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726B1 - 원격 회전 조작구 - Google Patents

원격 회전 조작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726B1
KR102334726B1 KR1020187035789A KR20187035789A KR102334726B1 KR 102334726 B1 KR102334726 B1 KR 102334726B1 KR 1020187035789 A KR1020187035789 A KR 1020187035789A KR 20187035789 A KR20187035789 A KR 20187035789A KR 102334726 B1 KR102334726 B1 KR 102334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member
axial direction
outer cylinder
tool
oper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824A (ko
Inventor
도모히로 오리카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1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으로 회전을 전달할 수 있고, 회전 전달 경로에서의 회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각종 공구와의 접속 구조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를 제공한다.
원격 회전 조작구(10)는, 외통(12)과, 외통(12)과 축 중심을 공유하도록 외통(12)과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통(12) 내에 설치되는 내통(14)과, 내통(14)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조작축(16)과, 조작축(16)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부여 기구(20)와, 외통(12)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조작축(1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축 지지부(22)와, 내통(14)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조작축(16)의 회동에 연동하여 공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18)와, 외통(12)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전달 부재(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부재 지지부(24)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지지부(24)는, 공구를 전달 부재(18)에 착탈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2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원격 회전 조작구
본 발명은, 원격 회전 조작구(romote operation tool)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가공선(架空線)에 관련된 각종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 배전선로(配電線路)를 지지하기 위해 필요한 전주(電柱), 철탑 등의 지지물 및 가공선에 대한 각종 부속물의 착탈 작업 외에, 가공 배전선로를 형성하기 위한 각종 활선(活線; live-wire) 작업을 행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서, 특히, 우천 시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활선 작업을 행할 때는, 핫 스틱(hot stick) 등의 활선 공사용 장척(長尺) 공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공 전선의 배선 공사 등의 활선 작업에 있어서, 특히, 우천 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활선 공사용 장척 도구로서의 전천후형(全天候型) 조작봉(operation rod)(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전천후형 조작봉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구 유닛에 대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고, 가공 전선의 공사 작업을 행하는 전천후형 조작봉으로서, 기체(基體)로 되는 고정 파이프와, 이 고정 파이프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삽입된 조작 파이프와, 이 조작 파이프의 하단부에 삽입되고,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고정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고정되고,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고정 파이프와 조작 파이프와의 슬라이딩부에 설치되고, 조작 파이프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엔드 커버와, 조작 파이프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부 엔드 커버와, 상부 엔드 커버와 조작 파이프를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부재와, 상부 엔드 커버의 상부에 고정되고, 공구 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인트와, 공구 유닛의 접속 부재에 접속되고, 공구 유닛과 전천후형 조작봉을 일체로 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종래의 전천후형 조작봉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활선 작업에 관한 각종 공구 유닛에 회전을 전하는 회전 부재는, 고정 파이프의 중공부(中空部)에 삽입된 조작 파이프와, 조작 파이프의 하단부에 고정시킨 샤프트와, 샤프트의 각부(角部)에 장착되고, 이 조작 파이프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조작 파이프의 상단부에 장착된 상부 엔드 커버와, 이 상부 엔드 커버에 고정시킨 조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253059호 공보
그러나, 이 종래의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핸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조작 파이프와, 공구 유닛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인트와의 사이에, 상부 엔드 커버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 파이프로부터 공구 유닛으로의 회전력의 전달 경로에 있어서 회전력의 전달 손실이 생긴다. 이 경우, 효율적으로 회전을 전달할 수 없고, 나아가서는, 각종 공구 유닛을 사용한 활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점에서 지장을 초래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종래의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상기 전천후형 조작봉과 공구 유닛을 접속하기 위해, 조인트 외에, 공구 유닛의 접속 부재와 접속되는 가이드가 필요하며, 그 접속 구조도 복잡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가이드의 내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용 겸 스톱용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공구 유닛의 하단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U자 홈을 가지는 원통형의 접속 부재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가이드의 돌기부와 접속 부재의 U자 홈을 끼워맞추어 위치맞춤이 행해진 후, 공구 유닛의 육각 봉형(棒形)의 보스부(boss portion)가 가이드의 조인트의 육각공에 삽입되고, 또한 공구 유닛 측의 너트가 가이드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전천후형 조작봉과 공구 유닛이 접속되어 고정된다.
또한, 이 종래의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핸들의 회전→샤프트의 회전→조작 파이프 회전→상부 엔드 커버의 회전→조인트의 회전→공구 유닛의 회전에 이르는 회전 전달 경로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에, 조작 파이프 및 고정 파이프에 대하여 복잡한 장착 구조를 가지는 경우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복잡한 장착 구조에 기인하여,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이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보다 많은 밀봉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봉의 축 방향에서 볼 때,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흐를 우려가 있는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이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상기 조작봉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제외하고 중간부의 모든 부품을 절연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즉, 이 종래의 전천후형 조작봉에서는, 보다 많은 밀봉 부재와 절연 부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높게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효율적으로 회전을 전달할 수 있고, 회전 전달 경로에서의 회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각종 공구와의 접속 구조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항에 관한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가공선의 공사를 행하기 위한 전천후형의 원격 회전 조작구로서, 축 방향을 가지는 외통과, 외통과 축 중심을 공유하도록 외통과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통 내에 설치되는 내통과, 내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조작축과, 조작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부여 기구와,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조작축을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한 조작축 지지부와, 내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공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와, 외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전달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한 전달 부재 지지부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 지지부는, 공구가 전달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회전 조작구이다.
