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023B1 - 평판 인쇄용 잉크 - Google Patents

평판 인쇄용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023B1
KR102338023B1 KR1020187011999A KR20187011999A KR102338023B1 KR 102338023 B1 KR102338023 B1 KR 102338023B1 KR 1020187011999 A KR1020187011999 A KR 1020187011999A KR 20187011999 A KR20187011999 A KR 20187011999A KR 102338023 B1 KR102338023 B1 KR 102338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ithographic printing
less
viscosity
m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760A (ko
Inventor
유이치 츠지
타케지로 이노우에
세이이치로 무라세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4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7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내바탕오염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평판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25℃, 콘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로 측정한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 및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가 모두 5Pa·s 이상, 100Pa·s 이하이고, 또한 점도비 (C)/(B)가 0.8 이상, 1.0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Description

평판 인쇄용 잉크
본 발명은 평판 인쇄용 잉크, 평판 인쇄용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인쇄는 고속, 대량, 저렴하게 인쇄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인쇄 방식이다.
평판 인쇄에서는 잉크와 반발하는 물질을 비화선부로서 패터닝해서 화상을 형성한다. 잉크와 반발하는 물질로서 축임물을 이용하는 물을 이용하는 평판 인쇄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는 물을 이용하지 않는 평판 인쇄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평판 인쇄 방식에 있어서도, 인쇄시의 고전단 하에서 잉크의 응집력이 부족하면, 본래 잉크가 부착되지 않은 비화선부에도 잉크가 반발하지 않고 부착된다. 부착된 잉크는 인쇄물의 흰색 바탕의 개소에 인쇄되어 버린다. 이 현상을 바탕오염이라고 말하는 인쇄 불량의 일종이다. 또한, 잉크의 응집력이 작으면 예사성이 강해져서, 미스팅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과제도 있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스팅이란, 인쇄 중의 잉크가 안개 형상으로 비산하는 현상이며, 인쇄 불량의 일종이다.
종래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서는 잉크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분자량 수지의 적용이나(특허문헌 1), 겔화 반응에 의한 가교(특허문헌 2), 잉크 중의 수지 농도를 높게 함(특허문헌 3)으로써, 바탕오염을 억제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2013-144765호 공보(특허청구범위) 일본 특허공개 2001-335728호 공보(특허청구범위) 일본 특허공개 2008-143993호 공보(특허청구범위)
그러나, 이들 중 어느 방법을 취한 경우에서도, 잉크가 고점도화되어 유동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인쇄 적성상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다. 예를 들면, 인쇄판에 대한 착육성이 불량해져서, 인쇄물에 화상이 정확히 인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점도가 높으면 레벨링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인쇄물에 전사한 잉크 피막 표면에 요철이 생기기 쉬워서 인쇄물의 광택이 저하한다.
특히, 최근 순간 경화에 의한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이용이 활발히 되고 있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평판 인쇄용 잉크에서는 유성 평판 인쇄용 잉크와 비교하여 내바탕오염성과 인쇄물의 광택성이 특히 열화되기 때문에 문제로 되어 있다. 그 이유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평판 인쇄용 잉크가 유성 평판 인쇄용 잉크의 수지와 비교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평판 인쇄용 잉크에 사용되는 수지의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잉크 응집력이 작은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그 주요 성분인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유성 평판 인쇄용 잉크의 용제 성분과 비교하여, 축임물이나 실리콘 고무에 대한 반발성이 열화하여 바탕오염이 일어나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인쇄물의 광택에 관해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순시에 경화되기 때문에, 잉크가 레벨링할 시간이 없어서 유성 평판 인쇄와 비교하여 인쇄물의 광택값이 크게 저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극복하고, 내바탕오염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평판 인쇄용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25℃, 콘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로 측정한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 및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가 모두 5Pa·s 이상 100Pa·s 이하이고, 또한 점도비 (C)/(B)가 0.8 이상 1.0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25℃, 콘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로 측정한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 및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가 모두 5Pa·s 이상 100Pa·s 이하이고, 또한 점도비 (C)/(B)가 0.8 이상 1.0 이하이기 때문에, 내바탕오염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평판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를 이용하여, 오염이 없고 높은 광택을 나타내는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점도는 잉크 피펫으로 칭량한 0.15ml의 잉크를 콘플레이트형 회전식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 있어서 측정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는 5Pa·s 이상 100Pa·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도(A)가 5Pa·s 이상임으로써, 잉크가 양호한 롤러 간의 전이성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a·s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a·s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점도(A)가 100Pa·s 이하임으로써, 상기 잉크의 유동성이 양호해지고, 그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은 높은 광택성을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Pa·s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Pa·s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와,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는 모두 5Pa·s 이상 100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B) 및 상기 점도(C)가 모두 5Pa·s 이상임으로써, 잉크의 응집력이 높아져서, 상기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a·s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Pa·s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점도(B) 및 상기 점도(C)가 100Pa·s 이하임으로써, 상기 잉크의 평판 인쇄판에 대한 착육성이 양호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Pa·s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a·s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상기 점도(B)와 상기 점도(C)의 비율인 점도비 (C)/(B)는 0.8 이상,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이상, 1.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1.0 이하이다. 상기 점도비 (C)/(B)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인쇄시 고속이고 또한 고전단 하에 있어서도 잉크의 응집력이 충분히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회전수 80rpm에 있어서의 점도(D)는 5Pa·s 이상, 100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도(D)가 5Pa·s 이상임으로써, 보다 고전단 하에 있어서도 잉크의 응집력이 높아져서, 상기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a·s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Pa·s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점도(D)가 100Pa·s 이하임으로써, 상기 잉크의 평판 인쇄판에 대한 착육성이 양호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Pa·s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a·s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상기 점도(B)와 상기 점도(D)의 비율인 점도비 (D)/(B)는 0.8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85 이상, 1.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1.0 이하이다. 