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265B1 -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265B1
KR102332265B1 KR1020190057738A KR20190057738A KR102332265B1 KR 102332265 B1 KR102332265 B1 KR 102332265B1 KR 1020190057738 A KR1020190057738 A KR 1020190057738A KR 20190057738 A KR20190057738 A KR 20190057738A KR 102332265 B1 KR102332265 B1 KR 102332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ntal treatment
discharge device
pip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353A (ko
Inventor
나재석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2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2Control devices, e.g. for suction
    • A61C17/135Control devices, e.g. for suction with self-cleaning or self-disinf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65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processing the collected matter, e.g. for separating solids or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9Filters for solid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61M2205/75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with means for unclogging or regenerating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액체 배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유입된 액체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액체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부; 및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과용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가 소정의 시간 동안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척액에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상기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Dental treatment sewage discharge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leaning filter of the same}
본 발명은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니트 체어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受診者)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등을 받치는 등받이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다리받침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진자는 유니트 체어에 누운 자세로 진료를 받는다. 여기에 더하여, 핸드피스와 같은 치과용 시술공구를 거치하는 진료 테이블, 수진자가 침 또는 구강을 세척한 후의 진료 오수를 뱉어내는 치과용 타구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타구대는 상부에 용기(그릇)이 형성되어 수진자가 뱉어낸 세척수 등을 수용한다. 용기의 하부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 세척수 등의 액체가 배출 배관으로 흘러 나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멍은 덮개로 가려지고 상기 덮개의 하부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핸드피스 등의 치과 시술 후에 발생하는 고체 알갱이와 같은 불순물들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진료 오수는 또한 상기 수진자의 구강 내부터 석션 팁(51)을 거쳐 석션 호스를 통해 배출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치과에서는 석션을 위한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석션 호스 내부에 음압을 걸어 상기 석션 호스 내부로 진료 오수가 빨려 들어 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석션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진료 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거르기 위해 상기 유입된 진료 오수가 흘러 나가는 또 다른 배출 배관에도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석션 호스를 통해 유입된 진료 오수를 배출하는 배관은 상기 타구대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진료 오수는 상기 수진자의 침, 가래, 피와 같은 오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오물들은 상기 배출 배관들의 내부, 특히 필터에 유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를 1 내지 2 일 정도의 주기로 분리하여 세척을 해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치과에 설치된 많은 수의 유니트 체어에 포함되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모두 청소하는 작업은 진료 현장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터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세척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를 세척액에 장시간 노출시킴으로써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살균 및 세척 성능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필터 세척을 진행할 수 있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액체 배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유입된 액체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액체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부; 및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과용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가 소정의 시간 동안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척액에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상기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행굼액을 공급하는 행굼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상기 행굼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행굼액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액 공급부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噴射)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타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흘러 들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을 연결하여 체결하는 호스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관부 중 제1 배관부의 개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 및 상기 복수의 배관부 중 제2 배관부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 호스 체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배관부 각각의 액체 배출부의 끝단은 하나로 통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액체 배출부의 끝단의 통합된 영역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거치되고 상기 타단의 거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부; 및 상기 거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 높이가 상기 제1 배관부의 필터부의 높이 이상으로 조절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용기부 및 상기 제1 배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체결 가능한 제2 호스 체결구; 및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의 액체를 유동시키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세척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호스 체결구에 체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부에서 상기 액체가 순환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3방 밸브(3-way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체 배출부의 개폐 상태와 상기 세척액 공급부의 개폐 상태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어 유니트는,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료 오수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에서 수행되는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로 결정된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가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부에서 상기 공급된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상기 일단을 개방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헹굼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필터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세척함으로써, 필터의 분리 세척 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하고 청소를 위해 투입되는 노력을 저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필터를 세척액에 장시간 노출시킴으로써 필터의 살균 및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를 부가하지 않고도 필터 세척을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청소 작업 시 장비를 다루는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진료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치과용 체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 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순서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 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체어 유니트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16), 