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50B1 - Diy 종이액자 - Google Patents

Diy 종이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50B1
KR101799550B1 KR1020170016943A KR20170016943A KR101799550B1 KR 101799550 B1 KR101799550 B1 KR 101799550B1 KR 1020170016943 A KR1020170016943 A KR 1020170016943A KR 20170016943 A KR20170016943 A KR 20170016943A KR 101799550 B1 KR101799550 B1 KR 10179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diy
pap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회영
강종순
Original Assignee
이회영
강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회영, 강종순 filed Critical 이회영
Priority to KR102017001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50B1/ko
Priority to PCT/KR2018/000840 priority patent/WO20181475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including folding or pleating, e.g. Chinese lante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IY 종이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DIY 종이액자는 내부에 자석이 구비하는 지지판, 지지판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와 외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며 다단의 접힘선을 구비하는 전면부와 전면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와 내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착부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사진이나 그림이 접착되며 자석에 의해 지지판에 탈부착되는 그림붙임판, 및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보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외측 테두리부와 내측 테두리부의 모서리에 유격(틈) 방지를 위한 유격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DIY 종이액자는 입체감이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진이나 그림 등의 교체가 용이하며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IY 종이액자{DIY Paper Picture Frame}
본 발명은 DIY 종이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 종이를 이용한 액자 보다 입체감이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진이나 그림 교체가 용이하며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DIY 종이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額子; picture frame)는 그림이나 사진을 끼우는 틀로, 사진이나 그림을 벽에 걸거나 테이블에 세워두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소정형상의 틀을 이루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뒷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판재와, 이 지지판재를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지지판재의 전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판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그 용도에 따라 프레임, 지지판재 및 고정수단이 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어서 전체적으로 중량이 무겁고, 부피가 커서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제작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액자나 MDF 판재에 무늬가 인쇄된 필름을 부쳐 제작된 액자의 경우 재활용이 어려워 사용 후 폐기하고자 할 때 소각하여야 하므로 친환경적이 되지 못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친환경적이면서도 중량이 가벼운 종이를 재료로 이용하여 제작된 종이 액자가 완제품이나 반제품 형태 또는 사용자가 직접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시되었다.
그 일예로, 한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6821호에서 종이를 이용한 액자는 중앙에 지지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개구를 두고 그 주변으로 사각의 틀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을 일체로 연결한 구성을 지닌다. 즉, 종이판재에서 중앙에 개구를 형성하고 주변으로 틀이 형성되도록 전개도를 작성하여 절단한 후 틀 부분을 다단으로 접어서 완성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종이를 이용한 액자는 종이의 재질 상 일정한 모양을 유지하는 특성이 다른 재질에 비해 낮으며, 각 코너부나 변부에서 별다른 지지수단을 형성하기 곤란하여 완성후 변형되기 쉬우므로 용도에 따라 유연하게 실시를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대형 액자 제작이 가능하지 않고 비교적 그 내구성과 조립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종이를 이용한 액자 보다 입체감이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고 사진이나 그림 교체가 용이하며 다양한 크기로 간편하게 접어 만들 수 있는 DIY 종이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DIY 종이액자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보강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에는 그림이나 사진을 붙이기 위한 붙임판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은 복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며, 그 안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붙임판은 전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접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자석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후면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수평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 외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 전면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내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절곡선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DIY 종이액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이를 접음에 따라 발생되는 중공의 부분이 보강되도록 하여 안정된 단면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이를 통해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소형 뿐만 아니라 대형의 종이 액자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둘째, 프레임 뒷면에 종이재료로 된 지지판을 이중 또는 다중의 겹으로 하여 그 안에 자석 등을 삽입시키고 그림이나 사진 등을 자석 붙임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림이나 사진 등의 교체가 용이하다.
셋째,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되는 평면 전개도의 절곡선과 접힘선 조립을 통해 프레임의 다각면 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입체감 및 장식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누구나 쉽고 간단하게 접어 만들 수 있으며, 종이 재질의 특성상 친환경적이면서 낙하시 안전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2는 도 1 전개도에서 수평 프레임 접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도 1 전개도에서 수직 프레임 접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4는 도 1 전개도에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함께 접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프레임 내부면에 삽입된 보강체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6a-6b는 도 5 프레임 보강체의 조립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 내부면에 도시된 접착 자석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에 그림붙임판의 탈부착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조립 완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a-10b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조립 완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11b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조립 완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a-12b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전개도 및 조립 완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벽걸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 전개도의 조립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액자는 크게 지지판(100)과, 지지판(100)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프레임(200)으로 구성되며, 소정 두께의 판지, 아트지, 모조지 등 다양한 종류의 종이 소재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액자는 민무늬 혹은 문양이나 패턴이 새겨진 종이, 색상이 입혀진 종이 등을 사용함으로써 조립 완성시 다양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지지판(100)은 그림붙임판(300)이 부착되는 부위로, 자석 접착에 의해 그림붙임판(300)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110)이 내장되게 복수의 겹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110)은 판형의 고무자석으로 구성되게 된다.