제2항에 관한 본 발명은, 제1항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조작축은, 축 방향의 중간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의 내주면(內周面)과 슬라이딩하는 저널부를 포함하고, 조작축의 저널부는, 조작축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環形) 오목부를 가지고, 환형 오목부와 외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침수를 방지하는 실링부가 설치되고, 전달 부재는, 축 방향의 중간부의 외주면에, 전달 부재 지지부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는 저널부를 포함하고, 전달 부재의 저널부는, 전달 부재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오목부를 가지고, 환형 오목부와 전달 부재 지지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침수를 방지하는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회전 조작구이다.
제3항에 관한 본 발명은, 제2항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과 조작축 지지부와의 연결부와, 외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과 전달 부재 지지부와의 연결부에는, 또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회전 조작구이다.
제4항에 관한 본 발명은,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전달 부재 지지부 및 전달 부재 지지부의 주변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회전 조작구이다.
제5항에 관한 본 발명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에 종속되는 발명으로서, 외통 및 내통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회전 조작구이다.
본건 발명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회전을 전달할 수 있고, 회전 전달 경로에서의 회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각종 공구와의 접속 구조도 간단하고 용이하게 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항에 관한 본 발명의 원격 회전 조작구의 구성에 의하면, 회전력 부여 기구(機構)에 의해 조작축에 부여된 회전력은, 내통과 전달 부재와의 최단의 회전 전달 경로에 의해, 회전력이 효율적으로 공구에 주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각종 공구 유닛을 사용한 활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작축이 내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연결되고, 또한 전달 부재가 내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연결되는 것만으로, 조작축, 내통 및 전달 부재가 일체로 되어 회전하므로, 회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극히 간단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 지지부는, 공구를 전달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구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2항에 관한 본 발명의 원격 회전 조작구의 구성에 의하면, 조작축의 저널부의 복수의 환형 오목부와 외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에 의해, 그 사이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달 부재의 저널부의 복수의 환형 오목부와 전달 부재 지지부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른 실링부에 의해, 그 사이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항에 관한 본 발명의 원격 회전 조작구의 구성에 의하면, 외통과 조작축 지지부와의 연결부, 및 외통과 전달 부재 지지부와의 연결부에 설치된 또 다른 실링부에 의해, 그 사이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항에 관한 발명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더 한층,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항에 관한 본 발명의 원격 회전 조작구의 구성에 의하면, 전달 부재 지지부 및 전달 부재 지지부의 주변의 외주면에 피복된 다른 실링부에 의해, 외통과 전달 부재 지지부와의 연결부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3항에 관한 발명과의 상승 효과에 의해, 더 한층,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5항에 관한 본 발명의 원격 회전 조작구의 구성에 의하면, 외통 및 내통이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축으로부터 전달 부재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형성된 내통에 의해, 금속체의 연접(連接)이 차단된다. 이로써, 이 원격 회전 조작구의 선단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전류로(電流路)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활선 작업에서의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전체도로서, (A)는 그 평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각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주요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다른 주요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또 다른 주요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선단 측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선단 측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의 (A)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손잡이 측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2의 다른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의 다른 예의 각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전체도로서, (A)는 그 평면도이며, (B)는 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원격 회전 조작구의 각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는,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가공선의 공사를 행하기 위한 전천후형의 원격 회전 조작구로서, 축 방향을 가지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외통(12)을 포함한다. 외통(12) 중에는, 외통(12)과 축 중심을 공유하도록 하고, 축 방향을 가지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내통(14)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14)은, 외통(12)과 반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통(12) 내에 설치되어 있다. 내통(14)의 외경(外徑)은, 외통(1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외통(12) 및 내통(14)은, 예를 들면, 흡습성(吸濕性)이 적은 에폭시 수지계 강화 플라스틱(FRP)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14)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통(14)과 고정되어 연결되는 조작축(16)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14)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내통(14)과 고정되어 연결되는 전달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16)에는, 상기 조작축(16)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부여 기구(20)가 연결되어 있다. 전달 부재(18)는, 조작축(16)의 회동에 연동하여, 공구(도시하지 않음)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외통(12)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통(12)과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조작축(1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작축 지지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12)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외통(12)과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전달 부재(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부재 지지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 지지부(24)에는, 공구(도시하지 않음)가 전달 부재(1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전달 부재(18)로 안내하는 안내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축(16)은, 예를 들면,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軸部) 본체(28)를 포함한다. 축부 본체(28)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예를 들면, 4개의 플랜지 편(30a, 30b, 30c 및 30d)을 가지는 확경부(擴徑部)(32)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4개의 플랜지 편(30a, 30b, 30c 및 30d) 사이에는, 3개의 환형 오목부(34a, 34b 및 34c)가 구성된다. 그리고, 축부 본체(28)는, 그 축 방향의 한쪽 측에, 키홈(36)을 가지고 있다.
