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104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104B1
KR101735104B1 KR1020100051621A KR20100051621A KR101735104B1 KR 101735104 B1 KR101735104 B1 KR 101735104B1 KR 1020100051621 A KR1020100051621 A KR 1020100051621A KR 20100051621 A KR20100051621 A KR 20100051621A KR 101735104 B1 KR101735104 B1 KR 10173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 exchange
washing
sump
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25A (ko
Inventor
윤상헌
이태희
박영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104B1/ko
Priority to US13/149,149 priority patent/US9402528B2/en
Priority to PCT/KR2011/004022 priority patent/WO2011152666A2/ko
Priority to CN201180026930.9A priority patent/CN102939039B/zh
Priority to AU2011262466A priority patent/AU2011262466B2/en
Priority to DE112011101880.0T priority patent/DE112011101880B4/de
Priority to BR112012030394-5A priority patent/BR112012030394B1/pt
Priority to EP11790024.1A priority patent/EP2578132B1/en
Priority to RU2012157051/12A priority patent/RU2540771C2/ru
Publication of KR2011013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47L15/4206Tubula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모으는 물 챔버를 가지는 물 공급 기구; 상기 물 챔버의 물을 공급받아 세척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물 공급 기구의 물 챔버에 모인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 관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 관의 일부는 상기 물 챔버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세척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하방에 구비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세척 노즐이 포함된다.
상기 섬프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 노즐로 이동된 후에 상기 세척조로 분사되고, 상기 세척조로 분사된 후에 다시 섬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완료할 때까지 다수의 행정을 수행하게 되며, 다수의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에서는 급수관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행정에서 사용되는 또는 사용된 세척수를 다음 행정에서 사용될 물과 열교환시켜, 다음 행정의 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모으는 물 챔버를 가지는 물 공급 기구; 상기 물 챔버의 물을 공급받아 세척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물 공급 기구의 물 챔버에 모인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 관을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 관의 일부는 상기 물 챔버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다음 행정에 사용될 물이 그 물의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세척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물이 섬프로 공급되므로, 다음 행정의 행정 효율, 일 례로 세척 또는 헹굼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
도 3은 세척 펌프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섬프의 단면도.
도 4는 유로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섬프의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 예의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
도 10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용의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물"은 특정 행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물을 의미하고, "세척수"는 행정에 사용되기 위하여 섬프로 공급된 물, 행정에서 사용되는 물 및 행정에서 사용이 완료된 물을 의미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가 세척되기 위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와, 상기 세척조(4)의 하측에 구비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모으는 섬프(10)와, 상기 세척조(4)를 개폐시키는 도어(3)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3)의 상측에는 상기 식기 세척기를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3a)이 구비된다.
상기 세척조(4)의 내부에는, 식기가 놓여지는 다수의 랙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랙은, 상부 랙(5)과 상기 상부 랙(5)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랙(6)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랙(5, 6)이 상기 세척조(4)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랙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세척조(4)의 내부에는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상기 랙(5, 6)에 놓인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세척 노즐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에는, 상기 섬프(10)의 상측에 연결되는 하부 노즐(7)과, 상기 하부 노즐(7)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중간 노즐(8)과, 상기 중간 노즐(8)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섬프(1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탑 노즐(9)을 포함한다.
상기 섬프(10)에는 상기 중간 노즐(8) 및 상기 탑 노즐(9)로 세척수를 전달하기 위한 세척수 가이드(9a)가 연결된다. 상기 세척수 가이드(9a)에는 단일의 세척수 유로가 형성되거나, 두 개의 세척수 유로가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중간 노즐(8) 및 상기 탑 노즐(9) 각각으로 복수의 세척수 가이드 각각이 세척수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섬프(10)는, 상기 섬프(10) 내부의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세척 펌프(70)와, 펌핑되는 세척수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장치(8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10)에는 배수 펌프(50)가 연결된다.
