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5389A - 개구 장치 - Google Patents

개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5389A
KR20220155389A KR1020227037745A KR20227037745A KR20220155389A KR 20220155389 A KR20220155389 A KR 20220155389A KR 1020227037745 A KR1020227037745 A KR 1020227037745A KR 20227037745 A KR20227037745 A KR 20227037745A KR 20220155389 A KR20220155389 A KR 20220155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pening
top cover
state
out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후지타니
노리아키 키도
와타루 오노키
Original Assignee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5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1Trap-do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개구 장치는,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 수단과, 윗덮개의 외프레임에 대한 개방을 최대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개방 정지부를 구비한다. 개방 정지부는, 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과, 제1 암 및 윗덮개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을 구비한다. 윗덮개가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제1 암과 제2 암이 접히고,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암과 제2 암이 신전된다.

Description

개구 장치
본 개시는,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개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공 시설, 맨션 등의 건물 옥상이나 베란다 등에는, 승강구나 화재 등의 긴급 피난시에 사용하는 피난 해치 등,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개구 장치에는, 평상시에 사람이 낙하하거나 출입할 수 없도록 해당 개구를 덮는 윗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 윗덮개붙이 개구 장치에 설치하는 피난 장치로서 구조대(救助袋)나 접이식 사다리나 수직 강하식 엘리베이터 유사 장치도 검토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2017-16454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 2017-16454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개구 장치는,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외(外)프레임이 설치되고, 통상은 해당 개구를 덮는 윗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사각형상의 윗덮개에 의해 사각형상의 개구를 덮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윗덮개는, 사각형 개구 외프레임의 한변쪽에 윗덮개를 외프레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가 설치되고, 해당 힌지의 반대쪽 윗덮개의 가장자리측을 손으로 들어 올려 해당 윗덮개를 개방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개구가 큰 경우에 윗덮개가 대형화되어 윗덮개 전체의 중량도 커진다. 이로 인해, 고령자나 아이나 장애인 등 손의 힘이 약한 사람의 경우에는, 그러한 중량이 있는 윗덮개를 들어 올려 개방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큰일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개시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개구를 출입하려고 하는 사람이 개구를 덮는 윗덮개를 자기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윗덮개를 개방시킬 수 있는 개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의 개구 장치는,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외(外)프레임과, 일단측이 상기 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는 윗덮개와, 상기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윗덮개를 상기 외프레임에 잠그는 잠금 기구와, 상기 잠금 기구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외프레임과 상기 윗덮개를 접속하고, 상기 윗덮개의 상기 외프레임에 대한 개방을 최대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개방 정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 기구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arm)과, 상기 제1 암 및 상기 윗덮개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을 구비하고, 상기 윗덮개가 상기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접히고,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신전(伸展)된다.
제1 형태에 관한 개방 정지부는 상술한 것처럼 제1 암과 제2 암을 구비하고, 윗덮개가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제1 암과 제2 암이 접힌다. 그로 인해, 개방 정지부를 개구 장치의 개구 주위의 좁은 스페이스에 수납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제1 형태에 의하면,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를 외프레임에 잠그는 잠금 기구와, 이 잠금 기구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잠금 기구의 잠금을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면, 탄성가압 수단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 인해, 개구를 출입하려고 하는 사람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잠금 기구의 잠금이 해제되어 사람이 윗덮개를 자기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의 힘이 일반적인 어른보다 약한 고령자나 아이나 장애인 등이어도 중량이 있는 윗덮개를 자기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개방시킬 수 있어, 윗덮개가 개방된 개구를 개재하여 아래층 등으로 순조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재 등의 긴급시에도 윗덮개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긴급시 피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1 형태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윗덮개가 상기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하여 해당 암의 추가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제2 형태에 의하면, 개방 정지부에서, 스토퍼는,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경우에, 제1 암 및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하여 해당 암의 추가 회동을 규제한다. 이로 인해, 제1 암 및 제2 암 중 어느 한쪽의 회동이 규제되고, 해당 암의 회동이 규제됨으로써 해당 암에 연결된 윗덮개의 개방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이 정지된다.
제3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1 또는 제2 형태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윗덮개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에, 상기 탄성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의 신전 속도를 억제하는 감쇠 수단을 가지고 있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윗덮개를 회동시키는 탄성가압 수단에 의해 윗덮개를 개방할 때,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른 윗덮개의 회동 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프레임의 개구를 덮는 수평 상태의 윗덮개를 들어 올려 회동 시키려고 하면, 최초로 들어 올릴 때에 통상 가장 큰 힘이 필요하다. 그리고 윗덮개가 수직 상태에 가까워지면, 특별히 큰 힘은 필요로 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력은, 윗덮개의 개방 각도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윗덮개가 수직 상태에 가까워지면, 윗덮개의 회동 속도는 개방 각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 때문에, 윗덮개를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했을 때에 충격이 생긴다.
여기서, 개방 정지부는, 윗덮개가 소정의 개방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탄성가압 수단에 의한 윗덮개의 회동 속도를 억제하는 감쇠 수단을 가진다. 이로 인해, 윗덮개를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했을 때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4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3 형태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감쇠 수단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감쇠 수단의 타단을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감쇠 수단은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를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감쇠 수단은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신장된다.
제4 형태에 의하면, 개방 각도가 상술한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감쇠 수단이 상기 제2 연결부를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신전 속도를 규제하지 않는다. 또, 상술한 소정의 개방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암 및 제2 암의 신전 속도가 억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탄성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윗덮개의 개방 속도를, 상술한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에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5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1∼제4 중 어느 하나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회동한 경우에,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과의 연결부에 설치된 제3축은, 상기 제1 암의 상기 외프레임측의 제1축 및 상기 제2 암의 상기 윗덮개측에 설치된 제2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접히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5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윗덮개에 대해 윗덮개를 덮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경우에, 제1 암과 제2 암이 접히는 방향의 반대쪽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 정지부가 쉽게 접힌다. 이로 인해,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개구를 덮은 상태로 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6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2 형태의 개구 장치에서, 또한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가압 수단과 상기 다른 탄성가압 수단 모두에 의해 상기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 수단"에 추가하여, 개방 정지부의 제1 암 및 제2 암 중 어느 한쪽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력은 "탄성가압 수단"과 "다른 탄성가압 수단"의 2개의 탄성가압 수단에 의해 얻을 수 있게 된다. 해당 탄성가압력을 얻기 위해 1개의 탄성가압 수단으로 달성하려고 하면, 큰 탄성가압력을 발생하는 큰 탄성가압 수단이 필요하다.
