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850B1 -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850B1
KR102336850B1 KR1020207002010A KR20207002010A KR102336850B1 KR 102336850 B1 KR102336850 B1 KR 102336850B1 KR 1020207002010 A KR1020207002010 A KR 1020207002010A KR 20207002010 A KR20207002010 A KR 20207002010A KR 102336850 B1 KR102336850 B1 KR 10233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driving
transport
car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878A (ko
Inventor
토마스 아이슬링거
하이리히 드로스테
Original Assignee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인테롤 홀딩 악팅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0002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14Endless driving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belt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9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for augmenting or creating a pression force between the load and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14Endless driving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belt or chain
    • B65G23/16Endless driving elements extending parallel to belt or chain with dog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4Spring-supported sets, e.g. permitting troughing of a load-carrying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1)는 구동원(34), 및 이 구동원(34)의 구동력을 구동 요소(2)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6)을 포함한다. 이송 카트는 구동 장치(1)에 의한 구동을 위해 구동 요소(2)에 체결될 수 있고, 구동력은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에 의해 구동력 전달 수단(6)으로부터 구동 요소(2)로 전달될 수 있다.
구동 장치(1)를 위한 구동 요소(2)에는 곡선 코너링을 가능케 하기 위해 구동 요소(2)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향된 횡방향 리브(38) 및 횡방향 조인트(40)가 형성되고, 제 1장변(36)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 2장변(42)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이송-카트 드라이브(4)는 구동 장치(1)와 구동 요소(2)를 포함하며, 구동 요소(2)는 구동 장치(1)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 요소(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2)의 제 2장변(42)은 구동 장치(1)의 구동 벨트(12)와 마주보고 있다.

Description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본 발명은 이송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이송-카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를 지닌 종래의 이송-카트 드라이브에서, 이송 카트는 대개 공지된 고무 블록 체인에 의해 견인된다. 이러한 이송 카트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치되어 구동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우편물 처리 및 유통 센터에서 고성능 분배를 위한 피스 상품을 수용 및 이송하기 위해 크로스벨트 분류기에서 카트의 회전 체인으로서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한다. 이 경우, 공지된 고무 블록 체인은 구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형성된 그의 구동측 톱니 공간을 가지며,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 휠 또는 톱니 구동 체인의 대응하는 톱니에 치합된다. 그의 가압측에서, 드라이브는 2개의 편향 롤러와 가압 유닛에 감긴 다수의 벨트를 갖는다. 톱니와 톱니 공간의 형상-맞춤 연결(form-fit connection)을 보장하기 위해, 가압 유닛은 다수의 벨트에 의해 구동측 방향으로 고무 블록 체인을 가압한다. 특히, 곡선 코너링(negotiation of curves)을 가능케 하기 위해, 가압측의 고무 블록 체인은 랜드로 형성되고, 교대로 구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단절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해결방안은 대개 무겁고, 유지보수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걸리며, 소음이 크고 생산에 비용이 많이 든다. 이들 단점은 주로 전술한 드라이브의 유형으로 인한 것이며, 예를 들어 구동 기어 휠 또는 톱니 구동 체인의 경우, 그의 상대적으로 큰 중량, 정기적인 윤활의 필요성 및/또는 그의 큰 휠 소음으로 인한 결과이다. 특히, 드라이브 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수의 여러 부품들이 코스트 상승에 기여한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유지보수 비용, 코스트 및 소음 발생이 감소된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개량 구동 장치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추가 종속항의 주제이다.
일 측면은 구동원 및 이 구동원의 구동력을 구동 요소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수단을 지닌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 장치에 의한 구동을 위해 이송 카트는 구동 요소에 체결될 수 있다.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에 의해 구동력은 구동력 전달 수단으로부터 구동 요소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의 한가지 장점은 강제-잠금 또는 힘의 마찰-잠금 전달로 인해, 전술한 불리한 특성을 갖는 구동 기어 휠 또는 톱니 구동 체인을 생략할 수 있고, 특히 관련된 그의 정기적인 윤활의 생략으로 인해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되는 점이다. 또한, 원하는 소음 및 코스트의 절감이 얻어진다.
