 를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블록측 삽입공 (6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을 블록측 삽입공 (63) 에 삽입함으로써,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을 협지할 때,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예를 들어, 클러스터 블록 (50) 이 블록측 핀 (61) 만을 갖는 경우, 블록측 핀 (61) 을 중심축으로 하여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회동 (回動) 하는 경우가 있다. 동일하게, 클러스터 블록 (50) 이 돌출부 (62) 만을 갖는 경우, 지그측 핀 (72) 을 중심축으로 하여 가압 지그 (70) 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이 회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클러스터 블록 (50) 은, 블록측 핀 (61) 및 블록측 삽입공 (63) 의 2 개의 걸어 맞춤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가압 지그 (70) 에 대한 클러스터 블록 (50) 의 회동이 회피된다. 따라서, 가압 지그 (70) 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의해 클러스터 블록 (50) 을 협지할 때, 클러스터 블록 (50) 이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5)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는, 클러스터 블록 (50) 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 오목부 (1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용 오목부 (123) 가 없는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의 코일 단면 (262a) 사이에 클러스터 블록 (50) 이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전동 압축기 (10) 를 소형화할 수 있다.
(6) 전동 압축기 (10) 의 하우징 (11) 내에는, 고압의 냉매가 흐른다. 이 때문에, 하우징 (11) 에는, 고압에 견딜 수 있을 만한 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하우징 (11) 의 두께는,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이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과 면일 (面一) 하는 경우, 클러스터 블록 (50) 의 두께 방향의 일부를 모터 하우징 (12) 의 수용 오목부 (123) 에 수용하려면,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있어서의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에 수용 오목부 (123) 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의 두께는, 돌출부 (62) 와 대향하는 부분과 수용 오목부 (123) 가 형성되는 부분에서 동일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보다 패여져 있다. 이 때문에,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있어서의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에 수용 오목부 (123) 를 형성하지 않아도, 수용 오목부 (123) 에 클러스터 블록 (50) 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요컨대,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있어서의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을, 수용 오목부 (123) 의 바닥면 (123a) 보다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에서는,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벽 (12a) 의 두께를, 수용 오목부 (123) 가 형성된 부분보다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전동 압축기 (10) 를 소형화하면서도, 하우징 (11) 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7) 블록측 핀 (61) 의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에 블록측 핀 (61) 을 삽입하기 쉽다.
(8) 지그측 삽입공 (73) 의 개구 부근의 부분은, 테이퍼면 (73a) 이고, 그 내경은, 구멍의 개구로부터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에 블록측 핀 (61) 을 삽입하기 쉽다.
(9)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은,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클러스터 블록 (50) 의 돌출부 (62) 의 블록측 삽입공 (63) 에 대하여 지그측 핀 (72) 을 삽입하기 쉽다.
(10) 블록측 삽입공 (63) 의 제 2 단면 (62b) 부근의 부분은, 테이퍼면 (63a) 으로 되어 있다. 블록측 삽입공 (63) 내경은,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으로부터 제 1 단면 (62a) 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 (62) 의 블록측 삽입공 (63) 에 지그측 핀 (72) 을 삽입하기 쉽다.
(11) 클러스터 블록 (50) 의 변형이나 파손이 억제됨으로써, 클러스터 블록 (50) 내에 대한 냉매의 침입이 억제된다. 따라서, 접속 단자 (40) 와 하우징 (11) 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 및 변경예는, 기술적으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에서 서로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단, 클러스터 블록 (50) 은,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에 가압 지그 (70) 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면 (50c) 을 가짐과 함께, 스테이터 코어 (25) 의 축 방향으로 가압면 (50c) 과 나열되는 면에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면 (50d) 을 갖는 것으로 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맞닿음면 (50d) 이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맞닿음 가능하면,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전체가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에 맞닿음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중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의 일부에 의해, 가압면 (50c) 이 형성되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을 볼록부로 대신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을 오목부로 대신해도 된다. 요점은, 클러스터 블록 (50) 과 가압 지그 (70) 가 걸어 맞춰지는 것이면, 가압 지그 (70) 및 클러스터 블록 (50) 의 걸어 맞춤부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삽입공 (63) 을 오목부로 대신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을 볼록부로 대신해도 된다. 요점은, 클러스터 블록 (50) 과 가압 지그 (70) 가 걸어 맞춰지는 것이면, 가압 지그 (70) 및 클러스터 블록 (50) 의 걸어 맞춤부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을 생략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을 생략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삽입공 (63) 을 생략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을 생략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핀 (61) 의 외경은 일정해도 된다.
