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128B1 -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128B1
KR102331128B1 KR1020210036416A KR20210036416A KR102331128B1 KR 102331128 B1 KR102331128 B1 KR 102331128B1 KR 1020210036416 A KR1020210036416 A KR 1020210036416A KR 20210036416 A KR20210036416 A KR 20210036416A KR 102331128 B1 KR102331128 B1 KR 10233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aving
pipe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일
Original Assignee
아이디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디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이는 식기를 지지하는 렉부와,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헹굼수탱크와,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수탱크와, 세척수탱크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수를 수용하는 세이빙탱크와, 세이빙탱크를 통과하여 헹굼수탱크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관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시에 렉부, 상기 세척수탱크, 및 헹굼수탱크를 커버하면서 세척조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덮개부 내에서 헹굼수 또는 세척수가 분사된 후 세척수탱크 및 세이빙탱크로 분배되어 유입되어 세이빙탱크 내에서는 열교환수가 되고, 세이빙탱크를 통과하는 원수관의 원수와 열교환수가 열교환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ENERGY SAVING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는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식당과 같은 업소에서는 다량의 식기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렉에 세척할 식기를 지지시킨 후 위와 아래에서 세척수와 헹굼수를 순차적으로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기 전에 통상 애벌 세척을 매뉴얼로 수행한 후 식기들을 렉에 배열하게 되며, 세척수와 헹굼수를 강하게 분사함으로써 식기들을 세척하게 된다.
세척수와 헹굼수는 세제를 활성상태로 유지하여 세척 효과를 내기 위해 온수를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자동 식기세척기에서는 다량의 용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에너지 소모가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에너지 과다한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이를테면 세척 후 배수되어 버려지는 폐수의 소위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용수를 예열하는 방식이 전형적이다. 이러한 열교환을 위해 별도의 열교환 장치를 식기 세척기 외부에 배치하거나 식기 세척기 자체 내에 열교환 구성을 설치 한다.
전자의 경우 일정한 효과를 거둘 수는 있지만, 별도의 설치 공간과 비용이 든다. 후자의 경우 열교환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후자의 경우 보통은 헹굼수탱크 보다 온도가 낮은 세척수탱크를 원수(청수) 배관이 통과하도록 하여 열교환을 유도한다. 열교환된 원수는 헹굼수탱크로 공급되고 헹굼수탱크는 정해진 온도가 되도록 가열된다. 그러나, 가열 수단이 배치되지 않는 세척수탱크 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기 때문에 세척수탱크 자체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결국은 열교환 효과가 매우 낮게 된다.
KR 10-2016-0143959 A
본 발명은 세척수탱크 내에 열교환 구성을 배치하면서도 열교환 효율이 높은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청소 기능이 부여된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며, 이는: 식기를 지지하는 렉부; 상기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헹굼수탱크; 상기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수탱크; 상기 세척수탱크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수를 수용하는 세이빙탱크; 상기 세이빙탱크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수와 열교환된 원수를 상기 헹굼수탱크로 공급하는 원수관;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시에 상기 렉부, 상기 세척수탱크, 및 상기 헹굼수탱크를 커버하면서 세척조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 내에서 헹굼수 또는 세척수가 분사된 후 상기 세척수탱크 및 상기 세이빙탱크로 분배되어 유입된다.
상기 세이빙탱크는 상기 열교환수가 수용되는 코일형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원수관은 상기 코일형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헹굼수탱크로 연결된다.
상기 세이빙탱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중심부위에 세로로 배치된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판을 코일 방향으로 감으면서 연결되어 코일형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벽과 상기 다수개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상기 세이빙탱크가 상기 헹굼수탱크 및 상기 세척수탱크와 단열된다.
