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392B1 -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392B1
KR102337392B1 KR1020210086158A KR20210086158A KR102337392B1 KR 102337392 B1 KR102337392 B1 KR 102337392B1 KR 1020210086158 A KR1020210086158 A KR 1020210086158A KR 20210086158 A KR20210086158 A KR 20210086158A KR 102337392 B1 KR102337392 B1 KR 102337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output
casting
decorations
preciou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에비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에비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에비뉴
Priority to KR102021008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2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by its peculiarity of shape; of works of art
    • B22D25/026Casting jewelr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05Casting metal fo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3842Manufacturing moulds, e.g. shaping the mould surface by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29C33/40Plastics, e.g. foam or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안정적으로 3D 출력을 하고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주조를 하면서 절단 마무리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은 망 형태의 외부체(111)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112)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S101)와; 상기 단계(S101)에서 출력되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주물 공정을 거쳐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하는 단계(S102); 상기 단계(S102)에서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된 주조물에서, 상기 외부체(111) 안에 내부체(112)가 위치하는 장식부(110)를 고정하게 연결된 상기 서포터(122)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3D PRINTING-BASED PRECIOUS METAL JEWELRY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귀금속이나 천연보석으로 디자인 및 기계 작업으로 제조되는 반지, 귀걸이,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로서 주얼리는, 그 형상을 만들어 내는데 한계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망사공과 같은 입체 형상을 한 번에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도 1은 종래 귀걸이, 반지, 팔찌와 같은 주얼리의 장식부로서 외부 망사공 안에서 내부 망사공이 움직이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부(10)는 외부 망사공(11)을 반씩 제조하고, 하나의 반쪽 외부 망사공 내부에 내부 망사공(12)을 위치시킨 후 다른 반쪽의 외부 망사공으로 붙이는 형태로 제조하여야 하므로, 여러 번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복잡함과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로부터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복잡하고 번거로운 주얼리의 제작 공정들이 대체되어 가고 있다.
즉, 주얼리 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은, 소재 소비량 및 중량감을 줄이고 풍부한 볼륨감 및 섬세한 표현감을 구현할 수 있는데, 자유롭고 창의적이며 정교한 디자인의 제품 개발이 가능하며, 시제품 개발비 절감 및 제품의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다품종 및 소품종 소량생산 제품에 저 비용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3D 프린터로 제조한 3D 출력물과, 이러한 3D 출력물에 주물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 출력물(20)은, 베이스(21')와 서포터(21")로 이루어지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되는 출력 입체물(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1)는 3D 프린터가 적층 방식으로 입체물을 출력하므로 입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최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베이스(21')는 얇은 판 형태이고, 상기 서포터(21")는 상기 베이스(21')에 같은 굵기의 비교적 두꺼운 바 형태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출력 입체물(22)에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3D 출력물(20)은, 상기 서포터(21")가 비교적 두꺼운 바 형태로 다수 형성되므로, 상기 서포터(21")를 적절하게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많은 소재가 투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3D 출력물(20)이 출력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 상부에 파라핀왁스를 녹여 두껍게 파라핀왁스층(30)을 형성하고, 여기에 주물대(40)를 붙여 주조를 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1')에 파라핀왁스층(30)를 형성하는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금을 사용하여 주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라핀왁스층(30)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금으로 채워지면서 금의 손실이 늘어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3D 출력물(20)은, 주물 공정을 거쳐 상기 3D 출력물(20)의 형태로 주조한 후, 주조된 주조물에서 상기 출력 입체물(22)에 연결되는 상기 서포터(22") 부분을 절단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21") 다수를 상기 입체물(22)에 