석션 팁, 핸드피스, 스케일러와 같은 진료용 시술공구(14)나 진료 차트 등을 거치하는 거치대(17), 수진자가 가글한 후 뱉어내는 세척수나 침을 수용하여 배출하는 치과용 타구대(19)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세척수를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기(15)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 필터부(300), 개폐부(400), 세척액 공급부(500)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헹굼액 공급부(700), 용기부(800), 체결 감지부(900), 거치대부(1100), 높이 감지부(1200), 펌프부(1300) 및 하우징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는 일단에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 액체 배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파이프(201)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개구부(210) 및 액체 배출부(220)으로 개방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210)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배출부(220)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유입된 액체의 불순물을 거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수진자가 뱉은 타액이나 양치액에는 치아 또는 레진 부스러기와 같은 고체형 불순물 및 피, 가래, 고름과 같은 액체형의 불순물이 섞여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부(400)는, 필터를 포함하여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불순물을 거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이외에도 상기 필터의 외형을 유지하고 상기 배관부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피, 가래, 고름과 같은 불순물들은 상기 필터부(400)에 융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세균막을 형성하고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경우, 이러한 필터부(400)를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세척을 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액체 배출부(2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개폐부(40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온-오프 절환 밸브 또는 개도 조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세척액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독액 또는 계면 활성제와 같은 불순물의 제거에 도움이 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치과용 오수 배출 장치(100)의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220)가 소정의 시간 동안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모드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세척 모드는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돌입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간 진료를 하지 않는 치과의 경우, 야간의 일정 시각이 되면 세척 모드로 돌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밖에도 점심 시간과 같이 진료를 하지 않는 시간에 돌입하도록 세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스케쥴을 고려하여 세팅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쥴은 환자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적어도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세척액에 침지될 때까지(도 3(c) 참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상기 세척액이 공급(도 3(b) 참조)되도록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는 세척액을 보관하는 탱크(520), 상기 탱크(520)로부터 상기 배관부(200)의 내부로 세척액을 주입시키는 주입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입관(530)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은 유량 조절 밸브 또는 액체 펌프를 포함하여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세척액의 투입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액이 상기 필터부(300)를 침지함에 따라,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불림, 소독, 분해 등 불순물 제거에 필요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행굼액을 공급하는 헹굼액 공급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220)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400)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에 상기 행굼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헹굼액 공급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헹굼액 또한 일정 시간 상기 배관부(200) 내부 및 필터부(300)를 침지하도록 상기 개폐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액체 배출부(220)를 다시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세척액을 상기 배관부(200)로부터 내보내고, 상기 헹굼액 공급부(700)로부터 헹굼액을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세척액 및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도 4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치과용 타구대(19)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치과용 타구대(19)의 본체가 상기 장치(100)의 일부 구성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부(1400)에 대응될 수 있고, 양치용 급수대(15)는 헹굼액 공급부(700)에 대응될 수 있다. 거치대부(1100)는 치과용 보조 테이블의 거치대(17)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300, 300a, 300b)는 상기 하우징부(1400)의 측면 또는 윗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윗면에 삽입되는 필터(300, 300a)는 수진자가 뱉은 양치액을 수용하는 용기부(80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80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810) 및 덮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400)의 측면에 삽입되는 필터부(300, 300b)는, 치료중 석션 팁(51)을 통해 유입되는 타액, 진료수 등의 불순물을 거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300)에 분사(噴射)하는 노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즐(510)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510)에 의해 상기 필터부(300)에 세척액을 분사함으로써,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1차적으로 상기 필터부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세척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액의 분사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 예로,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는 액체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노즐(510)은 효율적인 액체 분사가 가능하도록 오리피스와 같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810) 및 덮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타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흘러 들도록 상기 용기부(80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800)는 상기 개구부(210)의 상단에 형성된 덮개부(820)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510)은 상기 덮개부(8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부(820)의 아래면에 상기 노즐(5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부(300, 300a)에 상기 세척액을 직사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노즐(5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진자의 타액 등으로 상기 노즐(510)이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일단을 연결하여 체결하는 호스 체결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석션 호스(50)가 연결되고 상기 장치(100)의 모드가 세척 모드가 아닌 일반 진료 모드인 경우에는 진료를 위한 석션 기능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230)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부(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230)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의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감지부(900)의 감지 작용을 통해 석션 호스(50)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진료 중이 아니라는 것으로 판단하여, 즉시 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세척 모드로 돌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배관부(200a) 및 제2 배관부(200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800)는 상기 제1 배관부(200a)의 개구부(2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일단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 호스 체결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관부(200) 중 제2 배관부(200b)의 개구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진료 오수 처리가 필요한 타구대 및 석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배관부(200) 각각의 액체 배출부(220)의 끝단은 하나로 통합되고,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액체 배출부(220)의 끝단의 통합된 영역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들의 끝단을 통합하는 구성을 통해, 개폐부(400), 