상기 세척수탱크의 바닥에는 퇴수공이 배치되고, 상기 퇴수공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관형 퇴수봉이 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퇴수봉이 상기 퇴수공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퇴수공이 완전 개방되어 세척수가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퇴수봉이 상기 퇴수공에 결합된 경우 상기 퇴수봉의 상단을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퇴수봉의 관 내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퇴수봉은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배치된 내부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이고, 상기 내부관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소정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기 코일형 통로에 연결된 배수관이 상기 퇴수봉의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로 열교환수를 배출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는 상기 퇴수봉의 내부관의 관 내를 통과하여 상기 퇴수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열교환수는 상기 퇴수봉의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로 유입된 후 상승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내부관 관내로 유입되어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세이빙탱크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수관 부위에는 원수관 라인과 상반적으로 개폐되는 청소관이 연결되고, 상기 청소관이 개방되면 원수인 청소수가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단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코일형 통로를 통과하면서 흐른다.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기 배수관에는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될 때 상기 세이빙탱크 내의 열교환수 및 청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청소수배출관을 포함한다.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면에는 분사된 헹굼수 및 분사된 세척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부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고의 에너지 절약이 구현될 수 있는 업소용 식기 세척기가 제공된다. 이는 세척수탱크에 구획되고 단열된 열교환수 저장 공간인 세이빙탱크를 마련하여 세척수탱크 내의 세척수나 헹굼수탱크 내의 헹굼수의 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열교환을 통한 원수의 승온이 가능하다. 세이빙탱크는 내부에 코일형 통로를 제공하고 원수관은 코일형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코일형 통로를 아래로 흐르는 열교환수와 원수관을 통과하는 원수 간에 열교환이 세이빙탱크 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코일형 통로에서 상대적으로 더 오랜 시간 동안 원수와 열교환수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높아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는 자체적인 세이빙탱크 청소 구성을 구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 채용된 헹굼수탱크, 세척수탱크, 및 세이빙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 채용된 세이빙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내부가 보이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세이빙탱크에 채용되는 일부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중심판과 코일형 원수관 부위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7의 세이빙탱크에 채용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장치의 전체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열교환 효율이 높은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렉부에 식기를 배열하고, 세척수탱크와 헹굼수탱크에 수용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위 아래에서 순차로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방식의 장치이다. 장치는 외관상으로 본체부와 덮개부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에 의해 지지되어 렉부가 설치된다. 본체부에는 헹굼수탱크와 세척수탱크가 배치되고 또한 분사를 위한 펌프, 배관 등이 배치된다. 최초 헹굼수탱크에 청수(원수)가 공급되어 가열되고, 헹굼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 방식으로 세척수탱크에 세척수가 채워진다. 렉부에 식기들이 배열된 후 덮개부가 하강하여 렉부, 세척수탱크, 및 헹굼수탱크의 상부를 덮어서 밀폐된 세척조 공간을 형성한다. 세척수탱크의 상면 부위는 개방되고 걸음망이 배치되어 분사된 세척수 및 헹굼수가 세척수탱크로 유입되도록 한다. 먼저 세척수가 세척수임펠라를 통해 위 아래에서 분사되어 세척을 수행한 후, 이어 헹굼수가 헹굼수임펠라를 통해 분사되어 헹굼을 수행한다. 이때, 분사된 세척수와 헹굼수는 낙하하여 세척수탱크로 유입된다. 사용된 헹굼수의 양만큼 원수관을 통해 헹굼수탱크로 공급되고, 세척수탱크에서는 퇴수봉(관) 상단을 오버플로우하는 세척수가 퇴수봉의 관내를 통하여 세척수탱크의 퇴수공으로 배출된다.