이 조작축(16)은, 조작축 지지부(22)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축 지지부(22)는, 외통(12)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조작축 지지부(22)는,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체로 구성되는 지지부 본체(38)를 포함한다.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내주면에는, 환형의 홈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조작축(16)을 외통(12)에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면, 4개의 장착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장착부(42)는, 지지부 본체(38)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주위 방향을 4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부(42)는, 환형의 홈부(40)에 대하여,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부(42)는, 각각, 예를 들면, 단면(斷面)이 원형인 장착공(44)을 포함한다. 장착공(44)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면(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4개의 장착부(42)는, 각각, 멈춤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배치하기 위해, 장착공(44)과 연통되는 카운터 보링공(counter boring hole)(46)을 구비하고 있다. 카운터 보링공(46)에는, O링 등의 실링 부재를 수용·세팅하기 위한 실링부 하우징(48)이 설치되어 있다. 실링부 하우징(48)은, 후술하는 멈춤 나사(52)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50)을 구비한다.
조작축 지지부(22)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2)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멈춤 나사(52)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된다. 멈춤 나사(52)는, 실링부 하우징(48)의 관통공(50) 및 카운터 보링공(46)을 경유하여 장착공(44)에 삽입되고, 멈춤 나사(52)의 수나사면과 장착공(44)의 암나사면(도시하지 않음)이 나사결합된다. 이 경우, 실링부 하우징(48)에 배치된 O링 등의 실링부(54)에 의해, 장착공(44)에 대한 침수가 방지되어 있다. 또한, 이 실링부 하우징(48)은, 와셔의 기능을 겸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내통(14)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작축(16)이 고정되어 연결된다. 또한, 내통(14)은, 그 축 방향의 한쪽 측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인 핀공(pin hole)(56)을 구비한다. 보조용의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을 적절히 핀공(56)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조작축(16)과 내통(14)이, 더 한층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 지지부(22)에는, 슬라이딩 베어링부(58)와, 스러스트(thrust) 궤도륜 등의 복수의 스러스트 베어링부(60)가 내장되며, 조작축(16)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내통(14)에 고정되어 연결된 조작축(16)은, 조작축 지지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때, 조작축(16)의 확경부(32)의 외주면에, 외통(12)과 슬라이딩되는 제1 저널부(62)가 구성된다. 또한, 조작축(16)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부(58)와 슬라이딩되는 제2 저널부(64)가 구성되고, 또한 스러스트 베어링부(60)와 슬라이딩되는 제3 저널부(66)가 구성된다.
또한,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의 타단측에는, 회전력 부여 기구(2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력 부여 기구(20)는, 예를 들면,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筒形)의 기어 박스(70)를 포함한다. 기어 박스(70)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의 상단측에, 회전 구동원으로 되는 후술하는 회전 조작부(80)가 접속되는 입력구부(72)를 가지고, 그 축 방향의 일단측에, 회전 조작부(8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출력구부(74)를 구비한다. 또한, 기어 박스(70)의 축 방향의 타단측에는, 후술하는 핸들 조작 지원부(108)가 연결되는 연결구부(76)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축 지지부(22)와 기어 박스(70)는, 나사결합 등의 연결 수단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수나사면(7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70)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면(78A)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면(78B)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면(78A)과 암나사면(78B)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조작축 지지부(22)와 기어 박스(70)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 조작부(8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수동으로 회전 조작되는 핸들부로서의 예를 들면, 래칫 핸들(82)을 포함한다. 래칫 핸들(82)의 선단 측에는, 연결 구동축(8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 구동축(84)은,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켓 등의 조인트 부재(86)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게 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86)는, 구동측 베벨 기어(88)에, 예를 들면, 압입(壓入; press-fitting)되어 고착되어 있다. 조인트 부재(86)는, 구동측 베벨 기어(88)와 일체로 되어 회동 가능하게 된다. 구동측 베벨 기어(88)에 내장된 조인트 부재(86)는, 슬라이딩 베어링부(94)와, 스러스트 궤도륜 등의 복수의 스러스트 베어링부(96)에 의해, 구동측 베어링 하우징(9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측 베어링 하우징(90)은, 예를 들면,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멈춤 나사, 멈춤 볼트 등의 고착(固着) 수단(92)에 의해, 기어 박스(70)의 상단면(上端面)에 고착되어 있다. 구동측 베어링 하우징(9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의 하우징 본체(98)를 포함하고, 하우징 본체(98)는, 삽통부(揷通部)(100)를 구비한다. 구동측 베어링 하우징(90)은, 기어 박스(70)의 입력구부(72) 측과 접속되는 하단(下端) 측에, 단차부(段差部)(10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조인트 부재(86)는, 슬라이딩 베어링부(94) 및 복수의 스러스트 베어링부(96)에 끼워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 본체(98)의 삽통부(100)에 끼워져 삽입되고, 또한 구동측 베벨 기어(88)에 고정된다. 이 때, 복수의 스러스트 베어링부(96)는, 단차부(102)에 있어서, 삽통부(100)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단차면(段差面)(102a)에 맞닿아 걸린다. 