세척액 공급부(500) 및 헹굼액 공급부(600)를 일원화하여, 부품 및 제작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헹굼액 공급부(700)가 상기 제1 배관부(200a)의 개구부(210) 측에 있는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2 배관부(200b) 내부 및 필터부(300b)의 헹굼을 위해, 세척액 침지 종료 후, 상기 헹굼액 또한 일정 시간 상기 배관부(200b) 내부 및 필터부(300b)까지를 침지하도록 상기 개폐부(400)를 제어하여 상기 액체 배출부(220)를 다시 폐쇄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거치되고 상기 타단의 거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부(1100); 및 상기 거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1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거치 높이가 상기 제1 배관부(200a)의 필터부(300)의 높이 이상으로 조절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거치대부(1100)는 밸런스 암 구조와 같은 높이 조절 기구 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조절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하, 상기 높이 감지부는 선형 엔코더나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높이 감지가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석션 팁(510)이 장착되는 상기 반대측 타단이 거치되는 높이를 감지 함으로써, 혹시 모르는 석션 호스를 통한 세척액의 역류를 예방하고, 또한 상기와 같은 높이 조절 동작을 진료 종료 및 세척 모드 진입 명령의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수동 입력 없이 편리하게 세척 모드 진입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상기 용기부(800) 및 상기 제1 배관부(200a)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체결 가능한 제2 호스 체결구(232); 및 상기 복수의 배관부(200) 내의 액체를 유동시키는 펌프부(1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세척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호스 체결구(232)에 체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배관부(200) 내부에서 상기 액체가 순환되도록 상기 펌프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50)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호스 체결구(232)에 체결되는 경우, 이를 세척 모드 돌입 명령으로 인식하여 세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b)에는 상기 세척액이 제2 배관부(200b)로부터 제1 배관부(200a)로 유입되도록 상기 펌프부(1300)가 동작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그 반대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순환 작용을 통해 배관부(300a, 300b) 및 필터부(300a, 300b)를 단순히 정적으로 침지하는 경우 보다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00)는 3방 밸브(3-way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체 배출부(220)의 개폐 상태와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의 개폐 상태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방 밸브라는 단일화된 유체 조절 수단을 통해 일반 진료 모드와 세척 모드를 손쉽게 절환하고, 부품 수 감소로 인한 제조 비용 절감 효과 또한 누릴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50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어 유니트(10)는,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 및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료 오수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300)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S100); 상기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로 결정된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300)가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스케쥴을 고려하여 세팅될 수도 있다. 상기 스케쥴은 환자 관리 서버(미도시)로부터 유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본 발명의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300)에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100)는 노즐(510)을 구비한 세척액 공급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복수의 배관부(200) 내부에서 상기 공급된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100)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상기 일단을 개방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200)의 내부로 헹굼액을 공급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 필터 세척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일 수 있으며,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 "아래"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유니트 체어 14: 진료용 시술기구
15: 양치용 급수기 16: 체어
17: 거치대 18: 풋 컨트롤러
19: 타구대 50: 석션 호스
51: 석션 팁(51)
100: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200: 배관부
200a: 제1 배관부 200b: 제2 배관부
201: 파이프
210: 개구부 220: 액체 배출부
230: 호스 체결구, 제1 호스 체결구
232: 제2 호스 체결구 300, 300a, 300b: 필터부
400: 개폐부 500: 세척액 공급부
510: 노즐 520: 탱크
530: 주입관 540: 밸브
600: 제어부 700: 헹굼액 공급부
800: 용기부 810: 덮개부
820: 보울 900: 체결 감지부
1100: 거치대부
1200: 높이 감지부 1300: 펌프부
1400: 하우징부 1500: 체어부

Claims (16)

  1.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액체 배출부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액체가 상기 액체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기 이전에 상기 유입된 액체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
    상기 액체 배출부를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세척액 공급부; 및
    상기 개폐부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가 소정의 시간 동안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적어도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척액에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상기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세척 모드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셋팅되거나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자동으로 셋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행굼액을 공급하는 행굼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액체 배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상기 행굼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행굼액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공급부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噴射)하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의 침지를 위한 상기 세척액의 공급 라인과 상기 노즐을 통한 상기 세척액의 공급 라인은 서로 다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필터부가 상기 세척액에 침지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타액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흘러 들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는 상기 개구부의 상단에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을 연결하여 체결하는 호스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에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체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상기 호스 체결구에 체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관부 중 제1 배관부의 개구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 및
    상기 복수의 배관부 중 제2 배관부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일단이 연결되어 체결되는 제1 호스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관부 각각의 액체 배출부의 끝단은 하나로 통합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액체 배출부의 끝단의 통합된 영역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거치되고 상기 타단의 거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부; 및
    상기 거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 높이가 상기 제1 배관부의 필터부의 높이 이상으로 조절된 경우, 상기 작동 모드를 상기 세척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및 상기 제1 배관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일단의 반대 측 타단이 체결 가능한 제2 호스 체결구; 및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의 액체를 유동시키는 펌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모드가 상기 세척 모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의 상기 타단이 상기 제2 호스 체결구에 체결된 경우,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부에서 상기 액체가 순환되도록 상기 펌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3방 밸브(3-way valve)를 포함하고,
    상기 3방 밸브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액체 배출부의 개폐 상태와 상기 세척액 공급부의 개폐 상태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및 상기 세척액 공급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부;를 포함하는 체어 유니트.