이러한 측면의 한가지 추가적인 장점은 마찰-잠금 구동 장치가 종래의 형상-맞춤 구동 장치보다 더 작으며, 특히 이송 방향에 대해 횡으로 더 좁게 제조될 수 있는 점이다.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는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예를 들어 이송 카트 상의 이송 물질을 시작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이송 카트는 이송 장치 내에서 전진할 수 있다.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는 이송 물질을 운반하기 위해 중력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된 이송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송 물질에 작용하는 중력으로 인해 이송 물질은 그 평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따라서, 이송 카트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이송 카트는 이송 장치의 이송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송 물질을 이송하기 위한 크로스벨트 컨베이어를 가질 수 있다.
이송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이송 물질을 운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이송 카트, 및 이송 카트 또는 카트들용의 하나 이상의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의 구동원으로서 전기, 유압 또는 전기유압 구동원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원의 구동력을 구동 요소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수단은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에 의해 구동원의 구동력을 구동 요소로 전달하기에 충분한 마찰면을 갖는 적절한 수단일 수 있다. 구동력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찰 벨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찰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요소는 강제-잠금 또는 힘의 마찰-잠금 전달에 적합한 요소일 수 있으며, 구동 요소는 특히 하나 이상의 이송 카트를 견인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다. 구동 요소는 예를 들어 이들 요구조건에 적합한 고무 블록 체인일 수 있다.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은 강제-잠금 방식 또는 마찰-잠금 방식으로 연결되는 면들 상에서 법선력(normal force)이 필요하다. 강제-잠금 방식 또는 마찰-잠금 방식으로 연결되는 면들의 정적 마찰에 대해 충분한 법선력 및/또는 충분한 마찰 계수가 있는 경우, 면들의 상대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다른 유형의 연결로는 형상-맞춤 또는 응집성 연결(cohesive connection)이 있다. 형상-맞춤 연결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 요소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원칙적으로, 힘의 전달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형상-맞춤 연결은 지속된다. 응집성 연결은 연결 요소가 원자력 또는 분자력에 의해 함께 유지됨으로써 생성된다. 이는 원칙적으로 분리할 수 없는 연결이며, 예를 들어 연결 수단을 파괴함으로써 끊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력 전달 수단은 구동 벨트와 가압 벨트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갖는 벨트 드라이브이며, 구동 요소는 구동을 위해 갭에 클램핑될 수 있거나 구동 벨트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법선력이 가해져서 구동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의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을 생성하거나 보장할 수 있다.
특히, 구동 벨트 및/또는 가압 벨트는 구동 요소와 함께 정적 마찰에 대한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 및/또는 가압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의 정적 마찰에 대한 마찰 계수는 대략 0.4 내지 0.6 또는 대략 0.3 내지 0.7이다.
특히, 구동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 및/또는 가압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의 정적 마찰에 대한 마찰 계수는 대략 0.9일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구동 벨트와 가압 벨트에 도포되는, 특히 가황되거나 점착되는 코팅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팅은 약 55° 내지 70° 쇼어 A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력 전달 수단은 구동측 및 가압측을 갖는다. 구동측은 구동 롤러, 편향 롤러, 구동 롤러와 편향 롤러 둘레에 감긴 구동 벨트, 및 대향-(counter) 가압 롤러를 갖는 대향-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가압측은 2개의 편향 롤러, 이 편향 롤러 둘레에 감긴 가압 벨트, 및 가압 롤러를 갖는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가압 수단과 대향-가압 수단은 서로 대향하여 놓여져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경우에, 가압 수단은 편향 롤러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대향-가압 수단은 구동측 편향 롤러와 구동 롤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벨트는 구동 롤러, 대향-가압 수단 및 구동측 편향 롤러 둘레를 주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압 벨트는 가압측 편향 롤러와 대향-가압 수단 둘레를 주행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요소로의 강제-잠금 또는 힘의 마찰-잠금 전달로 인해, 구동 요소는 대략 서로 축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대칭 절반부(halves of symmetry)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측과 가압측은 대략 서로 축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칭축은 구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방향에서 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동 벨트와 가압 벨트 사이에 형성된 갭의 대략 중간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의 부품을 제조하는 경우, 동일한 부품을 점차적으로 더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구동 장치의 부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시간 및/또는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고/있거나 구동 장치의 부품의 재고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에 필요한 구동 장치의 많은 공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특히, 가압 롤러는 조절 방식으로 가압 벨트와 구동 벨트 사이의 갭을 줄이기 위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의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을 생성하거나 보장하기 위해 법선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대향-가압 수단의 대향-가압 롤러는 구동측 구동 롤러로부터 고정 축방향 간격을 갖고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향-가압 수단은, 가압 수단에 대한 고정 대응물(counterpart)을 구비하며, 그로 인해 가압 수단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법선력이 가압 롤러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이는 추가로, 구동 벨트와 구동 요소 사이의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연결을 생성하거나 보장하는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가압 수단의 가압 롤러는 홈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실질적으로 평탄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요소 내로의 가압 롤러의 가압이 더 작아지므로, 더 작은 이동 저항이 얻어질 수 있다.
