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420B1 - 피난 장치 - Google Patents

피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420B1
KR102332420B1 KR1020207032762A KR20207032762A KR102332420B1 KR 102332420 B1 KR102332420 B1 KR 102332420B1 KR 1020207032762 A KR1020207032762 A KR 1020207032762A KR 20207032762 A KR20207032762 A KR 20207032762A KR 102332420 B1 KR102332420 B1 KR 10233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locking
posture
lock
standing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8440A (ko
Inventor
노리아키 기도
데츠야 후지타니
가즈히로 데라오카
Original Assignee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8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 편리성이 양호한 피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층측의 바닥(1)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하층 바닥면(3)까지 강하하는 승강대(4)와, 승강대(4) 상면을 은폐하는 덮개체(5)와, 승강대(4) 상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6)에 도복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까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덮개체(5)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되는 난간(7)과, 난간(7)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난간(7)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난간 잠금체(8)를 가지고 구성한다.

Description

피난 장치
본 개시는, 피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대 상에 도복(倒伏)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 이행 조작 가능한 난간을 설치한 피난 장치로서는, 일본공개특허 2010-5147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예에 있어서, 피난 장치를 이용하려면, 우선, 덮개체를 개방한 후, 난간을 기립 자세로 이행시킬 필요가 있어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이상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한 피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상기 목적은,
상층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하층까지 강하하는 승강대와,
대기 위치에 있는 승강대 상면을 은폐하는 덮개체와,
승강대 상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에 도복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까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덮개체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되는 난간과,
덮개체의 개방 상태에서 난간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이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난간 잠금체를 갖는 피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난간은 기립 자세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어, 덮개체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덮개체를 개방하면, 난간은 바이어스력에 의해 기립 자세로 이행하고, 난간 잠금체는, 난간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기립 자세가 보유지지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 있어서, 덮개체의 개방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난간이 사용 상태인 기립 자세로 이행하기 때문에, 별도 난간의 기립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형태로서,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에 있는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잠금 대피 위치의 사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난간 브래킷에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고,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 난간 잠금체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대피 위치로 구동하는 잠금 조작 부재가 설치되고,
잠금 조작 부재가, 작동 위치에서 난간 잠금체를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잠금 대피 위치에 구속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와 도복 자세의 사이의 이동시의 난간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는 잠금 위치와, 간섭이 해소되는 잠금 대피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잠금 위치에서 기립 자세에 있는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잠금 대피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잠금 조작 부재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 난간 잠금체를 잠금 대피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난간의 기립 자세로부터 도복 자세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잠금 조작 부재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작동 위치에 보유지지 가능하며, 이 상태에서 난간 잠금체는 잠금 대피 위치에 보유지지되어 난간에의 도복 조작이 허용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있어서,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로 이동 조작한 상태에서 덮개체를 폐색하면, 덮개체의 폐색에 따라 난간을 도복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난간을 도복시킨 후, 추가로 덮개체를 폐색 조작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잠금 조작 부재는 난간이 도복 자세로 이행한 후, 작동 위치로의 구속을 해소하는 조작을 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잠금 조작 부재는,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에 따라 초기 위치로 구동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구속 해소 조작을 행하지 않고, 초기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잠금 조작 부재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를 병진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잠금 조작 부재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고, 작동 위치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난간 잠금체를 잠금 대피 위치에 밀어넣으며,
잠금 대피 위치에 있는 난간 잠금체가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측의 회전 스트로크 종단에 눌러붙임과 아울러, 그 잠금 조작 부재가 그 난간 잠금체를 잠금 대피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하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다른 형태로서,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에 있는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에 따라 배출되는 임시 보유지지 위치의 사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이동 가능하며,
난간 브래킷에는, 잠금 위치측으로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난간 잠금체를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스토퍼벽이 설치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난간이 기립 자세에 있을 때에 난간 잠금체를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하고, 이 상태로부터 난간을 도복시키면, 난간 잠금체는 난간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부터 밀려나와, 잠금 위치측으로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잠금 위치로 복귀한다. 잠금 위치에서의 난간 잠금체는 난간이 기립 자세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도복 자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일은 없기 때문에, 이어지는 난간에의 도복 조작은 허용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있어서 일단 난간 잠금체를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한 상태에서 덮개체를 폐색하면, 덮개체의 폐색에 따라 난간을 도복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난간을 도복시킨 후, 추가로 덮개체를 폐색 조작할 필요가 없어져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난간 잠금체가 잠금 위치로부터 이격되고, 기립 자세의 난간과의 비간섭 경로를 거쳐 난간의 이행 경로 내에 진입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비간섭 경로에 잠금체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잘라내어 형성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하면, 오목부의 잠금 위치에 대치하는 벽면이 스토퍼벽이 되기 때문에,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난간 잠금체에는, 일단이 난간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제1 인장 부재와,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있는 난간 잠금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2 인장 부재가 연결되는 피난 장치를 구성하면, 난간 잠금체를 간단한 구성으로 잠금 위치 및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난간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부에서 각각 난간 브래킷에 연결되고, 난간 잠금체는, 각 난간 브래킷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봉상(棒狀)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조작 가능한 피난 장치를 구성하면, 브래킷 사이에 가설되는 봉상의 난간 잠금체를 밀어넣어 임시 보유지지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피난 장치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의한 피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덮개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3B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승강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A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승강대에 휠체어를 실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도복 자세의 난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개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조작 종료 직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c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며, 임시 보유지지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기립 자세로의 이행 개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임시 보유지지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잠금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잠금 조작부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잠금 조작부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세팅 상태의 슬로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매달림 상태의 슬로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잠금 상태의 플랩의 측면도이다.
도 15b는, 잠금 상태의 플랩의 링크 구성도이다.
도 16a는, 플랩의 동작을 나타내며, 착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플랩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가 대기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a는, 슬로프체의 변형예의 돌출부 형성부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슬로프체의 변형예의 세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도 17의 슬로프체의 동작을 나타내며, 매달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b는, 도 17의 슬로프체의 동작을 나타내며, 세팅 상태로의 이행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변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c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d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해제되어 승강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는, 다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b는, 다른 실시형태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도 22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의 상승에 의해 후크 보조 부재가 피걸어멈춤부에 충돌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b는, 도 22의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며, 승강대가 더욱 상승하여 간섭 돌출부가 피걸어멈춤부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a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도 19의 24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b는, 도 24a의 24B-24B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개방 레버가 회전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b는, 변환부의 동작을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에의 조작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27A부 확대도이다.
도 28a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걸어멈춤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b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상태가 해제된 직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c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d는, 후크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20에 대응하며, 잠금 해제되어 승강대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a는, 잠금 부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b는, 잠금 부재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며, 잠금 조작부를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난간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기립 자세의 난간을 나타내는 측면이다.