상기 섬프(10)는 상기 세척 펌프(70)로 세척수를 안내하는 제 1 안내관(12)과, 상기 배수 펌프(50)로 세척수를 안내하는 제 2 안내관(13)을 포함한다. 상기 섬프(12)에는 필터 유닛(후술함)이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안내관(12) 및 제 2 안내관(13)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부(11)로부터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10)는 상기 세척 펌프(70)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유로조절장치(80) 측으로 안내하는 제 3 안내관(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섬프(10)의 상측에는 세척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노즐(7, 8, 9) 중 하나 이상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상기 유입부(17)를 통하여 상기 섬프(10)로 모이고, 상기 세척 펌프(70)에 의해서 다시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7, 8, 9)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조(4)와 상기 케이스(2) 사이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안내하고, 세척조의 외부 공기와 상기 세척조(4) 내부의 공기가 연통되도록 하는 물 공급 기구(60)가 구비된다.
상기 물 공급 기구(60)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는 급수관(30)과 연통되는 제 1 유로(61)와, 상기 제 1 유로(61)를 통하여 공급된 물이 모이는 물 챔버(62)와, 상기 물 챔버(62)의 물이 배출되는 제 2 유로(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로(63)는 연수 장치(40)와 연결된다. 상기 연수 장치(40)는 물에 포함된 경도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수 장치(40)는 상기 섬프(10)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급수관(30),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61, 63) 및 상기 연수 장치(40)는 외부로부터 상기 섬프(10)로 공급되기 위한 물이 유동하므로, 이 들을 통칭하여 급수 유로라고 이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 기구(60)는, 세척조(4)의 외부 또는 식기 세척기(1)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유로(64)와, 상기 세척조(4)와 연통되는 연통홀(64a)을 포함한다. 상기 연통 유로(64)는, 상기 제 1 및 제 2 유로(61, 63) 및 상기 물 챔버(62)와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조(4) 내부는 상기 물 공급 기구(60)에 의해서 대기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세척조(4) 내부가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압력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공급 기구(60)는 상기 섬프(10)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안내 유로(65)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 유로(65)의 일단은 제 1 배수유로(51)에 의해서 상기 배수 펌프(50)와 연통된다. 상기 안내 유로(65)의 타단은 제 2 배수유로(5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펌프(50)에 의해서 배수되는 세척수는, 상기 제 1 배수유로(51), 안내 유로(65), 제 2 배수유로(52)를 유동하여 식기 세척기(1)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 식기 세척기(1)는, 상기 섬프(10)의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물 공급 기구(60)의 물 챔버(62)에 모인 물과 열교환시킨 후에 다시 상기 섬프(10)로 회수되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 관(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관(90)은 열교환 유로를 정의하고, 상기 열교환 관(90)의 일부는 상기 물 챔버(62)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열 교환관(90)은 상기 물 공급 기구(6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섬프(10)에 연결되는 제 1 열교환 유로(91)와, 상기 물 챔버(60) 내부에 위치하는 제 2 열교환 유로(92)와, 상기 물 공급 기구(6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를 유동하면서 열교환된 세척수를 상기 섬프(10)로 안내하는 제 3 열교환 유로(93)가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 관(90)을 유동하는 세척수의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 1 열교환 유로(91)의 세척수는 열교환 전 상태이고,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의 세척수는 상기 물 챔버(62)의 물과 열교환 중인 상태이고, 상기 제 3 열교환 유로(93)의 세척수는 열교환이 완료된 상태이다. 본 실시 예에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에서 열교환이 수행되므로, 상기 제 1 열교환 유로(91)는 공급 유로라 이름할 수 있고, 제 3 열교환 유로(93)는 배출 유로로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 관(90)으로는 특정 행정 중 또는 특정 행정이 완료되고 배수 전 상태의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물 챔버(62)로는 외부의 급수원의 물이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열교환 관(90)으로 유동하는 상기 섬프(10)의 세척수 온도는 상기 물 챔버(62)에 저장된 물의 온도 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 관(90)으로 세척수가 유동하게 되면, 상기 물 챔버(62)의 물은 상기 열교환 관(90)의 세척수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물 챔버(62)의 물은 특정 행정이 완료된 후, 그 다음 행정에서 사용된다. 