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690B1 - 입체 액자 - Google Patents

입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690B1
KR102334690B1 KR1020190143122A KR20190143122A KR102334690B1 KR 102334690 B1 KR102334690 B1 KR 102334690B1 KR 1020190143122 A KR1020190143122 A KR 1020190143122A KR 20190143122 A KR20190143122 A KR 20190143122A KR 102334690 B1 KR102334690 B1 KR 10233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connection
suppor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535A (ko
Inventor
유상기
Original Assignee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랜딩포커스 filed Critical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to KR102019014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6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액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00), 및 수용부(100)에 수용되고, 일방향을 따라 제1 영역(210), 제1 연결영역(220), 제2 영역(230), 제2 연결영역(240), 및 제3 영역(250)으로 구획되며, 제1 영역(210)과 제1 연결영역(220) 사이 및 제1 연결영역(220)과 제2 영역(230) 사이가 절곡되어, 제1 영역(210)이 제2 영역(230)에 중첩되고, 제2 영역(230)과 제2 연결영역(240) 사이 및 제2 연결영역(240)과 제3 영역(250) 사이가 절곡되어, 제3 영역(250)이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30)에 중첩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하고, 제1 영역(210)에는 관통된 제1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제3 영역(250)에는 관통된 제2 개방부(253)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입체 액자{STEREOSCOPIC FRAME}
본 발명은 입체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그림, 사진, 및 글씨 등의 전시물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보호하고,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으로, 가정, 상점, 및 갤러리 등과 같은 장소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주로 평면 형태의 사진이나 그림 등을 보관/디스플레이하는 단순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시물이 더욱 독특해 보이도록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입체 액자가 개발되고 있다.
입체 액자는 통상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한 입체 사진을 통해서 전시물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또는, 각각의 구성물을 원목이나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의 블록으로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들을 하나의 판에 조합하여 붙이는 방법도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한 입체 액자는 특수 촬영을 위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여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제작비에 비해 입체적 표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블록들을 조합하는 입체 액자는 평면의 판에 두께감이 있는 각각의 불록들을 붙이는 것이므로, 깊이 있는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종래기술에 따른 입체 액자는 실제 공간 개념을 적용하지 않아 입체적인 표현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디스플레이되는 전시물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KR 20-2012-0005821 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이로 형성된 1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영역별로 절곡시켜, 3개의 디자인을 중첩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입체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방향을 따라 제1 영역, 제1 연결영역, 제2 영역, 제2 연결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연결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연결영역 사이 및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관통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관통된 제2 개방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면과 타면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제1 디자인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면에 제2 디자인이 표시되며, 상기 제3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제3 디자인이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2 연결영역의 너비보다 좁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영역의 타측에는 제1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영역이 상기 제1 연결영역과 마주보고, 상기 제3 영역의 일측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연결될 때, 상기 제3 영역의 타측에는 제2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2 지지영역이 상기 제2 연결영역과 마주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연결영역의 너비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지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2 연결영역의 너비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영역은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지지영역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접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3 영역의 상측에는 제3-1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의 하측에는 제3-2 지지영역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3-1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고,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3-2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3-1 지지영역과 상기 