도 33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복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복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로의 이행 도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기립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측으로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a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까지 회전 조작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b는, 난간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난간이 도복 자세측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 장치는, 상층측의 바닥(1)에 형성된 개구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피난용 개구(2)를 형성하는 케이스(2a)와, 피난용 개구(2)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체(5)와, 하층의 바닥면(3) 상에 세워 설치되고, 상단이 상기 피난용 개구(2)에 고정되는 가이드 지주(14)와, 승강대(4)를 가진다.
승강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개구(2) 내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이 대기 위치로부터 가이드 지주(14)를 따라 강하하여 하층 바닥면(3) 상에 착지하는 피난 위치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
상기 가이드 지주(14)는 적절한 좌굴 강도를 갖는 중공 파이프체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가이드 지주(14)의 하단부는 하층의 바닥 슬래브에, 상단부는 케이스(2a)에 고정된다.
또한, 가이드 지주(14)의 일측벽면에는 랙 홈(14a)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홈(14a)은, 스테인리스 등의 고강도의 판재에 소정 피치로 오목부(14b)를 형성한 것으로, 가이드 지주(14)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나아가 이 경우,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a)의 주연(周緣)의 하단에 오목부(2b)를 형성하면, 승강대(4)가 퇴피 위치로부터 상승하여 대기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하부 덮개와 케이스(2a) 하부 가장자리의 충돌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주(14)의 중공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에 의해 매달리는 무게추(15)가 수용되어 있고, 승강대(4)가 하층에 도달한 후, 이용자가 승강대(4)를 내리면, 무게추(15)의 중량에 의해 승강대(4)는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는, 휠체어(16)의 이용자가 탈 수 있는 충분한 넓이 및 내하중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휠체어(16)는, 도 4, 6에서 좌측의 후연부(後緣部)로부터 중앙부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에 올라탈 수 있다.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경사 후방에는, 보호자가 타기 위한 보조 공간(4b)이 형성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휠체어(16)의 진행 방향(도 4에서의 우측)을 「전방」, 올라타는 측을 「후방」, 도면에서 상하 방향을 「측방」으로 한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승강대(4)의 각측부에는, 상기 가이드 지주(14)가 삽입통과하는 지주 삽입통과 개구(4c)가 형성되고, 지주 삽입통과 개구(4c)를 사이에 둔 전후에는 승강대(4)의 강하 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완강 장치(17)가 탑재된다. 완강 장치(17)의 회전축(17a)에는 상기 가이드 지주(14)의 오목부(14b)에 맞물리는 피니언(17b)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피니언(17b)의 회전수를 완강 장치(17)에 의해 감속함으로써 승강대(4)의 강하 속도가 저감된다.
또한, 승강대(4)에는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방향 벽면, 및 외측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롤러(18)가 배치되어 있어, 승강시의 흔들림 등이 규제된다.
나아가 승강대(4)의 전연부(前緣部)에는, 난간(7)이 배치된다. 난간(7)은, 파이프체를 절곡하여 형성되고, 가로대(7a)와, 가로대(7a)의 양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대(7b)를 가지고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난간(7)의 승강대(4)에의 장착은, 각 세로대(7b)의 자유단부를 승강대(4)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6)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행해진다.
상기 난간(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표면을 따르는 도복 자세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7a)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기립 자세의 사이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난간(7)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어, 덮개체(5)를 폐색함으로써 도복 자세를 보유지지하고, 덮개체(5)의 개방 조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립 자세로 이행한다.
도 7, 8에 난간(7)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7)의 각 세로대(7b)는 하단의 자유단부를 잠금 조작편(7c)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하단으로부터 약간 상방 위치에서 난간 브래킷(6)에 연결되고, 토션 스프링(7d)에 의해 기립 자세측, 즉, 도 8에서의 시계방향의 바이어스력이 부여된다.
난간 브래킷(6)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잠금 위치, 잠금 해제 위치, 및 임시 보유지지 위치 사이를 연결하는 장공 형상의 이동 통로(19)가 형성되고, 양쪽의 난간 브래킷(6) 사이에 걸쳐지는 봉상의 난간 잠금체(8)의 양단이 이동 통로(19)에 삽입된다.
상기 잠금 위치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7)이 기립 자세에 있을 때, 난간 잠금체(8)가 잠금 조작편(7c)의 도복 자세측으로의 이동 경로를 폐색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도 9b에서 난간 잠금체(8)가 위치하는 잠금 해제 위치는, 난간 잠금체(8)가 잠금 조작편(7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 9d에서 난간 잠금체(8)가 위치하는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잠금 조작편(7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경로(10)의 종단을 잠금 조작편(7c)의 이동 궤적과의 간섭 영역에 다시 진입시킨 위치에 설치되며, 본 예에서는, 난간 잠금체(8)가 끼워맞춤 가능한 노치형상의 오목부(11)를 난간(7)의 회전 중심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난간 잠금체(8)의 이동 통로(19)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시키기 위해, 난간 잠금체(8)에는, 일단이 난간(7)의 회전 중심(C7)에 고정되는 제1 인장 부재로서의 제1 인장 스프링(12)과, 일단이 난간 브래킷(6)의 전단부에 고정되는 제2 인장 부재로서의 제2 인장 스프링(13)이 연결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덮개체(5)를 개방하면, 난간(7)은 도 8에 도시된 도복 자세로부터 토션 스프링(7d)의 복원력에 의해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한다.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작편(7c)은 잠금 위치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난간 잠금체(8)에 간섭하고, 더욱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8)를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밀어낸다.
이후, 더욱 난간(7)이 기립 자세측으로 이동하면, 난간 잠금체(8)는 제1, 제2 인장 스프링(12, 13)의 복원력에 의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위치로 복귀한다.
난간(7)이 기립 자세에 있을 때, 잠금 위치에 있는 난간 잠금체(8)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조작편(7c)의 도복 위치 방향으로의 이동을 이동 통로(19)의 벽면에 의해 규제하기 때문에, 난간(7)에 도복 방향의 힘을 가해도 난간(7)이 쓰러지는 일은 없다.
이 상태로부터,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8)를 잠금 해제 위치를 넘어 임시 보유지지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난간 잠금체(8)는, 제1 인장 스프링(12)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의 종단벽에 눌려붙여짐과 아울러, 제2 인장 스프링(13)의 바이어스력에 의한 잠금 위치 방향의 이동이 오목부(11)의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스토퍼벽(9)에 의해 차단되는 결과,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8)의 중심부는 승강대(4)의 후방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난간 잠금체(8)의 중심부를 후방을 향하여 밀어넣는 것만으로도, 난간 잠금체(8)는, 비간섭 경로(10)의 종단으로 이동하고, 이후, 밀어넣음 조작을 종료하면, 제1 인장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9d의 상태, 즉, 난간(7)이 기립 위치에 있고, 또한 난간 잠금체(8)가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있는 상태로부터 난간(7)을 도복시키면, 난간 잠금체(8)는, 잠금 조작편(7c)에 의해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부터 비간섭 경로(10)로 밀려나가고, 그 후, 제2 인장 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잠금 위치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본 예에서, 피난 장치의 사용 후, 승강대(4)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난간 잠금체(8)를 임시 보유지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덮개체(5)를 폐색시키는 것만으로도 난간(7)을 도복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 토션 스프링(7d)의 일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6)의 승강대(4)에의 장착편(6a)을 관통하여 승강대(4) 내에 삽입되어 있지만, 도 10a~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6)의 후부 절곡편(6b)에 걸어멈춤시킬 수도 있다.