상기 점도비 (D)/(B)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인쇄시의 고속·고전단 하에 있어서도 잉크의 응집력이 충분히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손실 정접(tanδ, 이하 단지 「tanδ」라고 함)의 값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정현파 진동법에 의해 측정된다. tanδ란,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의 비 G"/G'이다. tanδ의 값이 작을수록 평판 인쇄용 잉크는 변형에 대하여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성질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으로, tanδ의 값이 클수록 평판 인쇄용 잉크는 변형에 추종하는 성질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25℃, 1000(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이 1.0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중인 평판 인쇄용 잉크는 1000(rad/s) 이상의 고전단을 롤러 상이나 판면 상에서 받는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가 액체로서의 거동을 나타내어 롤러 간 전이성이나 화선부에 대한 착육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1000(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은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이상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 고전단 하에 있어서의 높은 응집력을 부여하여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000(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은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25℃, 1(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이 2.0 이상,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 저전단 하에 있어서의 유동성을 부여하여 고광택의 인쇄물을 얻기 위해서, 1(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은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2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상이다. 또한, 1(rad/s)에 있어서의 tanδ의 값은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예사성을 작게 해서 잉크의 미스팅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6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및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기 및 히드록실기는 잉크 중의 안료 분산성을 양호하게 하기 때문에, 잉크의 구조 점성(안료가 응집 구조를 만들어 고점도화하는 것)을 저감시켜, 저전단 하에 있어서 잉크를 저점도화한다고 생각된다. 저전단 하에 있어서의 잉크 점도가 낮음으로써,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은 높은 광택성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는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용해되어, 상기 친수성기와 상기 히드록실기 간의 수소 결합 등의 상호작용에 의해 고점도화된다. 상기 용해물은 뉴턴성의 유체이며, 전단 강도에 의하지 않고 일정한 점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 있어서, 구조 점성이 무너진 후의 고전단 영역(회전수 20rpm 이상)에서는 매체인 상기 용해물의 점도가 지배적으로 되기 때문에, 전단에 의한 점도 저하가 작아서, 고전단 하에 있어서 고점도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인쇄시와 같은 고전단 하에 있어서 잉크의 응집력이 높고, 비화선부에 대한 잉크 반발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된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친수성기로서는 히드록실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카르복실기, 술포기, 인산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안료의 분산성이 양호한 카르복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산가는 30mgKOH/g 이상이면, 평판 인쇄용 잉크의 안료 분산성이 양호하고, 또한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mgKOH/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mgKOH/g 이상이다. 또한, 상기 산가는 250mgKOH/g 이하이면,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mgKOH/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mgKOH/g 이하이다. 상기 산가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잉크의 안료 분산성, 내바탕오염성, 유동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의 산가는 JIS K 0070:1992의 시험 방법 제 3.1항의 중화 적정법에 준거해서 구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이상이면, 평판 인쇄용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00 이하이면,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을 행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로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카르복실기를 갖는 스티렌 아크릴 수지, 스티렌 말레산 수지, 로진 변성 말레산 수지, 로진 변성 아크릴 수지,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열거한 수지 중, 모노머 입수의 용이성, 저비용, 합성 용이성, 잉크외 성분과의 상용성, 안료의 분산성 등의 점으로부터,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카르복실기를 갖는 스티렌 아크릴 수지, 스티렌 말레산 수지가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에 열거한 수지 중, 카르복실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카르복실기를 갖는 스티렌 아크릴 수지, 스티렌 말레산 수지는 다음 방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즉,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아세트산비닐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 2- (메르캅토아세톡시)에틸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아미드 t-부틸술폰산 등의 술포기 함유 모노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산 포스페이트 등의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 또는 공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공중합시에 사용하는 모노머로서, 상기 모노머 이외에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산 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등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타)아크릴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는 활성 에너지선에 대한 경화 감도가 양호해지기 때문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에 있어서의 요오드가는 0.5mol/kg 이상, 3.0mol/k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오드가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평판 인쇄용 잉크의 활성 에너지선에 대한 감도가 높아지고, 또한 양호한 보존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요오드가는 JIS K 0070:1992의 시험 방법 제 6.0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는 다음 방법에 의해 작성할 수 있다.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중의 활성수소 함유 기인 메르캅토기, 아미노기,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글리시딜기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이나 아크릴산 클로라이드, 메타크릴산 클로라이드 또는 알릴 클로라이드를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친수성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가 얻어진다. 단,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글리시딜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타크릴산 글리시딜,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크로톤산 글리시딜, 이소크로톤산 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릴로일 이소시아네이트, 아크릴로일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메타아크릴로일에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를 5질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잉크의 안료 분산성 및 내바탕오염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를 50질량% 이하 포함함으로써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수산기가는 50mgKOH/g 이상이면, 잉크의 안료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mgKOH/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mgKOH/g 이상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가는 200mgKOH/g 이하임으로써, 잉크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mgKOH/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mgKOH/g 이하이다.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 이상이면, 평판 인쇄용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이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하이면,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측정을 행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디글리세린, 디메틸올프로판, 이소시아누르산, 및 디펜타에리스리톨 등의 다가알콜의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의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의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의 디 또는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의 디, 트리, 테트라 또는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체, 테트라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가 유동성 및 안료 분산성이 우수하고,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20질량% 이상 포함하면, 잉크의 안료 분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이다. 또한, 잉크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다.