제3-2 지지영역은 서로 마주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연결영역, 상기 제2 지지영역, 상기 3-1 지지영역, 및 상기 제3-2 지지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개방부의 면적에 비해서 넓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에 당겨지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자석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이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로 형성된 1개의 디스플레이부를 영역별로 절곡시켜, 3개의 디자인을 중첩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입체적 전시물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디스플레이부의 절곡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의 디스플레이부의 절곡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액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00), 및 수용부(100)에 수용되고, 일방향(A)을 따라 제1 영역(210), 제1 연결영역(220), 제2 영역(230), 제2 연결영역(240), 및 제3 영역(250)으로 구획되며, 제1 영역(210)과 제1 연결영역(220) 사이 및 제1 연결영역(220)과 제2 영역(230) 사이가 절곡되어, 제1 영역(210)이 제2 영역(230)에 중첩되고, 제2 영역(230)과 제2 연결영역(240) 사이 및 제2 연결영역(240)과 제3 영역(250) 사이가 절곡되어, 제3 영역(250)이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30)에 중첩되는 디스플레이부(200)를 포함하고, 제1 영역(210)에는 관통된 제1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제3 영역(250)에는 관통된 제2 개방부(25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00, 도 1 내지 도 2 참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200)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용부(1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측이 개방된 N각기둥(N은 자연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00)는 상측이 개방된 사각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수용부(100)의 상측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200)가 수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수용부(1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자체 지지력을 보유한 판지(paper board) 등의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입체적인 전시물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00)는 3층으로 중첩되도록 절곡되어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종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는 절곡전 일방향(A)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일방향(A)을 따라 제1 영역(210), 제1 연결영역(220), 제2 영역(230), 제2 연결영역(240), 및 제3 영역(25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3 영역(210, 230, 250)은 각각 거기에 표시된 제1,2,3 디자인(215, 235, 255)을 통해서 입체적인 전시물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2 연결영역(220, 240)은 제1,2,3 영역(210, 230, 250)을 연결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제1,2,3 영역(210, 230, 2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영역(210)과 제1 연결영역(220) 사이 및 제1 연결영역(220) 및 제2 영역(230) 사이가 절곡되어, 제1 영역(210)이 제2 영역(230)에 중첩된다(도 3(c) 참조). 즉, 제1 영역(210)이 제2 영역(230) 위에 배치되도록, 제1 연결영역(220)의 양측이 절곡되는 것이다. 또한, 제2 영역(230)과 제2 연결영역(240) 사이 및 제2 연결영역(240)과 제3 영역(250) 사이가 절곡되어, 제3 영역(250)이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30)에 중첩된다(도 3(d) 참조). 즉, 제3 영역(250)이 제1 영역(210)과 제2 영역(230) 위에 배치되도록, 제2 연결영역(240)의 양측이 절곡되는 것이다. 결국, 가장 하측에 제2 영역(230)이 배치되고, 중간에 제1 영역(210)이 배치되며, 가장 상측에 제3 영역(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10)에는 관통된 제1 개방부(213)가 형성되고, 제3 영역(250)에는 제2 개방부(253)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3 영역(250)의 제2 개방부(253)를 통해서 제1 영역(210)이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고, 중간에 배치된 제1 영역(210)의 제1 개방부(213)를 통해서 제2 영역(230)이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다. 결국, 제3 영역(250)에 표시된 제3 디자인(255), 제1 영역(210)에 표시된 제1 디자인(215), 및 제2 영역(230)에 표시된 제2 디자인(235)이 한번에 인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3층으로 적층된 입체적인 전시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2 개방부(213, 253)는 그 경계선을 이용하여 디자인(예를 들어, 파도나 돗단배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개방부(253)가 제1 개방부(213)가 형성된 제1 영역(21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제2 개방부(253)를 통해서 제1 영역(210)에 표시된 제1 디자인(215)이 외부에서 인지될 수 있도록, 제2 개방부(253)의 면적은 제1 개방부(213)의 면적에 비해서 넓을 수 있다.
또한, 제1,3 영역(210, 250)에 표시된 제1,3 디자인(215, 255)과 제2 영역(230)에 표시된 제2 디자인(235)은 최종적으로 한쪽 방향에서 인지되도록 서로 다른 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일면(후면)과 타면(전면)을 포함할 때, 제1 영역(21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면(후면)에 제1 디자인(215)이 표시되고, 제2 영역(23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타면(전면)에 제2 디자인(235)이 표시되며, 제3 영역(25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면(후면)에 제3 디자인(255)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3 영역(210, 250)에 표시된 제1,3 디자인(215, 255)과 제2 영역(230)에 표시된 제2 디자인(235)을 서로 다른 면에 표시하면, 디스플레이부(200)가 절곡되어 최종적으로 제1,2,3 영역(210, 230, 250)이 중첩될 때(도 3(e)), 한쪽 방향에서 제1,2,3 디자인(215, 235, 255)이 한번에 인지될 수 있다.