또, 이후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난간(7)에는, 후술하는 잠금 부재(20)를 조작하기 위한 잠금 조작부(21)가 배치된다. 잠금 조작부(21)는, 난간(7)의 가로대(7a)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휠체어(16)를 탄 피보호자의 부자유스럽지 않은 어떤 팔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혹은 보호자가 어떤 보조 공간(4b)에 타도 피보호자의 어깨너머로 조작할 수 있도록, 가로대(7a)의 중심 위치에 대해 대칭 위치에 한 쌍 설치된다.
이들 잠금 조작부(21) 중 어느 것을 조작해도, 후술하는 이너 와이어(22b)를 동기시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잠금 조작부(21)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형상부(21a)가 형성된다.
또한, 각 잠금 조작부(21)는, 피보호자가 팔을 잠금 조작부(21) 상에 올려놓아 체중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혹은 보호자가 피보호자의 어깨너머로 밀어넣는 것만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도 6,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형상이며, 또한 하방향으로 눌러내림으로써 잠금 부재(20)의 잠금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배려된다.
이들 잠금 조작부(21)에 의한 잠금 부재(20)의 조작은 아우터 케이블(22a) 내에 이너 와이어(22b)를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시킨 와이어 장치(22)를 사용하여 행해지고, 도 11, 12a,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C21) 둘레로 회전 조작 가능한 각 잠금 조작부(21)에는 각각 이너 와이어(22b)가 연결된다.
와이어 장치(22)를 풀 사양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이너 와이어(22b)는 연결 대상의 잠금 조작부(21)와 반대측의 잠금 조작부(21) 내에 삽입통과시킨다. 잠금 조작부(21)에 연결된 와이어 장치(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난간(7)에 형성한 와이어 도입 개구(7e)로부터 난간(7)의 내부 공간 내에 끌려들어간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와이어 도출 개구(7f)로부터 난간(7) 외부로 인출되어, 승강대(4)의 표면상 적절한 높이로 난간(7)의 세로대(7b)를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후술하는 변환부(23)에 연결된다.
나아가 승강대(4)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후단부에는 플랩(24)이 회전축(C24) 둘레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나아가 그 후방에는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한 상태에서 하층 바닥면(3)과의 단차를 흡수하기 위한 경사면(4d)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랩(24)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와 함께 잠금이 해제되어 하방으로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한 후, 휠체어(16)를 후퇴시키면, 플랩(24)이 눌려내려가도록 회전하여 자유단부가 경사면(4d) 상에 올라타고, 그대로 하층 바닥면(3)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층측의 대기 위치에서 휠체어(16)의 탑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난용 개구(2)에는 슬로프체(25)가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체(25)는, 휠체어(16)가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폭치수를 갖는 판체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단부가 승강대(4) 상에 올라탄 세팅 위치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난용 개구(2)로부터 매달린 상태의 매달림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중심(C25) 둘레로 회전한다.
이 슬로프체(25)의 자유단에는 세팅 롤러(25a)와 받침 롤러(25b)가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팅 위치에서 받침 롤러(25b)는 경사면(4d) 상에 올라타서 슬로프체(25) 상을 통과하는 휠체어(16)의 하중을 부담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플랩(24)은 승강대(4)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슬로프체(25)의 자유단 상에 올라탄 상태로 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상층측 바닥면과 승강대(4)의 표면의 사이에는 슬로프체(25)가 걸쳐져 상층측 바닥면(1)과 승강대(4) 표면의 사이의 단차가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대(4)가 강하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4d)에 의한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된 슬로프체(25)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여 매달림 자세로 이행한다.
상기 세팅 롤러(25a)는 슬로프체(25)가 매달림 자세에 있고, 상승해 온 승강대(4)의 보조 공간(4b) 내측 단부 상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슬로프체(25)에 세팅 위치 방향, 즉, 도 14에서 반시계방향의 회전 조작력을 발생시키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가 강하 후, 다시 대기 위치측으로 이동하면, 우선, 세팅 롤러(25a)가 승강대(4)의 보조 공간(4b) 내측 단부 상면에 접촉하여, 슬로프체(25)가 승강대(4)와 상승함과 아울러 세팅 위치로 복귀하고, 도 13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승강대(4)와 세팅 롤러(25a)가 충돌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피난용 개구(2)와 슬로프체(25)의 이면의 사이에는 댐퍼(26)가 장착된다.
상기 플랩(2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휠체어 탑재 영역(4a)의 후단부에 상하 방향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도 14에 도시된 기립 자세와, 자유단이 경사면(4d)에 올라탄 도복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하고, 회전축(C24)에 감김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27)에 의해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된다. 플랩(24)의 기립 자세에서의 각도는, 플랩(24)의 전후방향의 길이 치수를 고려하여, 승강대(4) 상의 휠체어(16)의 바퀴 멈춤용으로서 기능할 정도로 결정된다.
상기 플랩(24)은, 플랩 잠금부(28)에 의해 기립 자세의 유지가 제어되며, 승강대(4)의 승강시,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 이외에는 잠금 상태가 되어 기립 자세가 보유지지되고, 승강대(4)의 승강 종단 위치,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도복 자세측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 결과, 승강대(4)의 강하 중은, 플랩(24)의 기립 자세는 유지되어 승강대(4)로부터의 휠체어(16)의 전락이 방지되고, 승강대(4)의 승강 종단 위치, 즉, 대기 위치와 하층 바닥면(3)에의 착지시에는 도복 자세로의 이동이 허용되어 휠체어(16)의 통과의 장해가 되는 일이 없다.
플랩 잠금부(28)는, 도 15a,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잠금 제어체(29)와, 플랩(24)의 자유단부, 및 잠금 제어체(29)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플랩 잠금체(30)를 가지며, 각각에는, 잠금 상태에서 서로 걸어멈춤되는 잠금 스토퍼(29a, 30a)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 제어체(29)는,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 중심(C29)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플랩 잠금부(28)는, 플랩 잠금체(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제어체(29)의 잠금 스토퍼(29a)에 잠금 스토퍼(30a)를 걸어멈춤시킨 걸어멈춤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잠금 상태가 된다.
또한,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를 연결하는 회전축(C29M)에는 토션 스프링(31)이 감김 장착되어 있고, 이 결과, 플랩(24)에 대해 회전 중심(C30)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플랩 잠금체(30)는, 토션 스프링(27)에 의한 바이어스력에 의해 걸어멈춤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잠금 제어체(29)는, 플랩 잠금체(30)와의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 스프링(3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잠금체(30)와 잠금 제어체(29)의 연결 위치, 잠금 제어체(29)의 승강대(4)에의 연결 위치, 및 잠금 상태에서의 잠금 스토퍼들(9a, 30a)의 걸어멈춤 위치는, 플랩(24)의 도복 방향으로의 이동 조작력이 플랩 잠금체(30)와의 연결점에 부가되었을 때의 플랩 잠금체(30)와 잠금 제어체(29) 사이의 교차각의 변경을 잠금 스토퍼들(29a, 30a)의 걸어멈춤에 의해 규제하는 관계가 되도록 설정된다.