프레임(200)은 상하 양측의 가로방향의 수평 프레임(210)과 좌우 양측의 세로방향의 수직 프레임(220)으로 구성된다.
수평 프레임(210)은 지지판(100)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211), 외측 테두리부(211)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212), 전면부(212)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213), 및 내측 테두리부(213)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100)과의 접착부위인 접착부(214)를 형성하도록 절곡선(230a,230b,230c,230d)을 구비한다.
수직 프레임(220)은 지지판(100)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221), 외측 테두리부(221)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222), 전면부(222)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223), 및 내측 테두리부(223)의 단부로부터 지지판(10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판(100)과의 접착부위인 접착부(224)를 형성하도록 절곡선(240a,240b,240c,240d)을 구비한다.
여기서, 프레임(200)은 절곡되는 각도에 따라 평면 또는 경사면을 이루게 된다.
지지판(1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곡선(230a,230b,240a,240b)을 접었을 때 수평 프레임(210)과 수직 프레임(220)의 외측 사이의 경계부분에 생길 수 있는 유격 즉, 틈을 방지하도록 외측 유격방지부(250)가 구비된다.
외측 유격방지부(250)는 지지판(100)의 모서리 부분 즉, 수평 프레임(210)의 외측 테두리부(211)와 수직 프레임(220)의 외측 테두리부(221) 사이를 도려내지 않고 남겨둠으로써 형성되게 된다.
이때, 외측 유격방지부(250)는 수평 프레임(210)의 외측 테두리부(211)와 수직 프레임(220)의 외측 테두리부(221)와의 접선부분 및 중심선부분이 접힘선(251)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접힘선(251)의 길이가 같게 형성되어 있어 접히는 내측에 접착되게 함으로서 프레임(200) 전체를 잡아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수평 프레임(210)의 전면부(212)와 수직 프레임(220)의 전면부(22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선(260,270)이 구비되어 접힘선(260,270)의 다단 접힘에 의해 다각면의 형태로 구성하여 입체감과 그림이나 사진의 몰입감 향상을 줄 수 있게 된다.
물론, 접힘선(260,270)은 수평 프레임(210)의 내측 테두리부(213)과 수직 프레임(220)의 내측 테두리부(223)에 걸쳐서 더 구비됨으로써 프레임(200)을 곡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220)의 내측 테두리부(223)의 모서리 부분에는 절곡선(240c,240d)을 접었을 때 수평 프레임(210)과 수직 프레임(220)의 내측 사이의 경계 부분에 생길 수 있는 유격(틈)을 방지하도록 내측 유격방지부(280)가 구비된다.
내측 유격방지부(280)는 내측 테두리부(223)의 모서리 부분에 접힘선(281)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 1의 전개도를 접어 본 발명의 액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머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 전개도에서 수평 프레임 접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며, 도 3은 도 1 전개도에서 수직 프레임 접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고, 도 4는 도 1 전개도에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함께 접어서 프레임을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절곡선(230a,240a)을 지지판(100) 상측을 향해 절곡하여 프레임(200)의 외측 테두리부(211,221)을 형성한다. 이때, 외측 유격방지부(250)의 접힘선(251)을 지지판(100)의 내측을 향해 접어 외측 테두리부(211,221) 사이 즉, 외측 각 코너부에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그런 다음, 절곡선(230b,240b)을 지지판(100) 내측을 향해 절곡한 후 절곡선(230c,240d)을 하측을 향해 절곡하고 다시 절곡선(230d,240d)을 외측을 향해 절곡하여 전면부(212,222)와 내측 테두리부(213,223), 접착부(214,224)를 차례로 형성하여 관형의 프레임(200)을 조립 완성한다.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부(212,222)는 지지판(10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게 구성되었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선(260,270)의 다단 접힘에 의해 다단 경사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접힘수의 확장에 의해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a 내지 도 12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내측 유격방지부(280)의 접힘선(281)을 내측으로 접어넣어 내측 테두리부(213,223) 사이 즉, 내측 각 코너부에 유격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접착부(214,224)는 글루건,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지지판(100)에 접착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액자의 내구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서, 프레임(200) 내부에 보강체(400)를 삽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보강체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고, 도 6a-6b는 도 5 프레임 보강체의 조립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다
보강체(400)는 프레임(200)과 동일한 종이 재질이며 일정깊이의 끼움홈(430)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410,420)로 구성된다.