또, 외프레임의 개구를 덮는 수평 상태의 윗덮개를 들어 올려 회동시키려고 하면, 최초로 들어 올릴 때에 통상 가장 큰 힘이 필요하다. 그리고 윗덮개가 수직 상태에 가까워지면, 특별히 큰 힘은 필요로 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2개의 탄성가압 수단을, 수평 상태의 윗덮개의 개방 초기 단계에서는, 2개의 탄성가압 수단 모두의 탄성가압력을 이용하여 개방시킨다. 그리고 그 후, 윗덮개가 어느 정도까지 개방되어 그러한 큰 탄성가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는, 2개의 탄성가압 수단 중 하나의 탄성가압력만으로 개방시킴으로써 윗덮개를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했을 때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7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2 또는 제6 형태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다른 한쪽에 대해,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접는 방향으로 압압한다.
제7 형태에 의하면, 스토퍼는, 탄성가압 수단의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력에 대한 반력에 의해, 제1 암과 제2 암을 접는 방향으로 제2 암을 압압할 수 있게 된다.
제8 형태의 개구 장치는, 제1∼제7 중 어느 하나의 개구 장치에서, 상기 외프레임 내에 전체 또는 일부가 수납되는 피난 장치(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접이식 사다리나 구조대 등)를 구비한다.
제8 형태에 의하면, 외프레임 내에 전체 또는 일부가 수납되는 피난 장치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상(上)프레임을 외프레임에 대해 개방함으로써 해당 피난 장치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피난할 수 있다.
[도 1a]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경사 상방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b]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설치 상태를 경사 하방에서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피난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승강대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다.
[도 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피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a]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b] 도 4a에서 개방 정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다.
[도 6]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7]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반(半)개방 각도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90°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 휠체어 이용자가 페달을 조작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잠금 기구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잠금 기구 및 링크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다.
[도 1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前輪)이 페달을 밟기 직전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이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4]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이 페달을 밟기 전의 링크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5]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이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의 링크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6]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이 페달을 밟기 전의 잠금 기구의 잠금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7]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휠체어의 전륜이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8]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윗덮개로부터 전륜이 분리된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9]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윗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0]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윗덮개를 닫은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1]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윗덮개가 잠겨 있는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2]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2개의 페달이 조작되어 있는 상태(2점쇄선) 및 1개의 페달만 조작되어 있는 상태(실선)의 작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2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1개의 페달만 조작되어 작동부의 변위가 반(半)인 상태의 잠금 기구의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4]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2개의 페달 모두 조작되지 않고 작동부도 튀어 오르지 않고 잠금 기구가 잠겨 있는 상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5]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2개의 페달이 조작되어 작동부가 튀어 올라 잠금 기구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6]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에서, 1개의 페달만 조작되어 작동부의 변위가 반인 상태의 잠금 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7]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방 정지부를 도시한 사시도다.
[도 28]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닫은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9]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반개방 각도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0]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의 윗덮개를 90°까지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1] 도 30에 기재된 개방 정지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 및 해당 개구 장치(8)에 설치된 피난 장치(11)는, 비상시에 위층의 복도나 베란다에서 아래층의 복도나 베란다로 피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개구 장치(8)는, 위층쪽의 플로어부(2)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피난용 개구(3)를 형성하는 외프레임(100)을 가진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피난 장치(11)는, 아래층의 플로어면(4) 위에 세워지고 상단이 상기 외프레임(100)에 고정되는 가이드 지주(1)와, 승강대(5)(도 2, 도 3 참조)를 가지고 있다. 승강대(5)는, 피난용 외프레임(100) 안에 보유지지되는 대기 위치와, 이 대기 위치로부터 가이드 지주(1)를 따라 강하하여 아래층 플로어면(4)에 착지하는 피난 위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
상기 가이드 지주(1)는, 적절한 좌굴 강도를 가지는 중공의 파이프체이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이 가이드 지주(1)의 하단부는 아래층의 플로어부(2)에, 상단부는 외프레임(100)에 고정된다. 또 가이드 지주(1)의 일측 벽면에는 랙 홈(15)이 형성된다.
외프레임(100)에는, 일단측이 해당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윗덮개(1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이 윗덮개(110)는, 후술하는 소정의 기구에 의해 개구(3)를 개폐 가능한 개구 장치(8)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며, 해당 개구 장치(8)의 내용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개구(3)를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외프레임(100)에 잠그는 잠금 기구(200)를 구비하고 있다. 해당 잠금 기구(200)의 내용도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가이드 지주(1)의 중공 부분에는, 소정 와이어에 의해 매달 수 있는 무게추(重錘)가 수용된다. 와이어의 무게추에의 고정단에 대한 반대쪽 단부는 승강대(5)에 연결되어 있으며 무게추와 승강대(5)에의 고정단과의 사이에는 풀리가 배치된다. 무게추는, 이용자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의 승강대(5)를 윗쪽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중량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아래층에 도달한 후, 이용자가 승강대(5)를 내리면, 무게추의 중량에 의해 승강대(5)는 대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승강대(5)에는, 상기 가이드 지주(1)가 삽입통과하는 지주 삽입통과 개구(5a)(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지주 삽입통과 개구(5a)는 피난자가 대기 위치에 있는 승강대(5)를 탈 때의 탑승구가 되는 탑승 엣지(6)의 양외측에 인접한 인접 테두리(7)측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지주 삽입통과 개구(5a)는 탑승 엣지(6)로부터의 간격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지주(1)는 이들 지주 삽입통과 개구(5a)에 대응하는 대향 위치에 2개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지주 삽입통과 개구(5a)를 삽입통과하는 가이드 지주(1)에 따라 승강대(5)를 승강시키기 위해 지주 삽입통과 개구(5a)의 주위에는 피니언(13) 등이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13)은, 가이드 지주(1)의 랙 홈(15)에 맞물린다. 아울러 원심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피니언(13)이 회전함으로써, 동작하여 그 회전 속도를 제한하는 장치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승강대(5)의 표면에는, 휠체어(16)에 의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휠체어(16)의 차륜(16a) 및 전륜(16b)을 가이드하는 차륜 가이드 홈(17)(도 3 참조)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차륜 가이드 홈(17)은 승강대(5)의 탑승 엣지(6)에서 안쪽 엣지(7a)에 이르는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며, 휠체어(16)의 승강대(5)로의 탑승은, 탑승 엣지(6)으로부터 올라탄 후, 안쪽 엣지(7a)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루어진다.
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륜 가이드 홈(17)에는, 탑승 엣지(6)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킨 위치를 개시단(19)로 하고 탑승 엣지(6)에 이르는 경사면(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층까지 피난한 후, 휠체어(16)를 후퇴시켜 아래층의 플로어면(4)에 내릴 때의 단차 발생이 방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대(5)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의 위층쪽 플로어면(4)과의 사이의 단차를 흡수하기 위해, 외프레임(100)에는 슬로프 제어체(25)를 개재하여 슬로프 부재(18)가 장착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 중의 설명에서 "시계 방향" 회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 회전 방향의 설명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할 경우의 해당 도면을 정면에서 본 경우의 "시계 방향" 회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 회전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또, 도면 중의 부호인 18a는 가이드용 기립편(片)이며, 18b는 회전축 부재이며, 25a는 지지간(支持杆)이며, 25b는 타이어 부재이다.