연결하면 3D 출력과 주조는 잘 될 수 있지만, 상기 서포터(21")가 다수이고 굵기도 굵어 가공 시 절단과 마무리 작업이 많아지면서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식부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의 베이스에서 최초 분기된 후 여기서 굵기를 얇게 하여 다시 복수로 분기되게 서포터를 형성시키고, 베이스를 서포터의 최초 분기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3D 출력을 하고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주조를 하면서 절단 마무리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은 망 형태의 외부체(111) 안에 내부체(112)가 위치하는 장식부(110)와; 상기 장식부(1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120)는 주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마주하게 형성되는 베이스(121)와, 상기 베이스(121)에서 복수로 분기되어 상기 장식부(110)의 외부체(111)와 내부체(112)를 고정하게 연결하되, 그 연결 상태를 제거하면 상기 내부체(112)가 외부체(111) 안에서 움직이게 형성되는 서포터(122)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터(122)는 상기 베이스(121)에서 최초 분기된 후 여기서 굵기를 얇게 하여 다시 복수로 분기되게 형성시켜, 굵기가 얇은 복수의 분기들이 고르게 분포하면서 최소의 면적으로 상기 장식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장식부(110)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주물이 상기 장식부(110)에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주입되게 하며, 상기 장식부(110)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21)는 상기 서포터(122)의 최초 분기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하여, 주물이 상기 장식부(110)에 강한 압력으로 보다 빠르게 주입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은 망 형태의 외부체(111)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112)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단계(S101)와; 상기 단계(S101)에서 출력되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주물 공정을 거쳐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하는 단계(S102); 상기 단계(S102)에서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된 주조물에서, 상기 외부체(111) 안에 내부체(112)가 위치하는 장식부(110)를 고정하게 연결된 상기 서포터(122) 부분을 절단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03)에서 상기 외부체(111)만을 고정하게 연결되는 서포터(122) 부분은 니퍼와 같은 절단 공구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03)에서 상기 외부체(111)와 내부체(112)를 고정하게 연결되는 서포터(122) 부분은 상기 외부체(111)의 망 사이를 통해 레이저 또는 핸드피스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에서는 베이스에서 최초 분기된 후 여기서 굵기를 얇게 하여 다시 복수로 분기되게 서포터를 형성시키고, 주물대와 결합하는 베이스를 서포터의 최초 분기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하여, 점차로 굵기가 얇아져 분기들이 장식부와 고르게 최소의 면적으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3D 출력 시에는 장식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주조 시에는 굵기가 굵은 베이스에 다량으로 주물이 주입되어 굵기가 점차 가늘어지는 복수의 분기를 거치면서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장식부의 주조를 가능하게 길을 열어주며, 또한 베이스에 서포터의 최초 분기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시켜 파라핀왁스층을 형성하지 않고 주물대를 붙일 수 있어 작업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며, 금을 사용하여 주조하는 경우에도 금의 손실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귀걸이, 반지, 팔찌와 같은 주얼리의 장식부로서 외부 망사공 안에서 내부 망사공이 움직이도록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3D 프린터로 제조한 3D 출력물과, 이러한 3D 출력물에 주물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에서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과, 이러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의 외부체를 부분 절단하여 확대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에서 제조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의 변형례에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에서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과, 이러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의 외부체를 부분 절단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입체물인 장식부(110)와, 상기 장식부(11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부(110)는 망 형태의 외부체(111) 안에 내부체(112)가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120)를 제거하면 상기 외부체(111) 안에서 상기 내부체(112)가 움직이면서 다양한 형태를 연출하여 착용자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게 한다.
상기 장식부(110)는 상기 망사 형태의 외부체(111)로서 외부 망사공과, 상기 외부 망사공의 안에 위치하면서 움직일 수 있게 형성된 상기 내부체(112)로서 내부 망사공으로 나타내 설명하지만, 상기 내부체(112)가 망사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식부(110)는 상기 내부체(112)가 상기 외부체(1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외부 망사공의 상부에는 O링 고리를 상하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망사공의 상부에는 O링 고리를 형성하는데, 이 때 상기 외부 망사공의 하부 O링 고리와 상기 내부 망사공의 상부 O링 고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서로의 O링 고리를 통과하게 형성시킨다.
