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418B1 -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 Google Patents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418B1
KR102336418B1 KR1020187032028A KR20187032028A KR102336418B1 KR 102336418 B1 KR102336418 B1 KR 102336418B1 KR 1020187032028 A KR1020187032028 A KR 1020187032028A KR 20187032028 A KR20187032028 A KR 20187032028A KR 102336418 B1 KR102336418 B1 KR 102336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device
user
injection molding
establi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741A (ko
Inventor
다카유키 하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4123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3364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2Control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8Melting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22D17/2038Heating, cooling or lubricating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93Remote, e.g. LAN, wireless L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사출 성형기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제어장치는,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당해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제1 단말과 다른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한다.

Description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본 발명은, 사출 성형기 등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기 등의 정치형의 산업기계를 원격조작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무선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기(본체)를 조작 가능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무선조작장치의 위치가 사출 성형기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지면 조작을 제한하여, 시인이 곤란한 장소로부터 사출 성형기를 안이하게 조작할 수 없도록 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38708호
그러나, 단순히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 것만으로 모든 조작이 제한되면, 유저의 편리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사출 성형기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형장치에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고,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는, 사출 성형기가 제공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형장치에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고,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사출 성형기와,
상기 제어장치와 접속 가능한 제1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상기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는, 산업 기계가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사출 성형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사출 성형기의 본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사출 성형기의 조작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등록유저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컨트롤러에 의한 유저인증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유저인증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의 일련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유저인증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의 일련의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컨트롤러에 의한 커맨드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커맨드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의 일련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9는 컨트롤러에 의한 유저정보 참조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유저정보 참조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의 일련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컨트롤러에 의한 유저정보 갱신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유저정보 갱신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의 일련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은 사출 성형기의 조작계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사출 성형기의 조작계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 성형기의 본체]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기(1)의 본체(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기(1)의 본체(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1)의 본체(2)는, 작업장치(3), 컨트롤러(70), 표시장치(80)를 포함한다. 이하, 충전 시의 스크루(20)의 이동방향(도 1 중 좌측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계량 시의 스크루(20)의 이동방향(도 1 중 우측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작업장치(3)는,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즉, 후술하는 충전공정, 보압(保壓)공정, 계량공정 등의 일련의 공정)을 행한다. 이하, 충전공정, 보압공정, 계량공정 등의 일련의 공정을 포함하는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간단히 "작업"이라고 칭한다. 작업장치(3)는, 가열실린더(10), 스크루(20), 계량모터(52), 사출모터(54), 압력검출기(56), 재료공급장치(60)를 포함한다.
가열실린더(10)은, 공급구(12)로부터 공급된 성형재료를 가열한다. 공급구(12)는, 가열실린더(10)의 후측부에 형성된다. 가열실린더(10)의 외주에는, 히터 등의 가열원이 마련된다. 가열실린더(10)의 전단(前端)에는 노즐(14)이 마련된다.
스크루(20)는, 가열실린더(10)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도록, 또한 진퇴(進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스크루(20)는, 주로 스크루본체(21), 및 스크루본체(21)보다 전방에 배치된 사출부(22)로 구성된다. 스크루본체(21)는, 플라이트부(23), 및 플라이트부(23)의 전단에 배치된 압력부(24)를 구비한다.
플라이트부(23)는, 봉형상의 본체부(23a), 및 그 본체부(23a)의 외주면에 돌출시켜 형성된 나선형상의 플라이트(23b)를 구비하고, 그 플라이트(23b)를 따라 나선형상의 홈(26)이 형성된다. 플라이트부(23)의 후단(後端)으로부터 전단에 걸쳐, 홈(26)의 깊이는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압축비가 일정해도 된다.
압력부(24)는, 봉형상의 본체부(23a)보다 외경이 큰 원기둥부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체부(23a)와 원기둥부 사이에는, 본체부(23a)로부터 그 원기둥부에 걸쳐 외경이 서서히 커지는 원뿔대형상의 경사부(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도 되고, 경사부 및 원기둥부에 압력부(24)가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압력부(24)를 배치하지 않고, 스크루본체(21)의 전체에 걸쳐 플라이트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스크루본체(21)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걸쳐, 공급부, 압축부, 및 계량부로서 구별되어도 된다. 이 경우, 나선형상의 홈의 깊이는, 공급부에서 깊고, 계량부에서 얕으며, 압축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향할수록 얕다.
사출부(22)는, 선단에 원뿔형의 부위를 구비한 헤드부(31), 그 헤드부(31)의 후방에 인접하는 양태로 형성된 로드부(32), 그 로드부(32)의 주위에 배치된 역류방지링(33), 및 압력부(24)의 전단에 장착된 시일링(체크링)(34)를 포함한다.
계량모터(52)는, 스크루(20)를 회전시킨다. 계량모터(52)는, 인코더(52a)를 가져도 된다. 인코더(52a)는, 계량모터(52)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스크루(20)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70)는, 계량공정에 있어서, 스크루(20)의 회전수가 설정값이 되도록, 계량모터(52)를 피드백 제어한다.
사출모터(54)는, 스크루(20)를 진퇴시킨다. 스크루(20)와 사출모터(54) 사이에는, 사출모터(54)의 회전운동을 스크루(20)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부가 마련된다. 사출모터(54)는, 인코더(54a)를 가져도 된다. 인코더(54a)는, 사출모터(54)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함으로써, 스크루(20)의 전진속도를 검출하고, 스크루(20)의 전진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70)는, 충전공정에 있어서, 스크루(20)의 전진속도가 설정값이 되도록, 사출모터(54)를 피드백 제어한다.
압력검출기(56)는, 예를 들면 사출모터(54)와 스크루(20) 사이에 배치되고, 압력검출기(56)에 작용하는 압력을 검출한다. 이러한 압력은, 스크루(20)의 배압이나 스크루(20)가 누르는 성형재료의 압력을 나타낸다. 압력검출기(56)는, 압력검출기(56)에 작용하는 압력을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70)는, 보압공정에 있어서, 스크루(20)가 누르는 성형재료의 압력이 설정값이 되도록 사출모터(54)를 피드백 제어한다. 또, 컨트롤러(70)는, 계량공정에 있어서, 스크루(20)의 배압이 설정값이 되도록, 사출모터(54)를 피드백 제어한다.
충전공정에서는,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진시키고, 스크루(20)의 전방에 축적된 액상의 성형재료를 금형장치 내에 충전시킨다. 스크루(20)의 전진속도의 설정값은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위치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스크루(20)가 소정의 위치(이른바 V/P전환위치)까지 전진하면, 보압공정이 개시된다.
또한, 충전공정개시부터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도달하면, 보압공정이 개시되어도 된다.
보압공정에서는,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20)를 전방으로 눌러, 금형장치 내의 성형재료에 압력을 가한다. 이로써, 부족분의 성형재료를 보충할 수 있다. 성형재료의 압력의 설정값은 일정해도 되고, 경과시간 등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경되어도 된다. 보압공정 후, 냉각공정이 개시된다. 냉각공정 중에 계량공정을 행해도 된다.