클러스터 블록 (50) 의 블록측 삽입공 (63) 의 내경은 일정해도 된다.
또, 블록측 삽입공 (63) 은, 돌출부 (62) 를 관통하는 관통공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에서 개구되고 제 1 단면 (62a) 에서 폐색되는 구멍이어도 된다.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의 외경은 일정해도 된다.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의 내경은 일정해도 된다.
또, 지그측 삽입공 (73) 은, 본체부 (71) 를 관통하는 관통공이어도 된다.
블록측 핀 (61) 은,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의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삽입공 (73) 에 삽입 가능하면, 클러스터 블록 (50) 의 측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에 형성되어도 된다.
블록측 삽입공 (63) 은, 클러스터 블록 (50) 에 있어서의 내주측 부위 (50b) 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됨과 함께 가압 지그 (70) 의 지그측 핀 (72) 이 삽입 가능하면,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에 형성되어도 된다. 단, 블록측 삽입공 (63) 은, 각 수용공 (50h) 과는 연통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1 벽부 (51) 의 외면 (51a) 과 면일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있어서의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과 대향하는 부분까지, 수용 오목부 (123) 의 형성 범위가 확장된다.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은, 클러스터 블록 (50) 의 제 2 벽부 (52) 의 외면 (52a) 과 면일이어도 된다. 이 경우, 가압 지그 (70) 의 릴리프부 (71d) 는 불필요해진다.
돌출부 (62) 의 제 1 단면 (62a) 은,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에 맞닿지 않아도 된다.
돌출부 (62) 의 제 2 단면 (62b) 은, 가압 지그 (70) 의 릴리프부 (71d) 의 바닥면에 의해 가압되지 않아도 된다.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의 수용 오목부 (123) 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벽 (12a) 의 내면 (121)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의 코일 단면 (262a) 사이의 거리를, 모터 하우징 (12) 의 바닥벽 (12a) 과 제 2 코일 엔드 (262) 사이의 거리 B 로 한다.
압축부 (17) 는, 스크롤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피스톤식이나 베인식 등이어도 된다.
모터 구동 회로 (19) 는, 압축부 (17) 및 전동 모터 (18) 와 회전축 (16) 의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모터 구동 회로 (19) 는, 모터 하우징 (12) 의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공 (125) 은, 모터 하우징 (12) 의 둘레벽 (12b) 에 형성된다.

Claims (9)

  1. 전동 압축기로서,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로서, 상기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통상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엔드를 갖는, 전동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통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동 모터와 나열되어 배치되는 단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상기 코일 엔드로부터 인출된 모터 배선과,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모터 배선을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의 클러스터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전동 모터 부근에 모터측 단면을 갖고,
    상기 모터측 단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가압면을 갖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하우징의 단벽 부근에 하우징측 단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측 단면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가압면과 나열되어 배치되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맞닿음 가능한, 전동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상기 가압면을 가압하는 지그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2 개의 상기 걸어 맞춤부를 갖는, 전동 압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엔드 및 상기 걸어 맞춤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엔드 및 상기 걸어 맞춤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블록은,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측 단면과 상기 모터측 단면을 접속시키는 측면 중,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부위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엔드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전동 압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은, 상기 전동 모터 부근에 모터측 벽면을 갖고,
    상기 모터측 벽면에는,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일부가 수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맞닿음면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과 맞닿음 가능한, 전동 압축기.