또한 상기 승강대(5)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간체(26)가 장착된다. 난간체(26)는 횡간(橫杆)(26a)과, 횡간(26a)의 양단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간(縱杆)(26b)을 가지고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대(5)에의 장착은, 각 종간(26b)의 자유단을 승강대(5)의 안쪽 엣지(7a) 근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 난간체(26)는, 스프링에 의해 항상 사용 자세 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특별한 조작 없이(윗덮개(110)의 개방에 의해) 기립 자세로 이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난 장치(11)에는, 승강대(5)를 대기 위치에 보유지지하기 위한 스토퍼 장치가 설치됨과 아울러, 난간체(26)의 횡간(26a)에는 상기 스토퍼 장치를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수동 해제 조작부(29)가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대(5)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스토퍼 장치를 개재하여 승강대(5)의 강하를 규제한다.
이 상태에서 수동 해제 조작부(29)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스토퍼 장치를 수동으로 해제하여 승강대(5)의 강하가 개시된다.
(윗덮개(110)에 의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개구 장치(8)의 기구)
윗덮개(110)에 의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개구 장치(8)의 기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는, 도 1∼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3)를 가지는 외프레임(100)과, 일단측이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윗덮개(110)와, 개구(3)를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외프레임(100)에 잠그는 잠금 기구(200)와, 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120)(구체적으로는 페달(130))과, 외프레임(100)과 윗덮개(110)를 접속하고, 윗덮개(110)의 개방을 최대 개방 각도(구체적으로는, 90°)에서 정지시키는 개방 정지부(150)와, 윗덮개(1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수단(14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개방 정지부(150)는,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160)과, 이 제1 암(160) 및 윗덮개(110)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17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윗덮개(110)를 닫을 때에는 제1 암(160)과 제2 암(170)이 접히도록 형성되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조작부(120)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면, 탄성가압 수단(140),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에 의해 윗덮개(110)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용에 대해, 도 4∼도 9의 도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윗덮개(110)의 평면도, 도 4b는, 윗덮개(110)의 부분 확대 평면도로서, 윗덮개(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의 높이가 낮고, 오른쪽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는, 윗덮개(110)의 높이가 높은 쪽의 엣지측이, 회전축(112)을 개재하여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아울러 외프레임(100)은, 케이스(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윗덮개(11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프레임(100)에 대해 90°(최대 개방 각도)까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윗덮개(110)의 도 5의 왼쪽의 높이가 낮은 쪽 엣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구(3)를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외프레임(100)에 잠그는 잠금 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의 왼쪽 엣지측에,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120)으로서의 페달(130)이 해당 엣지를 따라 2개 나열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페달(130)은, 일반적인 휠체어(16)의 2개의 전륜(16b)의 간격과 정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에서부터 휠체어(16)의 좌우 전륜(16b)에, 해당 페달(130)의 끝을 위에서 밟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윗덮개(110)의 상면 중앙에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며 주위보다 약간 오목한 단차형의 단차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11)를 설치함으로써 윗덮개(110)가 보강되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윗덮개(110)의 양측단에는, 좁은판 형태의 접속 브라켓(11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접속 브라켓(113)에 탄성가압 수단(140)과 제2 암(170)이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스토퍼(180)도 이 접속 브라켓(113)에 설치되어 있다.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의 회전축(112)가 마련되어 있는 엣지쪽에, 외프레임(100)과 윗덮개(110)의 회전축(112) 측을 연결하는 탄성가압 수단(140)이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가압 수단(140)은, 가스 스프링으로서, 내부에 충전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141) 내의 피스톤 로드(142)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작용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것처럼, 외프레임(100)과 윗덮개(110)의 회전축(112)쪽 근방을 접속하고 윗덮개(110)의 개방을 최대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개방 정지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방 정지부(150)는,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160)과, 이 제1 암(160) 및 윗덮개(110)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17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160)은, 상술한 탄성가압 수단(140)과는 다른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로 이루어진다. 이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도, 상술한 탄성가압 수단(140)과 동일하게 가스 스프링으로서, 내부에 충전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146)안의 피스톤 로드(147)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가압력을 작용시킨다. 또, 제2 암(170)은 탄성가압 수단이 아니며, 단면 대략 U자형인 봉상(棒狀) 부재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탄성가압 수단(140)의 피스톤 로드(142)의 단부는 접속 브라켓(113)에, 탄성가압 수단(140)의 실린더(141)의 단부는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축(C)에 의해 제1 암(160)의 일단은 외프레임(100)에, 제3 축(E)에 의해 제1 암(160)의 타단은 제2 암(17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축(D)에 의해 제2 암(170)의 타단은 접속 브라켓(1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160)과 제2 암(170) 중, 제1 암(160)이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로 이루어지고, 제2 암(170)이 봉상 부재로 이루어지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양자의 구조를 반대로 하여 제2 암(170)을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에 의해 형성하고, 제1 암(160)을 봉상 부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180)를 외프레임(100)에 설치하여 제1 암(160)에 접촉시키는 구조로 해도 좋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의 회전축(112)의 반대쪽 엣지와 외프레임(100) 사이에는, 윗덮개(110)가 수평 상태로 개구(3)(도 1, 2 참조) 및 승강대(5)의 윗쪽을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외프레임(100)에 잠그는 잠금 기구(20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기구(200)는, 윗덮개(110)의 엣지에 설치된 2개의 페달(130)을 조작하면, 해당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된다.
아울러 잠금 기구의 내용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평 상태의 윗덮개(110)에는, 탄성가압 수단(140) 및 제1 암(160)으로서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양쪽의 탄성가압력, 구체적으로는, 좌우 합계 4개의 탄성가압 수단(2개의 탄성가압 수단(140) 및 2개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회전축(112)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윗덮개(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의 일례로서 약 70°(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66°,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개방 각도"라고 한다)의 회전 각도만큼 개방되면, 제1 암(160)으로서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은, 실린더(146)으로부터 피스톤 로드(147)가 끝까지 늘어난 상태가 되고, 그 이상은, 피스톤 로드(147)가 실린더(146) 안에서 바깥쪽으로 늘어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끝까지 늘어난 상태 이후에는, 제1 암(160)으로서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로부터 탄성가압력은 발생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암(160)은, 가스 스프링으로서 최대 작동 길이까지 피스톤 로드(147)를 늘리는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이다. 그리고, 이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을 늘리는 도중의 제2 암(170)은, 스토퍼(180)에 도 7에 도시한 B점에서 접촉하고,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에 대해 접히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아울러 제1 암(160)은, 최대 작동 길이까지 피스톤 로드(147)를 늘릴 때까지, 즉, 도 6에서 도 7에 도시하는 동안, 해당 B점에서 스토퍼(180)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암(170)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가 상기 최대 작동 길이에 도달하고 또한 상기 탄성가압 수단(140)에 의해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에 대해 전개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스토퍼(180)에 도 8에 도시한 A점에서 접촉함으로써 최대 개방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스토퍼(180)는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경우에 제2 암(170)의 A점에 접촉하여 추가 회동을 규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가 수평 상태에서 반개방 각도 개방된 후, 윗덮개(110)를 더 개방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탄성가압 수단(140)에 의한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가 더 개방되게 된다.