즉, 도 15b에서, 플랩(24)에 도복 방향의 회전 조작력이 부하된 경우, 플랩 잠금체(30)의 플랩(24)과의 연결점에는 힘(F)이 작용하여, 잠금 제어체(29)에는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한다. 잠금 스토퍼들(29a, 30a)의 걸어멈춤 위치는, 잠금 제어체(29)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의 예각측의 교차각(θ)의 감소를 규제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이 결과,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는, 플랩(24)의 도복 방향의 하중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체의 것으로서 거동하게 된다.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의 일체화에 의해, 플랩(24),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의 일체의 것, 및 승강대(4)는 3절의 링크를 구성하게 되고, 이동의 자유도가 없어지기 때문에, 플랩(24)은 기립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 제어체(29)에는, 승강대(4)에의 연결점(C29)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하였을 때에 그 잠금 제어체(29)를 도 15a에서 시계방향(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검지 돌출부(29b)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가 강하하여 하층 바닥면(3)에 착지하면, 검지 돌출부(29b)가 하층 바닥면(3)에 눌려 도 15a에서 시계방향, 즉 잠금 해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 제어체(29)가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하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 잠금체(30)의 잠금 스토퍼(30a)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잠금 제어체(29)와 플랩 잠금체(30)의 연결점(C29M)의 구속이 해제되어 플랩 잠금체(30)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플랩(24)은 도복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16)가 이동하면, 플랩(24)은 차륜에 의해 도 16a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넣어져 자유단이 경사면(4d)에 올라타는 상태가 되고, 휠체어(16)의 하차가 가능해진다.
한편, 승강대(4)가 상승하여 대기 위치 근방에 이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로프체(25)가 매달림 자세로부터 세팅 위치로 이행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체(25)의 자유단부에는, 세팅 위치로의 이동시에 플랩 잠금체(30)를 잠금 제어체(29)와의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 돌출부(25c)가 설치된다. 본 예에서 조작 돌출부(25c)는, 플랩 잠금체(30)에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피압압변(邊)(30b)을 압압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4)의 대기 위치로의 접근에 따라, 조작 돌출부(25c)는 플랩 잠금체(30)의 피압압변(30b)에 접근하고, 이윽고 상기 피압압변(30b)은 조작 돌출부(25c)에 의해 전방으로 밀어넣어진다.
조작 돌출부(25c)에 의해 피압압변(30b)이 전방으로 밀린 플랩 잠금체(30)의 잠금 스토퍼(30a)와 잠금 제어체(29)의 잠금 스토퍼(29a)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나아가 잠금 제어체(29)는 잠금 해제 위치 방향으로, 플랩(24)은 도복 위치 방향으로 구동된다.
플랩 잠금체(30)의 피압압변(30b)은, 슬로프체(25)의 세팅 위치로의 복귀 후에 플랩(24)의 자유단이 슬로프체(25)에 올라타고, 또한 그 상태에서 플랩 잠금체(30)에 대한 회전 구동이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4)가 대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는 휠체어(16)는, 슬로프체(25) 및 플랩(24)을 지나 상층측의 바닥(1)로부터 원활하게 승차할 수 있다.
도 17a, 17b, 18a, 18b에 슬로프체(25)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슬로프체(25)는, 전단에 세팅 롤러(25a)를 연결한 슬로프 본체부(42)와, 슬로프 본체부(42)의 전단에 고정되는 돌출부 형성부(43)로 이루어진다. 돌출부 형성부(43)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롤러(25b)를 연결한 하우징(43a)의 전단에 롤러형상의 조작 돌출부(25c)를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형성된다. 조작 돌출부(25c)의 양단은 하우징(43a)에 형성한 장공(43b)에 삽입통과되어 너트 등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고, 나아가 토션 스프링(43c)에 의해 전방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 승강대(4)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롤러형상의 조작 돌출부(25c)는 플랩 잠금체(30)의 피압압변(30b)에 접촉한다.
또한, 도 18a에 도시된 매달림 자세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할 때, 승강대(4)와 슬로프체(25)의 상대 위치가 치수 오차의 집적에 의해 설정값으로부터 벗어나, 조작 돌출부(25c)로부터 피압압변(30b)에의 조작력이, 예를 들어, 플랩 잠금체(30)의 회전 중심(C30) 방향을 향하여, 혹은 회전 중심(C30)으로부터 조작력의 방향선으로 내려뜨린 수선(垂線)의 길이(모멘트 아암)가 짧아지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플랩 잠금체(30)에 충분한 회전 조작력을 부여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한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조작 돌출부(25c)를 장공(43b) 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해 두면, 상술한 바와 같은 경우에도, 조작 돌출부(25c)는 장공(43b)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압압변(30b)에의 접촉 각도가 변화하여, 모멘트 아암이 커지기 때문에, 원활한 작동이 보장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승강대(4)는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를 사용하여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된다.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위치 주변에 형성된 피걸어멈춤부(33)와, 피걸어멈춤부(33)에 걸림/걸림해제되는 후크 부재(34)와, 후크 부재(34)의 걸림/걸림해제 상태를 제어하는 잠금 부재(20)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 피걸어멈춤부(33)는 U자 볼트에 의해 형성되고, 좌우 대칭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 2개의 가이드 지주(14)(도 4 참조)의 전후 벽면에 각각 합계 4개가 고정된다. 상기 후크 부재(34)와 잠금 부재(20)는, 상기 각 피걸어멈춤부(33)에 대응하여 승강대(4) 상에 배치되고, 각 가이드 지주(14)당 2대, 합계 4대의 각 후크 부재(34)와 잠금 부재(20)는,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에 평행한 작동면 내에 작동한다.
상기 후크 부재(34)는, 회전 중심(C34) 둘레로 도 20a에 도시된 걸어멈춤 위치와, 도 20c에 도시된 걸어멈춤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고, 상단부에 걸어멈춤 위치에서 상기 피걸어멈춤부(33)에 걸어멈춤되는 걸어멈춤 후크부(34a)와, 이 걸어멈춤 후크부(34a)의 대향 위치에 간섭 돌출부(34b)를 구비한다.
간섭 돌출부(34b)는,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피걸어멈춤부(33)의 상대 이동 경로, 즉, 승강대(4)가 승강시의 피걸어멈춤부(33)의 상대적인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도 20d의 상태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하면, 우선, 피걸어멈춤부(33)가 후크 부재(34)의 간섭 돌출부(34b)에 충돌 접촉하고, 후크 부재(34)는 걸어멈춤 위치까지 회전 구동된다. 후크 부재(34)의 걸어멈춤 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후크부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어멈춤부(33)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어 피걸어멈춤부(33)에 걸어멈춤된다.
