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113B1 - 입체 액자 - Google Patents

입체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113B1
KR101631113B1 KR1020150068568A KR20150068568A KR101631113B1 KR 101631113 B1 KR101631113 B1 KR 101631113B1 KR 1020150068568 A KR1020150068568 A KR 1020150068568A KR 20150068568 A KR20150068568 A KR 20150068568A KR 101631113 B1 KR101631113 B1 KR 10163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plate
support
photo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찬진
Priority to KR102015006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입체 액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입체 액자는,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착 고정되되 돌출된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사진지지부; 및 상기 단위돌출부의 제1 면과 제2 면에 서로 다른 그림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릴 때 보는 방향에 따라 적어도 2종의 사진을 제공하도록 상기 사진지지부의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인쇄되도록 마련되는 사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 액자{PICTURE FRAME}
본 발명은 입체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액자에 서로 다른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연출할 수 있는 입체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이러한 액자의 구조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뒷판과, 상기 뒷판의 배면에 결합되어 액자 틀을 장식대 등에 거치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오직 1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2종 이상의 사진이나 그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개수의 액자가 반드시 필요했으므로 비용부담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호(등록일자: 2012년 03월 27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실내의 계단과 인접하는 벽면에 설치되어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2종의 사진을 제공함으로써 비용절감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입체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착 고정되되 돌출된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사진지지부; 및 상기 단위돌출부의 제1 면과 제2 면에 서로 다른 그림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릴 때 보는 방향에 따라 적어도 2종의 사진을 제공하도록 상기 사진지지부의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인쇄되도록 마련되는 사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사진지지부는, 상기 사진부가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인쇄된 후 상기 단위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돌출부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상기 단위돌출부의 중공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단위돌출부의 내부를 견고하게 보강하면서도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과 가벼운 성질을 갖는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사진지지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지지부에 마련된 단위돌출부의 제1 면과 제2 면에 서로 다른 그림을 배치하여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용자에게 보는 방향에 따라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연출할 수 있는 입체 액자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액자에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의 연출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액자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체 액자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액자의 평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입체 액자의 정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진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와, 사진지지부(20)와, 그리고 사진부(30)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10)는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플레이트(10)는 사진지지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사진지지부(2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0)는 나무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0)는 입체 액자(1)를 계단과 인접하는 벽면에 설치시 스크류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벽면에 고정된다.
사진지지부(20)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결합된다. 즉, 사진지지부(20)는 다수의 단위돌출부(22)에 의해 2종 이상의 사진이나 그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단위돌출부(22)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착 고정되되 돌출된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면(22A)과 제2 면(22B)을 형성하도록 지지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사진지지부(20)는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과 제2 면(22B)에 서로 다른 사진이나 그림을 배치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사진지지부(20)는 본 발명의 입체 액자(1)가 계단과 인접하는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과 제2 면(22B)에 의해 보는 방향에 따라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사진지지부(20)는 사진부(30)가 평면 상태에서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직접 인쇄된 후 단위돌출부(22)를 형성하도록 지지플레이트(10)에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단위돌출부(22)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고 단위돌출부(22)의 중공부에는 보강부재(24)가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단위돌출부(22)는 그 내부가 보강부재(24)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쉬운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강부재(24)는 단위돌출부(22)의 내부를 견고하게 보강하면서도 입체 액자(1)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과 가벼운 성질을 갖는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진지지부(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사진부(30)는 표면에 사진이나 그림이 인쇄되도록 마련된다. 즉, 사진부(30)는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 및 제2 면(22B)과 대응되도록 표면에 서로 다른 사진이 인쇄된 후 사진지지부(20)의 전면에 접착된다.
이와는 달리, 사진부(30)는 사진지지부(20)의 제1 면(22A) 및 제2 면(22B)에 서로 다른 그림이 일체로 인쇄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체 액자(1)는 계단과 인접하는 벽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사진지지부(20)의 단위돌출부(22)에 의해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단위돌출부(22)는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고 돌출된 양측에 제1 면(22A)과 제2 면(22B)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과 제2 면(22B)에 서로 다른 그림이나 사진을 배치하도록 마련된 사진부(30)를 통해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계단을 내려갈 때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으로써 제1 면(22A)에 배치된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계단을 올라갈 때 단위돌출부(22)의 제2 면(22B)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함으로써 제2 면(22B)에 배치된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보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단위돌출부(22)가 지지플레이트(10)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과정에서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 또는 제2 면(22B)만을 제한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보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1)는 사진지지부(20)에 마련된 단위돌출부(22)의 제1 면(22A)과 제2 면(22B)에 서로 다른 그림을 배치하여 계단을 오르내리는 사용자에게 보는 방향에 따라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액자에 2종의 사진이나 그림의 연출이 가능하여 비용절감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액자(1)는 단위돌출부(22)의 중공부에 일정한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부재(24)를 삽입 결합하여 보강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단위돌출부(2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지지플레이트 20: 사진지지부
22: 단위돌출부 22A: 제1 면
22B: 제1 면 24: 보강부재
30: 사진부