아울러 해당 제1 암(160)은 끝까지 늘어났기 때문에 더 이상 피스톤 로드(147)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지는 않지만, 제1 암(160)의 선단쪽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암(170)이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160)에 대해 회동한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를 더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윗덮개(110)를 반개방 각도 개방시킨 후, 더 개방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 대해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윗덮개(110)가 그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개방 정지부(150)(구체적으로는, 제2 암(170))에 접촉하는 스토퍼(180)가 윗덮개(110)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암(170)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가 끝까지 늘어난 상태에서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 대해 개방되는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90°)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암(170)이 윗덮개(110)에 대해 회동하여 스토퍼(180)에 접촉함으로써 윗덮개(110)를 최대 개방 각도(90°)까지 개방한다.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90°)까지 개방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암(170)의 측단(A)에 스토퍼(180)가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 윗덮개(110)가 개방되지 않는다. 아울러 윗덮개(110)가 반개방 각도까지 회동하는 동안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160)이 제2 암(170)을 탄성가압하고, 탄성가압된 제2 암(170)의 측단(B)가 스토퍼(180)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제1 암(160)으로서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탄성가압력이 윗덮개(110)에 대해 전달된다. 아울러 윗덮개(110)의 회전 각도가 반개방 각도(도 7)에서 90°(도 8)까지의 동안에는 암(170)의 측단과 스토퍼(180)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 장치(8)에서의 윗덮개(110)의 개폐 동작 기능의 작용 및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 장치(8)를 가짐으로써 이하에 도시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방 정지부(150)는, 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160)과, 제1 암(160) 및 윗덮개(110)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170)을 구비하고 있다. 개방 정지부(150)는, 윗덮개(110)를 닫을 때에는 제1 암(160)과 제2 암(170)이 접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개방 정지부(150)를 개구 장치(8)의 개구 주위의 좁은 스페이스에 수납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는, 개구(3)를 덮은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외프레임(100)에 잠그는 잠금 기구(200)와, 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120)으로서의 페달(130) 및 링크 기구(2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조작부(120)의 조작에 의해 해제하면, 탄성가압 수단(탄성가압 수단(140) 및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개구(3)를 출입하려고 하는 사람이, 조작부(120)를 조작(아울러 휠체어(16)의 전륜(16b)로 페달(130)을 밟는 것을 포함한다)함으로써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사람이 윗덮개(110)를 자기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윗덮개(110)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손의 힘이 일반적인 어른보다 약한 고령자나 아이나 장애인 등이어도 중량이 있는 윗덮개(110)를 자기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고 개방시킬 수 있어, 윗덮개(110)가 개방된 개구를 개재하여 아래층 등으로 순조롭게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재 등의 긴급시에도 윗덮개(110)를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어 긴급시 피난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윗덮개(1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 수단(140)"에 추가하여, 개방 정지부(150)의 제1 암(160)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으로 이루어진다. 즉, 윗덮개(110)를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력은 탄성가압 수단(140)와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2개의 탄성가압 수단에 의해 얻을 수 있게 된다. 해당 탄성가압력을 얻기 위해 1개의 탄성가압 수단으로 달성하려고 하면, 큰 탄성가압력을 발생하는 큰 탄성가압 수단이 필요한데 반해, 그보다 작은 탄성가압력을 발생시키는 탄성가압 수단을 2개 마련함으로써 필요한 탄성가압력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탄성가압력을 발생하는 탄성가압 수단은 범용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플로어 등에 형성된 개구(3)를 위에서 수평 상태가 되어 막는 윗덮개(110)가 힌지 등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해당 윗덮개(110)를 힌지 등의 회전축(112)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 들어 올리려고 하면, 초기 상태인 수평 상태의 윗덮개(110)를 초기 상태의 수평 상태에서 최초로 들어 올릴 때가 통상 윗덮개(110)의 자중이 걸리기 때문에 가장 큰 힘이 필요하다. 그리고 윗덮개(110)를 어느 정도의 각도까지, 예를 들면 윗덮개(110)가 상술한 바와 같은 반개방 각도가 되는 부근까지 개방시키면 그 후에는 특별히 큰 힘은 필요로 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탄성가압력을 가지는 2개의 탄성가압 수단(탄성가압 수단(140) 및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을, 개구(3)를 수평 상태가 되어 덮고 있는 윗덮개(110)가 소정 각도(반개방 각도) 미만인 경우에는, 그들 양쪽의 탄성가압력을 이용하여 개방시킨다. 그 후, 윗덮개(110)가 소정 각도(반개방 각도)까지 개방되어 큰 탄성가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가압 수단(140), 또는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 중 한쪽의 탄성가압력만으로 개방시킨다. 따라서 윗덮개(110)를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시켰을 때의 충격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는, 제2 암(170)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가 끝까지 늘어난 상태에서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 대해 개방되는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90°)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제2 암(170)이 윗덮개(110)에 대해 회동하여 윗덮개(110)를 최대 개방 각도까지 더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가 끝까지 늘어난 상태에서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 대해 개방되는 각도가 최대 개방 각도(90°)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윗덮개(110)는 외프레임(100)에 대해 개방되는 각도(여지)를 가지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가압 수단(140)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는 개방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회동한다. 그 때, 제2 암(170)은 제1 암(160)의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는 끝까지 늘어난 상태이므로, 제1 암(160)(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에 인장되어 제2 암(170)이 윗덮개(110)에 대해 회동한다.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 대해 최대 개방 각도(90°)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윗덮개(110)가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제2 암(170)이 스토퍼(180)에 접촉함으로써 제2 암(170)의 회동이 정지되고, 이 제2 암(170)의 회동이 정지됨으로써 제2 암(170)에 연결된 윗덮개(110)의 개방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90°)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이 정지된다.