계량공정에서는, 계량모터(52)를 구동하여 스크루(20)를 회전시키고, 스크루(20)의 나선형상의 홈(26)을 따라 성형재료를 전방으로 보낸다. 이에 따라, 성형재료가 서서히 용융된다. 액상의 성형재료가 스크루(20)의 전방으로 보내져 가열실린더(10)의 전측부에 축적됨에 따라, 스크루(20)가 후퇴된다. 스크루(20)의 회전수의 설정값은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위치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계량공정에서는, 스크루(20)의 급격한 후퇴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출모터(54)를 구동하여 스크루(20)에 대하여 배압을 더해도 된다. 배압이 설정값이 되도록 사출모터(54)가 구동된다. 스크루(20)가 소정의 위치까지 후퇴하고, 스크루(20)의 전방에 소정량의 성형재료가 축적되면, 계량공정이 종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사출장치는, 인라인·스크루 방식이지만, 프리플라스티사이징(preplasticizing) 방식이어도 된다. 프리플라스티사이징 방식의 사출장치는, 가소화실린더 내에서 용융된 성형재료를 사출실린더에 공급하고, 사출실린더로부터 금형장치 내에 성형재료를 사출한다. 또, 가소화실린더 내에는 스크루가 회전 가능하도록, 또는 회전 가능하고, 또한 진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사출실린더 내에는 플런저가 진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재료공급장치(60)는, 설정된 공급속도로 가열실린더(10)의 공급구(12)에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재료공급장치(60)는, 호퍼(61), 피드실린더(63), 통형상의 안내부(65), 피드스크루(67), 및 피드모터(69) 등을 구비한다.
또한, 재료공급장치(60)는, 공급속도를 변경 가능하면, 임의의 구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피드스크루(67) 대신에, 진공 로더를 포함해도 된다.
피드실린더(63)는, 호퍼(6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뻗고, 호퍼(61) 내로부터 공급되는 성형재료를 수용한다.
또한, 피드실린더(63)는, 반드시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수평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뻗어 있어도 되며, 출구측이 입구측보다 높아도 된다.
피드스크루(67)는, 피드실린더(63)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피드모터(69)는, 피드스크루(67)를 회전시킨다. 피드모터(69)는, 인코더(69a)를 가져도 된다. 인코더(69a)는, 피드모터(69)의 출력축의 회전수, 즉 피드스크루(67)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러한 회전수를 나타내는 신호를 컨트롤러(70)에 출력한다. 컨트롤러(70)는, 계량공정에 있어서, 피드스크루(67)의 회전수가 설정값이 되도록, 피드모터(69)를 피드백 제어한다.
피드모터(69)는, 피드스크루(67)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드스크루(67)의 나선형상의 홈을 따라 성형재료를 전방으로 보낸다. 성형재료는, 피드실린더(63)의 전단으로부터 안내부(65)로 보내지고, 안내부(65) 내를 낙하하여, 가열실린더(10)의 공급구(12)에 공급된다.
계량공정에서는, 피드모터(69)를 구동하여 피드스크루(67)를 회전시키고, 가열실린더(10)의 공급구(12)에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그 공급속도는 피드스크루(67)의 회전수에 비례한다. 피드스크루(67)의 회전수의 설정값은, 스크루(20)의 회전수의 설정값과 마찬가지로, 일정해도 되고, 스크루위치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되어도 된다.
피드스크루(67)와 스크루(20)는, 동기(同期)하여 회전되어도 되고, 동시에 회전개시되어, 동시에 회전종료되어도 된다. 성형재료는, 공급구(12)에서 체류하지 않고, 스크루(20)의 회전에 의하여 전방으로 보내진다. 스크루(20)의 홈(26) 내에 있어서의 성형재료의 충전상태는, 조밀한 상태가 아니라, 성긴 상태(기아상태)가 된다.
또한, 피드스크루(67)는, 스크루(20)보다 빨리 회전개시되어, 빨리 회전종료되어도 된다. 그 시간차는, 예를 들면 안내부(65) 내에 있어서의 성형재료의 낙하시간이어도 된다.
컨트롤러(70)(제어장치의 일례)는, 메모리 등의 기억부(72), CPU(Central Processing Unit)(74), 타이머(76) 등을 갖고, 기억부(72)에 기억되는 각종 프로그램을 CPU(74)에 실행시킴으로써, 작업장치(3)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는, 표시장치(80)이나, 후술하는 PC(100)로부터의 조작입력에 따라, 각종 성형조건(예를 들면, 상술한 각종 설정값 등)을 설정하거나, 작업장치(3)에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상술한 각 공정)을 실행시키거나 한다. 컨트롤러(70)의 기능의 상세는, 후술한다.
표시장치(80)는, 컨트롤러(70)에 의한 제어하에서 각종 화면(조작화면)을 표시한다. 표시장치(80)는, 조작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부(도시하지 않음)와, 각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표시장치(80)는, 조작부와 표시부를 일체로 가져도 되고, 예를 들면 터치 패널형의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유저는, 표시장치(80)의 조작부에 대한 조작입력을 행함으로써, 컨트롤러(70) 혹은 작업장치(3)를 조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는 컨트롤러(70)를 통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에는,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제1 조작), 작업장치(3)의 성형조건을 변경하는 조작(제2 조작), 작업장치(3)의 성형조건을 참조하는 조작(제3 조작), 작업장치(3)의 동작이력데이터(예를 들면, 인코더(52a, 54a, 69a) 등의 각종 센서의 검출값, 정지이력, 및 성형조건의 변경이력 등)를 포함하는 작업장치(3)의 가동정보를 참조하는 조작(제4 조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에는,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설정(인스톨)하거나, 변경(업데이트)하거나 하는 조작(제5 조작), 당해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참조하는 조작(제6 조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 제1 조작(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은, 작업장치(3)의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전체 행정 중 적어도 일부의 작업을 실행시키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조작"은, 작업장치(3)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이기 때문에, 작업장치(3)의 조작에 해당한다. 또, "제2 조작"~"제6 조작"은, 컨트롤러(70)의 내부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데이터의 참조(구체적으로는, 참조데이터의 개시)나 프로그램 등의 변경을 요구하는 조작이기 때문에, 컨트롤러(70)의 조작에 해당한다. 또, 작업장치(3)의 조작은, 컨트롤러(70)를 통하지 않고, 표시장치(80)의 조작부나 후술하는 PC(100) 등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작업장치(3)에 송신되는 지령에 근거하여 실행 가능해도 된다. 또, 표시장치(80)의 조작부 혹은 후술하는 PC(100) 등으로부터 실행 가능한 조작에는, 다른 조작, 예를 들면 컨트롤러(70)이나 작업장치(3)에 대한 각종 데이터(예를 들면, 추가기능에 관련된 새로운 프로그램, 이미 인스톨되는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프로그램, 및 성형조건의 설정값이나 프로그램 내의 조건값 등의 변경용 파라미터 등을 포함하는 갱신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 "제5 조작"은,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변경기입조작이기 때문에, 변경기입내용에 따라서는,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제5 조작"은,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의 일례이다.
[사출 성형기의 조작계]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사출 성형기(1)의 조작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기(1)의 조작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1)는, 본체(2)(작업장치(3), 컨트롤러(70), 표시장치(80))에 더하여, PC(Personal Computer)(100), PC(200)를 포함한다.
또한, 사출 성형기(1)는, 본체(2), PC(100), 및 PC(200) 중 본체(2)만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고, 사출 성형기(1)(본체(2)), 및 PC(100), PC(200)는, 사출 성형기(1)(본체(2))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시스템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PC(100)(제1 단말의 일례)은, 본체(2)와 따로 마련되고, 컨트롤러(70)와 1 대 1로, 즉 직접 접속된다. PC(100)는, 표시장치(80)의 조작부를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100)에는, 소정의 OS(Operating System)가 인스톨됨과 함께, 당해 OS상에서 동작하는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고, 당해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컨트롤러(70)에 대한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각종 요구(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PC(100)를 이용하는 유저는, PC(100)의 기동 시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에서, 각 유저에게 고유의 유저ID(Identifier)와, 그 유저ID와 결합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인증을 받음으로써, PC(100)에 로그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유저는,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킴으로써,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컨트롤러(70)에 각종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커맨드"는, 작업장치(3)에 관한 조작에 대응하는 요구라는 전제로 설명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PC(100)로부터 실행 가능한 조작은, 상술한 제1 조작~제6 조작 중, 제3 조작~제6 조작이다. 또, PC(100)와 컨트롤러(70)의 접속양태는, 유선접속이어도 되고, 무선접속이어도 된다. 또, PC(100)는, 공장 내에 설치되는 로컬네트워크, 예를 들면 이더넷프로토콜(이더넷은, 등록상표)에 근거하는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하여, 본체(2)(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도 된다. 또, PC(100)는, 예를 들면 태블릿단말, 혹은 본체(2)에 대하여 탈착 가능한 패널형의 단말 등의 휴대단말로 치환되어도 된다. 이 경우, 패널형의 단말은, 예를 들면 상술한 표시장치(80)를 일체로 하여 포함하는 양태여도 된다.