또한, 후크 부재(34)의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 가장자리에는 후크측 돌출부(34c)가 돌출 설치된다. 이 후크측 돌출부(34c)와 후술하는 잠금측 돌출부(20a)의 걸어멈춤면은, 잠금 부재(20)의 회전 중심(C2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의해 형성된다.
피걸어멈춤부(33)와의 걸어멈춤 상태에서 후크 부재(34)에는 승강대(4)의 자중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 회전력에 저항하여 걸어멈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잠금 부재(20)가 배치된다.
잠금 부재(20)는, 후크 부재(34)의 걸어멈춤 해제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도 20a의 잠금 위치와, 도 20c의 잠금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잠금 위치에서 후크 부재(34)측 가장자리에 돌출 설치되는 잠금측 돌출부(20a)가 후크 부재(34)의 후크측 돌출부(34c)에 걸어멈춤된다. 이 잠금 부재(20)와 상기 후크 부재(34)는 인장 스프링(35)에 의해 연결되고, 인장 스프링(35)은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부재(20)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킨다.
잠금측 돌출부(20a)가 후크측 돌출부(34c)에 걸어멈춤된 상태에서 후크 부재(34)에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도 20a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하면, 잠금 부재(20)에는 회전 중심(C20)을 향하는 압축력이 발생하고, 후크 부재(34)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후크 접촉부(20b)가 후크 부재(34)에 접촉한다.
후크 접촉부(20b)의 후크 부재(34)에의 접촉부 위치는,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해제 위치로 이동할 때에 잠금 부재(20)가 접근하는 영역, 즉, 본 예에서는, 잠금 부재(20)의 회전 중심(C20)보다 상방에 설정된다.
따라서, 본 예에서, 승강대(4)의 하중에 의해 후크 부재(34)에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해도, 잠금측 돌출부(20a)와 대응하는 후크 부재(34)의 가장자리의 압접력이 증가할 뿐이며, 후크 부재(34)가 회전하는 일은 없고, 걸어멈춤 상태, 즉, 승강대(4)의 대기 위치에의 보유지지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잠금 부재(20)를 잠금 해제 위치로 회전시키면, 잠금측 돌출부(20a)는 후크측 돌출부(34c)의 원호면 상을 이동하면서 후크측 돌출부(34c)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는 강하를 개시한다. 도 20b,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34)의 피걸어멈춤부(33)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나아가 잠금 부재(20)가 잠금 해제 위치에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후크 부재(34)는 인장 스프링(35)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으로 더욱 끌려, 후크 부재(34)의 후크측 돌출부(34c)는 잠금 부재(20)의 단부(段部)(20c)에 걸어멈춤된다.
이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이며, 일단 후크 부재(34)가 단부(20c)에 걸어멈춤되면 잠금 부재(20)의 잠금 위치측으로의 이동 경로가 후크 부재(34)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상태가 보유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후, 승강대(4)가 상승하여 후크 부재(34)가 피걸어멈춤부(33)에 걸어멈춤되면, 인장 스프링(35)에 의해 잠금 부재(20)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이후, 잠금 상태가 보유지지된다.
도 21, 22a, 22b, 23a, 23b에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또, 도 21, 22a, 22b, 23a, 23b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도면 중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랙 홈(14a)은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 21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방의 벽면에 형성되는 랙 홈(14a)에 완강 장치(17)의 피니언(17b)이 맞물린다. 이와 같이, 랙 홈(14a)을 가이드 지주(14)의 전후 벽면, 즉, 단변부에 배치함으로써, 이 단변부가 장변부에 비해 강성이 높고, 휨량도 작기 때문에, 피니언(17b)과의 맞물림 정밀도가 높아져 원활한 작동이 가능해지는 데다가, 전체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도 21에서 15a는 무게추(15)를 매다는 와이어, 15b는 풀리를 나타낸다.
또한,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는, 가이드 지주(14)의 랙 홈(14a)이 형성되는 벽면에 인접하는 벽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동작하여 피걸어멈춤부(33)에 걸림/걸림해제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2a,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의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는, 상술한 후크 부재(34), 잠금 부재(20), 및 인장 스프링(35)에 더하여 후크 보조 부재(44)가 장착된다. 후크 부재(34)와 잠금 부재(20)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후크측 돌출부(34c) 및 잠금측 돌출부(20a)를 구비하여 회전 중심(C34, C20)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승강대(4)에 연결되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작하며, 잠금 부재(20)끼리 작동 로드(36)에 의해 연결된다.
후크 보조 부재(44)는, 상기 후크 부재(34)와 동축 상에서 후크 부재(34)에 대해 상대 회전이 자유롭고, 후단부에 피걸어멈춤부(33)에 접촉 가능한 후크 형상을 한 접촉 돌출부(44a)를 구비함과 아울러, 전단부에 작동벽(44b)을 구비하고, 그 중간부에 회피용 장공(44c)이 형성된다.
회피용 장공(44c)은, 후크 부재(34)의 회전 중심(C3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잠금 부재(20)의 회전 중심(C20)을 형성하는 회전축이 삽입통과 가능한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다.
또한, 작동벽(44b)은, 잠금 부재(20)로부터 돌출 설치되는 작동 돌출부(20d)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작동 돌출부(20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형성된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상태에 있을 때에는, 후크 보조 부재(44)의 접촉 돌출부(44a)는 피걸어멈춤부(33)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한다. 후크 부재(34)의 피걸어멈춤부(33)에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가 강하하기 시작하면, 피걸어멈춤부(33)에 후크 보조 부재(44)의 접촉 돌출부(44a)가 접촉하고,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피용 장공(44c) 내를 잠금 부재(20)의 회전축이 상대 이동하도록 하여 후크 보조 부재(4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크 보조 부재(44)의 회전에 따라 작동벽(44b)은 잠금 부재(20)의 작동 돌출부(20d)를 눌러붙이기 때문에, 이 잠금 부재(20)는 걸어멈춤 해제측의 스트로크 종단 위치까지 회전 구동된다.
또한, 후크 부재(34)와 후크 보조 부재(44)에는, 도시되지 않은 토션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방향의 바이어스력이 부여되어 있고, 후크 부재(34)에 의한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승강대(4)가 강하하면, 도 22a의 초기 자세로 복귀한다.