특히, 가압 수단 및/또는, 이 가압 수단의 가압 롤러는 가압 벨트와 구동 벨트 사이의 갭을 가변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력에 대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수단 및/또는 가압 롤러의 복원력이 가해져서 가압 벨트와 구동 벨트 사이의 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판 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스프링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력을 달성하기 위한 적은 공간 요구조건이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 벨트 및 가압 벨트는 멀티-리브 벨트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벨트 및 가압 벨트는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도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리브 벨트는 소위 폴리 V 벨트, 특히 내마모성 백(wear-resistant back)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장치는 또한 2개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동원의 고장을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구동원이 가압측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고, 이어서 구동 벨트가 감겨 있는 구동 롤러 및 편향 롤러가 가압측에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 요소는 2개의 구동 벨트에 의해 대칭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원은 전기 모터, 특히 베벨 기어(bevel gear)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카트에 대한 경로 추적은 증분형 인코더(incremental encoder)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증분형 인코더는 비구 동측, 즉 가압측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측, 특히 구동 벨트에서 발생하는 구동 슬립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측정 오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측정을 보장할 수 있다.
발생하는 구동 슬립은 슬립 모니터링 수단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슬립 모니터링 수단은 구동 제어의 제어 루프에 관한 입력 변수를 제공할 수 있다. 증가된 구동 슬립이 검출되면, 오작동 보고서를 발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있을 수 있는 오작동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 속도 또는 원하는 모터 속도와 실제 모터 속도 간의 편차는 기어 출력축 또는(가령, 모터에 통합된) 모터축의 회전 변환기, 또는 편향 롤러 상의 근접 스위치에 의해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이송 카트는 체결 수단에 의해 구동 요소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자유도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관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카트에 의한 수평 및/또는 수직의 곡선 코너링을 보상할 수 있고 이송 카트의 확실한 구동을 보장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송 장치는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공된 다수의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필요한 구동 동력이 다수의 구동 장치에 분배될 수 있고/있거나, 구동 요소의 보다 균일한 로딩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구동 장치 사이의 간격은 대략 30 내지 대략 100m 또는 대략 50 내지 대략 70m일 수 있다.
구동 장치들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구동 장치들 사이의 간격은 불규칙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장치들 사이의 간격은 구동 요소 상의 인장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요소에서 낮은 인장력이 우세한 지점에 구동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구동 요소에서 가장 낮은 인장력이 우세한 지점에 구동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송 장치 내의 많은 구동 장치는, 또한 이송 장치가 하나의 구동 장치로 더 적게 작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결함이나 수리 또는 유지보수로 인해 구동 장치 중 하나에 고장이 발생해도, 이송 장치는 계속 작동할 수 있다.
특히,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나사식 로드에 의해 수리 및/또는 유지보수 목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구동 장치의 유리한 배열 및/또는 설계로 인해 이송 장치가 하나의 구동 장치로 더 적게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이송 장치는 일단 하강한 후에 계속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장치 중 하나에서의 수리 및/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이송 장치의 정지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은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구동 장치의 구동 요소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구동 요소의 제 1장변은 곡선 코너링을 허용하기 위해, 특히 구동 요소의 확장 및/또는 압축을 보상하기 위해, 구동 요소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향된 횡방향 리브 및 횡방향 조인트로 형성된다. 제 1장변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장변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된다.
힘의 형상-맞춤 전달을 위한 종래의 구동 요소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된 상술한 구동 요소의 제 2장변은, 이를 위해 확대되는 힘 전달 표면에 의한 강제-잠금 또는 힘의 마찰-잠금 전달의 경우에 특히 장점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구동 요소 상에는 전술한 이송 카트용 체결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동 요소 및 전술한 구동 장치에 의한 이송 카트의 확실한 구동이 가능해진다.