이렇게 상기 물 챔버(62)의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다음 행정에서의 행정 효율(세척 효율 또는 헹굼 효율)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챔버(62)의 물과 상기 열교환 관(90)을 유동하는 세척수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는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일 례로 도 1에는 제 2 열교환 유로(92)가 다수 회 절곡되는 것이 도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의 적어도 일부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물 챔버(62)의 물과 상기 열교환 관(90)을 유동하는 세척수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기 위하여,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92)는 상기 물 챔버(62) 내부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유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 관(90)은 상기 물 챔버(62)의 일면(일 례로 바닥면(62a))을 관통하여 상기 물 챔버(62)로 인입된 후에 상기 물 챔버(62)의 일면(일 례로 바닥면(62a))을 관통하여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관(90)은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례로 구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 챔버(62)에는 상기 열교환 관(90)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부(62b)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세척 펌프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섬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유로조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섬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섬프(10)의 수용부(11)에는 필터 유닛(14, 15)이 수용된다. 상기 필터 유닛(14, 15)은 비교적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제 1 필터(14)와 비교적 작은 이물질이 걸러지는 제 2 필터(15)가 포함된다.
상기 세척 펌프(70)가 동작하면, 세척수는 상기 제 1 필터(14) 및 제 2 필터(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에 상기 제 1 안내관(12)을 지나 상기 세척 펌프(70) 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세척 펌프(70)는 세척 모터(71)와, 상기 세척 모터(71)에 연결되는 임펠러(7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섬프(10)의 내부에서 상기 임펠러(72)의 하방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9)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9)에 의해서 가열된 세척수가 상기 임펠러(7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유로조절장치(8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장치(80)는, 유로조절밸브(82)와, 상기 유로조절밸브(82)를 회전시키기 위한 밸브 모터(81)를 포함한다. 상기 섬프(10)에는 상기 유로조절밸브(82)가 수용되는 케이스(83)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모터(81)는 상기 섬프 외측, 즉, 상기 케이스(83)의 외측에서 상기 유로조절밸브(82)에 연결된다.
상기 유로조절밸브(82)는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되는 챔버가 형성되는 바디(82a)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82a)는 상기 제 3 안내관(18)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82b)과,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의 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홀(82c)과, 상기 열교환 관(90)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열교환홀(82d)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관(90)의 제 1 열교환 유로(91)는 상기 케이스(83)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관(90)의 제 3 열교환 유로(93)는 상기 섬프(10)의 수용부(11)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유로조절밸브(82)에 의해서 세척수가 다수의 세척 노즐 중 하나 이상으로 공급되는 것은 공지의 사상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로조절밸브(82)에 열교환 홀(82d)이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 관(90)으로 세척수가 유동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즉, 상기 유로조절밸브(82)가 특정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 홀(82d)이 상기 제 1 열교환 유로(91)와 연통되어,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관(90)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열교환 유로(91)와 상기 열교환 홀(82d)이 연통될 때, 상기 노즐홀(82c)은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거나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섬프(10)의 상측에는 상기 하부 노즐(6)이 연결되기 위한 제 1 연결부(16)와 상기 세척수 가이드(9a)가 연결되는 제 2 연결부(16a)가 형성된다.
한편,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완료하기까지 다수의 행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행정은 적어도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행정과, 식기를 헹구기 위한 헹굼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헹굼 행정 완료 후에 건조 행정이 추가될 수 있다.
세척 행정은 단일의 행정이거나, 예비 세척 행정과 본 세척 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비 세척 행정에서는 히터(19)가 작동하지 않고, 본 세척 행정에서는 히터(19)가 작동할 수 있다. 세척 행정이 단일의 행정인 경우에는 행정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히터(19)가 작동할 수 있다.