한편, 승강대(4)가 상승한 경우에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후크 보조 부재(44)의 접촉 돌출부(44a)가 피걸어멈춤부(33)에 접촉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후크 보조 부재(44)의 회전에 따라, 잠금 부재(20)는 작동 돌출부(20d)가 후크 보조 부재(44)의 작동벽(44b)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위치측으로 회전하여, 후크 부재(34)의 간섭 돌출부(34b)가 피걸어멈춤부(33)에 접촉하고, 이후, 간섭 돌출부(34b)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후크 부재(34)는 걸어멈춤 위치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승강대(4)가 상승하여 대기 위치로 이동할 때에, 후크 부재(34)와 피걸어멈춤부(33)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후크 부재(34)에의 손상의 발생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 부재(20)의 조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난간(7)에 배치된 잠금 조작부(21)에 연결되는 변환부(23)에 의해 행해진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23)는,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잠금 부재(20) 사이를 연결하고, 가이드 지주(14)의 랙 홈(14a) 형성 벽면을 따라 배치되는 작동 로드(36)와, 개방 레버(37)를 가진다. 작동 로드(36)의 길이방향 중앙부에는 이 작동 로드(36)가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플랜지(38a)를 형성한 칼라(38)가 장착된다.
개방 레버(37)는, 도 19,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장착편(37a)과 상승편(37b)을 가지며, 장착편(37a)에서 승강대(4) 상에 고정되는 레버 브래킷(39)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된다.
이 개방 레버(37)는, 상승편(37b)이 작동 로드(36)에 직교하는 자세로 배치되고, 상승편(37b)에는,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38)의 외주에 대략 절반에 걸쳐 접촉하는 원호형상의 걸어멈춤단(40a)을 구비한 장공 형상의 로드 걸어멈춤부(40)가 형성된다. 로드 걸어멈춤부(40)의 걸어멈춤단(40a)에 대한 반대 단부는 칼라(38)에 장착할 때의 칼라(38) 삽입용 입구를 제공하기 위한 하방 개방부(40b)가 형성된다.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레버(37)의 회전 중심(C37)은 작동 로드(36)로부터 약간 승강대(4)의 중심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중심(C37)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와이어 장치(22)의 이너 와이어(22b)가 연결된다.
와이어 장치(22)는 승강대(4)의 표면을 따라 승강대(4) 상의 적절한 높이로, 난간(7)의 세로대(7b), 즉, 작동 로드(36)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난간(7)의 잠금 조작부(21)를 조작하면, 이너 와이어(22b)가 잠금 조작부(21) 방향으로 잡아당겨져,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레버(37)는 회전축(C37) 둘레로 회전한다. 개방 레버(37)의 회전에 따라 로드 걸어멈춤부(40)의 걸어멈춤단(40a)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걸어멈춤단(40a)에 눌리도록 하여 칼라(38), 및 이 칼라(38)에 삽입된 작동 로드(36)는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δ)만큼 승강대(4)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거리(δ)는 잠금 부재(20)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작동 스트로크에 일치하며, 이 결과, 잠금 부재(20)는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후크 부재(34)에 의한 피걸어멈춤부(33)에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어 승강대(4)의 강하가 개시된다.
또한, 칼라(38)의 플랜지(38a)는 압축 스프링(41)에 의해 초기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잠금 부재(20)에 대한 해제 조작 후에 잠금 조작부(21)에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압축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 칼라(38)에는 초기 위치 방향으로의 조작력이 발생한다.
상기 로드 걸어멈춤부(40)의 걸어멈춤단(40a)에 이어지는 직선부(40c)(도 24b 참조)는 잠금 부재(20)의 동작시에서의 연직 방향의 성분을 가미하여 약간 경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레버 브래킷(39)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38)는 로드 걸어멈춤부(40)의 직선부(40c)를 지나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개방 레버(37)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도 25b 참조). 개방 레버(37)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의해 와이어 장치(22)의 이너 와이어(22b)도 초기 상태측으로 구동되어 잠금 조작부(21)도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후크 부재(34)에 의해 피걸어멈춤부(33)에의 걸어멈춤 동작이 발생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0)는 잠금 위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작동 로드(36)가 이동하며, 변환부(23)는 도 19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도 26 이하에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랙 홈(14a)은 가이드 지주(14)의 후부 벽면에 형성되어 완강 장치(17)(도시생략)의 피니언(17b)(도시생략)이 맞물리고, 나아가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측벽면에는, 후크 부재(34), 및 잠금 부재(20)와 협력하여 승강대 보유지지 기구(32)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피걸어멈춤부(33)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후크 부재(34)와 잠금 부재(20)는, 상기 각 피걸어멈춤부(33)에 대응하여 승강대(4) 상에 배치되고, 각각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측벽면에 평행한 면을 작동면으로서 회전한다.
상기 후크 부재(34)는, 도 28a에 도시된 걸어멈춤 위치와, 도 28c에 도시된 걸어멈춤 해제 위치의 사이를 회전 중심(C34)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상단부에는 걸어멈춤 위치에서 상기 피걸어멈춤부(33)에 걸어멈춤되는 걸어멈춤 후크부(34a)를, 이 걸어멈춤 후크부(34a)에 대향하는 위치에 간섭 돌출부(34b)를 각각 구비한다.
본 예에서, 도 28d의 상태로부터 승강대(4)가 상승하면, 우선, 피걸어멈춤부(33)에 후크 부재(34)의 간섭 돌출부(34b)가 충돌 접촉하고, 그 후,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위치까지 회전 구동되어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걸어멈춤부(33)에 걸어멈춤된다.
잠금 부재(20)는, 후크 부재(34)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후크 부재(34)의 작동면과 동일면 내에서 회전 중심(C20)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고,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 후크 부재(34)의 후크측 돌출부(34c)가 잠금 부재(20)의 잠금측 돌출부(20a)에 걸어멈춤된다.
또한,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위치에 있을 때, 승강대(4)의 자중에 의해 후크 부재(34)에는 걸어멈춤 해제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발생하는 것에 반해, 잠금 부재(20)는 후크 접촉부(20b)가 후크 부재(34)의 후크측 돌출부(34c)에 접촉함으로써 도 28a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규제되고, 또한 잠금측 돌출부(20a)가 후크측 돌출부(34c)에 눌려붙여져 시계방향의 회전도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도 20a의 위치에 머물고, 그 결과, 잠금 부재(20)는 걸어멈춤 위치에 보유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잠금 부재(20)를 도 28a에서의 시계방향, 즉 잠금 해제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후크 부재(34)는 잠금측 돌출부(20a)에 의한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어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멈춤 해제 위치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걸어멈춤부(33)와의 걸어멈춤이 해제되고, 승강대(4)는 강하를 개시한다.
잠금 부재(20)에 의한 후크 부재(34)의 걸어멈춤 해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잠금측 돌출부(20a)와 후크측 돌출부(34c)의 접촉면은, 잠금 부재의 회전 중심(C2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의해 형성된다.
나아가 후크 부재(34)와 잠금 부재(20)는 인장 스프링(3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 부재(20)의 잠금 해제 위치로의 회전 조작에 따라 후크 부재(34)는 걸어멈춤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고, 도 2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측 돌출부(34c)가 잠금 부재(20)의 단부(20c)에 걸어멈춤되어 정지한다.
이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이며, 일단 후크 부재(34)가 단부(20c)에 걸어멈춤되면 잠금 부재(20)의 잠금 위치측으로의 이동 경로가 후크 부재(34)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잠금 해제 상태가 보유지지된다.