또한,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2관능에서는 2가 알콜, 글리콜류를 원료로 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관능에서는 3가 알콜, 글리콜류를 원료로 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4관능에서는 4가 알콜, 글리콜류를 원료로 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5관능 이상에서는 5가 이상의 알콜, 글리콜류를 원료로 한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들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저점도이고 높은 감도를 갖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 디메틸올프로판 테트라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외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5질량% 이상 포함하면,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점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점도가 과도하게 저하하지 않는 점으로부터, 상기 함유량은 4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활성 라디칼종을 발생하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 메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별명: 미힐러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닐벤조페논, 히드록시벤조페논, 디벤질케톤, 플루오레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메틸-1-프로판-1-온,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비스(4-메톡시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4-메톡시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4-메톡시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4-메톡시페닐-페닐-포스핀옥사이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시클로헥실-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틸벤조일-디시클로헥실-포스핀옥사이드, 2,6-디메톡시벤조일-디시클로헥실-포스핀옥사이드, 벤조일-비스(2,4,6-트리메틸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비스(2,6-디메틸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사이드,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디에틸티옥산톤, 디클로로티오크산톤, 벤질, 벤질디메틸케탄올, 벤질메톡시에틸아세탈,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밀안트라퀴논, β-클로로안트라퀴논, 안트론, 벤즈안트론, 디벤조수베론, 메틸렌안트론, 4-아지드벤잘아세토페논, 2,6-비스(p-아지드벤질리덴)시클로헥사논, 2,6-비스(p-아지드벤질리덴)-4-메틸시클로헥산온, 2-페닐-1,2-부타디온-2-(o-메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1,3-디페닐-프로판트리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1-페닐-3-에톡시-프로판트리온-2- (o-벤조일)옥심,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파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온, 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퀴놀린술포닐클로라이드, N-페닐티오아크리돈, 4,4-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페닐디술피드, 벤즈티아졸디술피드, 트리페닐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0.1질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양호한 감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이다. 또한, 20질량% 이하 포함함으로써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증감제를 함유할 수 있다. 증감제의 구체예로서는 2-메틸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2,3-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펜탄온, 2,6-비스(4-디메틸아미노벤잘)시클로헥사논, 2,6-비스(4-디메틸아미노벤잘)-4-메틸시클로헥산온,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별명: 미힐러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칼콘, 4,4-비스(디에틸아미노)칼콘, p-디메틸아미노신나밀리덴인다논, p-디메틸아미노벤지리덴인다논, 2-(p-디메틸아미노페닐비닐렌)-이소나프토티아졸, 1,3-비스(4-디메틸아미노벤잘)아세톤, 1,3-카르보닐-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아세톤, 3,3-카르보닐-비스(7-디에틸아미노쿠마린), N-페닐-N-에틸에탄올아민, N-페닐에탄올아민, N-톨릴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디에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디에틸아미노벤조산 메틸, 디에틸아미노벤조산 에틸, 디에틸아미노벤조산 이소아밀, 3-페닐-5-벤조일티오테트라졸, 1-페닐-5-에톡시카르보닐티오테트라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증감제를 0.1질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양호한 감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점으로부터,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이들 광중합 개시제나 증감제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액상 실리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식물유,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에스테르, 탄화수소계 용매, 및 플루오로카본에서 선택되는 성분의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은 물을 이용하지 않는 평판 인쇄판의 비화선부인 실리콘 고무에 대한 잉크 부착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실리콘 고무에 대한 잉크 부착성을 저하시키는 이유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즉, 잉크에 포함되는 상기 성분은 실리콘 고무 표면과의 접촉에 의해 잉크 중으로부터 확산되어 실리콘 고무 표면을 박막 형상으로 덮는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박막이 실리콘 고무 표면에 대한 잉크의 부착을 저지하여, 실리콘 표면의 바탕오염을 방지한다고 추측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가질 경우 상기 성분 중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시에 경화되는 점으로부터, 잉크의 경화막의 막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활성 에너지선에 대한 감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의 구체적인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실리콘 액체로서는 디메틸 실리콘, 메틸페닐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아랄킬 변성 실리콘, 지방산 아미드 변성 실리콘,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플루오로알킬 변성 실리콘, 메틸하이드로젠실리콘, 실란올 변성 실리콘, 알콜 변성 실리콘, 아미노 변성 실리콘, 에폭시 변성 실리콘, 에폭시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페놀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메르캅토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5∼24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6∼21개이면 좋다.