구동측 베벨 기어(88)는, 기어 박스(70)의 입력구부(72)로부터 상기 기어 박스(70)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기어 박스(70)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는, 래칫 핸들(82), 연결 구동축(84), 조인트 부재(86), 구동측 베벨 기어(88)를 경유하여, 회전 조작부(80)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출력되는 출력구부(7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어 박스(70)의 출력구부(74)에는, 구동측 베벨 기어(88)에 교합(咬合)하는 종동측 베벨 기어(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종동(從動) 베벨 기어(10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16)의 축부 본체(28)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고정된다. 조작축(16)의 축부 본체(28)와, 종동 베벨 기어(104)와 키홈(36)과의 사이에는, 키(106)가 끼워넣어져 있다. 그러므로, 조작축(16)과 종동 베벨 기어(104)와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종동 베벨 기어(104)와 조작축(16)을 일체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한 한 쌍의 구동측 베벨 기어(88) 및 종동측 베벨 기어(104)는, 회전 조작부(80)의 래칫 핸들(8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얻어진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방향을, 래칫 핸들(82)의 연결 구동축(84)의 축 방향으로부터, 조작축(16)의 축방향으로 변경하는 전달 방향 변경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70)의 축 방향의 타단측에는,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부(76)에, 핸들 조작 지원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조작 지원부(108)는, 손잡이 측에 있어서, 회전 조작부(80)의 래칫 핸들(82)의 조작을 보조·조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 핸들 조작 지원부(108)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를 포함한다.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는, 외통(12) 및 내통(14)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흡습성이 적은 에폭시 수지계 강화 플라스틱(FRP)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축 방향의 한쪽 측은, 그 외주면에, 복수의 접속용의 핀공(111)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접속용의 핀공(111)은,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주위 방향을 4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상기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개구부(110A)를 폐색(閉塞)하도록, 캡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캡부(112)는, 고무 등의 탄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70)에 있어서, 연결구부(76)의 근방에는, 환형의 홈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환형의 홈부(114)는, 기어 박스(70)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조작축(16)의 회동에 연동하여, 공구(도시하지 않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18) 및 전달 부재(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달 부재 지지부(24)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도 4, 도 6 및 도 7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즉, 내통(14)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내통(14)과 고정되어 연결되는 전달 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 부재(18)는, 예를 들면, 도 2,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 본체(116)를 포함한다. 축부 본체(116)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예를 들면, 3개의 플랜지 편(118a, 118b 및 118c)을 가지는 확경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3개의 플랜지 편(118a, 118b 및 118c) 사이에는, 환형 오목부(122a) 및 (122b)가 구성된다. 축부 본체(116)는, 그 축 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확경부(120)에 이르는 부위가 헤드부(116A)로서 형성되고, 그 축 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확경부(120)에 이르는 부위가 보디부(116B)로서 형성된다.
또한, 축부 본체(116)는, 그 축 방향의 한쪽 측에 개구부(124)를 가지고, 개구부(124)는, 예를 들면, 단면에서 볼 때(6) 각형(角形)의 끼워맞춤 오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달 부재(18)는, 전달 부재 지지부(24)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달 부재 지지부(24)는, 외통(12)의 축 방향의 타단측에 연결되어 있다. 전달 부재 지지부(24)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체로 구성되는 지지부 본체(128)를 포함한다. 지지부 본체(128)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점차, 내경(內徑)의 길이가 커지게 되는, 예를 들면, 4개의 삽통공(揷通孔)(130A, 130B, 130C 및 130D)를 가지고 있다. 즉, 삽통공(130A)의 직경을 φ1으로 하고, 삽통공(130B)의 직경을 φ2로 하고, 삽통공(130C)의 직경을 φ3으로 하고, 삽통공(130D)의 직경을 φ4로 했을 때, φ1<φ2<φ3<φ4로 되도록, 4개의 삽통공(130A)∼(130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삽통공(130A) 및 (130B)는, 안내부(26)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삽통공(130C)는, 전달 부재(18)의 축부 본체(116)의 헤드부(116A)가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는 헤드 끼워맞춤부(132)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삽통공(130D)은, 전달 부재(18)의 축부 본체(116)의 보디부(116B)가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지는 보디부 끼워맞춤부(134)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내주면에는, 환형의 홈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의 타단측의 외주면에는, 전달 부재(18)를 외통(12)에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면, 4개의 장착부(1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4개의 장착부(138)는, 지지부 본체(128)의 외주면에 있어서, 그 주위 방향을 4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부(138)는, 환형의 홈부(136)에 대하여,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장착부(138)는, 각각,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인 장착공(140)을 포함한다. 장착공(140)은, 그 내주면에, 암나사면(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4개의 장착부(138)는, 각각, 멈춤 나사 등의 체결 수단을 배치하기 위해, 장착공(140)과 연통되는 카운터 보링공(142)을 구비하고 있다. 카운터 보링공(142)에는, O링 등의 실링 부재를 수용·세팅하기 위한 실링부 하우징(144)이 설치되어 있다. 실링부 하우징(144)은, 후술하는 멈춤 나사(148)가 삽통되는 관통공(146)을 구비한다.