상기 잠금 부재(20)를 조작하기 위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가이드 지주(14)의 양 측벽에 대응하는 한 쌍의 잠금 부재(20)는 작동 로드(36)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작동 로드(36)의 중심 위치에는 일단이 잠금 조작부(21)에 연결되는 와이어 장치(22)의 이너 와이어(22b)의 타단이 연결된다(도 30a, 30b 참조).
상기 이너 와이어(22b)의 조작 방향, 정확하게는 이너 와이어(22b)에 의한 작동 로드(36)로의 조작력 작용 방향이 후크 부재(34) 및 잠금 부재(20)의 작동면과 평행한 면 내에 위치하도록, 승강대(4)에는 와이어 가이드(45)가 설치된다.
나아가 와이어 가이드(45)에 고정되는 와이어 장치(22)의 아우터 케이블(22a)과, 작동 로드(36)에 연결되는 이너 와이어(22b)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5a)이 장착되어 있고, 이너 와이어(22b)에 작동 로드(36)에의 연결단 측으로 인출시키는 바이어스력을 부여한다. 이 결과, 승강대(4)가 하층 바닥면으로부터 상승하여 대기 위치로 복귀하고, 후크 부재(34)가 걸어멈춤 위치로 이행하면, 이너 와이어(22b)가 끌려 잠금 조작부(21)가 조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가이드 지주(14)의 좌우 양측벽을 따라 후크 부재(34) 및 잠금 부재(20)를 배치하고, 잠금 부재(20)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 로드(36)의 중심 위치에 와이어 장치(22)를 연결함으로써, 와이어 장치(22)의 작동 로드(36)에의 연결단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지주(14)의 폭방향 중심선 상에 대략 일치하게 된다.
이 결과, 난간(7)의 와이어 도출 개구(7f)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장치(22)의 굴곡 곡률을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 조작시의 접촉 저항이 작아져, 조작력을 원활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예에서, 도 31,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7)을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난간 브래킷(6)의 전단부에는 잠금 조작 부재(46)가 회전 중심(C46) 둘레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됨과 아울러, 난간 브래킷(6)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날개편(6c)에는 각각 이동 통로(19)가 각각 대향 위치에 형성되고, 제1 인장 스프링(12)과 제2 인장 스프링(13)에 의해 잡아당겨지는 난간 잠금체(8)의 양단이 이동이 자유롭게 삽입된다.
상기 제1 인장 스프링(12)과 제2 인장 스프링(13)은, 상기 난간 잠금체(8)가 후술하는 이동 통로(19)의 간섭 경로(47)측 종단 위치 방향으로 바이어스되도록 배치되고, 본 예에서 제2 인장 스프링(13)의 일단은 잠금 조작 부재(46)의 회전 중심(C46) 위치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 통로(19)는 난간(7) 하단(잠금 조작편(7c))의 이동 궤적에 간섭하는 간섭 경로(47)와, 이동 궤적에 간섭하지 않는 비간섭 경로(10)를 가지고 전방으로 볼록한 L자 형상을 이루며, 난간(7)이 기립 자세이고, 난간 잠금체(8)가 간섭 경로(47)에 위치할 때에는 난간(7)의 기립 자세로부터의 도복 동작이 규제되고, 비간섭 경로(10) 내에 위치할 때에 난간(7)의 도복 동작이 허용된다. 또한,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로(19)의 간섭 경로(47) 측의 종단 위치 근방에는 잠금 위치가, 비간섭 경로(10)의 종단 위치 근방에는 잠금 대피 위치가 설정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조작 부재(46)는, 난간 브래킷(6)의 대향하는 한 쌍의 날개편(6c)의 내벽면을 따르는 한 쌍의 측편(46a)을 연결편(46b)에 의해 연결함과 아울러, 각 측편(46a)으로부터 폭방향 중심을 향하여 피동편(46c)을 돌출 설치시켜 형성된다. 상기 각 측편(46a)에는 제1 스토퍼변(46d), 제2 스토퍼변(46e), 조작변(46f), 압압변(46g), 및 조작변(46f)과 압압변(46g)을 연결하는 중간변(46h)이 설치된다.
이 잠금 조작 부재(46)는, 도 33a,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변(46d)을 난간 브래킷(6)의 조작 부재 스토퍼벽(6d)에 접촉시킨 초기 위치와, 도 35a,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토퍼변(46e)을 상기 조작 부재 스토퍼벽(6d)에 접촉시킨 작동 위치의 사이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도 3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7)이 덮개체(5)에 의해 눌려붙여져 도복 자세에 있을 때, 잠금 조작 부재(4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난간(7)의 도복 자세로의 변경에 따라 초기 위치까지 구동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변(46f)은 난간 잠금체(8)에 부가되는 바이어스력에 의해 도 33a에서 시계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그 결과, 제1 스토퍼변(46d)이 조작 부재 스토퍼벽(6d)에 압접되고, 잠금 조작 부재(46)는 덜컹거림 등의 발생이 방지되어 초기 위치에 보유지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덮개체(5)가 개방되면, 토션 스프링(7d)의 복원력에 의해 난간(7)은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자세 방향으로 회전한다. 난간(7)의 회전에 따라 난간 잠금체(8)는 난간(7)의 하단부(잠금 조작편(7c))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내려가 그 난간(7)의 회전 궤적을 개방하기 때문에, 난간(7)은 도 32,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브래킷(6)에 형성된 난간 스토퍼(6e)에 난간(7) 하단이 접촉한 기립 자세까지 이행할 수 있다.
난간(7)의 기립 자세에서, 난간 잠금체(8)는 난간(7)의 잠금 조작편(7c)의 전면에 접촉하여 난간(7)의 도 34a에서의 반시계방향, 즉, 도복 방향으로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난간(7)에 도복 방향의 힘을 부여해도, 난간(7)이 도복되는 일이 없다.
이 상태로부터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46b)을 끌어올리도록 하여 잠금 조작 부재(46)를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측으로 회전 조작하면, 난간 잠금체(8)는 잠금 조작 부재(46)의 조작변(46f)에 의해 눌려내려가 간섭 경로(47)로부터 비간섭 경로(10) 내로 이동한다. 이후, 더욱 잠금 조작 부재(46)를 제2 스토퍼변(46e)이 조작 부재 스토퍼벽(6d)에 접촉하는 작동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 잠금체(8)는 잠금 조작 부재(46)의 조작변(46f)에 이어서 압압변(46g)에 의해 눌려내려가 잠금 대피 위치로 이동한다.
잠금 대피 위치에서 난간 잠금체(8)는 잠금 조작 부재(46)의 압압변(46g)에 압접되어 있고, 압접 개소에서의 압압변(46g)에 직교하는 방향의 분력에 의해 잠금 조작 부재(46)에는 도 35a에서의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트, 즉, 제2 스토퍼변(46e)을 조작 부재 스토퍼벽(6d)에 압접시키는 회전력이 발생하며, 잠금 조작 부재(46)는 작동 위치에, 난간 잠금체(8)는 잠금 대피 위치에 각각 머문 상태가 보유지지된다.