PC(200)는, 통신네트워크(150)(소정의 네트워크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인터넷을 이용하는 VPN(Virtual Personal Network: 가상프라이빗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PC(10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PC(100)를 원격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200)에는, 소정의 OS가 인스톨됨과 함께, 당해 OS상에서 동작하여 PC(100)를 원격조작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리모트데스크탑기능 등)이 사전에 인스톨된다. PC(200)를 이용하는 유저는,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PC(100)를 원격조작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PC(200)를 이용하는 유저는, 당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함과 함께, 각 유저에게 고유의 유저ID와, 그 유저ID와 결합되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인증을 받음으로써, PC(100)에 접속하여 원격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PC(200)를 이용하는 유저는, PC(100)를 통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PC(200)의 유저는, PC(100)를 원격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컨트롤러(70)에 대하여, 커맨드를 출력시킬 수 있다. 이하,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커맨드 등의 각종 입력이, PC(100)를 직접 이용하여 행해졌는지, PC(200)를 통하여 PC(100)를 간접적으로 이용하여 행해졌는지를 구별하지 않고 설명을 행한다.
또한, PC(200)는, PC(10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단말 등의 휴대단말이어도 된다.
컨트롤러(70)는,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에 따라, 작업장치(3)를 포함하는 본체(2)의 제어를 행한다. 컨트롤러(70)는, 내부의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예를 들면, 기억부(7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CPU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기능부로서, 송수신제어부(702), 커맨드제어부(704), 유저관리부(705)를 포함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와, 커맨드제어부(704) 및 유저관리부(705) 사이의 교환을 제어한다. 송수신제어부(702)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맨드제어부(704)는, 표시장치(80)로부터 입력되는 제1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따라, 작업장치(3)(구체적으로는, 작업장치(3)에 포함되는 계량모터(52), 사출모터(54), 피드모터(69) 등의 하드웨어)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각종 지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커맨드제어부(704)는, 상술한 계량모터(52), 사출모터(54), 피드모터(69)의 피드백 제어에 대응하는 제어지령을 생성한다. 또, 커맨드제어부(704)는, 표시장치(80)로부터 입력되는 제2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따라, 성형조건의 설정을 변경한다. 또, 커맨드제어부(704)는, 표시장치(80) 혹은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제3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따라, 성형조건의 설정상태를 나타내는 참조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제어부(702)를 통하여, 표시장치(80) 혹은 PC(100)에 개시한다. 또, 커맨드제어부(704)는, 작업장치(3)의 동작이력데이터를 축적함과 함께, 표시장치(80) 혹은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제4 조작에 따라, 작업장치(3)의 동작이력데이터(참조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제어부(702)를 통하여, 표시장치(80) 혹은 PC(100)에 개시한다. 또, 커맨드제어부(704)는,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제5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따라,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데이터)의 변경(변경기입)을 행한다. 또, 커맨드제어부(704)는,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제6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에 따라, 작업장치(3)에 작업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데이터)의 참조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수신제어부(702)를 통하여, PC(100)에 개시한다.
유저관리부(705)는, PC(100) 혹은 PC(200)를 이용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각 유저에 관한 정보, 즉 유저정보(식별정보의 일례)를 관리한다. 유저관리부(705)는, 유저정보DB(7051)를 갖고, 유저정보는, 유저정보DB(7051)에 사전에 등록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은, PC(100)로부터 입력되는 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와, 유저정보DB(7051)에 등록된 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를 대조하여, 유저인증을 행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유저정보DB(7051)에 등록된 유저정보(이하, "등록유저정보"라고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등록유저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PC(100)를 이용하는 유저를 로컬유저(제1 유저의 일례)라고 칭하고, PC(200)를 이용하는 유저를 리모트유저(제2 유저의 일례)라고 칭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록유저정보에는, 각 유저에게 고유의 유저ID, 유저속성(속성정보의 일례), 패스워드, 패스워드의 유효기한이 포함된다.
유저ID는, 예를 들면 소정의 알고리즘으로 생성된 혹은 유저로부터 입력된 문자열 등에 의하여 규정된다. 유저ID는, PC(100)를 이용하기 위하여(즉, PC(100)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유저ID와 동일한 것이어도 되고, 다른 것이어도 된다. 이하, PC(100)를 이용하기 위한 유저ID와 동일하다는 전제로 설명을 행한다.
유저속성은, 유저가 로컬유저인지 리모트유저인지의 구별을 나타낸다.
또한, 유저속성은, 유저가 로컬유저인지 리모트유저인지의 구별 이외의 내용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속성은, 회사나 조직의 직위나 직능의 구별(클래스 나눔)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속성은, 경험치가 높은 작업자를 나타내는 "엑스퍼트"와, 경험치가 낮은 작업자를 나타내는 "초심자"를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패스워드, 패스워드의 기한, 허가커맨드, 및 거부커맨드의 설정은, "초심자"인 유저가 "엑스퍼트"인 유저보다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이 제한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패스워드는, PC(100)로부터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인증용이며, 유저ID와 대응된다. 본 예에서는, 유저속성이 로컬유저인 것을 나타내는 "로컬"의 경우, 패스워드, 및 그 유효기한은 설정되지 않는다. 한편, 유저가 리모트유저인 것을 나타내는 "리모트"의 경우, 패스워드, 및 그 유효기한이 설정된다. 즉, 리모트유저는, 로컬유저보다 유저인증을 받기 어려워지도록, 환언하면,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이 제한되도록, 패스워드 및 그 유효기한이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PC(200)를 이용하는 유저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특히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제5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유저가 로컬유저보다 유저인증을 받기 어려워지는 양태이면, 임의로 패스워드 및 패스워드의 유효기한은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로컬유저에도 유효기한이 없거나 혹은 유효기한이 리모트유저보다 뒤인 패스워드가 설정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로컬유저에는 패스워드의 설정이 없고, 리모트유저에는, 유효기한이 없는 패스워드가 설정되는 양태여도 된다.
또, 유저정보에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중 실행을 허가하는 커맨드(허가커맨드)와, 실행을 거부하는(허가하지 않는) 커맨드(거부커맨드)가 포함된다. 허가커맨드 및 거부커맨드는, 유저속성과 결합되는 양태로 사전에 규정된다. 즉, 유저속성이 "리모트"인지 "로컬"인지에 따라, 사전에 규정되는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허가커맨드와 거부커맨드가 설정, 등록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저속성이 "로컬"인 경우, 모든 커맨드(제3~제6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허가커맨드이며, 거부커맨드는 없다. 한편, 유저속성이 "리모트"인 경우, 모든 커맨드 중, 데이터 참조커맨드(제3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로그 참조커맨드(제4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 및 프로그램데이터 참조커맨드(제6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는, 허가커맨드이지만, 프로그램데이터 변경커맨드(제5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는, 거부커맨드이다. 즉, 리모트유저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지만,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PC(200)를 이용하는 유저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중,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제5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리모트유저여도,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기 위한 조작(제3 조작, 제4 조작 및 제6 조작)은, 허가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원격지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를 경유하여 본체(2)의 보수·점검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또, 각 유저(유저ID)에 대응되는 허가커맨드 및 거부커맨드는, 유저속성(로컬유저인지 리모트유저인지의 구별)에 대하여 사전에 규정되는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설정, 등록된다. 따라서, 유저정보DB(7051)에 유저정보를 등록할 때에, 허가커맨드 및 거부커맨드를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허가커맨드 및 거부커맨드가 변경기입될 가능성을 억제하고, 변경기입에 의하여, 리모트유저가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는, PC(100)로부터 본체(2)(컨트롤러(70))에 대하여, 제1 조작 및 제2 조작을 행할 수 없지만, PC(100)로부터 제1 조작 및 제2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양태여도 된다. 이 경우, 유저속성이 "로컬"인 경우, 제1 조작 및 제2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허가커맨드로 설정되고, 유저속성이 "리모트"인 경우, 제1 조작 및 제2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가 거부커맨드로 설정되도록 하면 된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PC(200)를 이용하는 유저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중,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제1 조작)이나 작업장치(3)이 작업을 행할 때의 성형조건의 변경을 행하는 조작(제2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가 관리하는 등록유저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장치(3)를 제어한다. 이하,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를 중심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1)에 있어서의 조작계에 관한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 성형기(1)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동작]
다음으로, 도 4~도 12를 참조하여,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를 중심으로 하는 사출 성형기(1)의 조작계에 관한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도 6을 참조하여, 유저인증에 관련된 사출 성형기(1)에 있어서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유저인증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에 의한 처리는, 예를 들면 PC(100)로부터 접속 요구가 입력되면 실행된다.