식물유로서는 대두유, 아마씨유, 홍화씨유, 오동유, 톨유, 탈수 피마자유 등을 들 수 있다.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산, 리놀레산, 엘레오스테아르산 등 탄소수 15∼20개 정도의 알킬 주쇄를 갖는 지방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2-에틸헥실 등의 탄소수 1∼10개 정도의 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계 용매로서는 폴리올레핀 오일, 나프텐 오일, 파라핀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플루오로카본으로서는 1,1,1,2,2-펜타플루오로에탄, 1,1,1,2,2,3,3,4,4-노나플루오로부탄, 1,1,1,2,2,3,3,4,4,5,5,6,6-트리데카플루오로헥산, 1,1,1,2,2,3,3,4,4,5,5,6,6,7,7,8,8-헵타데카플루오로옥탄,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 1,1,1,2,3,3,4,4-옥타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부탄, 1,1,1,2,3,3,4,4,5,5,6,6-도데카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헥산,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2,2,3,3,4,4-옥타플루오로부탄, 1,1,2,2,3,3,4,4,5,5,6,6-도데카플루오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서는 내바탕오염성을 향상시키는 점으로부터, 상기 실리콘 액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식물유,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에스테르, 탄화수소계 용매, 및 플루오로카본에서 선택되는 성분의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양은 그들의 합이 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이다. 또한, 평판 인쇄용 잉크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으로부터, 10질량%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가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물을 이용하는 평판 인쇄 시에 적절한 양, 예를 들면 잉크 전량의 10∼20질량%의 축임물을 도입하여 유화함으로써 비화선부의 축임물에 대한 반발성이 증가하여 잉크의 내바탕오염성이 향상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비율은 HLB값에 의해 표시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HLB값이란 계면활성제의 물과 기름에 대한 친화성의 정도를 표현하는 값이며, HLB값은 0~20의 값을 취하고, 0에 가까울수록 친유성이 높고, 20에 가까울수록 친수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HLB값으로서는 물을 용해하는 점으로부터,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다. 또한,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에 용해하는 점으로부터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하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팔미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팔미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팔미틴에테르나,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알킬에테르,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라우릴에테르,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올레일에테르,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스테아릴에테르,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세틸에테르, 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팔미틴에테르이나,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산의 모노, 디, 트리팔미틴에테르나,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HLB값이 8 이상, 18 이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물을 이용하는 평판 인쇄 중에서는 축임물을 도입하고 유화 상태가 안정되는 점으로부터, 상기 계면활성제를 0.01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다. 또한, 평판 인쇄용 잉크가 인쇄 중에 축임물을 과잉으로 도입하여 축임물과 상용하지 않는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에 포함되는 안료로서는 평판 인쇄용 잉크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안료와 유기안료에서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황산바륨, 벵갈라, 카드뮴 레드, 황연, 아연황, 감청, 군청, 유기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화이트, 산화철, 카본블랙, 그래파이트,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안료로서는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용성 아조계 안료, 불용성 아조계 안료, 레이크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린계 안료, 스렌계 안료, 금속 착체계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프탈로시아닌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아조 레드, 모노아조 레드, 모노아조 옐로우, 디스아조 레드, 디스아조 옐로우, 퀴나크리돈 레드, 퀴나크리돈 마젠더, 이소인돌린 옐로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 중에 포함되는 안료 농도는 인쇄 지면 농도를 얻기 위해서 5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이다. 또한, 잉크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양호한 롤러 간 전이성을 얻기 위해서, 5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보존시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중합금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금지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의 모노에테르화물, N-니트로소디페닐아민, 페노티아진, p-t-부틸카테콜, N-페닐나프틸아민, 2,6-디-t-부틸-p-메틸페놀, 클로라닐, 피로갈롤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금지제의 첨가량은 양호한 보존 안정성이 얻어지는 점으로부터, 평판 인쇄용 잉크에 대하여 0.01질량% 이상, 5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안료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안료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하는 안료의 밀도, 입자지름, 표면적 등에 따라서 최적의 함유량은 다르지만, 상기 안료 분산제는 상기 안료의 표면에 작용하여 상기 안료의 응집을 억제한다. 이것에 의해 안료 분산성이 높아지고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향상된다.
상기 안료 분산제로서는 BYK Chemie 사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습윤 분산제 DISPER BYK 시리즈의 101, 102, 103, 106, 108, 109, 110, 111, 112, 116, 130, 140, 142, 145, 161, 162, 163, 164, 166, 167, 168, 170, 171, 174, 180, 182, 183, 184, 185, 2000, 2001, 2020, 2050, 2070, 2096, 2150, 2152 및 9076이, Kusumoto Chemicals Lt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DISPARLON" (등록상표) 시리즈의 1210, 1220, 1831, 1850, 1860, 2100, 2150, 2200, 7004, KS-260, KS-273N, KS-860, KS-873N, PW-36, DN-900, DA-234, DA-325, DA-375, DA-550, DA-1200, DA-1401 및 DA-7301이, BASF Corp.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EFKA 시리즈의 4008, 4009, 4010, 4015, 4020, 4046, 4047, 4050, 4055, 4060, 4080, 4300, 4330, 4340, 4400, 4401, 4402, 4403, 4406, 4800, 5010, 5044, 5054, 5055, 5063, 5064, 5065, 5066, 5070, 5244, 7701, 7731 및 7469가, Lubrizol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SOLSPERSE" (등록상표) 시리즈의 3000, 11200, 13240, 13650, 13940, 16000, 17000, 18000, 20000, 21000, 24000SC, 24000GR, 26000, 28000, 31845, 32000, 32500, 32550, 32600, 33000, 34750, 35100, 35200, 36000, 36600, 37500, 38500, 39000, 41000, 53095, 54000, 55000, 56000 및 71000이,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Surpynol" (등록상표) 시리즈의 104A, 104C, 104E, 104H, 104S, 104BC, 104DPM, 104PA, 104PG-50, 420, 440, DF110D, DF110L, DF37, DF58, DF75, DF210, CT111, CT121, CT131, CT136, GA, TG 및 TGE가, Ajinomoto Fine-Techno Co., Inc.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AJISPER" (등록상표) 시리즈의 PB-711, PB-821, PB-822, PN-411 및 PA-111,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로부터 시판되고 있는 "SANNONIC" (등록상표) 시리즈, "NAROACTY" (등록상표) CL 시리즈, "EMULMIN" (등록상표) 시리즈, "NEWPOL" (등록상표) PE 시리즈, "IONET" (등록상표) M 시리즈, "IONET" (등록상표) D 시리즈, "IONET" (등록상표) S 시리즈, "IONET" (등록상표) T 시리즈 및 "SANSEPARER" (등록상표) 100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 분산제의 함유량은 상기 평판 인쇄용 잉크의 유동성이 향상되는 점으로부터, 상기 안료에 대하여 5질량% 이상,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필요에 따라서 왁스, 소포제, 전이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는 안료나 첨가제, 그 밖의 성분과 함께, 니더, 3롤밀, 볼밀, 유성식 볼밀, 비즈 밀, 롤밀, 아트라이터, 샌드밀, 게이트 믹서, 페인트 쉐이커, 호모지나이저, 자공전형 교반기 등의 교반·혼련기로 균질하게 혼합 분산함으로써 얻어진다. 