헹굼 행정은 단일의 행정이거나, 일반 헹굼 행정과 가열 헹굼 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헹굼 행정에서는 히터(19)가 작동하지 않고, 가열 헹굼 행정에서는 히터(19)가 작동할 수 있다. 헹굼 행정이 단일의 행정인 경우에는 행정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히터(19)가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식기의 세척을 위한 전체 행정 중 적어도 한 행정을 시작하기 전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식기 세척기로 물이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물 챔버(62)에는 다음 행정에 사용될 물이 저장된다.
상기 본 세척이 수행될 때 상기 히터(19)가 작동하므로 세척수의 온도가 물 챔버(62)에 저장된 물 온도 보다 높다. 따라서, 일반 헹굼 행정에서의 행정 효율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상기 일반 헹굼 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물 챔버(62)의 물과 고온의 세척수가 열교환 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세척 행정이 단일의 행정인 경우에도 다음에 수행될 헹굼 행정에서의 행정 효율이 증가되도록 헹굼 행정 전에 상기 물 챔버(62)의 물과 고온의 세척수가 열교환 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일반 헹굼 행정에서는 히터(19)가 동작되지는 않으나, 세척조 내부의 잠열에 의해서 세척수의 온도가 상기 물 챔버(62)의 물의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가열 헹굼 행정에서의 행정 효율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상기 가열 헹굼 행정이 시작되기 전에 상기 물 챔버의 물과 고온의 세척수가 열교환 될 필요성이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특정 행정"은 다음 행정에 공급될 물의 온도 보다 현재 행정 수행 시의 세척수의 온도가 높은 행정을 의미하며, 식기의 세척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특정 행정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제 1 실시 예의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특정 행정 중에 열교환 관으로 세척수가 유동하는 것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행정 중에 상기 유로조절장치(8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된다(S1).
상기 특정 행정 초기에 상기 물 챔버(62)로 다음 행정에 사용될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행정 초기에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특정 행정 중간에 상기 물 챔버(62)로 다음 행정에 사용될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 챔버(62)로 물이 공급되는 시점에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특정 행정 중에 열교환 유로가 개방되므로, 다수의 세척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 세척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상기 특정 행정 중에는 세척 펌프(70)가 작동되므로,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되면,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유로로 공급되고, 적어도 하나의 세척 노즐에 의해서 상기 세척조(4)로 세척수가 공급된다(S2). 상기 열교환 유로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물 챔버(62) 내부의 물과 열교환된 후에 다시 상기 섬프(10)로 회수된다.
상기 특정 행정 중에 행정 완료 여부가 판단되며(S3), 특정 행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유로조절장치(8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 유로는 닫히게 된다(S4). 그리고, 세척 펌프(70)는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열교환 유로가 닫히면, 상기 배수 펌프(50)가 작동하여 배수가 수행된다(S5).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물 챔버(62) 내부의 열교환된 물이 상기 섬프(1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 행정에 사용될 물이 그 물의 온도 보다 높은 온도의 세척수와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물이 섬프(10)로 공급되므로, 다음 행정의 행정 효율, 일 례로 세척 또는 헹굼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 챔버(62) 내부에 위치한 열교환 유로가 다수 회 절곡됨에 따라 상기 물 챔버(62) 내부의 물과 열교환 유로 내부의 세척수 간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열교환 유로의 개방 시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특정 행정이 시작되면, 세척 펌프(70)가 동작되고 식기의 세척이 수행된다(S11). 그리고, 특정 행정 중에는 행정 완료 여부가 판단된다(S12). 특정 행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척 펌프(70)는 정지된다(S13). 그 다음, 상기 유로조절장치의 동작에 의해서 열교환유로가 개방된다(S14). 그리고, 세척 펌프(70)가 작동한다(S15). 이와 달리, 상기 특정 행정이 완료된 후에 세척 펌프(70)가 지속적으로 동작되는 중에, 상기 유로조절장치(8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물론, 특정 행정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다수의 세척 노즐로는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되면,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유로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챔버(62)에 저장된 물과 열교환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열교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6). 열교환 완료 여부 판단은 일 례로 특정 행정이 완료된 후에 작동되는 세척 펌프(70)의 작동 시간 또는 상기 물 챔버(62)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물의 온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열교환 완료 여부 판단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열교환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 펌프(70)의 작동은 정지되고, 상기 열교환 유로는 닫힌다(S17). 그 다음, 상기 배수 펌프(50)가 작동하여 배수가 이루어진다(S18).