또한, PC(100)는, 예를 들면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이 유저에 의하여 기동되면, 컨트롤러(70)에 접속 요구를 출력한다.
스텝 S10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에 대하여, 유저로부터 입력된 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 이하, 로그인유저정보라고 칭함)를 요구하는 신호(로그인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10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로그인유저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로그인유저정보를 수신한 경우, 스텝 S106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예를 들면, 통신이상이나 PC(100)의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의 이상 등)에 의하여, 로그인유저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송수신제어부(702)는, 로그인유저정보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다시 로그인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된다.
스텝 S106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구체적으로는, 패스워드 및 패스워드의 유효기한)를 요구하는 신호(패스워드 요구)를 송신한다. 즉,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108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응답이 있었던 경우, 스텝 S110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에서 응답이 없었던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유저관리부(705)는, 패스워드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가 유저정보DB(7051)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당해 유저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및 그 유효기한을 포함하는 응답을 행하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을 행한다. 또,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다시 패스워드 요구를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된다.
스텝 S110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의 응답의 내용에 근거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가 등록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가 등록이 완료된 경우, 스텝 S112로 진행되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118로 진행된다.
스텝 S11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의 응답의 내용에 근거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패스워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송수신제어부(702)는, 로그인유저정보의 패스워드와, 유저관리부(705)로부터의 응답에 포함되는 패스워드(등록유저정보의 패스워드)를 대조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로그인유저정보의 패스워드가 유효한 경우, 스텝 S114로 진행되고, 유효하지 않은 경우, 스텝 S118로 진행된다.
스텝 S11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의 응답의 내용에 근거하여, 패스워드의 유효기한 내인지 여부(즉, 패스워드의 유효기한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패스워드의 유효기한 내인(유효기한을 지나지 않은) 경우, 스텝 S116으로 진행되고, 패스워드의 유효기한 내가 아닌(유효기한이 지난) 경우, 스텝 S118로 진행된다.
또한, 송수신제어부(702)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70)에 내장되는 시계(도시하지 않음)에 근거하여, 패스워드의 유효기한 내인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스텝 S116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인증성공이라고 판단하여,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으로의 접속, 즉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으로의 커맨드의 입력을 허가하고, 접속을 허가하는 통지(접속 허가통지)를 PC(100)에 송신한다.
한편, 스텝 S118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인증실패라고 판단하여,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으로의 접속을 거부하고, 접속을 거부하는 통지(접속 거부통지)를 PC(100)에 송신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유저인증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1)의 일련의 처리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C(100)는, 접속 요구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510).
송수신제어부(702)는, 컨트롤러(70)의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C(10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로그인유저정보 요구를 PC(100)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520).
또한, 스텝 S520은, 도 4의 스텝 S102에 상당한다.
PC(100)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로그인정보 요구를 수신하면,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로그인유저정보 응답)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530).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의 로그인유저정보 응답을 수신하면,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요구를 유저관리부(705)에 송신한다(스텝 S540).
또한, 스텝 S540의 처리는, 도 4의 스텝 S104~S106의 처리에 상당한다.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패스워드 요구를 받아들이면, 패스워드 요구에 포함되는 유저ID의 등록상황을 유저정보DB(7051)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유저관리부(705)는, 등록되어 있는 경우, 당해 유저ID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및 그 유효기한을 포함하는 응답신호(패스워드 응답)를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스텝 S550).
또한, 유저관리부(705)는, 유저정보DB(7051)에 당해 유저ID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송수신제어부(702)에 대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을 행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패스워드 응답을 받아들이면, 패스워드 응답의 내용에 근거하여, 접속의 허가여부 판정을 행한다(스텝 S560). 구체적으로는, 송수신제어부(702)는, 상술한 도 4의 스텝 S110~S114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속의 허가여부 판정을 행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접속을 허가하는 판정을 하면, PC(100)에 대하여, 접속 허가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570).
또한, 스텝 S570의 처리는, 도 4의 스텝 S116의 처리에 상당한다. 또, 송수신제어부(70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을 거부하는 판정을 하면, PC(100)에 대하여, 접속 거부통지를 송신한다.
본 예(도 4, 도 5)에서는, 송수신제어부(702)가, PC(10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아들인 후에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를 PC(100)에 요구하지만, 접속 요구에 로그인유저정보를 포함시켜도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당해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유저인증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1)의 일련의 처리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C(100)는,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610).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접속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요구를 유저관리부(705)에 송신한다(스텝 S620).
또한, 스텝 S620의 처리는, 도 4의 스텝 S106의 처리에 상당하고, 본 예의 경우, 도 4의 스텝 S102, 104의 처리는 생략된다.
스텝 S630~S650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550~S570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의 컨트롤러(70)의 유저관리부(705)가 PC(100, 200)를 이용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유저의 등록유저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본체(2)의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가 관리하는(즉, 유저정보DB(7051)에 등록되는) 등록유저정보와, PC(100)로부터 입력되는 로그인유저정보에 근거하여, 유저인증(즉,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으로의 접속의 허가여부 판정)을 행한다. 따라서, PC(200)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 경유로 부정하게 PC(100)를 조작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본체(2)측, 구체적으로는, 본체(2)의 컨트롤러(70)이 유저인증을 행하기 때문에, 통신네트워크(150) 경유로 작업장치(3)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관리부(705)는, 리모트유저와 로컬유저를 식별 가능한 양태, 구체적으로는, 등록유저정보에 리모트유저와 로컬유저의 구별을 나타내는 유저속성을 포함하는 양태로 등록유저정보를 관리한다. 따라서, 유저관리부(705)는, PC(200)를 이용하는 리모트유저가, PC(100)를 이용하는 로컬유저보다 컨트롤러(70)에 접속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관리부(7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유저에는, 로컬유저에는 설정되지 않는 패스워드를 마련하거나, 로컬유저보다 빨리 경과하는 패스워드의 유효기한을 마련하거나 한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PC(200)를 이용하는 유저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특히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제1 조작)이나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제5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도 8을 참조하여,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커맨드에 관련된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커맨드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도 4의 플로차트의 처리에 의하여 접속이 허가된 PC(100)로부터 커맨드가 입력되면 실행된다.
스텝 S20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등록유저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등록유저정보 요구), 구체적으로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유저관리부(705)에 송신한다.
스텝 S20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던 경우, 스텝 S206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등록유저정보 응답)를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 또,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다시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된다.
스텝 S206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의 응답의 내용, 즉 등록유저정보 응답에 포함되는 등록유저정보에 근거하여, PC(100)로부터의 커맨드가 허가커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의 커맨드가 허가커맨드인 경우, 스텝 S208로 진행되고, 허가커맨드가 아닌(즉, 거부커맨드인) 경우, 스텝 S214로 진행된다.