보강체(400)는 복수개의 보강부재(410,420)가 서로 끼움홈(430)에 끼움 결합되되, 이중 하나의 보강부재(420)를 지그재그 형태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보강력을 높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보강체(400)는 프레임(200) 테두리 내부의 크기나 형태에 맞게 조립된다.
이렇게 형성된 보강체(400)는 프레임(200) 내부에 삽입되어 프레임(200) 내부의 빈공간을 꽉 채움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보강체(400)로 인하여 프레임(200)의 내구성이 향상됨으로써 액자의 크기를 확대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프레임(200)에 보강체(400)가 채워진 본 발명의 종이 액자의 지지판(100) 내부에는 자석(110)이 설치되어 그림이나 사진이 부착된 그림붙임판(300)을 자석에 의해 지지판(100)에 접착 고정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그림붙임판(300)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종이 액자의 지지판(100) 상에 그림붙임판(300)을 붙일 때 상하좌우 테두리 간격 조정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 내부면에 도시된 접착 자석의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IY 종이액자의 지지판에 그림붙임판의 탈부착 모습을 도시한 실시도이다.
그림붙임판(300)은 뒷면에 지지판(100) 자석(110)과의 접착을 위한 자석(3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앞면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을 양면테이프나 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붙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석(310)은 원형의 금속 자석으로, 그림붙임판(30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 설치된다.
그림붙임판(300)의 네 테두리 측면은 대략 75도로 깍어서 제작되어 지지판(100)에 부착시 그림이 액자 안에 떠 있는 느낌을 주는 등 그림의 입체감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a 내지 도 12b에 보여진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접힘선(260,270)의 수에 따라 다단으로 접음으로써 프레임 전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해 다각면 혹은 곡면을 이루는 구조가 가능하다.
도 9a는 도 1 전개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절곡선들(230a∼230d)(240a∼240d) 사이의 폭이 동일하며 접힘선(260,270)이 없는 경우의 전개도로, 이는 절곡선들(230a∼230d)(240a∼240d)의 수직 절곡에 의해 도 9b에 보여진 바와 같이 수직의 평면 프레임(200)의 종이액자를 구성하게 된다.
도 10a은 도 1 전개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접힘선(260,270)이 2개 있는 경우의 전개도로, 이는 절곡선들(230a,230b)(240a,240b)을 차례로 절곡한 후, 접힘선(260,270)에 의해 2단으로 접혀지고 절곡선들(230c,230d)(240c,240d)을 차례로 절곡하여 도 10b에 보여진 바와 같이 2단 경사각 프레임(200)의 종이액자를 구성하게 된다.
도 11a는 도 1 전개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접힘선(260,270)이 6개 있는 경우의 전개도로, 이는 접힘선(260,270)에 의해 6단으로 접혀짐으로써 도 11b에 보여진 바와 같이 6단 경사각 프레임(200)의 종이액자를 구성하게 된다.
도 12a는 도 1 전개도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접힘선(260,270)이 12개 있는 경우의 전개도로, 이는 접힘선(260,270)에 의해 12단으로 접혀짐으로써 도 12b에 보여진 바와 같이 12단 경사각 즉, 거의 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200)의 종이액자를 구성하게 된다.
즉, 접힘선(260,270)의 수가 늘어날수록 전개도를 접어서 완성되는 종이액자의 프레임(200)이 내측으로 곡면형성을 이루게 된다.
더욱이, 프레임(200)의 다각면 또는 곡면 구성으로 도 10b, 11b 및 12b에 보여진 바와 같이, 내측테두리부(213,223)가 외측테두리부(211,221) 쪽으로 경사진 형태 즉,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가 됨으로써, 지지판(100)에 부착한 그림붙임판(300)의 테두리 부분에 프레임의 음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착한 그림이나 사진의 몰입감이 좋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되는 종이 액자는 도 13에 보여진 바와 같이, 벽에 걸기 쉽게 뒷판에 벽걸이 줄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00) 뒷면 양쪽에 홀(120)을 형성하고, 벽걸이 줄(130) 양단에 걸림쇠(140)를 구비하여 걸림쇠(140)가 홀(120)에 걸리도록 하여 벽걸이 줄(130)을 액자에 설치한 후 벽에 걸면 된다.
이상과 같이 DIY 종이액자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하는 데 반해,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 범위는 본 특허청구범위와 동일한 그것 이외에도 동종업류의 통상 기술자가 극히 자명하게 본 발명으로부터 주지관용적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변경 실시하거나 제외 실시한 경우에도 해당될 수 있도록 한다.