상기 서포터(120)는 상기 외부 망사공의 하부 O링 고리를 통과하면서 상기 내부 망사공의 O링 고리 상부와 상기 외부 망사공을 연결하여, 상기 내부 망사공을 고정 지지하면서 주물 과정 이후 가공 시 제거되면 상기 내부체(112)가 상기 외부체(111)에 연결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3D 프린터는 적층 방식으로 입체물을 출력하므로 입체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안정 상태를 유지하는 지지부가 필요하며, 이러한 입체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최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지지부(120)는 베이스(121)와, 상기 베이스(121)에서 분기되어 상기 장식부(110)를 고정하게 연결하는 서포터(12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21)는 상기 서포터(122)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하여, 주물이 주입되는 주입구와 마주하게 붙인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를 통해 주물이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포터(122)는 상기 서포터(122)보다 굵기가 굵으면서 링 형상의 통체로 형성한 상기 베이스(121)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 분기되어 상기 장식부(110)의 외부체(111)와 내부체(112)를 고정하게 연결하는데, 여기서 그 연결 상태를 제거하면 상기 내부체(112)가 외부체(111) 안에 위치하면서 움직이게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122)는 상기 베이스(121)에서 복수 분기되어 분기1(122')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1(122')마다 다시 복수 분기되어 분기2(122")를 형성하는데, 분기될 때마다 굵기가 얇아지고, 상기 장식부(110)에 따라 추가로 복수 분기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복수의 단을 형성한다.
이로부터 상기 서포터(122)는 3D 출력할 때 복수의 분기 끝단인 상기 분기2(122")가 상기 장식부(110)와 최소 면적으로 고르게 연결되면서 지지할 수 있고, 출력된 상기 베이스(121)에서 주입되는 주물이 굵기가 굵은 상기 베이스(121)에서 시작하여 점차 굵기가 얇아지는 상기 분기1(122')과 분기1(122')의 상기 서포터(122)를 통과하면서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상기 장식부(110)에 주입되게 한다.
그리고 주조를 통해 상기 3D 출력물(100)을 완성한 후, 상기 외부체(111) 안에서 내부체(112)가 움직이는 장식부(110)가 되도록 상기 서포터(121)의 분기1(122') 및 분기2(122")를 절단 제거하여 마무리한다.
이로부터 상기 서포터(122)는 상기 3D 출력 시에는 장식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출력할 수 있게 하고, 주조 시에는 점차 가늘어지는 복수의 분기를 통과하면서 강한 압력으로 빠르게 장식부의 주조를 가능하게 길을 열어주고, 주조물에서 장식부에 연결되는 서포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품질도 좋아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에서 제조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에서는 먼저, 상기의 망 형태의 외부체(111)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112)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3D 프린터로 출력한다(S101).
다음으로, 상기 단계 S101에서 출력되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100)을 주물 공정을 거쳐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한다(S102).
다음으로, 상기 단계 S102에서 3D 출력물(100)의 형태로 주조된 주조물에서, 상기 장식부(110)에 연결된 상기 서포터(122) 부분을 절단한다(S103).
여기서, 상기 단계 S103에서 절단되는 상기 서포터(122) 부분 중에, 상기 외부체(111)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은 굵기도 얇고 개수도 적으며 방해되는 요소가 없어 외부에서 니퍼와 같은 일반적인 절단 공구로 절단하여 마무리하게 된다.