스텝 S208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실행을 허가하고, 커맨드제어부(704)에 대하여, 커맨드의 실행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210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제어부(704)로부터 커맨드의 실행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제어부(704)로부터 커맨드의 실행 응답이 있었던 경우, 스텝 S212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에서 응답이 없었던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제어부(704)로부터 커맨드의 실행 응답이 없었던 경우, 다시 커맨드의 실행 요구를 커맨드제어부(704)에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된다.
스텝 S21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실행의 통지(커맨드실행통지)를 PC(100)에 송신하고,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06에서, PC(100)로부터의 커맨드가 거부커맨드라고 판정되면, 스텝 S21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의 실행을 거부하고, PC(100)에 대하여, 커맨드실행의 거부통지를 송신한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커맨드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1)의 일련의 처리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C(100)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커맨드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810).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커맨드를 받아들이면,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820).
또한, 스텝 S820의 처리는, 도 7의 스텝 S202의 처리에 상당한다.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를 유저정보DB(705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관리부(705)는, 취득한 등록유저정보의 일부(적어도 허가커맨드를 포함함)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응답을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스텝 S830).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응답을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응답의 내용(즉, 적어도 허가커맨드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에 근거하여, 커맨드의 실행을 허가하는지 여부의 판정(허가여부 판정)을 행한다(스텝 S840). 구체적으로는, 송수신제어부(702)는, 상술한 도 7의 스텝 S206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커맨드의 실행의 허가여부 판정을 행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입력된 커맨드의 실행을 허가하면, 커맨드제어부(704)에 대하여, 커맨드의 실행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850).
또한, 스텝 S850의 처리는, 도 7의 스텝 S208의 처리에 상당한다.
커맨드제어부(704)는, PC(100)로부터 커맨드의 실행 요구를 받아들이면, 커맨드를 실행한다. 그리고, 커맨드제어부(704)는, 커맨드의 실행 응답을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스텝 S860).
송수신제어부(702)는, 커맨드제어부(704)로부터 커맨드의 실행 응답을 받아들이면, PC(100)에 대하여, 커맨드의 실행통지를 송신한다(스텝 S870).
또한, 스텝 S870의 처리는, 도 7의 스텝 S210, S212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70)는, PC(100)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PC(200)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작업장치(3) 및 컨트롤러(70)에 대한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관리부(705)는, 리모트유저와 로컬유저를 식별 가능한 양태이며, 등록유저정보를 관리하고, 컨트롤러(70)는, PC(100)로부터 입력되는 로그인유저정보와, 당해 등록유저정보에 근거하여, 작업장치(3)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는, 로그인유저정보와 등록유저정보를 대조한다. 그리고, 컨트롤러(70)는,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가 로컬유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조작 가능한 내용의 모든(제1 조작~제6 조작, 혹은 제3 조작~제6 조작) 실행을 허가한다. 한편, 컨트롤러(70)는,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가 리모트유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제1 조작), 성형조건을 변경하는 조작(제2 조작), 및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데이터를 변경하는 조작(제5 조작)이 행해져도, 실행을 거부한다.
PC(200)와 같은 단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경유로 사출 성형기(1)(본체(2)) 등을 원격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지로부터 사출 성형기(1) 등의 동작이력데이터 등을 확인하고, 보수·점검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케이스이다. 이러한 경우, 현지, 즉 사출 성형기(1)의 본체(2)의 근처에 작업자가 없는 상황에서,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사출 성형기 등이 조작되어, 사출 성형기(1)(작업장치(3))이 실제 작업(예를 들면,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환경에서 PC(200)를 이용하는 유저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중,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제1 조작), 작업장치(3)이 작업을 행할 때의 성형조건의 변경을 행하는 조작(제2 조작), 및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데이터를 변경하는 조작(제5 조작)을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네트워크 경유로의 조작에 따라, 현지에 작업자가 없는 상황에서, 실제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장소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접속되는 PC(200)로부터의 작업장치(3) 조작내용을 제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컨트롤러(70)는, 로그인유저정보(유저ID)가 리모트유저인 것을 나타내는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면 제3 조작, 제4 조작, 제6 조작 등의 각종 데이터의 참조(개시)를 요구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그 실행을 허가한다. 이로써, 본체(2)를 시인할 수 없는 장소로부터 접속하는 PC(200)로부터라도, 작업장치(3)의 가동정보 등을 참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원격지로부터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유저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체(2)를 시인 가능한 환경에서 유저가 이용하는 PC(100)는, PC(200)로부터의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컨트롤러(70) 혹은 작업장치(3)에 대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든 조작내용을, 자기로부터의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컨트롤러(70) 혹은 작업장치(3)에 대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PC(200)로부터의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컨트롤러(70) 혹은 작업장치(3)에 대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조작내용을, 자기로부터의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컨트롤러(70) 혹은 작업장치(3)에 대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안전성과 유저의 편리성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등록유저정보의 참조 요구에 관한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등록유저정보 참조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도 4의 플로차트의 처리에 의하여 접속이 허가된 PC(100)로부터 등록유저정보의 참조 요구(등록유저정보 참조 요구)가 입력되면 실행된다.
스텝 S30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등록유저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등록유저정보 요구), 구체적으로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30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던 경우, 스텝 S306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등록유저정보 응답)를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 또,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다시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되며, 등록유저정보의 참조 불가라는 통지를 PC(100)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306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등록유저정보(참조데이터)를 통지하는 신호(등록유저정보 통지)를 PC(100)에 송신하고,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등록유저정보 참조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1)의 일련의 처리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PC(10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등록유저정보참조 요구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1010).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등록유저정보참조 요구를 수신하면,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020).
또한, 스텝 S1020의 처리는, 도 9의 스텝 S302의 처리에 상당한다.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를 유저정보DB(7051)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유저관리부(705)는, 취득한 등록유저정보를 포함하는 등록유저정보 응답을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스텝 S1030).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등록유저정보 응답을 받아들이면, 등록유저정보 응답에 포함되는 등록유저정보(참조데이터)를 통지하는 신호(등록유저정보 통지)를 PC(100)에 송신한다(스텝 S1040).
또한, 스텝 S1040의 처리는, 도 9의 스텝 S304, S306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70)는, PC(100)로부터의 참조 요구에 따라, 인증을 받은(로그인 중인) 유저에 관한 등록유저정보(참조데이터)를 PC(100)에 개시한다. 이로써, 유저는 자신의 등록유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 도 12를 참조하여, PC(100)로부터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등록유저정보(구체적으로는, 패스워드)의 갱신 요구에 관한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등록유저정보 갱신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플로차트는, 도 4의 플로차트의 처리에 의하여 접속이 허가된 PC(100)로부터, 갱신 후의 패스워드(갱신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패스워드의 갱신 요구(패스워드 갱신 요구)가 입력되면 실행된다.
스텝 S402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패스워드갱신을 요구하는 신호(등록유저정보 요구), 구체적으로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 및 갱신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404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있었던 경우, 스텝 S406으로 진행되고, 어떤 이유에서 응답이 없는 경우,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받아들이면, 유저정보DB(7051)에 있어서, 패스워드 갱신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의 패스워드를 갱신패스워드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유저관리부(705)는, 등록유저정보의 패스워드를 갱신했다는 응답신호(패스워드 갱신 응답)를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 또,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다시 등록유저정보 요구를 송신해도 되고, 어떤 이상이 있다는 것을 표시장치(80)에 표시시켜도 되며, 패스워드의 갱신 불가하다는 통지를 PC(100)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406에서, 송수신제어부(702)는, 패스워드를 갱신한 것을 통지하는 신호(패스워드 갱신 통지)를 PC(100)에 송신하고, 이번 처리를 종료한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컨트롤러(70)(송수신제어부(702))에 의한 등록유저정보 갱신처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1)의 일련의 처리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PC(10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컨트롤러(70)에 송신한다(스텝 S1210).