한편, 최종적으로 제3 영역(250)의 하부에 제1 영역(210)이 배치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영역(220)의 너비(W1)는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W2)보다 좁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절곡될 때, 제3 영역(250)은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W2)만큼 제2 영역(23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영역(210)은 제1 연결영역(220)의 너비(W1)만큼 제2 영역(2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W2)가 제3 영역(250)의 높이를 결정하고, 제1 연결영역(220)의 너비(W1)가 제1 영역(210)의 높이를 결정하므로,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W2)보다 제1 연결영역(220)의 너비(W1)를 좁게 설계함으로써, 제3 영역(250)의 하부에 제1 영역(210)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0)의 일측이 제1 연결영역(220)에 연결될 때, 제1 영역(210)의 타측(일측의 반대측)에는 제1 지지영역(26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210)과 제1 지지영역(260) 사이가 절곡되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영역(260)이 제1 연결영역(220)과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210)은 일측이 제1 연결영역(220)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1 지지영역(260)에 지지되어, 제2 영역(2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0)의 일측과 타측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제1 지지영역(260)의 너비(W3)는 제1 연결영역(220)의 너비(W1)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250)의 일측이 제2 연결영역(240)에 연결될 때, 제3 영역(250)의 타측(일측의 반대측)에는 제2 지지영역(27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250)과 제2 연결영역(240)사이가 절곡되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영역(270)이 제2 연결영역(240)과 마주볼 수 있다. 따라서, 제3 영역(250)은 일측이 제2 연결영역(240)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2 지지영역(270)에 지지되어, 제2 영역(2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250)의 일측과 타측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제2 지지영역(270)의 너비(W4)는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W2)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제1,2,3 영역(210, 230, 250)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제1 지지영역(260)은 제2 연결영역(240)에 접착되고, 제2 지지영역(270)은 제1 연결영역(220)에 접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영역(26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면(외면)과 제2 연결영역(24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타면(내면)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제2 지지영역(27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타면(내면)과 제1 연결영역(220) 중 디스플레이부(200)의 일면(외면)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지지영역(260)과 제2 지지영역(270)을 각각 제2 연결영역(240)과 제1 연결영역(220)에 접착시키면, 디스플레이부(200)는 절곡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제3 영역(2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제3-1 지지영역(280)과 제3-2 지지영역(290)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영역(250)의 상측에는 제3-1 지지영역(280)이 연결되고, 제3 영역(250)의 하측에는 제3-2 지지영역(29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영역(250)과 제3-1 지지영역(280) 사이가 절곡되고, 제3 영역(250)과 제3-2 지지영역(290) 사이가 절곡되어, 제3-1 지지영역(280)과 제3-2 지지영역(290)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도 3(e) 참조). 따라서, 제3 영역(250)은 일측이 제2 연결영역(240)에 지지되고 타측이 제2 지지영역(270)에 지지되며 상측이 제3-1 지지영역(280)에 지지되고 하측이 제3-2 지지영역(290)에 지지되어, 제2 영역(23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3 영역(250)의 일측, 타측, 상측, 하측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제3-1 지지영역(280)과 제3-2 지지영역(290)의 너비는 제2 연결영역(240)의 너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00)가 수용부(100)에 수용되면, 제2 영역(230)은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 접촉되고, 제2 연결영역(240)과 제2 지지영역(270)은 수용부(100)의 측벽(12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230), 제2 연결영역(240), 및 제2 지지영역(270)을 포함한 3면이 수용부(100)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절곡된 부분들이 대략 90도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부(200)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3-1 지지영역(280)과 제3-2 지지영역(290)이 구비된 경우, 제2 영역(230)은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 접촉되고, 제2 연결영역(240), 제2 지지영역(270), 제3-1 지지영역(280), 및 제3-2 지지영역(290)이 수용부(100)의 측벽(120)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영역(230), 제2 연결영역(240), 제2 지지영역(270), 제3-1 지지영역(280), 및 제3-2 지지영역(290)을 포함한 5면이 수용부(100)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절곡된 부분들이 대략 90도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부(200)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00)를 수용부(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 자석(300)과 고정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는 자석(300)이 구비되고, 제2 영역(230)의 상면에는 자석(300)에 당겨지는 고정부재(350, 예를 들어 금속 또는 또 다른 자석)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석(300)과 고정부재(350) 사이에 수용부(100)의 바닥면(110)과 제2 영역(230)이 배치되면, 자석(300)과 고정부재(350) 사이의 자력에 의해서 수용부(100)의 바닥면(110)과 제2 영역(230)이 결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0)가 수용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도 1 참조). 예를 들어, 수용부(100)가 뒤집어지거나 수용부(100)의 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디스플레이부(200)가 수용부(100)의 개방된 상측을 통해서 분리될 수 있는데, 자석(300)과 고정부재(350)의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200)가 수용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으로부터 자석(300)이 돌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서,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는 일정깊이의 함몰부가 형성되고, 함몰부에 자석(300)이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 자석(300)이 구비되고, 제2 영역(230)에 고정부재(350)가 구비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영역(230)에 자석(300)이 구비되고, 수용부(100)의 바닥면(110)에 고정부재(3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액자는 종이로 형성된 1개의 디스플레이부(200)를 영역별(제1,2,3 영역(210, 230, 250))로 절곡시켜, 3개의 디자인(제1,2,3 디자인(215, 235, 255))을 중첩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입체적 전시물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수용부 110: 바닥면