그리나 상기 외부체(111) 안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서포터(122) 부분들은, 망 사이의 간격이 좁아 상기 외부체(111)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 절단에 사용되었던 니퍼로는 손상 없이 절단할 수는 없어, 상기 외부체(111)의 망 사이를 통해 레이저 또는 핸드피스로 절단 마무리하여 상기 내부체(112)가 상기 외부체(111) 안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의 변형례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의 변형례에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은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은 하나씩 상호 교번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은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을 지지하는 지지부(2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부(2300)는 주조시 주물이 유입되는 인렛채널을 형성하는 인렛로드(2310)와 인렛로드(2310)와 연결되는 링 형태의 베이스(2320)와 베이스(2320)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터(2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서포터(2330) 각각은 베이스(2320)와 연결되는 제1서포터(2331)와 제1서포터(2331)와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을 연결하는 제2서포터(2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서포터(2332)의 직경은 제1서포터(2331)의 직경보다 짧을 수 있다(이 경우, 제2서포터(233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서 주물의 이동속도가 상승하여 주물이 빈틈없이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복수의 장식물(2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음).
한편, 복수의 장식물(2200) 각각은 장식구(2210)와 장식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복수의 연결고리(2100) 중 이웃하는 연결고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2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의 변형례에서는 먼저, 상기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제1단계와, 다음으로, 상기 제1단계에서 출력되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을 주물 공정(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을 캐스팅한 다음 제거하여 주형을 만들고 해당 주형에 용융된 귀금속을 몰딩하여 3D 출력물로 주조하는 공정)을 거쳐 3D 출력물의 형태로 주조하는 제2단계와, 다음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 3D 출력물의 형태로 주조된 주조물에서 지지부(2300)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연결되는 서포터과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는 방사상 방향의 위상을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는 부분에서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연결되는 서포터의 직경이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의 직경보다 짧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장식물(2200)의 부피가 복수의 연결고리(2100)의 부피보다 커 복수의 장식물(2200)이 복수의 연결고리(2100)보다 절대적인 질량이 더 큰 것을 고려하여, 직경이 더 넓은 서포터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에 따라, 주형에 주물을 주입하는 몰딩 과정에서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연결고리(2100)와 연결되는 서포터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보다 넓어 주물의 주입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의 변형례에서는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에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을 캐스팅한 다음에도 제거되지 않는 복수의 코어 로드(미도시)를 일대일로 대응시켜 내장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어 로드(미도시)는 귀금속 주얼리 3D 출력물(2000)을 캐스팅한 다음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일하게 제거되지 않고 남는 구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형에는 복수의 코어 로드(미도시)가 존재하며 상세하게, 복수의 코어 로드는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공간에 각각 잔존하여 주물이 주입되는 과정에서 주물의 유속을 빠르게 상승시켜 실제 3D 출력물에서 복수의 장식물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코어 로드 각각은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되는 서포터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원통 형태의 본체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본체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몰딩 과정에서 주물의 주입 시 복수의 코어 로드 각각의 걸림턱은 복수의 서포터(2330) 중 복수의 장식물(2200)과 연결된 서포터에서 형성된 복수의 공간 상에서 제1서포터(2331)와 제2서포터(2332)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걸려 복수의 장식물(22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1000)의 변형례에 따르면, 목걸이의 체인과 같이 복수의 장식물이 복수의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가지는 미세한 귀금속 주얼리에 있어서, 복수의 장식물과 복수의 연결고리를 각각 주조하여 사람의 수작업으로 연결하는 대신에, 3차원 프린팅과 주조공정으로 한번에 복수의 장식물과 복수의 연결고리가 연결된 주조물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3D 출력물을 3D 프린터로 출력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출력되는 3D 출력물을 주물 공정을 거쳐 3D 출력물의 형태로 주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출력물은 하나씩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고리와 복수의 장식물과,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와 상기 복수의 장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장식물 각각은 장식구와, 상기 장식구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 중 이웃하는 연결고리와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주조 시 주물이 유입되는 인렛채널을 형성하는 인렛로드와, 상기 인렛로드와 연결되는 링 형태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와 상기 복수의 장식물 각각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는 복수의 서포터를 포함하고,
