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499B1 -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499B1
KR102141499B1 KR1020190080245A KR20190080245A KR102141499B1 KR 102141499 B1 KR102141499 B1 KR 102141499B1 KR 1020190080245 A KR1020190080245 A KR 1020190080245A KR 20190080245 A KR20190080245 A KR 20190080245A KR 102141499 B1 KR102141499 B1 KR 10214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precious metal
master pattern
wax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옥
Original Assignee
한승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옥 filed Critical 한승옥
Priority to KR102019008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2Sand moulds or like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4Use of lost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은 왁스를 이용하여 상기 귀금속 제품 형상의 주물모형을 마련하는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는 주물 형틀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 제거단계, 상기 주물 형틀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캐스팅(주조) 단계 및 상기 제품의 마감 및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되 상기 왁스의 용해 온도를 이용하여 재질 별로 프린팅 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 형틀은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Precious metal manufacturing process with improved quality bv using 3D printing}
본 발명은 귀금속 제품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기존의 복잡한 공정을 생략하고, 왁스재질에 따른 온도조건의 확보와 작업환경 변화로 인한 14k, 18k, 24k, 실버 등 소재의 주물에 적합한 melting 공정온도의 최적화와 석고 틀 주물작업 전 균일 온도조건을 최적화하여 제품의 수축과 기포발생을 최소화하고, 표면 크랙을 감소시켜 고품질화와 다양한 제품의 생산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도화된 공정기술개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을 이용하여 반지, 브로치, 안경테,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주물 모형을 사용하는 주조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귀금속 장신구 주조 방법은, 먼저 각 부분별로 왁스를 사출하여 성형한 장신구 왁스모형을 주조의 모형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왁스'란 왁스성분을 주재료로 하여 기타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모형재료를 지칭한다. 특히, 일정 온도 이상에서 용해되어 녹아 내리므로 형틀의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중공부에 용융된 금속 용융액을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귀금속 제품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귀금속 제품의 디자인이나 귀금속을 함유한 안경테 부품은 소비자의 성향과 연령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와 유행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을 포함하는 기존 제조 방식의 공정으로는 대응시간에 한계가 있고 높은 공정비용에 의해 경쟁력 확보가 어려운 상태이다.
특히, 기존의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의 경우 디자인을 통해 완제품까지 생산 하려면, 제품의 디자인 후 대량생산을 위한 고무 틀 작업과 상기 고무 틀을 이용하여 제품 형태의 주물왁스 사출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후 캐스팅을 위한 석고 틀 작업과 주물 작업을 진행 해야 한다.
이러한 여러 단계의 공정이 필요함으로써 공정 중 발생하는 하자, 흠결, 작업자의 관리 및 제조시간에 따른 비용이 부담되며, 빠른 유행의 변화 대응에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결국 귀금속 제품의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출원번호 제10-2005-0011590호(2006.08.29. 공개, 귀금속 장신구 주조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공정을 생략하고 새로운 공정으로 대체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킨 귀금속 제품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은 왁스를 이용하여 상기 귀금속 제품 형상의 주물 모형을 마련하는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는 주물 형틀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 제거단계, 상기 주물 형틀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캐스팅(주조) 단계 및 상기 제품의 마감 및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되 상기 왁스의 용해 온도를 이용하여 재질 별로 프린팅 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 형틀은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프린팅은 SLA(광경화식) 프린터로 마련하되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는 밀납 또는 파라핀과 같은 친환경 천연소재를 사용하며, 기 설정된 기준 온도에 따라 용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3D 프린팅은 링크 구조의 프린터를 사용하며, 상기 마스터 패턴의 제작을 위한 데이터는 별도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는 머신 러닝, 딥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 시 불량이나 하자를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는 소비자가 원하는 귀금속 제품 디자인을 선택 또는 신청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주문제작 방식의 제조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물 형틀 또는 석고 틀은 전기로를 이용하되, 1차 150도에서 1시간, 2차 350도에서 1시간, 3차 750도에서 2시간, 4차 800도에서 2시간, 5차 620도에서 주물 작업 시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왁스 사용을 위한 온도 조건을 수집 및 분석하고, 주물을 위한 소재의 melting 공정 온도를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화하며, 석고 틀 주물 작업 이전에 균일 온도조건을 최적화 하여 제품의 수축, 기포 발생, 표면 크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제조, 주조공정은 기존의 복잡한 공정을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대체함으로써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귀금속 제품 제조공정의 절차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 제조공정의 절차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 제조공정의 각각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 제조공정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제조, 주조공정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주조에 관하여 설명하면, 주조, 주물제조는 액체 상태의 재료를 형틀에 부어 넣어 굳혀 모양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각종의 로(furnace) 안에서 금속, 귀금속, 고철, 선철, 합금철 또는 비철금속 원료를 가열해서 용해하고 적정 성분으로 조정된 쇳물을 모래 또는 금속재의 거푸집(mold) 속에 부어 넣은 후 냉각 응고시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때, 원하는 제품의 형태로 마련된 주물 모형 또는 마스터 패턴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의 공동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성형시킨 뒤 용융금속이 굳으면 모형과 동일한 금속물체가 되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거푸집은 모래와 진흙으로 만들며, 세라믹스, 시멘트가 섞인 모래, 기타 다른 물질들도 거푸집 제작에 사용된다. 이러한 물질은 용융금속이 주입될 공동을 형성하는 모형(보통 나무, 금속, 수지 등으로 만들어짐)의 외부를 둘러싼다. 거푸집을 형성하는 재료가 모형의 모양으로 만들어지면 거푸집에서 모형을 빼낸다.