혼합 분산 후 또는 혼합 분산의 과정에서, 진공 또는 감압 조건하에서 탈포하는 것도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를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기재로서는 아트지, 코트지, 캐스트지, 합성지, 신문용지, 알루미늄 증착지, 금속,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기재는 시트 형상(매엽)·롤 형상의 양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재의 두께로서는 시트 형상에서는 50∼500㎛, 롤 형상에서는 10∼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를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평판 인쇄에 의해 기재 상에 도포할 수 있다. 평판 인쇄의 방식으로서는 물을 이용하는 것과 물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있지만, 어느 방식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물 상의 잉크 도막(경화막)의 두께는 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도막의 두께가 상기 범위임으로써, 양호한 인쇄 품질을 유지하면서 잉크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평판 인쇄용 잉크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을 갖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인쇄물 상의 잉크 도막을 순시로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경화 반응에 필요한 여기 에너지를 갖는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전자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100∼500eV의 에너지선을 갖는 전자선 장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자외선에 의해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고압수은등, 제논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발광 다이오드 등의 자외선 조사 장치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예를 들면 메탈할라이드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80∼150W/cm의 조도를 갖는 램프에 의해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 속도가 50∼150m/min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생산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파장 350∼420nm의 휘선을 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조사 강도 5∼20W/㎠의 조도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컨베이어에 의한 반송 속도가 50∼150m/min으로 경화시키는 것이 생산성에 추가해서, 전력 절약·저비용화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 원료>
수지 1: 25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5질량%의 스티렌, 5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55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1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1은 중량 평균 분자량 34,000, 산가 102mgKOH/g, 요오드가 2.0mol/kg이었다.
수지 2: 30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5질량%의 스티렌, 45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7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2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2는 중량 평균 분자량 25,000, 산가 70mgKOH/g, 요오드가 2.4mol/kg이었다.
수지 3: 50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30질량%의 스티렌, 2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3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3은 중량 평균 분자량 51,000, 산가 125mgKOH/g, 요오드가 0mol/kg이었다.
수지 4: 20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40질량%의 스티렌, 4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4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4는 중량 평균 분자량 39,000, 산가 260mgKOH/g이었다.
수지 5: 67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5질량%의 스티렌, 8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5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5는 중량 평균 분자량 66,000, 산가 45mgKOH/g이었다.
수지 6: 25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5질량%의 스티렌, 5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9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6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6은 중량 평균 분자량 39,000, 산가 20mgKOH/g, 요오드가 2.9mol/kg이었다.
수지 7: 30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5질량%의 스티렌, 45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1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7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7은 중량 평균 분자량 24,000, 산가 245mgKOH/g, 요오드가 0.4mol/kg이었다.
수지 8: 30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0질량%의 스티렌, 5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0.3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8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8은 중량 평균 분자량 27,000, 산가 180mgKOH/g, 요오드가 1.4mol/kg이었다.
수지 9: 25질량%의 메타크릴산 메틸, 2질량%의 스티렌, 50질량%의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준비했다. 그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에 대하여 1.0당량의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부가 반응시켜서, 에틸렌성 불포화기와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9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 9는 중량 평균 분자량 41,000, 산가 0mgKOH/g, 요오드가 3.2mol/kg이었다.
수지 10: "DAISO ISO-DAP" (Daiso Chemical Co., Ltd. 제품,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친수성기 없음, 중량 평균 분자량 30,000, 산가 0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1: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Miramer" (등록상표) M340(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제품)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115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2: 펜타에리스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ARONIX" (등록상표) M-306(TOAGOSEI CO., LTD. 제품)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171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3: 디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와 디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72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4: 글리세린 디메타크릴레이트 "NK ESTER" (등록상표) 701(Shin-nakamura Chemical Co. Ltd. 제품)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240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5: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ARONIX" (등록상표) M-402(TOAGOSEI CO., LTD. 제품)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28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6: 디글리세린 트리아크릴레이트와 디글리세린 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 히드록실기 있음, 수산기가 86mgKOH/g.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7: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Miramer" (등록상표) M4004(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제품) 히드록실기 없음.
그 밖의 첨가물
중합금지제: p-메톡시페놀(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안료: LIONOL BLUE FG7330(TOYOCOLOR CO., LTD. 제품)
광중합 개시제 1: "IRGACURE" (등록상표) 907(BASF Corp. 제품)
광중합 개시제 2: "IRGACURE" (등록상표) 819(BASF Corp. 제품)
첨가제: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Miramer" (등록상표) M120(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제품)
계면활성제 1: "RHEODOL" (등록상표) TW-L120(Kao Corporation 제품) HLB값 16.7
계면활성제 2: "RHEODOL" (등록상표) TW-S106V (Kao Corporation 제품) HLB값 9.6
계면활성제 3: "RHEODOL" (상표등록) SP-S10V (Kao Corporation 제품) HLB값 4.7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이동상으로 한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컬럼 온도 40℃에서 측정한 값이다. 컬럼은 Shodex KF-803을 사용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계산했다.
<물을 이용하지 않는 인쇄 시험>
물을 이용하지 않는 평판 인쇄판(TAN-E, TORAY INDUSTRIES, INC. 제품)을 오프셋 인쇄기(OLIVER-266EPZ, Sakurai Graphic Systems Corporation 제품)에 장착하고, 실시예 1∼20, 및 비교예 1∼2의 각 잉크를 이용하여 코트지 5000매에 인쇄했다.