송수신제어부(702)는, PC(100)로부터 갱신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수신하면, 유저관리부(705)에 대하여,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 및 갱신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송신한다(스텝 S1220).
또한, 스텝 S1220의 처리는, 도 11의 스텝 S402의 처리에 상당한다.
유저관리부(705)는, 송수신제어부(702)로부터 패스워드 갱신 요구를 받아들이면, 유저정보DB(7051)에 있어서, 당해 패스워드 갱신 요구에 포함되는 로그인유저정보의 유저ID에 대응하는 등록유저정보의 패스워드를 갱신패스워드의 내용으로 갱신한다. 그리고, 유저관리부(705)는, 패스워드 갱신 응답을 송수신제어부(702)에 송신한다(스텝 S1230).
송수신제어부(702)는, 유저관리부(705)로부터 패스워드 갱신 응답을 받아들이면, 패스워드 갱신 통지를 PC(100)에 송신한다(스텝 S1240).
또한, 스텝 S1040의 처리는, 도 11의 스텝 S404, S406의 처리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70)는, PC(100)로부터의 갱신 요구에 따라, 인증을 받은(로그인 중인) 유저에 관한 등록유저정보, 구체적으로는, 패스워드를 갱신한다. 이로써, 유저는, 유저ID에 대응된 인증용 패스워드를 스스로 갱신할 수 있다. 특히, 리모트유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기한이 설정되거나, 유효기한이 로컬유저보다 빨리 경과하거나 하기 때문에, 스스로 패스워드의 갱신이 가능해져, 리모트유저의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PC(100)는, 1대의 본체(2)(작업장치(3))를 조작 가능한 구성이지만, 복수의 본체(2)를 조작대상으로 하는 단말로 치환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기(1)의 조작계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서는, PC(100)이 관리단말(100A)로 치환됨과 함께, 관리단말(100A)가 복수의 본체(2)를 조작대상으로 하는 점에서 상술한 일례(도 2 참조)와 다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본체(2)에 포함되는 구성(작업장치(3), 컨트롤러(70), 표시장치(80))은, 상술한 일례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리단말(100A)(제1 단말의 다른 예)은, 로컬네트워크(110)을 통하여, 복수의 본체(2)(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컨트롤러(7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관리단말(100A)은, 예를 들면 복수의 본체(2)가 설치되는 공장(이하, 간단히 공장이라고 칭함)의 내부의 관제실 등에 마련되는 정치형의 단말이어도 되고, 관리자 등이 공장 내를 이동할 때에 휴대 가능한 태블릿형의 단말 등의 휴대단말이어도 된다. 로컬네트워크(110)는, 예를 들면 공장의 건물 중에 배치된 이더넷프로토콜에 근거하는 LAN(Local Area Network)이어도 되고, 유선 LAN이어도 되며 무선 LAN이어도 된다.
관리단말(100A)은, 복수의 본체(2)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관리단말(100A)은, 복수의 본체(2)로부터 송신되는 운전상태, 생산진척상태, 성형품의 품질상태, 성형조건의 설정상태, 이상상태의 유무(이상알람발생의 유무) 등에 관한 정보(가동정보)를 수신한다. 이로써, 관리단말(100A)은, 복수의 본체(2)에 있어서의 가동상황(예를 들면, 가동률, 정지이력, 정지횟수, 사이클시간, 생산숏수 등), 생산진척상황, 성형품의 품질상태, 성형조건의 설정상태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 관리단말(100A)은, 상술한 일례에 있어서의 PC(100)와 마찬가지로,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다. 그리고, 관리단말(100A)은, 관리단말(100A)에 대한 직접적인 로컬유저의 조작, 혹은 PC(200)에 있어서의 리모트유저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본체(2)의 각각의 컨트롤러(70)에 대한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본체(2)의 컨트롤러(70)는, 상술한 일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리단말(100A)로부터의 직접적인 조작입력의 경우와, PC(200)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한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작업장치(3)의 제어양태, 즉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는,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입력이 있었을 때에, 작업장치(3)에 실제 작업을 행하게 할지 여부에 관한 제어양태를 변경한다. 이로써, 상술한 일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C(200)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 즉 공장 이외의 글로벌네트워크 경유로 부정하게 관리단말(100A)를 조작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각각의 본체(2)측,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본체(2)의 컨트롤러(70)이 유저인증을 행하기 때문에, 글로벌네트워크 경유로 작업장치(3)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리단말(100A)은, 정치형의 단말이어도, 휴대단말이어도, 공장 내의 복수의 본체(2)의 비교적 근처에서 이용되고, 관리단말(100A)를 직접조작하는 로컬유저는, 현지에서 각각의 본체(2)의 상황을 시인 가능하다. 따라서, 로컬유저에 의한 관리단말(100A)의 직접조작에 의하여, 작업장치(3)를 작동시켜도 문제가 없다.
또, 본 예에 있어서, 관리단말(100A)은, 상술한 일례에 나타내는 PC(10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본체(2)와 1 대 1로 직접 접속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예에 있어서의 PC(200)는, 관리단말(100A)를 통하여, 복수의 본체(2) 중 일부의 본체(2)에만 조작입력을 출력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즉, PC(200)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이 제한되는 데에 더하여, 복수의 본체(2) 중에서 조작 가능한 대상이 제한(한정)되는 양태여도 된다. 이 경우, 관리단말(100A)은, PC(200)로부터의 로그인의 경우, 조작입력의 출력대상을 한정함으로써 대응해도 된다. 또, 이 경우, 각각의 본체(2)에 관련되어 소정의 유저에게 부여되는, 본체(2)의 컨트롤러(7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용 정보(예를 들면, 전용코드 등)가 사전에 규정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각각의 본체(2)의 컨트롤러(70)는, PC(200)로부터 입력되는 액세스 요구에, 자기가 포함되는 본체(2)에 관련된 액세스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PC(200)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양태여도 된다. 즉, 일부의 본체(2)에 대한 액세스가 허가되는 특정 유저에 의하여 당해 일부의 본체(2)의 각각에 관련되어 부여되는 액세스용 정보가 PC(200)으로 입력되거나, PC(200)에 사전에 등록된 액세스용 정보가 자동적으로 읽어 내어지는 등에 의하여, 당해 유저는, 일부의 본체(2)의 컨트롤러(70)에 액세스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PC(200)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PC(100)에 접속되고, PC(200)를 이용하는 리모트유저는, PC(100)를 원격조작함으로써, 본체(2)의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행하지만, PC(200)는,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PC(100)를 통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PC(100)와 통신 가능한 양태로 접속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사출 성형기(1)의 조작계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서는, PC(200)가, PC(100)를 통하지 않고, 통신네트워크(150)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본체(2)와 접속되는 점에 있어서, 상술한 일례와 다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의 본체(2)에 포함되는 구성(작업장치(3), 컨트롤러(70), 표시장치(80))은, 상술한 일례 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PC(200)는, PC(100)와 마찬가지로,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고, 당해 조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컨트롤러(70)에 대한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할 수 있다.