Claims (5)

  1. 일정한 면적과 길이를 갖는 평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접착 고정되되 돌출된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제1 면과 제2 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사진지지부; 및
    상기 단위돌출부의 제1 면과 제2 면에 서로 다른 그림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계단을 오르내릴 때 보는 방향에 따라 적어도 2종의 사진을 제공하도록 상기 사진지지부의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인쇄되도록 마련되는 사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지지부는, 상기 사진부가 전면에 접착되거나 또는 인쇄된 후 상기 단위돌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돌출부는 내부가 중공 형성되되, 상기 단위돌출부의 중공부에는 보강부재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단위돌출부의 내부를 견고하게 보강하면서도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과 가벼운 성질을 갖는 스폰지 또는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나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사진지지부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액자.
KR1020150068568A 2015-05-18 2015-05-18 입체 액자 KR101631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568A KR101631113B1 (ko) 2015-05-18 2015-05-18 입체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568A KR101631113B1 (ko) 2015-05-18 2015-05-18 입체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13B1 true KR101631113B1 (ko) 2016-06-16

Family

ID=5635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568A KR101631113B1 (ko) 2015-05-18 2015-05-18 입체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113A (ja) * 1998-03-09 1999-10-2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イメージ表示シートおよびイメージ表示システム
JP2006167285A (ja) * 2004-12-17 2006-06-29 Rengo Co Ltd ディスプレイ台
JP2013097306A (ja) * 2011-11-04 2013-05-20 Mitsubishi Rayon Co Ltd 微細凹凸構造体、ディスプレイ及び微細凹凸構造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113A (ja) * 1998-03-09 1999-10-2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イメージ表示シートおよびイメージ表示システム
JP2006167285A (ja) * 2004-12-17 2006-06-29 Rengo Co Ltd ディスプレイ台
JP2013097306A (ja) * 2011-11-04 2013-05-20 Mitsubishi Rayon Co Ltd 微細凹凸構造体、ディスプレイ及び微細凹凸構造体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호(등록일자: 2012년 03월 27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945B2 (en) Transparent picture frame
KR101631134B1 (ko) 광고용 조명장치
KR101631113B1 (ko) 입체 액자
KR101799550B1 (ko) Diy 종이액자
KR20200057266A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간판용 몸체 제작 방법 및 상기 3d 프린터를 이용한 간판용 몸체 제작 방법에 의해 제작된 간판용 몸체
KR20200104116A (ko) 디지털시계가 부설된 액자
TWI569756B (zh) Frame
JP2007089696A (ja) 飾り棚
KR200438452Y1 (ko) 가구용 이미지패널
KR101226238B1 (ko)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7900A (ko) 액자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KR20130064343A (ko) 경량화 및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한 욕실용의 거울조립체
KR101334906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액자
KR101874854B1 (ko) 후렉스 원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신형 채널 led 조명식 간판 프레임 시스템
KR101634341B1 (ko) 이중 액자
KR101484612B1 (ko) 간판채널 고정용 프레임
KR102148763B1 (ko) 원터치 착탈식 액자 후면 마감구
CN103317944A (zh) 一种木雕画框
US2014024844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62269B1 (ko) 액자 및 구도기 겸용 프레임
KR200483786Y1 (ko) 광고용 입간판
KR200479256Y1 (ko) 장식화면이 구비된 액자
KR20150097899A (ko) 액자
JP6221180B2 (ja) ドア額縁の改修工法および改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