<물을 이용하는 인쇄 시험>
물을 이용하는 평판 인쇄판(XP-F, FUJIFILM CORPORATION 제품)을 오프셋 인쇄기(OLIVER-266EPZ, Sakurai Graphic Systems Corporation 제품)에 장착하고, 축임물로 에칭액(SOLAIA-505, T & K TOKA CO., LTD. 제품)을 3중량% 혼합한 수돗물을 사용하고, 실시예 21∼24의 각 잉크를 이용하여 코트지 5000매에 인쇄했다.
<평가 방법>
(1) 점도
Anton Paar GmbH제의 레오미터 MCR301에 콘플레이트(콘각 1°, φ=40mm)를 장착하고, 잉크 피펫으로 칭량한 0.15ml의 잉크의 25℃, 0.5rpm, 20rpm, 50rpm, 80rpm에 있어서의 각 점도를 측정했다.
(2) 동적 점탄성 측정
Anton Paar GmbH제의 레오미터 MCR301을 사용해서 잉크의 동적 점탄성을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샘플량: 0.1ml
플레이트: 패럴렐 플레이트(φ=25mm)
변형: 2%
측정 주파수: 1∼500rad/s
측정 온도 범위: -25℃∼25℃의 범위를 5℃씩 11점 측정.
얻어진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온도 시간 환산 법칙에 의해 작성된 마스터 커브로부터 기준 온도 25℃, 1∼10000rad/s에 있어서의 tanδ를 얻었다. 1000rad/s에 있어서 tanδ가 2.0 이하이면 잉크의 탄성이 강하여 내바탕오염성이 양호하고, 1.5 이하이면 극히 내바탕오염성이 양호하다. 또한, 1rad/s에 있어서 tanδ가 2.0 이상, 3.0 이하이면 잉크의 유동성이 양호해서 인쇄물은 높은 광택을 나타낸다.
(3) 바탕오염 농도
인쇄물의 솔리드부 남색 농도가 2.0일 때의 인쇄물의 비화선부에 있어서의 남색 농도를 반사 농도계(GretagMacbeth 제품, "SpectroEye")를 이용하여 평가했다. 반사 농도가 0.15를 초과하면 내바탕오염성이 불량하고, 반사 농도가 0.10 이하이면 내바탕오염성이 양호하고, 0.05 이하이면 내바탕오염성이 극히 양호하다.
(4) 광택값
인쇄물 상의 잉크 경화막을 정밀 광택계 GM-26D(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 각도 60도에서 광택값을 측정했다. 광택값은 25 이하에서는 불량이고, 광택값은 30 이상이면 양호하고, 35 이상이면 극히 양호하다.
(5) 미스팅성
잉크 1.5ml를 잉코미터(TESTER SANGYO CO,. LTD. 제품) 상에 전개하고, 롤 바로 아래에 백지를 위치시키고, 롤 온도 38℃, 1200rpm으로 1분간 회전시켰다. 종이 상에의 잉크의 비산 상태를 농도계(GretagMacbeth 제품)에 의해 무작위로 10점 측정하고, 평균치를 산출해서 평가했다. 농도가 0.03 이하이면 미스팅성이 양호하다.
(6)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0.2g의 잉크를 RI 테스터(TESTER SANGYO CO,. LTD. 제품, PI-600)로 종이에 전사하고, USHIO INC. 제품의 자외선 조사 장치(120W/cm, 초고압 메탈할라이드 램프 1등)를 이용하여, 벨트 컨베이어 스피드를 0∼150m/분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했다. 인쇄물 상의 잉크가 충분하게 경화되어, 셀로판 점착 테이프(NICHIBAN CO., LTD. 제품의 "Sellotape" (등록상표) No. 405)를 접착시켜서 박리해도 코트지 상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게 될 때의 벨트 컨베이어 스피드를 구했다. 여기에서, 벨트 컨베이어 스피드가 빠를수록 적은 노광량으로 경화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감도이다. 벨트 컨베이어 스피드가 60m/분 미만이면 감도가 불충분하고, 60m/분 이상, 100m/분 미만이면 감도가 양호하고, 100m/분 이상이면 감도가 극히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수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안료, 광중합 개시제, 및 첨가제를 칭량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수지 1을 12질량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1을 43질량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7을 15질량부, 중합금지제를 0.1질량부, 안료를 18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1을 4질량부, 광중합 개시제 2를 6질량부, 첨가제 2질량부. 이들 원료를 3롤밀 "EXAKT" M-80S(EXAKT사 제품)를 이용하여, 롤러갭 1에서 5도 500rpm의 속도로 통과함으로써 평판 인쇄용 잉크를 얻었다.
얻어진 평판 인쇄용 잉크에 대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점도 측정, 인쇄 시험을 실시하고, 점도, 내바탕오염성 및 광택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작성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가 41Pa·s,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가 18Pa·s,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가 17Pa·s이며, 회전수 80rpm에 있어서의 점도(D)가 16Pa·s이며, 점도비 (C)/(B)는 0.94, 점도비 (D)/(B)는 0.89이었다. 1000rad/s에 있어서의 tanδ는 1.45, 1rad/s에 있어서의 tanδ는 2.56이었다. 또한, 비화선부에 있어서의 반사 농도가 0.05로 내바탕오염성은 양호했다. 솔리드 부분의 광택값은 40이었다. 미스팅성은 양호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에 관해서도 벨트 컨베이어 속도가 100m/분으로 양호했다.