  9.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모터로서, 상기 전동 모터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통상의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코일 엔드를 갖는, 전동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코어가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통상의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축 방향의 일단에 연속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전동 모터와 나열되어 배치되는 단벽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전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모터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 부재와,
    상기 코일 엔드로부터 인출된 모터 배선과,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모터 배선을 접속시키는 접속 단자와,
    상기 접속 단자를 수용함과 함께 상기 도전 부재가 삽입 통과되는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의 클러스터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상기 코일 엔드 사이에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배치하는 것과,
    상기 클러스터 블록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면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그에 의해,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단벽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클러스터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벽 부근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축 방향으로 상기 지그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과 나열되어 배치되는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단벽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지그와 상기 하우징의 단벽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 블록을 협지하는 것과,
    상기 클러스터 블록이 상기 지그와 상기 하우징의 단벽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및 상기 클러스터 블록의 도전 부재 삽입 통과공에 상기 도전 부재를 삽입 통과시켜, 상기 도전 부재와 상기 접속 단자를 접속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KR1020200047392A 2019-04-25 2020-04-20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KR102338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84643A JP7263902B2 (ja) 2019-04-25 2019-04-25 電動圧縮機及び電動圧縮機の組立方法
JPJP-P-2019-084643 2019-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471A KR20200125471A (ko) 2020-11-04
KR102338149B1 true KR102338149B1 (ko) 2021-12-09

Family

ID=7284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92A KR102338149B1 (ko) 2019-04-25 2020-04-20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37882B2 (ko)
JP (1) JP7263902B2 (ko)
KR (1) KR102338149B1 (ko)
CN (1) CN111852864B (ko)
DE (1) DE1020201109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3902B2 (ja) * 2019-04-25 2023-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及び電動圧縮機の組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668A (ja) * 2014-03-26 2015-10-2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8455A (en) * 1993-05-24 1994-09-20 Tecumseh Products Company Rotary compressor with rotation preventing pin
US6910904B2 (en) * 2001-05-04 2005-06-28 Tecumseh Products Company Compressor with terminal assembly having dielectric material
JP2003097436A (ja) * 2001-09-25 2003-04-03 Denso Corp 電動コンプレッサ
CN1548758A (zh) * 2003-05-20 2004-11-2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密封型旋转式压缩机密封终端的组装结构
JP2005220762A (ja) * 2004-02-03 2005-08-18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
JP2008113488A (ja) * 2006-10-30 2008-05-15 Anest Iwata Corp 内部加圧型電動機および内部加圧型ピストン式気体圧縮機
JP5929611B2 (ja) 2012-08-08 2016-06-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5518169B1 (ja) 2012-12-12 2014-06-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組立方法
CN105164899B (zh) * 2013-04-19 2017-11-28 三菱电机株式会社 旋转电机
JP5751291B2 (ja) 2013-07-30 2015-07-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613986B2 (ja) * 2016-03-25 2019-12-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式流体機械
CN107345520A (zh) * 2016-05-06 2017-11-14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压缩机及其接线机构
KR102559314B1 (ko) * 2016-08-25 2023-07-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스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JP6760182B2 (ja) * 2017-03-30 2020-09-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7263902B2 (ja) * 2019-04-25 2023-04-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及び電動圧縮機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3668A (ja) * 2014-03-26 2015-10-22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2337A (ja) 2020-11-05
CN111852864B (zh) 2022-08-30
JP7263902B2 (ja) 2023-04-25
CN111852864A (zh) 2020-10-30
KR20200125471A (ko) 2020-11-04
US20200343783A1 (en) 2020-10-29
DE102020110998A1 (de) 2020-10-29
US11437882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934B1 (ko) 압축기
JP6507270B2 (ja) 圧縮機
EP2375072A1 (en) Motor-driven compressor
US10707715B2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03328823A (zh) 压缩机用电动机及使用该电动机的电动压缩机
JP2018537607A (ja) 電気的連結手段を備えた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ための固定子組立体
KR101616624B1 (ko) 전동 압축기
KR102338149B1 (ko) 전동 압축기 및 전동 압축기의 조립 방법
CN110319000B (zh) 电动压缩机
JP2006042409A (ja) モータ一体型コンプレッサ
US10107293B2 (en) Electric compressor
JP5045550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US20140377095A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2016217291A (ja) 電動コンプレッサ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11594A (ko) 전동 압축기
US11855503B2 (en) Motor-driven compressor
KR102262971B1 (ko) 전동 압축기
KR101987737B1 (ko) 전동 압축기
JP6881377B2 (ja) 電動圧縮機
KR20170035743A (ko) 전기적 연결수단을 구비한 전동압축기 및 그를 위한 고정자 조립체
EP2623786A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6492446B2 (ja) ターミナルおよびターミナルを備えた圧縮機
KR102625341B1 (ko) 전동 압축기
KR102003638B1 (ko) 전동 압축기
JP2018168834A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