또, 제1 암(160)과 외프레임(100)과의 연결부인 제1 축(C), 제2 암(170)과 접속 브라켓(113)과의 연결부인 제2 축(D), 제1 암(160)과 제2 암(170)과의 연결부인 제3 축(E)는,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도 직선상에 나열되지 않는다. 즉, 제3 축(E)는, 제1 암(160)의 외프레임(100)쪽에 설치된 제1 축(C) 및 제2 암(170)의 윗덮개(110)쪽에 설치된 제2 축(D)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제1 암(160)과 제2 암(170)이 접히는 쪽의 반대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윗덮개(110)의 회전축(112)쪽에 가까운 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경우, 제2 축(D)와 제1 축(C)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압축력이 작용하고, 제1 암(160) 및 제2 암(170)은 각각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는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잠금 기구(200)에 대해 도 9∼도 26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120))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의 왼쪽의 엣지쪽에서, 좌우 페달(130)의 끝을 휠체어(16)의 좌우 전륜(16b)에서 위에서 밟아 조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조작에 의해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120)으로서 페달(130) 및 링크 기구(2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기구(210)는, 2개의 페달(130)과 잠금 기구(200)를 연결함과 아울러, 2개의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으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페달(13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으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페달축(13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페달축(134)의 엣지쪽에 페달(130)과 함께 페달축(134) 둘레에 회전 이동(도 13 참조)하는 링크 바(13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크 바(132)의 한쪽 단부는, 후술하는 링크 레버(220)의 한쪽 단부쪽에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 레버(220)가 "연동부"에 상당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기구(210)는, 상술한 2개의 페달(130) 각각에 대해 설치됨과 아울러 각 페달축(134) 둘레에 회전 이동하는 링크 바(132)와 2개의 페달(130) 각각에 대해 설치되며, 페달(130)의 조작에 따라 링크 바(132)를 개재하여 작동하는 링크 레버(220)와, 양단쪽에서 각 링크 레버(220)의 한쪽 단부쪽에 접속되고 양쪽 페달(130)이 조작되어 소정량 이동이 이루어진 경우에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봉상(바형) 작동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페달(130)에 링크 바(132) 및 링크 레버(220)가 설치되고, 좌우의 링크 레버(220)에 의해 작동부(230)의 양단이 연결되고, 해당 작동부(230)의 중앙 부근에 잠금 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16)의 전륜(16b)가, 페달(130)을 밟기 직전 상태에서는 해당 전륜(16b)가 페달(130)의 자유단쪽에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체어(16)의 전륜(16b)가 페달(130)을 밟으면, 페달(130)은 페달축(134)를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도 13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3의 페달(130)의 왼쪽 자유단측이 아래쪽으로 눌린다. 그에 따라, 페달(130)의 내부에 배치된 링크 바(132)도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12 및 도 13의 페달(130)의 조작 상태에 대응하는 링크 레버(220)의 작동 상태를 도 14 및 도 15와 도 24 및 도 2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한 전륜(16b)가 페달(130)을 밟기 직전인 상태에서는, 링크 바(132)는 축(222)(도 14 참조)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축(22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링크 레버(220)는, 도 14에 도시한 오른쪽 하방으로 경사지는 상태가 되고, 링크 레버(220)의 작동부(230)가 연결되어 있는 쪽의 단부는 아래로 하강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230)도 아래로 하강한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전륜(16b)가 페달(130)을 밟고 있는 상태에서는, 링크 바(132)는 축(222)(도 14 참조)보다 낮은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써 링크 레버(220)는, 도 15에 도시한 오른쪽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태가 되고, 링크 레버(220)의 작동부(230)가 연결되어 있는 쪽의 단부는 위로 상승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230)도 위로 상승한 상태가 된다.
(잠금 기구(200))
잠금 기구(200)는, 외프레임(100)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잠금 바(101))에 대해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부(242)와, 윗덮개(110)에 설치되어 걸어멈춤부(242)의 외프레임(100)에의 걸어멈춤을 유지하는 잠금 상태와 걸어멈춤부(242)의 외프레임(100)에의 걸어멈춤을 해제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잠금 부재(제1 잠금 캠(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잠금 기구(200)는, 잠금 부재(24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유지 상태와, 링크 기구(210)의 작동에 따라 잠금 부재(240)의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는 잠금 해제 유지 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제1 상태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는, 잠금 상태에서 제1 잠금 캠(240)의 회동을 저지하는 저지 상태와, 링크 기구(210)의 작동에 따라 제1 잠금 캠(240)의 회동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제2 잠금 캠(250)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잠금 기구(200)는, 제1 상태 유지 수단(252)가 잠금 해제 유지 상태로 전환된 경우, 링크 기구(210)의 작동과 상관 없이 잠금 해제 유지 상태를 유지하는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는, 제2 잠금 캠(250)이 저지 상태에서 허용 상태로 회동된 경우, 제2 잠금 캠(250)의 저지 상태로의 복귀를 저지하는 제3 잠금 캠(260)을 가진다.
또한 잠금 기구(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잠금 바(101)는, 외프레임(100)의 일부로서, 외프레임(10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잠금 캠(240)은, 외프레임(100)에 마련한 잠금 바(101)를 걸어멈춤할 수 있는 오목홈형의 걸어멈춤부(24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제1 잠금 캠(240)은, 축(241)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술한 제2 잠금 캠(250)에 한쪽 단부가 연결된 인장 스프링(244)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또, 이 제1 잠금 캠(240)에는, 상술한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로서의 제3 잠금 캠(260)의 후술하는 사각 오목부(264)에 들어가는 돌기부(245)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245)가 사각 오목부(264)에 들어감으로써,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로서의 제3 잠금 캠(260)을 조작할 수 있다.
또, 이 제1 잠금 캠(240)은,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로서의 제2 잠금 캠(250)의 오목부(253)에 걸어멈춤되어 해당 제1 잠금 캠(240)의 회전을 규제하는 볼록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로서의 제2 잠금 캠(250)은, 축(251)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잠금 캠(240)의 볼록부(243)를 걸어멈춤하고 제1 잠금 캠(240)의 회전을 규제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오목부(253)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잠금 캠(250)은, 외주부에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잠금 캠의 회전을 규제하는 사각 볼록부(254)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잠금 캠(250)은, 작동부(230)가 윗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윗쪽으로 튀어 올라 제2 잠금 캠(250)을 회전시키는 튀어오름편(片)(255)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로서의 제3 잠금 캠(260)은, 축(261)을 회전의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토션 스프링(263)에 의해 도 16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탄성가압되어 있다. 또 제3 잠금 캠(260)에는, 제1 잠금 캠(240)의 돌기부(245)가 들어간 상태의 사각 오목부(2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잠금 기구(200)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개구 장치(8)에서 설명한 탄성가압 수단(140) 및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수평 상태의 윗덮개(110)를 개방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외프레임(100)에 고정되어 있는 잠금 바(101)와 윗덮개(110)에 축(241)을 개재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1 잠금 캠(240)과의 관계로부터, 윗덮개(110)를 개방하려고 하는 상기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잠금 캠(240)은 도 16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제2 잠금 캠(250)의 오목부(253)에 제1 잠금 캠(240)의 볼록부(243)가 걸어멈춤되어 있으며 제1 잠금 캠(240)은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잠금 바(101)는 걸어멈춤부(242)에 의한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잠금 기구(20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한 쌍의 페달(130)이 동시에 조작된 경우, 링크 바(13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축(22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링크 레버(220)가 오른쪽 상방으로 경사지는 상태가 되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부(230)도 윗쪽으로 이동하여 튀어 오른다.