[실시예 2∼9 및 비교예 1, 2]
<수지의 종류>
수지의 종류를 변경하고, 표 1의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평판 인쇄용 잉크를 얻었다. 실시예 2∼9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수지의 산가, 분자량이 클수록 상기 점도(A), (B), (C), 및 (D)가 모두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 점도비 (C)/(B)도 0.8 이상이며, 결과적으로 내바탕오염성이 양호했다. 얻어지는 인쇄물의 솔리드 부분에 있어서의 광택의 값은 상기 점도(A)가 크면 저하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수지의 요오드가가 높을수록 경화성 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비교예 1의 잉크는 상기 점도(A), (B), (C) 및 (D)가 모두 5Pa·s 미만이었다. 광택성은 문제 없었지만, 비화선부에 있어서의 반사 농도가 1.38이었다. 1rad/s에 있어서의 tanδ은 21.8이며, 미스팅성이 크게 부족했다.
비교예 2의 잉크는 상기 점도(A), (B), (C) 및 (D)가 모두 5Pa·s 이상이었지만, 상기 점도비 (C)/(B)가 0.8 이하이며, 비화선부에 있어서의 반사 농도가 0.20로 내바탕오염성은 불충분했다.
Figure 112018041741864-pct00001
[실시예 10∼14 및 비교예 3]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종류>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종류를 변경하고, 표 2의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평판 인쇄용 잉크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0∼12, 및 14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수산기가가 높을수록 상기 수지 1과의 상호작용이 강해지기 때문에, 점도(A), (B), (C), 및 (D)는 모두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상기 점도비 (C)/(B)도 0.8 이상이며, 내바탕오염성은 양호했다.
비교예 3의 잉크는 상기 점도(A), (B), (C) 및 (D)가 모두 5Pa·s 이상이었지만, 상기 점도비 (C)/(B)가 0.8 이하이며, 비화선부에 있어서의 반사 농도가 0.18로 내바탕오염성은 불충분했다.
Figure 112018041741864-pct00002
[실시예 15∼19]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표 3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평판 인쇄용 잉크를 얻었다. 실시예 15∼17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실시예 1보다 높고, 상기 점도(A), (B) 및 (C)는 모두 상승 경향이 있었다. 실시예 18 및 19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율이 실시예 1보다 낮고, 상기 점도(A), (B), 및 (C)는 모두 저하 경향이 있었다. 또한, 실시예 15∼19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점도비 (C)/(B)는 모두 0.8 이상이며, 결과적으로 내바탕오염성은 양호했다. 또한, 인쇄물의 솔리드 부분에 있어서의 광택값은 점도가 저하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Figure 112018041741864-pct00003
[실시예 20∼23]
<계면활성제의 종류>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경 및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을 표 1의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행하여, 평판 인쇄용 잉크를 얻었다. 실시예 20∼23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물을 이용하는 인쇄 시험으로 인쇄물의 바탕오염 농도 및 광택값을 평가했다. 실시예 20∼23에서 제작한 평판 인쇄용 잉크는 상기 점도(A), (B), (C), 및 (D)가 모두 10Pa·s 이상이고, 상기 점도비 (C)/(B)도 0.8 이상이어서, 결과적으로 내바탕오염성은 양호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의 HLB값이 8 미만인 실시예 22의 잉크는 실시예 20 및 21의 잉크와 비교하여 유사한 레올로지이지만, 내바탕오염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얻어지는 인쇄물의 솔리드 부분에 있어서의 광택의 값은 모두 35 이상으로 극히 양호했다.
Figure 112018041741864-pct00004

Claims (19)

  1. 친수성기를 갖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100,000인 수지 및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평판 인쇄용 잉크로서,
    25℃, 콘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로 측정한 회전수 0.5rpm에 있어서의 점도(A), 회전수 20rpm에 있어서의 점도(B), 및 회전수 50rpm에 있어서의 점도(C)가 모두 5Pa·s 이상, 100Pa·s 이하이며, 또한 점도비 (C)/(B)가 0.8 이상, 1.0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B) 및 상기 점도(C)가 5Pa·s 이상, 40Pa·s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A)가 20Pa·s 이상, 80Pa·s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5℃, 콘플레이트형 회전 점도계로 측정한 회전수 80rpm에 있어서의 점도(D)가 5Pa·s 이상, 100Pa·s 이하이며, 또한 점도비 (D)/(B)가 0.8 이상, 1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5℃, 1000(rad/s)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값이 1.0 이상, 2.0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5℃, 1(rad/s)에 있어서의 손실 정접(tanδ)의 값이 2.0 이상, 3.0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친수성기가 산성기를 포함하는 평판 인쇄용 잉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의 산가가 30mgKOH/g 이상, 250mgKOH/g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더 갖는 평판 인쇄용 잉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기를 갖는 수지 중의 에틸렌성 불포화기의 요오드가가 0.5mol/kg 이상, 3.0mol/kg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수산기가가 50mgKOH/g 이상, 200mgKOH/g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이 평판 인쇄용 잉크 전량 중 20질량% 이상, 70질량%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평판 인쇄용 잉크.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리콘 액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식물유, 식물유 유래의 지방산 에스테르, 탄화수소계 용매, 및 플루오로카본에서 선택되는 성분의 1종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평판 인쇄용 잉크.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평판 인쇄용 잉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의 HLB값이 8 이상, 18 이하인 평판 인쇄용 잉크.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평판 인쇄용 잉크를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의 제조방법.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평판 인쇄용 잉크를 기재 상에 도포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쇄물의 제조방법.