특히, 본 발명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탱크 내에 세이빙탱크가 마련된다. 세이빙탱크는 세척수탱크 내에서 구획된 단열 탱크 공간으로서 상면이 개방되어 분사된 세척수 및 헹굼수가 유입된다. 구체적으로는 분사된 세척수 및 헹굼수는 세척수탱크와 세이빙탱크로 자연적으로 분배되어 유입된다. 세이빙탱크로 유입되는 용수는 헹굼수탱크로부터 분사된 헹굼수보다는 세척수탱크로부터 분사된 세척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헹굼수는 청수인 데다가 고온이기 때문에, 헹굼수는 세척수탱크로 유입되어 세척수로 사용되는 것이 효율적이다. 나아가, 세이빙탱크로 유입되는 용수는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유입조절부가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이빙탱크 내에 수용된 용수를 열교환수라고 칭한다. 세이빙탱크 내에는 헹굼수탱크로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관이 통과한다. 따라서 단열된 세이빙탱크 내에서 열교환수와 원수관 내의 원수가 열교환을 수행하게 되어, 헹굼수탱크의 헹굼수나 세척수탱크의 세척수의 온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세이빙탱크는 코일형 통로를 제공하고, 코일형으로 감긴 원수관이 코일형 통로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코일형 원수관이 세이빙탱크의 코일형 통로를 통과한다는 것은 코일형 원수관이 코일형 통로 내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은 관 자체가 이중관으로 제공되는 열교환 구성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다. 이를테면, 열교환관이 이중관으로 이루어져서 내관으로는 원수(청수)가 흐르고 외관으로는 폐수(온수)가 흐르는 종래 기술의 경우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내관을 얇은 두께를 채용한다. 더구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중관을 다수회 절곡시키게 되는데, 이때 내관이 안전하게 외관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어려워서 많은 부분에 내관이 외관에 접촉한 상태가 되거나 매우 밀접한 간격을 가지게 된다. 이는 외관 내에 내관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한꺼번에 절곡시키기 때문에 야기되는 현상이다. 이렇게 외관과 내관이 절곡된 상태에서 접촉하거나 밀접한 위치를 가지는 부위가 많아지면 용수가 통과할 때 진동에 의해 내관이 마모손이 발생하여 터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반면에 본 발명과 같이 세이빙탱크 자체에 코일형 통로를 형성한 후 그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수관을 형성하여 장착하기 때문에 코일형 통로의 내벽에 원수관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열교환수는 코일형 통로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원수는 원수관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나아가, 코일형 통로와 그 내부에 배치된 코일형 원수관은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열교환수와 원수를 접촉하도록 하여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는 세이빙탱크의 청소 구성을 포함한다. 식기 세척기에서의 열교환은 사용된 세척수 및 헹굼수가 사용되기 때문에 그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충분한 열교환을 위해 충분한 접촉시간을 갖도록 하는데, 그로 인해 이물질이 잘 배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수관에 상반적으로 개폐되는 청소관을 마련하여 세이빙탱크의 상단부로 원수(청소수)를 배출한다. 청소수는 코일형 통로를 따라 내려오면서 세이빙탱크 내부를 청소한 후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나 헹굼수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수의 열교환 승온이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수와 원수가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접촉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높다. 나아가 자체적인 청소가 가능한 구성을 갖추어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본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 채용된 헹굼수탱크, 세척수탱크, 및 세이빙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5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 채용된 세이빙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내부가 보이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세이빙탱크에 채용되는 일부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중심판과 코일형 원수관 부위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7의 세이빙탱크에 채용되는 2개의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20)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덮개부(20)가 승강하는 것을 보여주도록 도시하였다. 본체부(10) 상에는 렉부(30)가 설치되어 세척되기 위해 배열된 식기들을 지지한다. 세척 동작을 위해서는 덮개부(20)를 하강시켜서 밀폐된 세척조 공간을 조성한 후 세척수와 헹굼수를 순차로 분사하게 된다.
본체부(10) 내에는 헹굼수탱크(40), 세척수탱크(50), 및 세이빙탱크(60)가 배치된다. 세이빙탱크(60)는 세척수탱크(50) 내에 배치된다. 참고적으로, 도 3에서는 걸음망 아래에 세이빙탱크(60)가 위치하여 보이지 않지만, 세이빙탱크(60)는 헹굼수탱크(40), 세척수탱크(50), 및 세이빙탱크(60) 만을 보여주는 도 4 및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세척수탱크(50) 부위를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헹굼수탱크(40)와 세척수탱크(50)는 실질적으로 격판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고 있으며, 세척수탱크(50)는 헹굼수탱크(40)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용수를 전달받아서 세척수로서 수용한다. 