100 : 지지판 110,310 : 자석
120 : 홀 130 : 벽걸이줄
140 : 걸림쇠 200 : 프레임
210 : 수평프레임 211,221 : 외측 테두리부
212,222 : 전면부 213,223 : 내측 테두리부
214,224 : 접착부 220 : 수직프레임
230a,230b,230c,230d,240a,240b,240c,240d : 절곡선
250 : 외측유격방지부 251,260,270,281 : 접힘선
280 : 내측유격방지부 300 : 그림붙임판
400 : 보강체 410,420 : 보강부재
430 : 끼움홈

Claims (15)

  1.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는 프레임 보강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절곡에 의해 관 형태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절곡선을 구비하고, 다단 접힘에 의해 전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해 다각이나 곡선을 형성하도록 절곡선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힘선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보강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보강부재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보강보재의 끼움홈에 다른 보강부재의 끼움홈이 지그재그 형태로 끼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그림이나 사진을 붙이기 위한 붙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복수의 겹으로 이루어지며, 그 안에 자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판은 전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접착되며, 상기 지지판의 자석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후면에 자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 외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 전면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내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착부를 이루기 위한 절곡선들; 및
    상기 전면부와 내측 테두리부를 다단의 경사면이나 곡면으로 이루기 위한 접힘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지지판의 상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부, 외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면부, 전면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하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내측 테두리부, 및 내측 테두리부의 단부로부터 지지판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착부를 이루기 위한 절곡선들; 및
    상기 전면부와 내측 테두리부를 다단의 경사면이나 곡면으로 이루기 위한 접힘선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부와 수직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부 사이에 내측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접힘선을 형성하여, 외측 테두리부의 모서리에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외측유격방지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유격방지부는 중심선부분의 접힘선과 외측 테두리부와의 접선부분의 접힘선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접힌선의 길이는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부는 모서리 부분에 내측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접힘선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 테두리부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내측유격방지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붙임판은 상기 지지판에 부착시 떠 있는 느낌을 주도록 측면이 후면을 향해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벽걸이식 액자가 가능하도록 후면에 벽걸이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 종이액자.
KR1020170016943A 2017-02-07 2017-02-07 Diy 종이액자 KR10179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43A KR101799550B1 (ko) 2017-02-07 2017-02-07 Diy 종이액자
PCT/KR2018/000840 WO2018147566A1 (ko) 2017-02-07 2018-01-18 Diy 종이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43A KR101799550B1 (ko) 2017-02-07 2017-02-07 Diy 종이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50B1 true KR101799550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43A KR101799550B1 (ko) 2017-02-07 2017-02-07 Diy 종이액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9550B1 (ko)
WO (1) WO201814756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20210056535A (ko) * 2019-11-11 2021-05-20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55Y1 (ko) * 2000-03-10 2000-10-02 박춘성 종이액자
JP3179937B2 (ja) * 1993-05-01 2001-06-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20140325884A1 (en) * 2011-10-22 2014-11-06 The Shadow Gap Company Imag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213Y1 (ko) * 2009-11-10 2012-03-27 김형태 액자
JP3179937U (ja) * 2012-09-13 2012-11-22 ナギ 岩崎 組立式額縁
KR20150145494A (ko) * 2014-06-20 2015-12-30 허성우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KR200480605Y1 (ko) * 2014-10-28 2016-06-13 이홍진 다단 절첩 조립식 종이 그림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9937B2 (ja) * 1993-05-01 2001-06-2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200198755Y1 (ko) * 2000-03-10 2000-10-02 박춘성 종이액자
US20140325884A1 (en) * 2011-10-22 2014-11-06 The Shadow Gap Company Image Displa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20210056535A (ko) * 2019-11-11 2021-05-20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KR102334690B1 (ko) * 2019-11-11 2021-12-06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47566A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540968U (zh) 拼裝式組合燈具
KR101799550B1 (ko) Diy 종이액자
CN103284527A (zh) 磁性组装画框
US20180000264A1 (en) Art Display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03458106U (zh) 磁性组装画框
KR200477945Y1 (ko) 퍼즐 전용 액자
KR200378931Y1 (ko) 종이 액자
US20060130385A1 (en) Frame
KR101552833B1 (ko) 접이식 캔버스 패널
KR200428342Y1 (ko) 장식용 책 모형
KR200188694Y1 (ko) 조립식 액자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JP3179937U (ja) 組立式額縁
CN218594812U (zh) 一种礼盒式装饰画
GB2534857A (en) A picture frame with card insert and hanging bracket
WO1998034522A1 (en) Folded picture frame blank
WO2016180603A1 (en) Picture frame kit
CN210213147U (zh) 多功能防水纸托盘
KR101334906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액자
KR101853937B1 (ko) 벽장식용 조형물
JP4641803B2 (ja) 装飾構造体
JPS5922010Y2 (ja) 容器
KR101631113B1 (ko) 입체 액자
KR20210079840A (ko) 종이접이식 액자
KR20210002833U (ko) 절곡 조립형 종이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