난간 잠금체(8)가 잠금 대피 위치에 머문 상태에서 난간(7)의 도복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덮개체(5)의 폐색 동작에 따라 난간(7)은 도복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3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7)이 도복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윽고 난간(7) 하단부는 피동편(46c)에 접촉하고, 더욱 난간(7)이 도복되면, 난간(7) 하단부에 의해 피동편(46c)이 눌려 잠금 조작 부재(46)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난간 잠금체(8)는 잠금 조작 부재(46)의 복귀 동작에 추종하여 잠금 위치측으로 이동하고, 난간 잠금체(8)의 조작변(46f), 압압변(46g), 및 중간변(46h)은, 난간 잠금체(8)의 이동 타이밍을 난간(7)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정하기 위한 캠으로서 기능한다.
본 개시의 피난 장치는, 건축물의 화재시 등에 거주자 등의 피난시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상층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하층까지 강하하는 승강대와,
    대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승강대 상면을 은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승강대 상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에 도복(倒伏)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까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되는 난간과,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난간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난간 잠금체를 가지며,
    상기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에 있는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잠금 대피 위치의 사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난간 브래킷에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를 이동이 자유롭고, 초기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로의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난간 잠금체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대피 위치로 구동하는 잠금 조작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 조작 부재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난간 잠금체를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잠금 대피 위치에 구속하며,
    상기 난간 잠금체에는, 일단이 상기 난간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제1 인장 부재와, 기립 자세의 상기 난간과의 비간섭 경로에 있는 상기 난간 잠금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2 인장 부재가 연결되는 피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조작 부재는,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에 따라 초기 위치에 구동되는 피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조작 부재는, 초기 위치와 작동 위치의 사이를 회전이 자유롭고, 작동 위치측으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난간 잠금체를 잠금 대피 위치에 밀어넣으며,
    잠금 대피 위치에 있는 상기 난간 잠금체가 상기 잠금 조작 부재를 작동 위치측의 회전 스트로크 종단에 눌러붙임과 아울러, 상기 잠금 조작 부재가 상기 난간 잠금체를 잠금 대피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피난 장치.
  4. 상층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하층까지 강하하는 승강대와,
    대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승강대 상면을 은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승강대 상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에 도복(倒伏)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까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되는 난간과,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난간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난간 잠금체를 가지며,
    상기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에 있는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에 따라 배출되는 임시 보유지지 위치의 사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난간 브래킷에는, 잠금 위치측으로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상기 난간 잠금체를 상기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스토퍼벽이 설치되며,
    상기 난간 잠금체에는, 일단이 상기 난간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는 제1 인장 부재와, 기립 자세의 상기 난간과의 비간섭 경로에 있는 상기 난간 잠금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시키는 제2 인장 부재가 연결되는 피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부에서 각각 상기 난간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난간 잠금체는, 각 상기 난간 브래킷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봉상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조작 가능한 피난 장치.
  6. 상층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로부터 하층까지 강하하는 승강대와,
    대기 위치에 있는 상기 승강대 상면을 은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승강대 상에 고정되는 난간 브래킷에 도복(倒伏) 자세로부터 기립 자세까지 기립 자세측으로 바이어스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고, 상기 덮개체에 의해 도복 자세로 보유지지되는 난간과,
    상기 덮개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난간의 기립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난간 잠금체를 가지며,
    상기 난간 잠금체는, 기립 자세에 있는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난간의 도복 자세로의 이동에 따라 배출되는 임시 보유지지 위치의 사이를 잠금 위치측으로 바이어스되어 이동 가능하며,
    상기 난간 브래킷에는, 잠금 위치측으로의 바이어스력에 저항하여 상기 난간 잠금체를 상기 임시 보유지지 위치에 보유지지하는 스토퍼벽이 설치되며,
    상기 난간은,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유단부에서 각각 상기 난간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난간 잠금체는, 각 상기 난간 브래킷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봉상으로 형성되어 동시에 조작 가능한 피난 장치.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상기 난간 잠금체가 잠금 위치로부터 이격되고, 기립 자세의 상기 난간과의 비간섭 경로를 거쳐 상기 난간의 이행 경로 내에 진입한 위치에 배치되는 피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임시 보유지지 위치는, 상기 비간섭 경로에 상기 난간 잠금체가 끼워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잘라내어 형성되는 피난 장치.
  9. 삭제
KR1020207032762A 2019-05-08 2020-05-01 피난 장치 KR102332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88026 2019-05-08
JP2019088026 2019-05-08
JPJP-P-2020-041684 2020-03-11
JP2020041684 2020-03-11
PCT/JP2020/018441 WO2020226143A1 (ja) 2019-05-08 2020-05-01 避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440A KR20210088440A (ko) 2021-07-14
KR102332420B1 true KR102332420B1 (ko) 2021-12-01

Family

ID=73051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762A KR102332420B1 (ko) 2019-05-08 2020-05-01 피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75610B2 (ko)
KR (1) KR102332420B1 (ko)
WO (1) WO202022614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8713A1 (en) 2003-02-19 2004-11-18 Alan Cohn Wheelchair lift assembly having a compact stowed profile
JP2017164543A (ja) 2017-05-30 2017-09-21 ナカ工業株式会社 避難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3198A (en) * 1976-01-29 1977-08-05 Akira Karato Emergency escaping device for multiistoried building
JP6868511B2 (ja) * 2017-09-01 2021-05-12 ナカ工業株式会社 避難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8713A1 (en) 2003-02-19 2004-11-18 Alan Cohn Wheelchair lift assembly having a compact stowed profile
JP2017164543A (ja) 2017-05-30 2017-09-21 ナカ工業株式会社 避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226143A1 (ja) 2021-05-20
JP6875610B2 (ja) 2021-05-26
WO2020226143A1 (ja) 2020-11-12
KR20210088440A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KR102332420B1 (ko) 피난 장치
KR102417935B1 (ko) 피난 장치
KR102417933B1 (ko) 피난 장치
JP280068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7054763A1 (zh) 轨道交通站台安全踏板的锁定结构
JP5219028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システム
JP6868510B2 (ja) 避難装置
US5855253A (en) Mechanical security device for elevators used between two levels
JP7541574B2 (ja) 開口装置
JPH0859155A (ja) ダムウェーター装置
JPS6348618Y2 (ko)
JP2547166B2 (ja) 昇降装置
JP7445224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及びエレベータ
JPS6011889Y2 (ja) エレベ−タのかご室側面救出口
US4995477A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s
JPH0322456Y2 (ko)
JP4390952B2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KR20220155389A (ko) 개구 장치
JPS5840206Y2 (ja) 自動車用チヤイルドプル−フドアロツク装置
JPH078544Y2 (ja) タワークレーンにおけるタワージブの折畳みロック装置
JPH0640212Y2 (ja) エレベータのロック解除装置
CN114450245A (zh) 电梯设备
KR97000723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해치도어 안전장치
JPH09207895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用オートレベラのカ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