이를 위해 헹굼수탱크(40)의 상면에는 오버플로우관(430)을 가지는 뚜껑(4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헹굼수탱크(40)와 세척수탱크(50)가 이웃하기 때문에, 헹굼수탱크(40)와 세척수탱크(50)는 상호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헹굼수탱크(40) 내에는 또한 가열수단(450)이 배치되어 헹굼수탱크(40) 내의 헹굼수를 정해진 온도까지 승온시킨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헹굼수탱크(40)와 세척수탱크(50) 내에는 수위 센서 등이 배치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 하에 밸브 등이 개폐되어 용수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본체부(10)에는 또한 헹굼수임펠라(41) 장치와 세척수임펠라(51) 장치가 렉부(30)의 상하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10) 내에는 헹굼수임펠라(41)와 세척수임펠라(51)로 헹굼수 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데 각각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42, 52)가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세척수탱크(50) 내에 세이빙탱크(60)가 배치된다는 것이다. 세이빙탱크(60)는 다른 세척수탱크(50) 및 헹굼수탱크(40)와는 단열되며, 이를 위해 단열재(637, 도 6 및 8 참조)가 세이빙탱크(60)의 적어도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이빙탱크(60)는 세척수탱크(5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사된 세척수 및 분사된 헹굼수가 유입된다. 세척수탱크(50)와 마찬가지로 세이빙탱크(60)의 상면에는 걸음망(650)이 배치되어 이물질이 세이빙탱크 내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세이빙탱크(60)가 세척수탱크(50)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세척수와 헹굼수가 세척수탱크(50)와 세이빙탱크(60)로 분배되어 유입될 것이다. 이렇게 유입되어 세이빙탱크(60) 내에 수용되는 용수를 열교환수라고 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음망(650)의 아래에는 유입량 조절부(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량 조절부(690)는 세이빙탱크(60)로 유입되는 용수를 제어함으로써 세척수가 과다하게 세이빙탱크(6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유입량 조절부(690)의 예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홀패턴을 가지는 모음판 부재(691)와 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음판 부재의 홀패턴과 대응된 홀패턴을 가지는 회전판(693)을 포함한다. 회전판(693)이 회전하면서 모음판 부재(691)의 홀패턴과 일치되거나 어긋나면서 유입되는 용수의 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유입량 조절부(69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이빙탱크(60) 내부로는 원수관(70)이 통과하여 세이빙탱크(60) 내의 열교환수와 원수관(70) 내의 원수가 열교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세이빙탱크(60)를 통과한 원수관(70)은 헹굼수탱크(40)로 연결되어 원수(청수)를 헹굼수탱크(40)에 공급한다. 헹굼수탱크(40)로 공급되는 원수는 세이빙탱크(60) 내의 원수관(70) 부위를 통과하면서 열교환수와 열교환을 수행하면서 어느 정도 승온된 후에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이빙탱크(60)는 내부에 코일형 통로(611)를 제공하고, 코일형 통로(611)에는 코일형 원수관(70)이 배치된다. 즉, 원수관(70)은 외부에서 세이빙탱크(60)의 코일형 통로(611)로 들어와서 코일형 통로(611)를 통과한 후 도면에서 'a'로 표시한 경로를 따라 헹굼수탱크(40)에 연결된다. 따라서 원수관(70)을 통과하는 원수는 세이빙탱크(60) 내에서 열교환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열교환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분사되어 사용된 후 세이빙탱크(60)로 유입된 것이며, 이는 유입량 조절부(690)에 의해 적정량이 유입된다. 열교환수는 세이빙탱크(60)의 코일형 통로(611)에서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세이빙탱크(60)는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631)을 포함한다. 하우징(631) 내에는 중심부위에 중심판(633)이 세로로 배치된다. 하우징(631)의 내벽과 중심판(633) 사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635)가 배치된다. 플레이트(635)들은 'L' 형상을 가짐으로써 중심판(633)을 코일 방향으로 감으면서 서로 연결될 때 코일형 통로(611)를 형성하게 된다. 플레이트(635)와 하우징(631)의 내벽 사이에는 단열재(637)이 배치된다. 도 10은 중심판(633)과 그 둘레를 코일방향으로 감으면서 배치된 코일형 원수관(70)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연결된 플레이트(635) 한쌍(2개)에 대한 사시도(좌측)와 평면도(우측)이다. 플레이트(635)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들이 반복적으로 연결되어 코일 방향으로 중심판(633)을 감아서 코일형 통로를 형성한다.
중심판(633)은 비금속 재질이 채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mc나일론과 같은 플라스틱이 적합할 수 있다. 이는 사용 중에 중심판(633)과 원수관(70)이 접촉할 수도 있고, 금속 대 금속의 접촉에서는 진동이 그대로 원수관(70)에 전달된다면 관의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류로 중심판(633)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세척수탱크(50)의 바닥에는 퇴수공(54)이 배치되어 세척수의 퇴수에 이용된다. 퇴수공(54)에는 관형의 퇴수봉(53)이 탈착가능하게 배치된다. 퇴수봉(53)은 소정 높이를 가짐으로써 세척수탱크(50) 내의 세척수의 일정높이를 넘어서면 퇴수봉(53)의 상단을 오버플로우 하여 퇴수봉(53)의 관 내로 유입되어 퇴수공(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퇴수봉(53) 자체를 퇴수공(54)으로부터 제거할 경우에는 세척수탱크(50) 내의 세척수가 퇴수공(54)을 통해 배출된다. 이는 세척이 종료되거나 세척수탱크(50)를 청소할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에서는 퇴수봉(53)이 이중관일 수 있다.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퇴수봉(53)은 내부관(531)과 외부관(533)을 포함하며, 내부관(531)에는 소정 높이에 하나 이상의 배수홀(535)을 가진다.