특히, 다수의 이송 카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위해, 구동 요소의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리셉터클이 구동 요소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수단을 위한 리셉터클은 구동 요소의 횡방향 리브들 중 하나에 체결 홀 또는 다수의 체결 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홀(들)은 구동 요소의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요소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동 요소는 예를 들어 스틸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케이블 또는 하나의 직포를 함유할 수 있는 내부 보강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요소의 인장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요소는 고무 블록 체인으로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고무 블록 체인은 무한궤도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폐쇄형 고무 블록 체인을 형성하기 위해, 고무 블록 체인은 락으로 잠글 수 있게 설계할 수 있거나, 그의 자유단들을 함께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구동 요소는 금속 링크 체인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금속 링크 체인 또는 새로 구성된 금속 링크 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금속 링크 체인은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진 요소를 함유할 수 있다.
금속 링크 체인은, 이송 카트의 곡선 코너링을 허용하기 위해,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평면에서 서로에 대한 금속 링크의 피봇이 허용되도록 함께 연결된 다수의 개별 금속 링크를 갖는다.
특히, 금속 링크는 이에 추가하여, 이송 카트의 오르막 및 내리막 주행을 허용하기 위해, 수직 평면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서 서로에 대한 금속 링크의 피봇이 허용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안된 구동에 적합한 금속 링크 체인 또는 금속 링크는, 구동용 벨트 드라이브로서 형성된 구동력 전달 수단의 갭에 클램핑될 수 있거나, 구동 벨트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구동부를 가져야 한다.
구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일방향으로, 즉 작동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 또는 금속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금속 링크 체인으로부터 돌출되고 대략 작동 위치에서 보트의 용골(keel)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금속 링크 체인이 벨트 드라이브의 갭 안으로 하방으로 돌출된다.
금속 링크 체인을 사용하는 경우, 고무 블록 체인과 관련하여 본 개시의 맥락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장점이 얻어진다. 개시된 구동력 전달 수단 또는 구동 장치에 의한 일측 또는 양측의 제안된 드라이브와 관련해서는 금속 링크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하나의 추가 측면은 전술한 구동 장치 및 전술한 구동 요소를 갖는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이송-카트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구동 요소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구동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의 제 2장변은 구동 장치의 구동 벨트와 마주보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확대된 힘 전달 표면은 구동 벨트로부터 상술한 구동 장치의 구동 요소로의 강제-잠금 또는 힘의 마찰-잠금 전달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확실한 이송-카트 드라이브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요소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카트 드라이브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카트 드라이브의 공간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카트 드라이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요소의 공간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송-카트 드라이브(4)에 포함되는 구동 장치(1) 및 구동 요소(2)의 일부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구동 장치(1)는 벨트 드라이브로서 형성된 구동력 전달 수단(6)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구동 롤러(8), 구동측 편향 롤러(10), 및 구동 롤러(8)와 편향 롤러(10)의 둘레에 감긴 구동 벨트(12)를 포함한다. 가압측에서, 구동력 전달 수단(6)은 2개의 가압측 편향 롤러(14, 15) 및 이들 편향 롤러(14, 15)의 둘레에 감긴 가압 벨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벨트(12)는, 이 구동 벨트(12)와 가압 벨트(16) 사이에, 구동 요소(2)가 구동을 위해 끼워질 수 있는 갭(18)이 형성되도록 가압 벨트(16)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요소(2)의 클램핑 또는 구동 벨트(12)에 대한 구동 요소(2)의 가압은 조절 가능한 가압 롤러(22)를 갖는 가압 수단(20)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가압 롤러(22)는 잠금 너트(26)를 지닌 나사식 로드(24)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압 롤러(22)에 의해 가압 벨트(16)에 가해질 수 있는 법선력(수직력)은 대향-가압 롤러(30)를 지닌 대향-가압 수단(28)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면서, 구동 요소(2)를 구동 벨트(12)에 대해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향-가압 롤러(30)는 구동 요소(2)로부터 고정 간격 또는 구동 롤러(8)로부터 고정 축방향 간격을 두고 있을 수 있다.