본체(2)의 컨트롤러(70)는, 상술한 일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C(100)로부터 입력되는, 로컬유저의 유저ID와, PC(200)로부터 입력되는, 리모트유저의 유저ID를 식별함으로써, 작업장치(3)의 제어양태, 즉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한다. 이로써, 상술한 일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C(200)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 즉 공장 이외의 글로벌네트워크 경유로 부정하게 본체(2)에 조작입력을 출력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본체(2)측, 구체적으로는, 본체(2)의 컨트롤러(70)이 유저인증을 행하기 때문에, 글로벌네트워크 경유로 작업장치(3)를 용이하게 작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인터넷 등의 글로벌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PC(200)는, PC(100)의 경우와 다르고,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이 제한되지만, 당해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도메인분할되는, 공장 내의 복수의 로컬네트워크 중, 컨트롤러(70) 혹은 PC(100)이 속하는 도메인에 관한 로컬네트워크 이외의 로컬네트워크, 즉 외부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PC 등의 단말이 있는 경우, 당해 단말에 대해서도,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이 제한되어도 된다. 공장 내의 로컬네트워크여도, 대상이 되는 본체(2)의 컨트롤러(70)이나 PC(100)와 다른 도메인의 단말에 대해서는, 본체(2)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컨트롤러(70) 혹은 PC(100)이 속하는 도메인과 동일한 도메인의 로컬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PC 등의 단말이 있는 경우, 당해 단말에 대해서도,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이 제한되어도 된다. 컨트롤러(70) 혹은 PC(100)와 동일한 도메인의 로컬네트워크에 속하는 단말이어도, 당해 도메인이 커버하는 물리적인 에어리어의 크기 등에 따라서는, 당해 단말과 본체(2) 사이가 물리적으로 너무 떨어지게 되어, 단말의 이용자가 본체(2)의 상황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없는 상황도 상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관리단말(100A) 등의 단말과 같이, 공장 내의 로컬네트워크에 속하는 단말이면, 본체(2)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많다. 이로 인하여,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의 제한은, 외부네트워크 및 글로벌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 혹은 글로벌네트워크 경유로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에만 적용하는 양태여도 된다.
즉,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의 제한을 적용하는 단말이 경유하는 소정의 네트워크의 조건은, 본체(2)와 상정되는 네트워크의 물리적인 범위와의 위치관계 등을 고려하여, 컨트롤러(70) 등과 동일한 도메인의 네트워크, 외부네트워크, 및 글로벌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양태이며, 적절히 결정되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컨트롤러(70)는, 유저정보(유저ID, 속성정보 등)에 근거하여, PC(100)나 관리단말(100A) 등으로부터의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와,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식별하지만, 당해 양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는, 소정의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에 포함되는 송신원의 단말을 나타내는 IP어드레스 등의 다른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PC(100)나 관리단말(100A) 등으로부터의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와,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식별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이 제한되는 대상의 소정의 네트워크가 글로벌네트워크인 경우, 컨트롤러(70)는, 공장 내에 배치되는 로컬네트워크에 속하는 PC(100)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로컬 IP어드레스인지, 통신네트워크(150) 경유의 PC(200)에 대응하는 도메인의 글로벌 IP어드레스인지에 따라, 식별을 행해도 된다. 또, 제한대상의 소정의 네트워크가 컨트롤러(70) 등이 속하는 로컬네트워크의 외부네트워크(도메인이 다른 로컬네트워크)인 경우, 컨트롤러(70)는, 조작입력의 송신원의 로컬 IP어드레스가 컨트롤러(70) 등과 동일한 도메인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식별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컨트롤러(70)는, 유저정보DB(7051)를 포함하는 유저관리부(705)를 대신하여, 다른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은,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으로서, 제2 조작, 제5 조작이 제한되지만, 제2 조작, 혹은 제5 조작의 전제가 되는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조작은 허가되는 양태여도 된다. 예를 들면,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은, 신규 인스톨용, 재인스톨용 혹은 업데이트용 프로그램데이터나 성형조건의 설정값 등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갱신정보의 컨트롤러(70)으로의 송신에 대해서는 허가되는 양태여도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은, 제2 조작 및 제5 조작이 제한되기 때문에, 당해 프로그램의 인스톨이나 당해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의 성형조건으로서 입력 등, 송신된 데이터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로써,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PC(100), 관리단말(100A)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액세스하는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에서,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 가능한 내용이 변경되지만, 이에 더하여, 다른 요소에 따라, 조작 가능한 내용이 변경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70)는,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 액세스하는 유저가 사전에 등록되는 복수의 유저 중 어느 유저인지에 따라, 조작 가능한 내용을 변경해도 된다. 즉, 복수의 유저마다 조작 가능한 내용(권한)이 부여되는 양태여도 된다. 또, 컨트롤러(70)는, 액세스원인 단말의 네트워크 경유상황에 따라, 즉 글로벌네트워크 경유인지, 외부네트워크 경유인지, 로컬네트워크 경유인지 등의 구별에 따라, 조작 가능한 내용을 변경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컨트롤러(70)에 접속하는 단말은,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련된 조작 중, 작업장치(3)에 작업을 실행시키거나 혹은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이 제한되지만, 이에 더하여, 참조하는 등에 의하여 개시하는 가동정보를 제한해도 된다. 즉, 컨트롤러(70)는,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 그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작업장치(3)의 가동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당해 단말에 개시하는 것을 허가하는 한편, 그 적어도 일부 이외의 가동정보를 당해 단말에 개시하는 것, 및 그 조작입력에 근거하는 작업장치(3)의 동작에 관한 조작을 제한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단말에 대하여, 작업장치(3) 혹은 컨트롤러(70)에 대한 모든 조작내용 중 당해 단말이 조작 가능한 내용만 혹은 당해 단말이 조작 불가능한 내용만을 통지해도 된다. 이때, 컨트롤러(70)는, 통지내용을 당해 단말의 표시부(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출력지령이나 당해 통지내용을 음성출력시키기 위한 음성출력지령을 당해 통지와 함께, 당해 단말에 송신해도 된다. 이로써,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단말의 유저는, 사전에 조작 가능한 내용이나 조작 불가능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PC(100), PC(200), 관리단말(100A) 등은, 사출 성형기(1)의 본체(2)에 대한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하지만, 대신에, 혹은 이에 더하여, 본체(2)의 주변기기(예를 들면, 취출기, 반송기, 분쇄기 등)의 동작에 관한 조작입력을 포함하는 커맨드를 출력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본체(2)의 컨트롤러(70)에 상당하는, 주변기기에 탑재되는 컨트롤러는, PC(100), 관리단말(100A) 등으로부터의 로컬유저에 의한 조작입력의 경우와, PC(200) 등의 소정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단말로부터의 리모트유저에 의한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주변기기(작업장치)의 제어양태, 즉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한다. 이로써, 사출 성형기(1)의 본체(2)를 제어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PC(200)로부터 통신네트워크(150), 즉 공장 이외의 소정의 네트워크 경유로 주변기기에 조작입력을 출력할 수 있어도, 소정의 네트워크 경유로 주변기기(작업장치)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는, 사출 성형기(1)의 본체(2)(작업장치(3))를, PC(100), PC(200), 관리단말(100A) 등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대상으로 하지만, 사출 성형기(1)는, 정치형의 본체를 포함하는 산업기계의 일례이며, 당해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소정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를, PC(100), PC(200), 관리단말(100A) 등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조작대상으로 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개시하는 내용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은, 2016년 5월 24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2016-103633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일본 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서 원용한다.