퇴수봉(53)의 하단부위에는 도 4에서 경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이빙탱크(60)의 배수관(620)이 연결되어 내부관(531)과 외부관(533) 사이로 열교환수를 배출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수탱크(50)에서 퇴수봉(53)을 오버플로우 하여 배출되는 세척수는 내부관(531)으로 바로 유입되어 퇴수공(54)을 통해 배출되는 반면, 세이빙탱크(60)의 열교환수는 퇴수봉(53)의 내부관(531)과 외부관(533) 사이로 유입되어 배수홀(535) 높이까지 상승한 후 배수홀(535)을 통해 내부관(531)의 관내로 유입되고, 퇴수공(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퇴수봉(53)은 외면에 단열재(537)가 배치될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세이빙탱크(60) 내에서 열교환을 수행한 열교환수가 퇴수봉(53)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세척수탱크(50) 내에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세이빙탱크(60)의 상위 외부에 위치하는 원수관(70), 즉 세이빙탱크(60)로부터 나온 원수관(70) 부위에는 청소관(80)이 연결된다. 청소관(80)의 연결부위에는 삼방밸브와 같은 제1밸브(730)가 배치되어 원수관(70)과 청소관(80)의 선택적, 상반적으로 개폐한다. 즉, 일반적인 세척 동작 중에는 원수관(70)이 개방되고, 청소 동작에서는 청소관(80)이 개방된다.
청소 동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관(80)이 개방되어 청소수(원수)가 세이빙탱크(60)의 상부로 배출된다. 세이빙탱크(60)로 유입된 청소수는 코일형 통로(611)를 따라서 아래로 흘러서 세이빙탱크(60)의 내부를 청소한다.
또한, 세이빙탱크(60)의 배수관(620)에는 청소수배출관(630)이 제2밸브(67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청소 동작 시에 개방되어 청소수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코일형 통로(611)를 제공하는 다층 칸막이(610)를 가지는 세이빙탱크(60)를 다른 세척수탱크(50)나 헹굼수탱크(40)와는 단열시킴으로써, 다른 탱크에 온도 변화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원수를 승온시켜서 헹굼수탱크(40)로 공급할 수 있다. 세이빙탱크(60) 내에서의 원수의 이동경로를 길게 연장하여 열교환수와의 접촉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뛰어나다. 나아가, 자체적인 청소 구성을 가짐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청소 주기를 길게 가져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덮개부, 30: 렉부, 40: 헹굼수탱크, 41: 헹굼수임펠라, 42: 모터, 50: 세척수탱크, 51: 세척수임펠라, 52: 모터, 53: 퇴수봉, 54: 퇴수공, 60: 세이빙탱크, 70: 원수관, 80: 청소관, 410: 뚜껑, 430: 오버플로우관, 450: 가열수단 531: 내부관, 533: 외부관, 535: 배수홀, 537: 단열재, 611: 코일형 통로, 620: 배수관, 630: 청소수배출관, 631: 하우징, 633: 중심판, 635: 플레이트, 637: 단열재, 650: 걸음망, 670: 제2밸브, 730: 제1밸브

Claims (6)

  1.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로서:
    식기를 지지하는 렉부;
    상기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헹굼수를 수용하는 헹굼수탱크;
    상기 렉부에 지지된 식기들에 분사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는 세척수탱크;
    상기 세척수탱크 내에 배치되고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수를 수용하는 세이빙탱크;
    상기 세이빙탱크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수와 열교환된 원수를 상기 헹굼수탱크로 공급하는 원수관;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 시에 상기 렉부, 상기 세척수탱크, 및 상기 헹굼수탱크를 커버하면서 세척조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 내에서 헹굼수 또는 세척수가 분사된 후 상기 세척수탱크 및 상기 세이빙탱크로 분배되어 유입되고,
    상기 세이빙탱크는 상기 열교환수가 수용되는 코일형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원수관은 상기 코일형 통로를 통과한 후 상기 헹굼수탱크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세이빙탱크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중심부위에 세로로 배치된 중심판과, 상기 중심판과 상기 하우징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판을 코일 방향으로 감으면서 연결되어 상기 코일형 통로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L'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수는 코일형 통로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상기 원수는 원수관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흐르게 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흐르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세척수탱크의 바닥에는 퇴수공이 배치되고, 상기 퇴수공에는 소정높이를 가지는 관형 퇴수봉이 탈착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퇴수봉이 상기 퇴수공으로부터 제거된 경우 상기 퇴수공이 완전 개방되어 세척수가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퇴수봉이 상기 퇴수공에 결합된 경우 상기 퇴수봉의 상단을 오버플로우하여 상기 퇴수봉의 관 내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퇴수봉은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 내에 배치된 내부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이고, 