전달 부재 지지부(24)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통(12)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멈춤 나사(148)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된다. 멈춤 나사(148)는, 실링부 하우징(144)의 관통공(146) 및 카운터 보링공(142)을 경유하여 장착공(140)에 삽입되고, 멈춤 나사(148)의 수나사면(150)과 장착공(140)의 암나사면(도시하지 않음)이 나사결합된다. 이 경우, 실링부 하우징(144)에 배치된 O링 등의 실링부(152)에 의해, 장착공(140)에 대한 침수가 방지되어 있다. 또한, 이 실링부 하우징(144)은, 와셔의 기능을 겸용하게 되어 있다.
또한, 내통(14)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예를 들면,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달 부재(18)가 고정되어 연결된다. 또한, 내통(14)은, 그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인 핀공(154)을 구비한다. 보조용의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을 적절히 핀공(154)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전달 부재(18)와 내통(14)이, 더 한층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 지지부(24)에는, 슬라이딩 베어링부(156)가 내장되며, 전달 부재(18)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지지부 본체(128)는, 그 축 방향의 일단측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1개의 단면이 원형인 핀공(158)을 가지고 있다. 이 핀공(158)은,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본체(128)의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이자 또한 그 반경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내통(14)에 고정되어 연결된 전달 부재(18)는, 전달 부재 지지부(2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때, 전달 부재(18)의 확경부(120)의 외주면에, 전달 부재 지지부(24)와 슬라이딩되는 제1 저널부(160)가 구성된다. 또한, 전달 부재(1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베어링부(156)와 슬라이딩되는 제2 저널부(162)가 구성된다.
전달 부재 지지부(24)에는, 가공선에 관한 활선 작업 등에 사용되는 각종 공구(도시하지 않음)가, 전달 부재(18)의 끼워맞춤 오목부(12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전달 부재(18)로 안내하는 안내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술한 것처럼,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지지부 본체(128)에 있어서, 삽통공(130A) 및 (130B)의 부위가, 안내부(26)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26)에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핀공(158)이 연통되어 있다. 핀공(158)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면(15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공(158)에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핀(lock pin)(168)이 장착되어 있다. 록핀(168)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도 7의 2점 쇄선으로 나타냄)에 내장된 상태로, 전달 부재 지지부(2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록핀(168)은, 축부(170)를 포함한다. 축부(170)의 축 방향의 일단측에는, 헤드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70)의 축 방향의 타단측에는, 수나사면(1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170)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는, 그 주위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176)가 권취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72)에는, 손잡이부(178)가 끼워장착되어 있다. 록핀(168)은, 그 수나사면(174)이 핀공(158)의 암나사면(158a)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핀공(158)에 장착된다.
한편,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개구부(179)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이 전달 부재 지지부(24)에 장착되었을 때, 록핀(168)의 손잡이부(178)의 헤드부(首部)(178a)는, 가압 부재(176)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 개구부(179)의 주위 에지단에 걸린다. 즉, 록핀(168)이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에 록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안내부(26)를 경유하여 전달 부재(18)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장착된 공구(도시하지 않음)는, 뜻하지 않게 빠져 나오는 경우가 없다.
반대로, 손잡이부(178)를 가압 부재(176)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끌어올린 상태에서는, 손잡이부(178)의 헤드부(178a)가,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걸림 개구부(179)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에 록핀(168)이 록된 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전달 부재 지지부(24)로부터 공구 유닛 장착 수단(177)을 분리해내고,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안내부(26)로부터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축(16), 전달 부재(18) 및 기어 박스(70)의 주변의 침수 방지 구조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조작축 지지부(22)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16)의 확경부(32)의 환형 오목부(34a)에, Y패킹 등의 실링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환형의 오목부(34b)에는, O링 등의 실링부(182)가 설치되어 있다. 환형 오목부(34c)에, Y패킹 등의 실링부(18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축(16)의 외주면과 내통(14)의 내주면과의 슬라이딩부에, 실링부(1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축 지지부(22)에 있어서, 지지부 본체(3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의 홈부(40)에는, O링 등의 실링부(186)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통(12)의 축 방향의 한쪽 측과 조작축 지지부(22)와의 연결부에, 실링부(18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어 박스(70)에 있어서, 연결구부(76)의 근방에 설치된 환형의 홈부(114)에는, O링 등의 실링부(188)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어 박스(70)와 핸들 조작 지원부(108)의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와의 연결부에, 실링부(18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달 부재 지지부(24)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달 부재(18)의 환형의 오목부(122a) 및 (122b)에, 각각, Y패킹 등의 실링부(190) 및 (19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통(12)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과 전달 부재 지지부(24)와의 연결부에, 실링부(190) 및 (19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달 부재(18)의 확경부(120)의 외주면과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내주면과의 슬라이딩부에, 실링부(190) 및 (19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 본체(128)의 축 방향의 일단측의 내주면에 설치된 환형의 홈부(136)에는, O링 등의 실링부(194)가 설치되어 있다. 