  19. 삭제
KR1020187011999A 2015-11-25 2016-11-24 평판 인쇄용 잉크 KR102338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9340 2015-11-25
JP2015229340 2015-11-25
JPJP-P-2016-048046 2016-03-11
JP2016048046 2016-03-11
JP2016104088 2016-05-25
JPJP-P-2016-104088 2016-05-25
PCT/JP2016/084756 WO2017090663A1 (ja) 2015-11-25 2016-11-24 平版印刷用イン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760A KR20180084760A (ko) 2018-07-25
KR102338023B1 true KR102338023B1 (ko) 2021-12-10

Family

ID=5876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999A KR102338023B1 (ko) 2015-11-25 2016-11-24 평판 인쇄용 잉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61991B2 (ko)
EP (1) EP3381988B1 (ko)
JP (1) JP6299886B2 (ko)
KR (1) KR102338023B1 (ko)
CN (1) CN108350296B (ko)
ES (1) ES2906756T3 (ko)
SG (1) SG11201804262UA (ko)
TW (1) TWI694116B (ko)
WO (1) WO2017090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720881A (zh) * 2015-09-17 2017-06-16 Toray Industries 平版印刷用印墨、平版印墨用清漆及使用其之印刷物的製造方法
US20200010701A1 (en) * 2017-03-07 2020-01-09 Toray Industries, Inc. Active energy ray-curable ink for offset printing and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using the same
JP7156078B2 (ja) * 2018-02-20 2022-10-19 東レ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平版インキ用ワニス、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平版インキ
CN111989225B (zh) 2018-04-19 2022-05-10 东丽株式会社 印刷版、印刷版的制造方法及使用了该印刷版的印刷物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967A (ja) 1999-06-18 2001-01-09 Ricoh Co Ltd 平版印刷機用インキ及び平版印刷装置
WO2014106939A1 (ja) 2013-01-07 2014-07-10 宇部興産株式会社 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使用
JP5634652B1 (ja) 2013-03-27 2014-12-03 Dic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インキ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212A (ja) 1991-03-12 1992-10-08 Nippon Kayaku Co Ltd 樹脂組成物及び印刷インキ組成物
JPH10195361A (ja) * 1997-01-08 1998-07-28 Toagosei Co Ltd 水系紫外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
JP2000053904A (ja) 1998-08-05 2000-0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キとこれを用いたオフセット印刷方法
JP2001335728A (ja) 2000-05-29 2001-12-04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印刷インキおよびその印刷物
US20040115561A1 (en) * 2002-12-13 2004-06-17 Mikhail Laksin Energy curable, water washable printing inks suitable for waterless lithographic printing
US20090004597A1 (en) * 2006-01-12 2009-01-01 Takenori Ueoka Photosensitive Composition, Display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8143993A (ja) * 2006-12-08 2008-06-26 Toyo Ink Mfg Co Ltd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水洗浄性平版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ならびに印刷物
JP2010059333A (ja) 2008-09-05 2010-03-18 Toyo Ink Mfg Co Ltd 水性平版印刷インキならびに印刷物
JP5287351B2 (ja) * 2009-02-27 2013-09-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EP2277930A1 (en) 2009-06-30 2011-01-26 Cytec Surface Specialties, S.A. Radiation curable compositions
JP2013144765A (ja) 2012-01-16 2013-07-25 Toyo Ink Sc Holdings Co Ltd 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組成物
US20130310517A1 (en) * 2012-05-17 2013-11-21 Xerox Corporation Methods for manufacturing curable inks for digital offset printing applications and the inks made therefrom
EP3033225B1 (en) 2013-08-12 2019-12-11 Sun Chemical Corporation Energy curable lithographic inks containing lactic acid resins
TW201720881A (zh) 2015-09-17 2017-06-16 Toray Industries 平版印刷用印墨、平版印墨用清漆及使用其之印刷物的製造方法
EP3466704B1 (en) 2016-05-27 2023-03-15 Toray Industries, Inc.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matter
WO2018062108A1 (ja) 2016-09-30 2018-04-05 東レ株式会社 平版印刷用インキを用いた印刷物の製造方法、および平版印刷用インキセ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967A (ja) 1999-06-18 2001-01-09 Ricoh Co Ltd 平版印刷機用インキ及び平版印刷装置
WO2014106939A1 (ja) 2013-01-07 2014-07-10 宇部興産株式会社 水性樹脂分散体及びその使用
JP5634652B1 (ja) 2013-03-27 2014-12-03 Dicグラフィックス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インキ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06756T3 (es) 2022-04-20
EP3381988A4 (en) 2019-06-26
TWI694116B (zh) 2020-05-21
EP3381988B1 (en) 2022-01-05
TW201728702A (zh) 2017-08-16
CN108350296A (zh) 2018-07-31
US11161991B2 (en) 2021-11-02
EP3381988A1 (en) 2018-10-03
WO2017090663A1 (ja) 2017-06-01
SG11201804262UA (en) 2018-06-28
US20180371269A1 (en) 2018-12-27
JPWO2017090663A1 (ja) 2018-02-15
CN108350296B (zh) 2020-01-21
JP6299886B2 (ja) 2018-03-28
KR20180084760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1512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平版印刷用インキ、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物の製造方法
KR102278863B1 (ko) 평판 인쇄용 잉크, 평판 잉크용 바니시, 및 그것을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
KR102338023B1 (ko) 평판 인쇄용 잉크
JP5477995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印刷インキ組成物
JP6888619B2 (ja) 印刷物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機
KR20170123947A (ko)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JPWO2017204104A1 (ja) 印刷物の製造方法
JP201508126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た印刷の方法
KR102196647B1 (ko) 평판인쇄용 잉크를 사용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 및 평판인쇄용 잉크 셋트
JP201809071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
JP2016169242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
JP7073027B1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キ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529073A (zh) 活性能量射线固化型胶版印刷油墨组合物
JP2017095527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オフセット印刷用インキ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