상기 내부관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이 소정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기 코일형 통로에 연결된 배수관이 상기 퇴수봉의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로 열교환수를 배출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는 상기 퇴수봉의 내부관의 관 내를 통과하여 상기 퇴수공으로 배출되고, 상기 열교환수는 상기 퇴수봉의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로 유입된 후 상승하여 상기 내부관의 상기 배수홀을 통해 상기 내부관 관내로 유입되어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것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벽과 상기 다수개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단열재가 배치되어, 상기 세이빙탱크가 상기 헹굼수탱크 및 상기 세척수탱크와 단열되는 것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빙탱크의 외부에 위치하는 원수관 부위에는 원수관 라인과 상반적으로 개폐되는 청소관이 연결되고,
    상기 청소관이 개방되면 원수인 청소수가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단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코일형 통로를 통과하면서 흐르는 것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기 배수관에는 개폐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될 때 상기 세이빙탱크 내의 열교환수 및 청소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청소수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이빙탱크의 상면에는 분사된 헹굼수 및 분사된 세척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부가 배치되는 것인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KR1020210036416A 2020-09-08 2021-03-22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KR10233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16A KR102331128B1 (ko) 2020-09-08 2021-03-22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363 2020-09-08
KR1020210036416A KR102331128B1 (ko) 2020-09-08 2021-03-22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363 Division 2020-09-08 2020-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128B1 true KR102331128B1 (ko) 2021-12-01

Family

ID=7893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16A KR102331128B1 (ko) 2020-09-08 2021-03-22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26B1 (ko) * 2006-12-14 2007-09-13 주식회사 피닉스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1380362B1 (ko) * 2013-06-11 2014-03-31 김금자 퇴수조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KR20160143959A (ko) 2015-06-05 2016-12-15 (주)돌핀 식기세척기의 폐열수 에너지 재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26B1 (ko) * 2006-12-14 2007-09-13 주식회사 피닉스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1380362B1 (ko) * 2013-06-11 2014-03-31 김금자 퇴수조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KR20160143959A (ko) 2015-06-05 2016-12-15 (주)돌핀 식기세척기의 폐열수 에너지 재활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8492T3 (es) Máquina lavavajillas
US8789544B2 (en) Filter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N107296577A (zh) 清洗机
KR100973407B1 (ko) 히팅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
KR1007585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2331128B1 (ko) 에너지 세이빙 식기 세척기
KR100813092B1 (ko) 퇴수의 폐열로 예열되는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0686198B1 (ko) 컵 세척장치
JP2009297356A (ja) 食器洗浄機
CN211938164U (zh) 一种清洗装置
CN210727535U (zh) 一种净水茶吧机
CN2914926Y (zh) 全自动电饭锅
KR100963225B1 (ko) 식기세척기
EP3449797A1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0535771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탱크
KR100824377B1 (ko) 폐 온수 재활용 타입의 업소용 식기세척기
CN210810873U (zh) 一种商用洗碗机用的预处理智能水池
KR20100128862A (ko)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업소용 식기세척기
CN108670153B (zh) 一种用于洗碗机的脉冲式洗涤方法及使用其的洗碗机
KR100745699B1 (ko) 폐열회수장치를 이용한 업소용 식기 세척기
CN210749087U (zh) 洗碗机
JPS592763Y2 (ja) 食器洗浄機
JPH08150108A (ja) 食器洗浄機の排熱回収装置
KR101735104B1 (ko) 식기 세척기
KR2008008760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