거푸집은 보통 상형과 하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두 부분은 모형이 제거된 뒤에 형틀에 넣어져서 핀과 부시(얇은 원통)에 의해 정확히 연결된다. 그 다음 용융금속은 탕구를 통해 거푸집 안으로 주입되고 러너(runner)를 통해 공동의 각 부분에 보내진다.
거푸집은 용융금속의 압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강할 뿐 아니라 거푸집의 공동으로부터 공기와 다른 기체가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로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만일 통기성이 좋지 않으면 주물에 구멍이 생기게 된다. 주물공장용 모형제작에는 세심한 주의와 기술이 필요하다. 모형은 온도가 낮아져서 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동안의 수축을 고려하여 원하는 주물보다 커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과 같이 주물 제조에 사용하는 모형은 주로 왁스를 사용하는 데 왁스란, 물에 녹지 않는 고급 1가(價) 또는 2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터이다. 천연 산 왁스는 그 성상(性狀)에 따라 고체왁스와 액체왁스로 대별된다. 대부분 상온에서 결정성 고체이며, 주요용도는 광택제, 화장품, 절연재, 방수제, 복사지, 양초, 증발 억제제, 의약품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는 납(蠟)이라고도 한다. 고체왁스는 채취 원료에 따라 식물성 왁스와 동물성 왁스의 두 종으로 나누는데, 일반적으로 고체왁스는 외관이 녹는점이 높은 고체지방과 비슷하고, 액체왁스는 지방유와 비슷하다. 목랍(木蠟)은 주성분이 팔미트산 글리세리드로 유지(油脂)이고, 반대로 사향고래 기름은 지방산과 세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 1가 알코올 에스터이므로 동물성 액체왁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귀금속 제품의 주물 제조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 구성, 기능, 효과 등은 기재된 바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으며 그 의미가 혼용되거나 폭 넓게 전용되어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왁스는 납과 혼용될 수 있으며 주물 모형은 마스터 패턴과 동일한 범위에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은 왁스를 이용하여 상기 귀금속 제품 형상의 주물 모형을 마련하는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S100), 상기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는 주물 형틀 제작단계(S200), 상기 마스터 패턴 제거단계(S300), 상기 주물 형틀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캐스팅(주조) 단계(S400) 및 상기 제품의 마감 및 마무리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S100)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되 상기 왁스의 용해 온도를 이용하여 재질 별로 프린팅 할 수 있으며, 상기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프린터는 기존에 사용되는 모든 3D 프린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 시 링크구조의 프린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링크 구조의 프린팅을 하는 경우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정교한 가공이 가능하므로 귀금속의 특성과 맞을 수 있다.
상기 주물 형틀 제작단계(S200)은 석고를 이용하여 상기 주물 형틀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석고 이외에도 형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합성수지, 천연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물 형틀 또는 석고 틀은 전기로를 이용하되, 1차 150도에서 1시간, 2차 350도에서 1시간, 3차 750도에서 2시간, 4차 800도에서 2시간, 5차 620도에서 주물 작업 시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3D 프린팅은 SLA(광경화식) 프린터로 마련하되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밀납 또는 파라핀과 같은 친환경 천연소재를 사용하며, 기 설정된 기준 온도에 따라 용해 되어 프린팅 될 수 있다. 즉, 용융점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마스터 패턴의 재질적 특징을 잘 활용할 수 있으며 귀금속 제품의 형태, 크기, 모양, 성질, 재질적 특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적합한 용융점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재료적 특성 및 제품과의 적합성 관련 데이터는 저장되거나 가공될 수 있으며, 주조 공정 시작 시 사용자가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선택하면 이에 맞는 재료, 프린팅 방식 등을 알려주거나 알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3D 프린팅은 경우에 따라서 링크 구조의 프린터를 사용하며, 상기 마스터 패턴의 제작을 위한 데이터는 별도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는 머신 러닝, 딥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 시 불량이나 하자를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 할 수 있다.