즉, 외통(12)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과 전달 부재 지지부(24)와의 연결부에, 실링부(19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 지지부(24) 및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주변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발수성(撥水性) 및 절연성을 가지는 수축 튜브 등의 실링부(19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외통(12)의 축 방향의 중간부에 있어서, 외통(12)의 선단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차양 산부(傘部)(198), 안전 한계 산부(200), 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가 설치되어 있다. 차양 산부(198) 및 안전 한계 산부(200)는, 불소 수지 등의 발수 작용을 가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립용 커버부(202)는, 안전 한계 산부(200)와 조작축 지지부(22)와의 사이의 외통(12)의 외주면에 피복되어 있다. 또한, 그립용 커버부(204)는, 조작축 지지부(22)의 외주면에 피복되어 있다. 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는,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를 파지할 때의 파지부(把持部; gripping part)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는, EPD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의 발수성을 가지는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凹凸) 리브(rib)(202a) 및 (20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차양 산부(198) 및 안전 한계 산부(200)는, 빗속의 작업에서 원격 회전 조작구(10)의 표면을 흐르는 빗물이 손잡이 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각종 공구(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된 원격 회전 조작구(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격 회전 조작구(10)의 선단 측을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래칫 핸들(82)을 하방향으로 하여 수직인 자세에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빗물은, 공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외통(12)에 전해지고, 차양 산부(198) 및 안전 한계 산부(200)에 도달하면, 상기 차양 산부(198) 및 안전 한계 산부(200)의 산부의 테이퍼 형상의 작용에 의해, 그 주변으로 비산(飛散)된다. 따라서, 차양 산부(198) 및 안전 한계 산부(200)는, 빗물이 손잡이 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에 의한 빗물의 연속된 흐름을 분단(分斷)하여, 즉 전류로를 차단하여,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안전 한계 산부(200)는, 상기 파지부와 파지부 이외의 부분을 구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며, 파지부[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를 잡는 손이 그보다 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핸들 조작 지원부(108)는, 예를 들면, 그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단부(端部)를 신체의 복부 등에 가압하여 지지시킨 경우, 상기한 파지부[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를 잡는 손을 이격시킬 수 있고, 이격된 손을 래칫 핸들(82)에 대신 잡을 수 있다. 즉, 핸들 조작 지원 통부(110)의 단부를 지점(支点)으로 한 경우, 상기 파지부[그립용 커버부(202) 및 (204)]를 잡은 손으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를 지지할 때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의 다른 예의 각 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300)는, 전술한 원격 회전 조작구(10)에 비해, 특히, 외통(12) 및 내통(14)의 축 방향의 길이가 컴팩트하게 짧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게 되어 있다. 원격 회전 조작구(300)를 구성하는 부재의 배치 및 구조에 대해서는, 전술한 원격 회전 조작구(10)와 마찬가지이다. 외통(12) 및 내통(14)의 축길이는, 원격 회전 조작구가 사용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회전력 부여 기구(20)에 의해 조작축(16)에 부여된 회전력이, 내통(14)과 전달 부재(18)와의 최단의 회전 전달 경로에 의해, 효율적으로 공구(도시하지 않음)에 주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각종 공구 유닛을 사용한 활선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조작축(16)을 내통(14)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연결하고, 또한 전달 부재(18)를 내통(14)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조작축(16), 내통(14) 및 전달 부재(18)가 일체로 되어 회전하므로, 회전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극히 간단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달 부재 지지부(24)는,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전달 부재(1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26)를 포함하므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조작축(16)의 제1 저널부(62)의 복수의 환형 오목부(34a, 34b, 34c)와 외통(1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실링부(180, 182, 184)에 의해, 그 사이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하여, 전달 부재(18)의 제1 저널부(160)의 복수의 환형 오목부(122a, 122b)와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다른 실링부(190, 192)에 의해, 그 사이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외통(12)과 조작축 지지부(22)와의 연결부에 설치된, 또 다른 실링부(186), 및 외통(12)과 전달 부재 지지부(24)와의 연결부에 설치된 또 다른 실링부(194)에 의해, 이들 연결부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링부(180, 182, 184)와, 실링부(190, 192)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더 한층,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전달 부재 지지부(24) 및 전달 부재 지지부(24)의 주변의 외주면에 피복된 다른 실링부(196)에 의해, 외통(12)과 전달 부재 지지부(24)와의 연결부로부터 내측으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실링부(180, 182, 184)와, 실링부(190, 192)와, 실링부(186, 194)와, 실링부(196)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더 한층,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외통(12) 및 내통(14)이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축(16)으로부터 전달 부재(18)에 이르는 경로에 있어서, 절연 재료로 형성된 내통(14)에 의해, 금속체의 연접이 차단된다. 