대향-가압 롤러(30)와 구동 롤러(8) 및 2개의 가압측 편향 롤러(14, 15) 중 편향 롤러(14)는 구동 장치(1)의 베이스플레이트(32)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압 롤러(22)와 구동측 편향 롤러(10) 및 가압측 편향 롤러(14, 15) 중 다른 편향 롤러(15)는 베이스플레이트(32)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의 장착상태에서 주행하는 베이스플레이트(32)가 기울어질 수 있는 위험 없이, 구동 요소(2) 상의 중간층으로서 가압 벨트(16)와 가압 롤러(22)의 균일한 접촉을 가져오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32)는 저-마찰 플라스틱-재료 막대(bar)들의 도움으로 떠있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각각의 가압 롤러(22)에 의해 동일한 가압력이 가압 방향으로 구동 요소에 가해질 수 있다. 가압 롤러(22)는 구동 요소(2) 상에서 가압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거나, 구동 요소(2)로부터 떨어져서 가압 방향과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가압측 편향 롤러(15) 및 구동측 편향 롤러(10)는 각각의 경우에 장력 아이들러(idler) 풀리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구동 벨트(12) 또는 가압 벨트(16)의 장력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거나, 장력 방향과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구동 벨트(12) 및 가압 벨트(16)는 멀티-리브 벨트(multi-rib brlts)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비교적 높은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구동 롤러(8)는 전기 모터, 특히 베벨 기어 모터로서 형성된 구동원(34)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이는 구동 롤러(8)와 마주하는 베이스플레이트(3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2)는 교대로 횡방향 리브(38)와 횡방향 조인트(40)가 구동 요소(2)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향되어, 즉 그의 폭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 1장변(36)을 가질 수 있다. 제 1장변(36)의 반대쪽에 형성된 구동 요소(2)의 제 2장변(42)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2)는 개별 블록으로서 이루어진 고무 블록 체인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무 블록 체인은 구동측을 향해 있는 매끄러운 밑면(제 2장변(42))과, 가압측을 향해 있는 리브(횡방향 리브(38))의 자유단을 갖는 반대쪽의 윗면(제 1장변(36))을 갖는다. 윗면과 밑면의 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면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있는 고무 블록 체인의 측면이 있다. 이들 측면도 서로 비스듬하게 주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 요소(2)의 측면 상에는,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체결홀로서 형성된 이송 카트(도시 생략)용 체결 수단(도시 생략)을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44)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횡방향 리브(38)의 중앙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2)의 제 2장변(42), 즉 매끄러운 밑면은 구동 장치(1)의 구동 벨트(12)를 향해 마주보고 배향된다.
전술한 이송-카트 드라이브(4)의 배열 또는 구성을 통해, 구동 요소(2)의 강제-잠금 또는 마찰-잠금 구동이 구동 장치(1)에 의해 실현된다.
이 경우에, 가압 롤러(22)에 의해 구동 벨트(12)에 법선력이 충분히 가해지는 경우, 및/또는 구동 요소(2)와 함께 구동 벨트(12) 및/또는 가압 벨트(16)의 정적 마찰을 위한 충분한 마찰 계수가 있는 경우, 구동 롤러(8)와 구동 벨트(12)에 의해 강제-잠금 방식 또는 마찰-잠금 방식으로 구동원(34)의 구동력을 구동 요소(2)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요소(2)에 연결된 이송 카트(도시 생략)는 개량 이송-카트 드라이브(4)와 함께 이송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 이송 장치(도시 생략) 내에서 확실하게 구동될 수 있다.