  13.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진료 오수의 불순물을 거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에서 수행되는 필터 세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작동 모드가 세척 모드로 결정된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일단을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일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가 침지될 때까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수진자가 타액을 뱉는 용기(容器)부 및 적어도 하나의 치과 진료용 석션 호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세척 모드는, 사용자의 수동 입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스케쥴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필터 세척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세척액을 상기 필터부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관부 내부에서 상기 공급된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상기 일단을 개방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관부의 내부로 헹굼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KR1020190057738A 2019-05-17 2019-05-17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KR102332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738A KR102332265B1 (ko) 2019-05-17 2019-05-17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738A KR102332265B1 (ko) 2019-05-17 2019-05-17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53A KR20200132353A (ko) 2020-11-25
KR102332265B1 true KR102332265B1 (ko) 2021-11-30

Family

ID=73645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738A KR102332265B1 (ko) 2019-05-17 2019-05-17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286A (ja) * 2002-02-27 200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機用フィルター洗浄装置
JP3454620B2 (ja) * 1995-10-13 2003-10-0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科治療における汚水処理装置
KR101706279B1 (ko) * 2015-08-10 2017-02-13 (주)포인트닉스 배출관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이용한 살균 세척 기능을 구비한 타구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620B2 (ja) * 1995-10-13 2003-10-06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科治療における汚水処理装置
JP2003251286A (ja) * 2002-02-27 200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調機用フィルター洗浄装置
KR101706279B1 (ko) * 2015-08-10 2017-02-13 (주)포인트닉스 배출관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이용한 살균 세척 기능을 구비한 타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53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65023B2 (ja) 医療器具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医療器具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内に配置された器具のタイプを自動的に検出する方法
US5494637A (en) Endoscope washer
EP2057956A1 (en) Endoscope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CN107970472B (zh) 通过浓缩液降解补偿进行消毒剂动态配量
ES2890860T3 (es) Aparato y método para la administración de desinfectante o esterilizante concentrado a una luz de un instrumento médico
JP3906297B1 (ja) 内視鏡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KR101878444B1 (ko) 다수의 틀니 살균 및 세척기
KR102332265B1 (ko) 치과용 진료 오수 배출 장치 및 그의 자동 필터 세척 방법
JP5121413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1410048B1 (ko) 구강살균세정기
JP2008132281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の装置内管路の消毒方法。
JP4969303B2 (ja) ブラシカセット、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2000005200A (ja) 給水管路の消毒洗浄機能を備えた医療機器
JP4175687B2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JP3867838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装置、この管路洗浄装置を備えた診療装置
JP5244549B2 (ja) バキューム管路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診療装置
JP5966097B1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KR200432182Y1 (ko) 치과용 핸드피스 거치대
KR102101759B1 (ko) 치과용 진료수 공급 장치, 방법 및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WO2020224260A1 (zh) 护理机及其排污管路的浸泡消毒方法
CN215994335U (zh) 一种普外科口腔护理器
ES2955963T3 (es) Características para evitar la contaminación cruzada del endoscopio del sistema de reprocesamiento
JP4847986B2 (ja) 洗浄消毒装置
JP6831185B2 (ja) 医療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