120: 측벽 200: 디스플레이부
210: 제1 영역 213: 제1 개방부
215: 제1 디자인 220: 제1 연결영역
230: 제2 영역 235: 제2 디자인
240: 제2 연결영역 250: 제3 영역
253: 제2 개방부 255: 제3 디자인
260: 제1 지지영역 270: 제2 지지영역
280: 제3-1 지지영역 290: 제3-2 지지영역
300: 자석 350: 고정부재
A: 일방향 W1: 제1 연결영역의 너비
W2: 제2 연결영역의 너비 W3: 제1 지지영역의 너비
W4: 제2 지지영역의 너비

Claims (1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방향을 따라 제1 영역, 제1 연결영역, 제2 영역, 제2 연결영역, 및 제3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연결영역 사이 및 상기 제1 연결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고,
    상기 제2 영역과 상기 제2 연결영역 사이 및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제3 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관통된 제1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영역에는 관통된 제2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영역의 일측이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영역의 타측에는 제1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1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1 지지영역이 상기 제1 연결영역과 마주보고,
    상기 제3 영역의 일측이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연결될 때,
    상기 제3 영역의 타측에는 제2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2 지지영역이 상기 제2 연결영역과 마주보며,
    상기 제3 영역의 상측에는 제3-1 지지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3 영역의 하측에는 제3-2 지지영역이 연결되며,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3-1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고, 상기 제3 영역과 상기 제3-2 지지영역 사이가 절곡되어, 상기 제3-1 지지영역과 상기 제3-2 지지영역은 서로 마주보는 입체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면과 타면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제1 디자인이 표시되고,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면에 제2 디자인이 표시되며,
    상기 제3 영역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면에 제3 디자인이 표시되는 입체 액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2 연결영역의 너비보다 좁은 입체 액자.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1 연결영역의 너비에 대응하고,
    상기 제2 지지영역의 너비는 상기 제2 연결영역의 너비에 대응하는 입체 액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영역은 상기 제2 연결영역에 접착되고,
    상기 제2 지지영역은 상기 제1 연결영역에 접착되는 입체 액자.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연결영역과 상기 제2 지지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입체 액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연결영역, 상기 제2 지지영역, 상기 3-1 지지영역, 및 상기 제3-2 지지영역은 상기 수용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입체 액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부의 면적은 상기 제1 개방부의 면적에 비해서 넓은 입체 액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에 당겨지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자석과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영역이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입체 액자.
KR1020190143122A 2019-11-11 2019-11-11 입체 액자 KR10233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22A KR102334690B1 (ko) 2019-11-11 2019-11-11 입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22A KR102334690B1 (ko) 2019-11-11 2019-11-11 입체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35A KR20210056535A (ko) 2021-05-20
KR102334690B1 true KR102334690B1 (ko) 2021-12-06

Family

ID=7614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22A KR102334690B1 (ko) 2019-11-11 2019-11-11 입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05Y1 (ko) 2021-09-29 2024-01-05 주식회사 제이오통상 장식용 액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50B1 (ko) * 2017-02-07 2017-11-20 이회영 Diy 종이액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9669U (ko) * 1987-05-28 1988-12-06
KR20120005821U (ko) 2011-02-09 2012-08-20 김예림 장식용 입체액자
KR20170073867A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해피하트 장식 겸용 입체 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550B1 (ko) * 2017-02-07 2017-11-20 이회영 Diy 종이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35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0454B2 (en) Image display device
US5322210A (en) Display box
EP3845468B1 (en) Three-dimensional gift box with acousto-optic effect
KR102334690B1 (ko) 입체 액자
JP2011139426A (ja) 電子装置
US20070234621A1 (en) Display apparatus
US8074390B2 (en) Display box
US7218743B2 (en) Speaker module and apparatus using this
KR102162710B1 (ko) 입체 액자
JP2007002960A (ja) 板材連結具および棚構造
JP6926498B2 (ja) 簡易3次元ビューワ
KR200438172Y1 (ko) 반사판을 구비한 광고용 장식품
JP2010029100A (ja) 表示板付き育苗トレイ
KR200459213Y1 (ko) 액자
JP2005103105A (ja) 多機能型陳列棚装置
JP3143349U (ja)
JP2018120079A (ja) 映像投影機能付き包装容器
JP3191171U (ja) 包装体及び保護フィルム包装体
JP3183431U (ja) 箱型ケースの連結用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箱型ケースの組立セット
CN210853357U (zh) 一种展示盒
JP3180760U (ja) 磁性挟持体を有する磁石構造
CN213620765U (zh) 一种可折叠成型的腕带产品包装盒
CN206699893U (zh) 悬挂式盒状产品的展示架
KR20170011879A (ko) 포장 박스
JP6770401B2 (ja) 電子機器筐体のパネ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