1: 구동 장치
2: 구동 요소
4: 이송-카트 드라이브
6: 구동력 전달 수단
8: 구동 롤러
10: 구동측 편향 롤러
12: 구동 벨트
14: 가압측 편향 롤러
15: 가압측 편향 롤러
16: 가압 벨트
18: 갭
20: 가압 수단
22: 가압 롤러
24: 나사식 로드
26: 잠금 너트
28: 대향-가압 수단
30: 대향-가압 롤러
32: 베이스플레이트
34: 구동원
36: 구동 요소의 제 1장변
38: 횡방향 리브
40: 횡방향 조인트
42: 구동 요소의 제 2장변
44: 리셉터클

Claims (10)

  1. 구동 장치(1)를 갖는, 이송 장치의 이송 카트용 이송-카트 드라이브(4)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요소(2);
    구동원(34); 및
    상기 구동원(34)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 요소(2)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 수단(6)을 포함하고,
    구동 장치(1)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 카트는 상기 구동 요소(2)에 체결되며,
    상기 구동력은 강제-잠금(force-locking) 또는 마찰-잠금 연결(frictional-locking connection)에 의해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6)으로부터 상기 구동 요소(2)로 전달되고, 상기 구동 요소(2)의 제 1장변(36)에는 곡선 코너링(negotiation of curves)을 가능케 하기 위해 구동 요소(2)의 종방향에 대해 횡으로 배향된 횡방향 리브(38) 및 횡방향 조인트(4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장변(36)의 반대쪽에 형성된 제 2장변(42)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6)은 구동 벨트(12)와 가압 벨트(16) 사이에 형성된 갭(18)을 갖는 벨트 드라이브이며, 상기 구동 요소(2)는 구동을 위해 상기 갭에 클램핑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6)은:
    - 구동 롤러(8), 편향 롤러(10), 구동 롤러(8)와 편향 롤러(10)의 둘레에 감긴 구동 벨트(12), 및 대향(counter)-가압 롤러(30)를 구비한 대향-가압 수단(28)을 갖는 구동측; 및
    - 2개의 편향 롤러(14, 15), 상기 편향 롤러(14, 15)의 둘레에 감긴 가압 벨트(16) 및 가압 롤러(22)를 지닌 가압 수단(20)을 갖는 가압측을 포함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벨트(12) 및 가압 벨트(16)는 멀티-리브 벨트(multi-rib belt)로서 형성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장치는 서로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제공된 다수의 구동 장치(1)를 구비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6. 삭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2) 상에는 이송 카트용 체결 수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이 형성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요소(2)는 고무 블록 체인 또는 금속 링크 체인으로서 형성되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요소(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2)의 제 2장변(42)은 구동 장치(1)의 구동 벨트(12)와 마주보고 있는 이송-카트 드라이브(4).
  10. 이송 카트,
    상기 이송 가트를 구동하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카트 드라이브(4)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KR1020207002010A 2017-06-30 2018-06-20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KR102336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6212.9 2017-06-30
DE102017006212.9A DE102017006212A1 (de) 2017-06-30 2017-06-30 Antriebsvorrichtung, Antriebselement und Förderwagenantrieb
PCT/EP2018/066420 WO2019002048A1 (de) 2017-06-30 2018-06-20 Antriebsvorrichtung, antriebselement und förderwagenan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878A KR20200020878A (ko) 2020-02-26
KR102336850B1 true KR102336850B1 (ko) 2021-12-09

Family

ID=6298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10A KR102336850B1 (ko) 2017-06-30 2018-06-20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14444B2 (ko)
EP (1) EP3571145B1 (ko)
KR (1) KR102336850B1 (ko)
CN (1) CN110730752B (ko)
AU (1) AU2018294309B2 (ko)
BR (1) BR112019027656A2 (ko)
CA (1) CA3066022A1 (ko)
DE (1) DE102017006212A1 (ko)
WO (1) WO2019002048A1 (ko)
ZA (1) ZA2019078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5438A1 (de) 2019-10-17 2022-08-24 Interroll Holding AG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örderwagen einer fördereinrichtung
DE102020202924A1 (de) * 2020-03-06 2021-09-09 Gebhardt Fördertechnik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einen Förderwagen eines Verteilförderers
DE102021106255B3 (de) 2021-03-15 2022-06-15 Interroll Holding Ag Förderanordnung
DE102021106398B4 (de) 2021-03-16 2022-11-17 Interroll Holding Ag Förderanordnung
EP4308486A2 (de) 2021-03-16 2024-01-24 Interroll Holding AG Förderanordnung
DE102021006589B4 (de) 2021-03-16 2023-10-12 Interroll Holding Ag Förderanordnung