1 사출 성형기
2 본체
3 작업장치
10 가열실린더
20 스크루
21 스크루본체
22 사출부
23 플라이트부
24 압력부
26 홈
52 계량모터
54 사출모터
56 압력검출기
60 재료공급장치
63 피드실린더
67 피드스크루
69 피드모터
70 컨트롤러(제어장치)
72 기억부
74 CPU
76 타이머
80 표시장치
100 PC(제1 단말)
100A 관리단말(제1 단말)
110 로컬네트워크
150 통신네트워크(소정의 네트워크)
200 PC(제2 단말)
702 송수신제어부
704 커맨드제어부
705 유저관리부(관리부)
7051 유저정보DB

Claims (15)

  1. 금형장치에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고,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어느 단말이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어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와, 상기 관리부가 관리하는 식별정보를 대조하여, 대조결과에 따라,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당해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내용을 결정하는, 사출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은, 각각,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에 관한 사전에 규정되는 복수의 조작내용 중, 적어도 하나의 조작내용을 실행 가능하고, 또한 서로 다른 조작내용을 실행 가능한, 사출 성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작내용은, 상기 작업장치에 상기 작업을 실행시키는 조작, 상기 작업장치의 성형조건을 변경하는 조작, 상기 성형조건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조작, 상기 작업장치의 성형조건을 참조하는 조작, 상기 작업장치의 가동정보를 참조하는 조작, 상기 작업장치에 작업을 실행시키는 소프트웨어를 설정하는 조작, 상기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에 송신하는 조작, 및 설정된 상기 소프트웨어의 데이터를 참조하는 조작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직접 접속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가 상기 제어장치가 속하는 로컬네트워크의 외부네트워크인 경우에, 당해 로컬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사출 성형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는, 로컬네트워크, 외부네트워크, 및 글로벌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당해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 당해 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장치에 상기 작업을 실행시키거나 또는 실행시킬 수 있는 조작입력이 있어도, 상기 작업장치에 상기 작업을 실행시키지 않는, 사출 성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당해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소정의 정보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당해 단말에 대하여, 모든 조작내용 중의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 조작 가능한 내용만, 또는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 조작 불가능한 내용만을 통지하는, 사출 성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가 관리하는 상기 식별정보는, 각 유저에게 고유의 식별자와, 속성정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 상기 제2 단말을 이용하고 있는 유저에 따라, 또는 상기 제2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경유상황에 따라, 조작 가능한 내용을 변경하는, 사출 성형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 그 조작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작업장치의 가동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2 단말에 개시하는 것을 허가하는, 사출 성형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 그 조작입력에 근거하는 상기 작업장치의 동작에 관한 조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사출 성형기.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와, 상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를 복수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본체에 관련되어 소정의 유저에게 부여되는, 당해 본체의 상기 제어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액세스용 정보가 사전에 규정되며,
    복수의 상기 본체에 포함되는 각각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어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액세스 요구에, 자기가 포함되는 상기 본체에 관련된 상기 액세스용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당해 단말의 액세스를 허가하는, 사출 성형기.
  14. 금형장치에 성형재료를 충전하는 사출장치를 포함하고, 성형재료로부터 성형품을 생성하는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사출 성형기와,
    상기 제어장치와 접속 가능한 제1 단말과,
    상기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제2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상기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어느 단말이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어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와, 상기 관리부가 관리하는 식별정보를 대조하여, 대조결과에 따라,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당해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내용을 결정하는, 사출 성형 시스템.
  15. 소정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제1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와, 제2 단말이 당해 제어장치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단말을 통하여,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를 조작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2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의 경우에서, 상기 작업장치 또는 당해 제어장치의 조작 가능한 내용을 다르게 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어느 단말이 상기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어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와, 상기 관리부가 관리하는 식별정보를 대조하여, 대조결과에 따라, 당해 단말에 의한 상기 작업장치 또는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을 실행 가능한 상태가 확립되어 있을 때의 당해 단말로부터의 조작입력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내용을 결정하는, 산업 기계.
KR1020187032028A 2016-05-24 2017-05-19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KR102336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3633 2016-05-24
JP2016103633 2016-05-24
PCT/JP2017/018849 WO2017204110A1 (ja) 2016-05-24 2017-05-19 射出成形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741A KR20190009741A (ko) 2019-01-29
KR102336418B1 true KR102336418B1 (ko) 2021-12-08

Family

ID=6041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028A KR102336418B1 (ko) 2016-05-24 2017-05-19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466638B1 (ko)
JP (2) JP6800966B2 (ko)
KR (1) KR102336418B1 (ko)
CN (1) CN109451733A (ko)
WO (1) WO2017204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830B2 (ja) * 2018-01-31 2020-10-2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複数台のネットワーク端末から同時接続が可能な射出成形機
EP4291381A1 (en) * 2021-03-25 2023-12-20 Barnes Group, Inc. Injection molding system and method with task based user interface
DE112022001921T5 (de) * 2021-03-31 2024-01-18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steuern von spritzgiessmaschine
CN114760371B (zh) * 2022-04-08 2024-08-30 广东拓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注塑站通讯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192A (ja) * 2012-05-15 2013-11-28 Fanuc Ltd 射出成形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6531A (ja) * 2000-09-12 2002-03-26 Nissei Plastics Ind Co 成形機の監視・管理・制御システム
JP4454977B2 (ja) 2002-08-27 2010-04-2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成形機管理システム、成形機管理装置、携帯情報端末、成形機管理装置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
JP2004155055A (ja) 2002-11-06 2004-06-03 Nissei Plastics Ind Co 成形機の制御装置
JP4512462B2 (ja) * 2004-09-24 2010-07-28 東芝機械株式会社 成形機の制御システム
JP4878770B2 (ja) 2005-04-11 2012-02-15 東洋機械金属株式会社 ユーザ管理機能を備えた成形機及び成形機の個別ユーザ管理方法
JP2007304641A (ja) * 2006-05-08 2007-11-22 Murata Mach Ltd 成形機管理システム
JP2008238708A (ja) 2007-03-28 2008-10-09 Yushin Precision Equipment Co Ltd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これに使用するコントローラ
JP2012079209A (ja) * 2010-10-05 2012-04-19 Japan Steel Works Ltd:The 射出成形機のログイン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JP2014019039A (ja) * 2012-07-17 2014-02-03 Japan Steel Works Ltd:The 操作権限の変更が可能な射出成形機
JP2015116757A (ja) * 2013-12-19 2015-06-2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ネットワーク端末からの操作が可能な射出成形機
JP6092349B2 (ja) 2014-11-27 2017-03-08 アルバック コリア リミテッドUlvac Korea,Ltd. 基板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7192A (ja) * 2012-05-15 2013-11-28 Fanuc Ltd 射出成形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741A (ko) 2019-01-29
JP7039679B2 (ja) 2022-03-22
JP6800966B2 (ja) 2020-12-16
JPWO2017204110A1 (ja) 2019-03-22
CN109451733A (zh) 2019-03-08
WO2017204110A1 (ja) 2017-11-30
JP2021041705A (ja) 2021-03-18
EP3466638A4 (en) 2019-12-25
EP3466638B1 (en) 2023-01-11
EP3466638A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6418B1 (ko) 사출 성형기, 사출 성형 시스템, 및 산업 기계
CN110601820B (zh) 用于现场设备的安全操作的方法和装置
US20170257378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ield device
JP2020519208A5 (ko)
CN1914858A (zh) 通信系统和通信方法
CN105988449A (zh) 一种生产线监控方法、远程客户端、服务器以及上位机
TW202031028A (zh) 包含電子鎖之物聯網裝置的驗證
KR20140128462A (ko) 로그인 방법 및 장치, 단말기 및 네트워크 서버
US20150236903A1 (en) Information setting device, information setting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761735B (zh) 一种车载环视系统标定装置及方法
US1119536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nks preparation machine, drinks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appliance
TW201544982A (zh) 機器控制系統、機器控制裝置、機器控制方法以及程式產品
JP6457471B2 (ja) 操作者識別システム
CN110660145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锁控制方法、系统、锁及存储介质
JP2018147236A (ja) マシニングセンタnc操作盤
KR101661378B1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갖는 hmi 시스템
US20160299490A1 (en) Method for the Enabling of Machine Functions on a Spinning-Mill Machine
US11561917B2 (en) USB connection management
JP6771829B2 (ja) 遠隔操作が可能な射出成形機
WO2015128684A2 (en) Process and schematic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s by remote control and for collecting, utilising, and transmitting the operating parameters of such devices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JP6771830B2 (ja) 複数台のネットワーク端末から同時接続が可能な射出成形機
JP7190101B2 (ja) 生産管理システム
CN110999354B (zh) 到由主机设备托管的本地网络的设备的部署
JP6790700B2 (ja) 認証装置、端末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01269B2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