작동부(230)가 튀어오름에 따라,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로서의 제2 잠금 캠(250)이 튀어오름편(255)도 윗쪽으로 튀어 올라 제2 잠금 캠(250)이 도 17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잠금 캠(250)의 오목부(253)으로부터 제1 잠금 캠(240)의 볼록부(243)가 빠져서 제1 잠금 캠(240)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제2 잠금 캠(250)이 반시계 회전 방향(도 17)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제2 잠금 캠(250)의 사각 볼록부(254)가, 제3 잠금 캠(260)의 돌출된 외주에 접촉함으로써 제2 잠금 캠(250)의 시계 회전 방향(도 17)으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130)의 조작이 끝나고, 즉, 휠체어(16)를 후퇴시켜 전륜(16b)를 페달(130)으로부터 떨어뜨려 링크 바(132)가 상승하고 링크 레버(220)가 오른쪽 하방으로 경사지는 상태(도 18)가 되고, 작동부(230)가 아래쪽으로 이동해도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로서의 제2 잠금 캠(250)은 시계 회전 방향(도 18)으로 회전하지 않고 회전이 규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제1 잠금 캠(240)의 볼록부(243)가, 제2 잠금 캠(250)의 오목부(253)에 걸어멈춤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어 제1 잠금 캠(240)의 회전은 규제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윗덮개(110)의 개방과 함께 잠금 바(101)에 끌려가고, 및 인장 스프링(244)의 장력을 받아 제1 잠금 캠(24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1 잠금 캠(240)의 회전에 따라 걸어멈춤부(242)의 내부로부터 잠금 바(101)가 빠져서 윗덮개(110)가 완전히 개방된다(들어 올려진다).
또 제1 잠금 캠(240)의 회전에 따라, 돌기부(245)가 제3 잠금 캠(26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제3 잠금 캠(260)에 의한 제2 잠금 캠(25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규제는 해제된다. 한편, 제1 잠금 캠(240)의 볼록부(243)가 제2 잠금 캠(250)의 외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제2 잠금 캠(250)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규제는 유지된다.
윗덮개(110)를 닫을 때,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덮개(110)를 사람의 손으로 아래로 누르면, 잠금 바(101)가 제1 잠금 캠(240)의 걸어멈춤부(242)의 내부에 들어가 걸어멈춤부(242)의 위쪽을 밀어 올린다. 이로 인해, 제1 잠금 캠(240)이 도 20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잠금 캠(240)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인장 스프링(244)의 인장력에 의해, 제2 잠금 캠(250)은,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6과 마찬가지의 잠금 상태로 돌아온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링크 기구(210)는, 2개의 페달(130)과 잠금 기구(200)를 연결함과 아울러, 2개의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으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으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기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2개의 페달(130)이 조작되어 있는 상태(2점쇄선) 및 1개의 페달(구체적으로는, 왼쪽 페달)만 조작되어 있는 상태(실선)의 작동부(230)의 정면도이다.
도 22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왼쪽 페달(130)만을 조작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23 및 도 26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쪽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고 다른 한쪽만의 페달(130)을 조작한 경우에는, 작동부(230)는, 도 22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가 된다. 작동부(230)의 중앙 위치에서는, 작동부(230)가 윗쪽으로 튀어 오르는 이동 거리가, 양쪽 페달(130)을 조작한 경우의 거리(L)의 약 반의 거리(L/2)가 되어, 잠금 기구(2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소정량의 이동거리(L)의 반(L/2)이 된다. 이러한 경우,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부(230)의 튀어 오름, 즉 윗쪽으로의 이동 거리가 통상의 반이 되어 부족하여, 튀어오름편(255)를 잠금 해제시킬 수 있을 때까지 튀어 오를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2 잠금 캠(250)의 도 23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이 부족하다. 도 17의 경우와 비교하더라도, 제2 잠금 캠(250)의 회전량이 부족하여, 제1 잠금 캠(240)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규제를 해제하기에는 미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좌우의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으면 잠금 기구(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기구로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페달(130)을 발로 밟아 조작하거나 휠체어(16)의 전륜(16b)로 밟아 조작함으로써, 페달(130)과 잠금 기구(200)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210)를 개재하여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면, 탄성가압 수단(탄성가압 수단(140) 및 다른 탄성가압 수단(14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윗덮개(110)를 개방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에 있는 윗덮개(110)까지 손을 뻗어 자기 손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해당 윗덮개(110)를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없는 휠체어(16)의 이용자 등이 다리나 휠체어(16)의 전륜(16b) 등으로 페달(130)을 조작함으로써 윗덮개(11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쪽 페달(130)의 조작으로는 한쪽 링크 레버(220) 밖에 작동하지 않아 작동부(230)의 양단 중 한쪽만 이동한다. 이 때문에, 작동부(230)의 소정량의 이동을 확보할 수 없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2개의 페달(130)을 함께 조작하지 않으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아 등의 장난으로 1개의 페달(130)이 조작되거나 또 우연히 한쪽 발로 1개의 페달(130)을 밟는 경우가 발생해도 잠금 기구(200)의 잠금은 해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유아 등의 장난이나 오작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실수로 윗덮개(110)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휠체어(16)의 이용자로서 좌우의 페달(130)을 손이나 다리로 동시에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잠금 기구(2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어 윗덮개(110)를 개방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재나 지진 등 긴급 피난시에 돕는 사람이 없어도 휠체어(16)의 이용자 혼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윗덮개(110)에 설치된 걸어멈춤부(242)가, 잠금 상태에서는 외프레임(100)에 설치된 잠금 바(101)를 걸어멈춤함으로써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잠금 기구(200)가 잠금 상태가 된다.
또 윗덮개(110)에 설치된 걸어멈춤부(242)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잠금 바(101)를 걸어멈춤하지 않아 윗덮개(110)가 외프레임(10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또 제1 상태 유지 수단(252)가 상기 잠금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잠금 기구(20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는, 제2 잠금 캠이 저지 상태에서 허용 상태로 회동된 경우, 페달(130)의 조작 위치에 상관없이 제2 잠금 캠의 저지 상태로의 복귀를 저지한다. 이로써 페달(130)을 조작하여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한 후, 페달(130)에서 손이나 발이나 전륜(16b) 등이 분리되어 페달(130)의 조작을 멈추어도, 잠금 해제 상태에서 다시 잠금 상태로 이행하여 잠금 기구(200)가 잠금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잠금 캠(240)이, 외프레임(100)의 일부를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부(242)를 가지며, 회동함으로써 걸어멈춤부(242)의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제1 상태 유지 수단(252)로서의 제2 잠금 캠(250)은, 초기 상태에서 제1 잠금 캠(240)의 회동을 저지하는 저지 상태로 함으로써 걸어멈춤부(242)를 잠금 상태로 하고, 해당 제2 잠금 캠(250)이 회동함으로써 제1 잠금 캠(240)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또 제2 상태 유지 수단(262)로서의 회동 가능한 제3 잠금 캠(260)은, 제2 잠금 캠(250)이 저지 상태에서 허용 상태로 회동된 경우, 제2 잠금 캠(250)의 저지 상태로의 복귀를 저지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응용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를 가지는 피난 장치(11)는, 상술한 바와 같은 휠체어(16)뿐 아니라, 휠체어(16)에서의 이동이 어려운 사람에게 이용되는 스트레쳐에도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7∼도 31을 적절히 인용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기로 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방 정지부(450)의 사시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개방 정지부(450)에서의 제1 암(460), 제2 암(470), 및 스토퍼(480)의 형상이 변경되어 있다.