이로써,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의 선단 측으로부터 손잡이 측으로 전류로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활선 작업에서의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원격 회전 조작구(10)에서는, 래칫 핸들(82)의 회전 조작에 의한 극히 간단한 조작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조작축(16)에 용이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원격 회전 조작구(10)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회전을 전달할 수 있고, 회전 전달 경로에서의 회전계 부재의 장착 구조가 간단하며, 또한 각종 공구와의 접속 구조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10, 300: 원격 회전 조작구
12: 외통
14: 내통
16: 조작축
18: 전달 부재
20: 회전력 부여 기구
22: 조작축 지지부
24: 전달 부재 지지부
26: 안내부
28: 축부 본체
30a, 30b, 30c, 30d: 플랜지 편
32, 120: 확경부
34a, 34b, 34c, 122a, 122b: 환형 오목부
36: 키홈
38, 128: 지지부 본체
40, 114, 136: 환형의 홈부
42, 138: 장착부
44, 140: 장착공
46, 142: 카운터 보링공
48, 144: 실링부 하우징
50, 146: 관통공
52, 148: 멈춤 나사
54, 152, 180, 182, 184, 186, 188, 190, 192, 194, 196: 실링부
56, 111, 154, 158: 핀공
58, 94, 156: 슬라이딩 베어링부
60, 96: 스러스트 베어링부
62, 160: 제1 저널부
64, 162: 제2 저널부
66: 제3 저널부
70: 기어 박스
72: 입력구부
74: 출력구부
76: 연결구부
78A, 150, 174: 수나사면
78B: 암나사면
80: 회전 조작부
82: 래칫 핸들
84: 연결 구동축
86: 조인트 부재
88: 구동측 베벨 기어
90: 구동측 베어링 하우징
92: 고착 수단
94: 슬라이딩 베어링부
96: 스러스트 베어링부
98: 하우징 본체
100: 삽통부
102: 단차부
102a: 단차면
104: 종동측 베벨 기어
106: 키
108: 핸들 조작 지원부
110: 핸들 조작 지원 통부
111: 핀공
112: 캡부
114: 환형의 홈부
116: 축부 본체
116A: 헤드부
116B: 보디부
118a, 118b, 118c: 플랜지 편
120: 확경부
122a, 122b: 환형 오목부
124: 개구부
126: 끼워맞춤 오목부
128: 지지부 본체
130A, 130B, 130C, 130D: 삽통공
132: 헤드 끼워맞춤부
134: 보디부 끼워맞춤부
136: 환형의 홈부
138: 장착부
140: 장착공
142: 카운터 보링공
144: 실링부 하우징
146: 관통공
148: 멈춤 나사
150: 수나사면
152: 실링부
154: 핀공
156: 슬라이딩 베어링부
158: 핀공
158a: 암나사면
160: 제1 저널부
162: 제2 저널부
168: 록핀
170: 축부
172: 헤드부
174: 수나사면
176: 가압 부재
177: 공구 유닛 장착 수단
178: 손잡이부
178a: 헤드부
179: 걸림 개구부
180, 182, 184, 186, 188, 190, 192, 194, 196: 실링부
198: 차양 산부
200: 안전 한계 산부
202, 204: 그립용 커버부
202a, 204a: 미끄럼 방지용의 요철 리브
φ1, φ2, φ3, φ4: 삽통공의 직경

Claims (5)

  1.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구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가공선(架空線)의 공사를 행하기 위한 전천후형(全天候型)의 원격 회전 조작구(remote operation tool)로서,
    축 방향을 가지는 외통;
    상기 외통과 축 중심을 공유하도록 상기 외통과 직경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외통 내에 설치되는 내통;
    상기 내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조작축;
    상기 조작축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부여 기구;
    상기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조작축을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한 조작축 지지부;
    상기 내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조작축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공구에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 및
    상기 외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에 고정되어 연결되고, 또한 상기 전달 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구비한 전달 부재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는, 상기 공구가 상기 전달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공구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축은, 축 방향의 중간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상기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의 내주면(內周面)과 슬라이딩하는 저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축의 상기 저널부는, 상기 조작축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環形)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오목부와 상기 외통의 내주면 사이에는, 침수를 방지하는 실링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달 부재는, 축 방향의 중간부의 외주면에,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의 내주면과 슬라이딩하는 저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부재의 상기 저널부는, 상기 전달 부재의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환형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 오목부와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침수를 방지하는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축 방향의 한쪽 측과 상기 조작축 지지부와의 연결부, 및 상기 외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측과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와의 연결부에는, 또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 및 상기 전달 부재 지지부의 주변의 외주면을 피복하도록 하여, 다른 실링부가 설치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 및 상기 내통은 절연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원격 회전 조작구.