    방사상 방향의 위상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서포터 중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서포터의 직경은 상기 복수의 서포터 중 상기 복수의 장식물와 연결되는 서포터의 직경보다 짧고,
    상기 복수의 서포터 각각은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는 제1서포터와, 상기 제1서포터와 상기 복수의 연결고리와 상기 복수의 장식물을 연결하는 제2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서포터의 직경은 상기 제1서포터의 직경보다 짧으며,
    상기 복수의 서포터 중 상기 복수의 장식물과 연결되는 서포터에는 복수의 코어 로드가 일대일로 대응되어 내장되고,
    상기 복수의 코어 로드 각각은 상기 복수의 서포터 중 상기 복수의 장식물과 연결되는 서포터가 방사상으로 연장된 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원통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걸림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86158A 2021-06-30 2021-06-30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10233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158A KR102337392B1 (ko) 2021-06-30 2021-06-30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158A KR102337392B1 (ko) 2021-06-30 2021-06-30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392B1 true KR102337392B1 (ko) 2021-12-09

Family

ID=7886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158A KR102337392B1 (ko) 2021-06-30 2021-06-30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44A (ko) * 2000-11-25 2001-06-05 예명지 캐드/캠을 이용한 3차원적 입체망사형 장신구의 제조 방법및 그에 의한 장신구
KR102098934B1 (ko) * 2020-02-24 2020-04-09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102141499B1 (ko) * 2019-07-03 2020-08-05 한승옥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KR102170849B1 (ko) * 2020-01-30 2020-10-28 정선영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주얼리 장식부의 3d 출력물 및 그 주얼리 장식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44A (ko) * 2000-11-25 2001-06-05 예명지 캐드/캠을 이용한 3차원적 입체망사형 장신구의 제조 방법및 그에 의한 장신구
KR102141499B1 (ko) * 2019-07-03 2020-08-05 한승옥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KR102170849B1 (ko) * 2020-01-30 2020-10-28 정선영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주얼리 장식부의 3d 출력물 및 그 주얼리 장식부 제조방법
KR102098934B1 (ko) * 2020-02-24 2020-04-09 주식회사 르본인터내셔널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47B1 (ko) 주물방식을 이용한 할로우 링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한 할로우 링
CN107030254A (zh) 一种具有实心装饰件的空心首饰一体成型工艺方法
KR102337392B1 (ko)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102170849B1 (ko) 망 형태의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주얼리 장식부의 3d 출력물 및 그 주얼리 장식부 제조방법
KR100973536B1 (ko) 귀금속 제조방법
KR20240084925A (ko) 외부체 안에서 움직이는 내부체를 갖는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20240084926A (ko) 주조 시 금손실을 최소화한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100658194B1 (ko) 중공형 반지의 제조방법
US8966762B2 (en) Hollow jewelry
WO2011080729A1 (en) Method of jewelry fabrication
KR102679736B1 (ko)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200495112Y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장신구 제작방법
KR100769985B1 (ko) 장신구용 체인의 제조방법
KR20120075931A (ko) 초경량 반지 및 제조방법
KR102533720B1 (ko)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100332405B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0424687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1356432B1 (ko) 이종금속의 다중 주물을 통한 금속제품표면의 패턴형성 방법
ITPD20010293A1 (it) Modello in cera e procedimento per l'incastonatura di pietre preziosee non e gioiello ottenuto.
KR100620417B1 (ko) 귀금속 제조방법 및 그 귀금속
KR102082980B1 (ko) 정밀 왁스패턴의 사출용 고무몰드
KR20030039699A (ko) 왁스파베 스톤세팅을 이용한 보석장식 귀금속 장신구의제조방법 및 그 장신구
KR200189132Y1 (ko) 다단 주조형 귀금속 장신구
KR20030054055A (ko) 복수종의 귀금속으로 문양이 형성되는 장신구 제조방법 및그 주조방법에 사용되는 제조기구
US20030074918A1 (en) Method of making jewellery goods and wearable multicolor ornamental articles manufactured with such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