DE102022109935A1 (de) 2021-04-27 2022-10-27 Interroll Holding Ag Förd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356A (en) * 1954-11-02 1959-01-13 Link Belt Co Caterpillar type drive for conveyor chain
DE1431667A1 (de) * 1964-09-10 1969-04-30 Konrad Grebe Fahrbarer Foerderer
FR2060349B3 (ko) * 1969-09-02 1973-04-27 Crisplant As
US3711161A (en) * 1969-12-08 1973-01-16 Gimda Inc Drive means for cutter chain jib
US3910406A (en) * 1973-09-26 1975-10-07 Velten & Pulver Two-part clip
DE3116714A1 (de) * 1981-04-28 1982-11-18 Emil Wolff, Maschinenfabrik Und Eisengiesserei Gmbh, 4300 Essen Arbeitsseil-foerdermittel fuer untertagebetriebe
IT1254106B (it) * 1991-11-13 1995-09-07 Prosit Di Poletto Luigi E C Impianto per la distribuzione di prodotti da una unita' centrale a piu' unita' periferiche
JP2574039Y2 (ja) 1993-06-15 1998-06-11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ヤ
US5303817A (en) * 1993-06-25 1994-04-19 The Laitram Corporation Drive system for modular link conveyor belts
JPH079823A (ja) 1993-06-25 1995-01-13 Tokyo Isuzu Jidosha Kk 軌道・陸道走行自動車の流体圧装置
JPH079823U (ja) * 1993-07-16 1995-02-10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チェーンコンベヤの駆動装置
US5445081A (en) * 1994-04-13 1995-08-29 Yantrak, Llc Transit system employing a traction belt
US6129350A (en) * 1999-03-10 2000-10-1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Timing belt with product handling mechanism
US6481567B2 (en) * 2001-01-06 2002-11-19 Span Tech Llc Conveyor system with intermediate drive and related method
DE20114801U1 (de) * 2001-09-07 2002-02-14 Bauer Edgar Transporteinrichtung für Palettenwagen
DE10227998A1 (de) * 2002-06-22 2004-01-15 Axmann-Fördertechnik GmbH Vorrichtung zur Förderung von Stückgütern
JP4355513B2 (ja) * 2002-12-03 2009-11-04 三機工業株式会社 クロスソータを備えた仕分コンベヤ
WO2014011852A1 (en) * 2012-07-11 2014-01-16 Dematic Corp. Crossbelt sorter system and method of sorting articles
DE102013102674B4 (de) * 2013-03-15 2015-02-05 Heinemack Gmbh Restaurantsystem
ITUD20130156A1 (it) * 2013-11-22 2015-05-23 Danieli Off Mecc Gruppo di traino per macchine trafilatrici provvisto di catene intermedie e metodo di tensionamento di dette catene intermedie
AT16486U1 (de) * 2016-10-24 2019-10-15 Lhb Mining Solutions Gmbh Fördersystem
CN106829593B (zh) * 2017-01-09 2018-03-30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带式输送机的胶带收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94309B2 (en) 2021-01-21
ZA201907835B (en) 2022-06-29
CN110730752A (zh) 2020-01-24
EP3571145A1 (de) 2019-11-27
WO2019002048A1 (de) 2019-01-03
DE102017006212A1 (de) 2019-01-03
KR20200020878A (ko) 2020-02-26
AU2018294309A1 (en) 2019-12-05
US11214444B2 (en) 2022-01-04
BR112019027656A2 (pt) 2020-07-07
CN110730752B (zh) 2022-03-15
US20210284457A1 (en) 2021-09-16
CA3066022A1 (en) 2019-01-03
EP3571145B1 (de)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850B1 (ko) 구동 장치, 구동 요소, 및 컨베이어 웨건 드라이브
US7467708B2 (en) Belt conveyor and method of converting a roller conveyor to a belt conveyor, and retrofit kit
AU2012236466B2 (en) Conveying devic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80244474A1 (en) Chain conveyor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shafts
JP3181519U (ja) 商品移送用コンベヤ装置
US7588140B2 (en) Product conveyor with load-carrying platforms
FI96408C (fi) Nivelletyn metallinauhan omaava laite erityisesti raskaiden kuormien siirtämiseksi
US3545596A (en) Conveyor
US10822174B2 (en) Conveying system
JP2005524589A (ja) コンベヤベルト
CN209051983U (zh) 皮带输送驱动机
JPS60118509A (ja) 高角度搬送装置
CN220077858U (zh) 一种玻璃传输机
Malek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to improve mechanism of conveyor system part 1
CN213706753U (zh) 柔性输送带组件
US1291446A (en) Pan-conveyer.
EP1516833A1 (en)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or sorting, especially food
US887161A (en) Track-laying machine.
JP4893131B2 (ja) 搬送設備
USRE11206E (en) Charles s
CN113955393A (zh) 一种链条侧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