  5. 삭제
KR1020187035789A 2016-05-30 2017-05-24 원격 회전 조작구 KR102334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7842 2016-05-30
JPJP-P-2016-107842 2016-05-30
PCT/JP2017/019306 WO2017208918A1 (ja) 2016-05-30 2017-05-24 遠隔回転操作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824A KR20190013824A (ko) 2019-02-11
KR102334726B1 true KR102334726B1 (ko) 2021-12-02

Family

ID=577089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44U KR200487323Y1 (ko) 2016-05-30 2016-12-08 원격 회전 조작구
KR1020187035789A KR102334726B1 (ko) 2016-05-30 2017-05-24 원격 회전 조작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144U KR200487323Y1 (ko) 2016-05-30 2016-12-08 원격 회전 조작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778744B2 (ko)
KR (2) KR200487323Y1 (ko)
CN (1) CN109155507B (ko)
GB (1) GB2566375B (ko)
MY (1) MY192727A (ko)
RU (1) RU2724628C1 (ko)
TW (1) TWI729139B (ko)
WO (1) WO20172089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9789B2 (ja) * 2019-06-14 2023-08-21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棒における取付構造、駆動伝達装置、および駆動装置
KR102180003B1 (ko) * 2020-05-22 2020-11-17 주식회사 삼림엔지니어링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표시장치
KR102571678B1 (ko) * 2020-09-29 2023-10-06 천공전기(주) 모듈형 스마트 스틱
TWI760164B (zh) * 2021-03-31 2022-04-01 華新麗華股份有限公司 線槽拉引線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93A (ja) * 2005-07-01 2007-01-18 Katahito Hamazaki トング
JP2008253059A (ja) * 2007-03-30 2008-10-16 Izumi Products Co 全天候型操作棒
JP2010178462A (ja) * 2009-01-28 2010-08-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把持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711281A1 (ru) * 1989-08-07 1992-02-07 Кишиневские электрические сет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Молдэнерго"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монта под напр жением разъединителей
JP3435212B2 (ja) * 1994-04-27 2003-08-11 中部電力株式会社 ホットハンド
RU27747U1 (ru) * 2002-10-21 2003-02-10 Розенберг Ефим Наумович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ительного ремонта под напряжением самонесущего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JP4942561B2 (ja) * 2007-06-19 2012-05-30 中国電力株式会社 間接活線工具
TWM399010U (en) * 2010-09-30 2011-03-01 Kokuhin Metal Co Ltd Improved connecting rod structure of tool
CN104836153B (zh) * 2012-10-16 2018-08-17 国网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一种绝缘子更换工具的液压装置
CN102904193B (zh) * 2012-10-16 2015-05-13 江苏省电力公司常州供电公司 绝缘子更换装置的紧力器
CN204230748U (zh) * 2014-11-19 2015-03-25 国家电网公司 一种电力绝缘操作杆快速链接装置
CN205265152U (zh) * 2016-01-08 2016-05-25 武汉里得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接线夹安装工具
CN206406004U (zh) * 2016-05-30 2017-08-15 株式会社永木精机 远程旋转操作工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7293A (ja) * 2005-07-01 2007-01-18 Katahito Hamazaki トング
JP2008253059A (ja) * 2007-03-30 2008-10-16 Izumi Products Co 全天候型操作棒
JP2010178462A (ja) * 2009-01-28 2010-08-1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間接活線把持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66375B (en) 2021-11-03
KR20190013824A (ko) 2019-02-11
TW201801862A (zh) 2018-01-16
CN109155507B (zh) 2021-05-14
RU2724628C1 (ru) 2020-06-25
KR200487323Y1 (ko) 2018-09-04
JPWO2017208918A1 (ja) 2019-03-28
CN109155507A (zh) 2019-01-04
KR20160004514U (ko) 2016-12-28
TWI729139B (zh) 2021-06-01
WO2017208918A1 (ja) 2017-12-07
GB201818066D0 (en) 2018-12-19
JP6778744B2 (ja) 2020-11-04
GB2566375A (en) 2019-03-13
MY192727A (en) 202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726B1 (ko) 원격 회전 조작구
US5926961A (en) Tree trimmer with telescopic rod
CN108698229B (zh) 前端工具连结结构
ES2725000B2 (es) Conector para cable de fibra optica y mordaza para cable de fibra optica
EP1774622A4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8079432A (ja) 間接活線作業可能な遠近両用作業具
JP2009232579A (ja) 間接活線工具
KR100981602B1 (ko) 차량용케이블 연결장치
EP0506215B1 (en) Valve stem length adjustment device
US6070505A (en) P-handle extraction tool
AU774138B2 (en) Adjustment and assembly system for mechanical cable remote control
US20230158656A1 (en) Press-on element for a power tool
US2964980A (en) Wrench for tightening jamb nuts in junction boxes
JP4182037B2 (ja) テレスコピック式伸縮作業桿の継手
US2090380A (en) Coupling and connecter for electric conduits and outlet boxes
US5090545A (en) Screw gun nose cone adapter
US20230097086A1 (en) Compression coupling for drain cleaning cable
CN218018242U (zh) 一种电动扳手用辅助传扭装置及电动扳手
WO2024034508A1 (ja) 棒状伸縮器
KR20000047100A (ko)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CN102326017A (zh) 用于管道转移的工具和方法
ES2111259T3 (es) Cable de control del tipo bowden.
JPH0428959Y2 (ko)
GB1572601A (en) Keys for drill chucks
JP2004340216A (ja) 中空ロッドの継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