따라서, 주조 공정 중 발생한 하자나 흠결의 종류, 시점 등에 대한 정보와 재료, 공정에 관련된 데이터가 가공되고 학습됨으로써 품질의 만족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결국 경제적 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S100)는 소비자가 원하는 귀금속 제품 디자인을 선택 또는 신청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주문제작 방식의 제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 태블릿 등의 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여 소비자 만족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살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 선호 디자인 선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0)을 더 포함하며, 이때 요청사항 및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는 단계(S130)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석고 틀의 제작과정과 주물 과정에서 왁스 재질에 따른 온도 변화와 최적 공정온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왁스 인두팁 세트나 왁스 조각도를 사용한 보완작업을 줄여 공정단계를 감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왁스의 사출온도와 응고 온도에 따른 왁스의 melting 온도에 적합한 공정 시간을 최적화하고 높은 해상도와 30 마이크론의 적층 두께제어가 가능한 정밀제어 기술을 확보 적용하며, 기존 제품 대비 뛰어난 가성비와 정밀도 확보와 간편한 왁스 캐스팅 확보의 기술이 추가로 연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제조, 주조 공정의 기능 구성에 대한 개념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패턴(주물모형) 제작부(100), 3D 프린터(110), 주물형틀 제작부(300), 캐스팅 및 마감부(500), 서버(600), 데이터 베이스(700) 및 휴대용 단말(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제조, 주조공정은 성능 및 품질 향상과 제품 생산의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며 기존의 주물, 주조를 위한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포 발생, 제품의 수축, 균열, 인력에 의한 검수 및 마감 등의 절차 및 노력이 생략되므로 효과적인 귀금속 제품의 제조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왁스재질에 따른 온도조건의 확보와 작업환경 변화로 인한 14k, 18k, 24k, 실버 등 소재의 주물에 적합한 melting 공정온도의 최적화와 석고 틀 주물작업 전 균일 온도조건을 최적화하여 제품의 수축과 기포발생을 최소화하고, 표면 크랙을 감소시켜 고품질화와 다양한 제품의 생산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제품의 제조공정은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킨 귀금속 제품이 주조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S100: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 S110: 소비자 디자인 선택단계
S130: 소비자 신청 및 활용단계 S200: 주물 형틀 제작단계
S300: 마스터 패턴 제거단계 S400: 캐스팅 단계
S500: 마무리 마감단계
1: 귀금속 제품 10: 주물 모형
30: 주물 형틀
100: 주물모형 제작부 110: 3D 프린터
300: 주물형틀 제작부 500: 캐스팅 마감부
600: 서버 700: D/B
800: 휴대용 단말

Claims (6)

  1.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에 있어서,
    왁스를 이용하여 상기 귀금속 제품 형상의 주물 모형을 마련하는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는 주물 형틀 제작단계;
    상기 마스터 패턴 제거단계;
    상기 주물 형틀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캐스팅(주조) 단계; 및
    상기 제품의 마감 및 마무리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는 3D 프린팅 기술로 상기 왁스의 용해 온도를 이용하여 재질 별로 프린팅 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물 형틀은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하되 링크 구조의 3D 프린터를 사용하고,
    상기 마스터 패턴의 제작을 위한 데이터는 별도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는 머신 러닝, 딥 러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 시 불량이나 하자를 예측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팅은 SLA(광경화식) 프린터로 마련하되 프린팅에 사용되는 소재는 밀납 또는 파라핀과 같은 친환경 천연소재를 사용하며, 기 설정된 기준 온도에 따라 용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 사용을 위한 온도 조건을 수집 및 분석하고, 주물을 위한 소재의 melting 공정 온도를 수집 및 분석하여 최적화하며, 석고 틀 주물 작업 이전에 균일 온도조건을 최적화 하여 제품의 수축, 기포 발생, 표면 크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패턴 제작단계는 소비자가 원하는 귀금속 제품 디자인을 선택 또는 신청할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주문제작 방식의 제조를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물 형틀 또는 석고 틀은 전기로를 이용하되,
    1차 150도에서 1시간, 2차 350도에서 1시간, 3차 750도에서 2시간, 4차 800도에서 2시간, 5차 620도에서 주물 작업 시까지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제품의 주조공정.