제1 암(460)은, 길이 방향의 양단을 각각 외프레임(100)과 후술하는 제2 암(47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제1 암(460)은, 일례로서 한 쌍의 측벽(460A)와 한 쌍의 측벽(460A)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판(460B)를 가지는, 단면 대략 U자형 봉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도 27 참조). 제1 암(460)은, 제1 축(C)에 의해 외프레임(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 축(E)에 의해 제2 암(47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암(46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에는, 후술하는 감쇠 수단(350)의 피스톤 로드(354)측의 끝에 장착된, 제1 축핀(353)을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 연결부(346)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암(470)은,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각각 접속 브라켓(113)과 제1 암(46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제2 암(470)은, 일례로서 한 쌍의 측벽(470A)와 한 쌍의 측벽(470A)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판(470B)를 가지는, 단면 대략 U자형 봉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도 27 참조). 제2 암(470)은, 제3 축(E)에 의해 제1 암(46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축(D)보다 접속 브라켓(11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제2 암(470)에는 제2 연결부(3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연결부(342)는, 후술하는 감쇠 수단(350)의 실린더(352)측의 끝에 장착된 제2 축핀(355)가 회동 가능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안내부(344)를 가지고 있다. 안내부(344)는, 일례로서 제2 암(47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장공이다. 아울러 이 제2 연결부(342)는, 제2 암(47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 별도로 설치되어도 좋다.
아울러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서 한 쌍의 측벽(470A)간의 거리는 제1 암(460)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암(460)이 제3 축(E)에서 제2 암(470)에 대해 축지지되어 있는 경우, 제2 암(470)의 안쪽에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의 개방 정지부(450)는 감쇠 수단(350)을 가지고 있다. 감쇠 수단(350)은, 일례로서 실린더(352) 및 피스톤 로드(354)를 가지는 오일 댐퍼이다. 감쇠 수단(350)은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체적으로는, 실린더(352)에 대해 피스톤 로드(354)가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354)측의 끝에 장착된 제1 축핀(353)이 감쇠 수단의 일단에 상당하고, 실린더(352)측의 끝에 장착된 제2 축핀(355)가 감쇠 수단의 타단에 상당한다. 아울러 감쇠 수단(350)은, 적어도 피스톤 로드(354)의 신축시에 그 신축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일으킨다.
아울러 제1 축핀(353)이 피스톤 로드(354)측의 끝에, 제2 축핀(355)가 실린더(352)측의 끝에 각각 장착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감쇠 수단의 일단 및 감쇠 수단의 타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축핀(353) 및 제2 축핀(355)는 각각 감쇠 수단(350)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2 암(470)의 상판(470B)에서의 제1 암(460)측의 단부가 제3 축(E)에서 제1 암(460)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암(460)과 제2 암(470)이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제1 암(460)의 상판(460B)가 제2 암(470)의 상판(470B)에 접촉함으로써 스토퍼(480)으로서 기능한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측벽(460A)간의 거리가 제2 암(470)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즉 제2 암(470)이 제3 축(E)에서 제1 암(460)에 대해 축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2 암(470)은, 제1 암(460)의 안쪽에 수용되고 제2 암(470)의 상판(470B)가 제1 암(460)의 상판(460B)에 접촉함으로써 스토퍼(480)으로서 기능하도록 설정해도 좋다.
(윗덮개(110)에 의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개구 장치(8)의 기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윗덮개(110)에 의해 개구(3)를 덮을 수 있는 개구 장치(8)의 기구에 대해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것처럼, 탄성가압 수단(440)이 수축된 상태, 즉 윗덮개(11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1 암(460)과 제2 암(470)은 접혀 윗덮개(110) 안에 수용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28에 도시된 상태에서 잠금 기구(200)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 윗덮개(110)는, 실린더(441) 내의 피스톤 로드(442)에 탄성가압력이 작용하여 탄성가압 수단(440)이 늘어남으로써 닫힌 상태에서 열리기 시작한다. 또, 개방 정지부(450)는,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이 제3 축(E)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힌 상태로부터 신전되기 시작한다.
이 때, 피스톤 로드(354)측의 끝에 장착된 제1 축핀(353)은, 제1 암(460)에 대해 제1 연결부(346)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실린더(352)측의 끝에 장착된 제2 축핀(355)는, 제2 암(470)의 제2 연결부(342)의 안내부(344)에 따라 제3 축(E)의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29는, 윗덮개(110)가 소정 각도의 일례로서 약 50°(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반개방 각도라고 한다)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것처럼, 윗덮개(110)가 반개방 각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은 계속해서 열린다. 여기서, 윗덮개(110)가 반개방 각도까지 개방되면, 안내부(344)와 감쇠 수단(350)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기 때문에, 실린더(352)측의 끝은 슬라이드를 정지한다.
이 때,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이 더 열림으로써, 감쇠 수단(350)은 실린더(352)에 대해 피스톤 로드(354)가 인장되기 때문에 신장된다. 즉, 윗덮개(110)가 반개방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 정지부(450)에 설치된 감쇠 수단(350)은,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의 신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도 30은, 윗덮개(110)가 90°(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암(460)은 제2 암(470)에 형성된 스토퍼(480)에 의해 제2 암(470)에 대한 진전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은 거의 일직선형이 됨과 아울러 윗덮개(110)의 개방은 규제된다.
도 31은, 도 30에서의 제1 암(460), 제2 암(470)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암(460)과 외프레임(100)과의 연결부인 제1 축(C), 제2 암(470)과 접속 브라켓(113)과의 연결부인 제2 축(D), 제1 암(460)과 제2 암(470)과의 연결부인 제3 축(E)는,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도 직선상에 나열되지 않는다. 즉, 제3 축(E)는, 제1 축(C) 및 제2 암(170)의 윗덮개(110)쪽에 설치된 제2 축(D)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제1 암(460)과 제2 암(470)이 접히는 쪽의 반대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윗덮개(110)의 회전축(112)쪽에서 먼 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상태에서 윗덮개(110)를 닫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경우,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한다. 즉, 제2 축(D)와 제1 축(C)를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압축력이 작용하고,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은 각각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는 열린 상태에서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개구 장치(8)에서의 윗덮개(110)의 개폐 동작 기능의 작용 및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 장치(8)를 가짐으로써 이하에 도시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도 28∼도 30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방 정지부(450)를 구비한 개구 장치(8)는, 윗덮개(110)가 개방되는 경우에 이하의 작용이 발생한다. 윗덮개(110)의 개방 각도가 반개방 각도 미만인 상태에서는, 감쇠 수단(350)의 타단이 제2 연결부(342)의 안내부(344)를 슬라이드함으로써 감쇠 수단(350)은 신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평 상태의 윗덮개(110)를 들어 올려 회동시키려고 하는 상태에서 탄성가압 수단(440)만이 작용한다.