KR1020190080245A 2019-07-03 2019-07-03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KR10214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45A KR102141499B1 (ko) 2019-07-03 2019-07-03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45A KR102141499B1 (ko) 2019-07-03 2019-07-03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499B1 true KR102141499B1 (ko) 2020-08-05

Family

ID=7204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45A KR102141499B1 (ko) 2019-07-03 2019-07-03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4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436B1 (ko) * 2021-03-05 2021-06-10 주식회사 위시스테크놀로지 중공형 쉘의 정밀 주조방법
CN113458333A (zh) * 2021-05-28 2021-10-01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产品和轻质合金铸件的制备方法
KR102337392B1 (ko) * 2021-06-30 2021-12-09 주식회사 골드에비뉴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102365825B1 (ko) * 2021-10-07 2022-02-23 안은경 양측에 인장 보강부가 형성되는 팔찌 연결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찌 연결구
KR102393830B1 (ko) * 2021-12-02 2022-05-04 이상규 3d프린터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CN115925400A (zh) * 2022-11-30 2023-04-0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光固化陶瓷浆料的设计方法、陶瓷浆料及空心涡轮叶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590A (ko) 2003-07-23 2005-0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투자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1615B1 (ko) * 2015-12-21 2016-03-08 최재익 소형화 및 경량화된 망사형 구조의 장신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장신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590A (ko) 2003-07-23 2005-01-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투자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01615B1 (ko) * 2015-12-21 2016-03-08 최재익 소형화 및 경량화된 망사형 구조의 장신구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장신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436B1 (ko) * 2021-03-05 2021-06-10 주식회사 위시스테크놀로지 중공형 쉘의 정밀 주조방법
CN113458333A (zh) * 2021-05-28 2021-10-01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产品和轻质合金铸件的制备方法
KR102337392B1 (ko) * 2021-06-30 2021-12-09 주식회사 골드에비뉴 3차원 프린팅 기반 귀금속 주얼리 제조방법
KR102365825B1 (ko) * 2021-10-07 2022-02-23 안은경 양측에 인장 보강부가 형성되는 팔찌 연결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찌 연결구
KR102393830B1 (ko) * 2021-12-02 2022-05-04 이상규 3d프린터를 이용한 장신구 제조방법
CN115925400A (zh) * 2022-11-30 2023-04-0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光固化陶瓷浆料的设计方法、陶瓷浆料及空心涡轮叶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499B1 (ko) 3d 프린팅 레진 석고 틀을 이용한 귀금속 제품의 주물 및 제조공정
CN106579672B (zh) 七宝嵌
CN105665626A (zh) 一种蜡模制造工艺
CN106694853A (zh) 采用低压铸造工艺进行摩托车配件铸造的方法
US2118468A (en) Method of casting articles of intricate design and a product thereof
Kakde et al. Development of customized innovative product using fused deposition modeling technique of rapid prototyping and investment casting
CN102920116A (zh) 一种金属花丝配件和首饰的制造工艺
JP3937460B2 (ja) 焼き流し精密鋳造方法
TW492897B (en) Method of using thermally reversible metal to form ceramic molds
CN1063990C (zh) 锌基合金冲压模具制造方法
JP2001105420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方法
CN106513585B (zh) 叶片篦齿成型方法
JPS61172650A (ja) 鋳型造型方法
CN212371162U (zh) 一种用于真空型铸造石膏模具的浇注机构
Bihari et al.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roughness and hardness of surface and dimensional accuracy of lost wax process casting
CN109047665A (zh) 一种新型非传动端端盖铁型覆砂铸造工艺
KR100432795B1 (ko) 중공형 귀금속의 로스트 왁스 주조방법
CN101985158A (zh) 内外金属型覆砂铸造圆锥破碎机锰钢破碎壁或轧臼壁的方法
JP2006061935A (ja) 疑似鋳造方案及び鋳造方案、これらの作製方法、装置、プログラム
Nichols Casting of topologically optimized components utilizing additive manufacturing
Kakde et al. Advancement of Rapid Prototyping
Singh Casting Processes
CN109550887A (zh) 宝珠覆膜砂铸造生产系统
SU1324758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пресс-форм
Atwood et al. Rapid prototyping: A paradigm shift in investment 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