여기서, 윗덮개(110)의 개방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윗덮개(110)의 하중이 회전축(112)을 향하기 때문에 윗덮개(110)의 회동에 필요한 모멘트가 저하되고 윗덮개(110)의 개방 속도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개방 정지부(450) 및 감쇠 수단(350)이 없는 경우에는,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도달했을 때에 충격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에 의하면, 윗덮개(110)의 회동에 필요한 모멘트가 저하되는 반개방 각도부터 감쇠 수단(350)이 기능하고, 제1 암(460) 및 제2 암(470)의 신전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함으로써 윗덮개(110)의 개방 속도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에서는, 윗덮개(110)의 개방 각도 증가에 따른 개방 속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윗덮개(110)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도달했을 때의 충격이 줄어든다.
이상에 나타낸 효과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에서는, 윗덮개(1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람 손을 쓰지 않고 개방시키는 것, 및 윗덮개(110)의 개방 각도가 반개방 각도 이상인 경우에 개방 속도를 억제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에서도, 본 개시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 장치(8)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제2 암(470)에 설치된 제2 연결부(342)에 형성된 안내부(344)는, 제2 암(470)의 길이 방향에 따른 형상의 장공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내부(344)는, 예를 들면 원호형, 파형, 톱니형 등의 구멍으로 하여 윗덮개(110)의 개방 속도에 맞춰 설정되어도 좋다. 또한 V홈이나 T홈 등 서로 슬라이딩하는 안내 기구로 해도 좋고, 또는 리니어 가이드나 슬라이드 레일 등의 직동(直動) 기구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제2 연결부(342)는 제2 암(470)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연결부(342)는, 예를 들면 제1 암(460)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응용예를 생각해낼 수 있는 것은 분명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 것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는, 건축물의 복도, 베란다, 지붕 등에 설치된 피난 해치나 승강구 등의 개구 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8)

  1. 사람이 출입 가능한 개구를 가지는 외(外)프레임과,
    일단측이 상기 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덮을 수 있는 윗덮개와,
    상기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윗덮개를 상기 외프레임에 잠그는 잠금 기구와,
    상기 잠금 기구의 잠금을 해제하는 조작부와,
    상기 외프레임과 상기 윗덮개를 접속하고, 상기 윗덮개의 상기 외프레임에 대한 개방을 최대 개방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개방 정지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잠금 기구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가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외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암(arm)과,
    상기 제1 암 및 상기 윗덮개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암을 구비하고,
    상기 윗덮개가 상기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접히고,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신전(伸展)되는 개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윗덮개가 상기 최대 개방 각도까지 개방된 경우에,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접촉하여 해당 암의 추가 회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개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 정지부는, 상기 윗덮개가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경우에, 상기 탄성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의 신전 속도를 억제하는 감쇠 수단을 가지고 있는, 개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감쇠 수단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다른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감쇠 수단의 타단을 회동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감쇠 수단은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연결부를 슬라이드시키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상기 소정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감쇠 수단은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신장되는, 개구 장치.
  5.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윗덮개가 최대 개방 각도까지 회동한 경우에,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과의 연결부에 설치된 제3축은, 상기 제1 암의 상기 외프레임측에 설치된 제1축 및 상기 제2 암의 상기 윗덮개측에 설치된 제2축을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해,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이 접히는 쪽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는, 개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어느 한쪽은 다른 탄성가압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윗덮개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각도 미만인 경우, 상기 탄성가압 수단과 상기 다른 탄성가압 수단 모두에 의해 상기 윗덮개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개구 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암 및 상기 제2 암 중 다른 한쪽에 대해, 상기 윗덮개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 상기 제1 암과 상기 제2 암을 접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개구 장치.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프레임 내에 전체 또는 일부가 수납되는 피난 장치를 구비한, 개구 장치.
KR1020227037745A 2020-03-30 2021-03-30 개구 장치 KR20220155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61604 2020-03-30
JP2020061604 2020-03-30
PCT/JP2021/013752 WO2021201067A1 (ja) 2020-03-30 2021-03-30 開口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389A true KR20220155389A (ko) 2022-11-22

Family

ID=7792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745A KR20220155389A (ko) 2020-03-30 2021-03-30 개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1201067A1 (ko)
KR (1) KR20220155389A (ko)
CN (1) CN116113747A (ko)
WO (1) WO20212010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799A (en) * 1975-09-23 1977-03-25 Naka Tech Lab Refugee equipment mounted indoors or veranda
JPS55118762A (en) * 1979-03-05 1980-09-11 Naka Tech Lab Shelter for building
JPS6019729Y2 (ja) * 1979-08-01 1985-06-13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建物用避難装置における上蓋係止装置
JPS6099944U (ja) * 1984-11-05 1985-07-08 株式会社ナカ技術研究所 建物用避難装置における取手
JP3113695U (ja) * 2005-06-15 2005-09-15 ナカ工業株式会社 建物用避難ハッチ
JP4929146B2 (ja) * 2007-12-17 2012-05-09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避難用ハッチ
JP2010110501A (ja) * 2008-11-07 2010-05-20 Marunishi:Kk 避難用ハッチ
CN113795308B (zh) * 2019-05-08 2023-05-05 纳咖工业株式会社 避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1201067A1 (ko) 2021-10-07
WO2021201067A1 (ja) 2021-10-07
CN116113747A (zh)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975B2 (en) Stair assembly, an object and a stair assembly operating method
CN110799250B (zh) 建筑物中的火灾或其他灾害疏散设施
US10214962B2 (en) Swimming pool ladder with safety gate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JP6868511B2 (ja) 避難装置
KR20220155389A (ko) 개구 장치
KR20220155390A (ko) 개구 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JP6169400B2 (ja) 避難装置
WO2020226142A1 (ja) 避難装置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102751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梯子
KR101008161B1 (ko) 비상용 사다리 장치
JP2019042158A (ja) 避難装置
KR102039521B1 (ko) 공공안전사다리 및 그 동작 방법
FI118047B (fi) Hissikori
WO2020226143A1 (ja) 避難装置
KR101348181B1 (ko) 대피 보조 난간을 일체로 구비한 공동주택용 난간
JP6855644B1 (ja) 避難装置
KR10109650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US20220315388A1 (en) Elevator system having a car apron supportable on guide rails
KR20240120474A (ko) 긴급 대피가 가능한 피난용 난간
JPH0214639Y2 (ko)
IT202000002116A1 (it) Sistema di imbarco/sbarco di passeggeri da una imbarcazi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