도 7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이고,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 1 열교환 유로(91)는 상기 배수 펌프(50)의 토출 측에 연결된 제 1 배수유로(51)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열교환 유로(93)는 상기 섬프(10)의 수용부(11)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배수유로(51)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53)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열교환 유로(91)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94)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행정이 시작되면, 세척 펌프(70)가 동작되고 식기의 세척이 수행된다(S21). 그리고, 특정 행정 중에는 행정 완료 여부가 판단된다(S22). 특정 행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척 펌프(70)는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유로(제 1 배수 유로)는 닫히고, 상기 열교환 유로는 개방된다(S23). 배수가 수행되기 전에는 상기 배수 펌프(50)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 유로 및 상기 제 1 배수유로(51)는 열려 있어도 무방하다. 다만, 상기 특정 행정이 완료되고 배수가 수행되기 전에는 상기 제 1 배수 유로(51)는 닫혀 있어야 하고, 상기 열교환 유로는 열려 있어야 한다.
물론, 상기 특정 행정 중에는 상기 세척 펌프(70)가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 유로가 열려 있어도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유로로는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배수 유로가 닫히고, 상기 열교환 유로가 개방된 후에는 상기 배수 펌프(50)가 작동한다(S24). 그러면, 상기 섬프(10)의 세척수는 상기 배수 펌프(50)를 지난 후에 상기 열교환 유로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유로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챔버(62)에 저장된 물과 열교환된다. 물과 열교환된 세척수는 상기 섬프(1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열교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5). 열교환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열교환 유로가 닫히고, 상기 제 1 배수 유로(51)는 개방된다(S26). 이 때, 상기 배수 펌프(50)는 지속적으로 동작한다. 상기 제 1 배수 유로(51)가 개방되면 배수가 수행된다(S27).
도 9는 제 4 실시 예에 따른 섬프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 1 열교환 유로(91)는 상기 세척 펌프(70)로 세척수를 안내하는 제 1 안내관(12)에 연결되고, 상기 제 3 열교환 유로(93)는 상기 섬프(10)의 수용부(11)에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 유로에는 열교환 유로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 펌프(10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특정 행정이 시작되면, 세척 펌프(70)가 동작되고 식기의 세척이 수행된다(S31). 그리고, 특정 행정 중에는 행정 완료 여부가 판단된다(S32). 특정 행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세척 펌프(70)는 정지된다. 그 다음, 상기 열교환 펌프(100)가 작동된다(S33). 그러면, 상기 섬프(10)의 세척수는 상기 열교환 펌프(10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열교환 유로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세척수가 상기 열교환 유로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 챔버(62)에 저장된 물과 열교환된다. 물과 열교환된 세척수는 상기 섬프(10)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열교환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34). 열교환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열교환 펌프(100)는 정지한다(S35). 그 다음 배수 펌프(50)가 작동하여 배수가 수행된다(S36).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열교환을 수행한 세척수가 상기 섬프로 직접 회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열교환을 수행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로 유입된 후에 상기 섬프로 회수(상기 섬프로 간접 회수)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섬프 50: 배수 펌프
60: 물 공급 기구 62: 물 챔버
70: 세척 펌프 90: 열교환 관

Claims (8)

  1.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수용되는 물 챔버를 가지는 물 공급 기구;
    상기 물 챔버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아 세척조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로 유입된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섬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히터; 및,
    상기 섬프에서 가열된 세척수를, 특정 행정 중 또는 특정 행정이 완료되고 배수되기 전에, 상기 물 공급 기구의 물 챔버에 수용된 물과 열교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물 챔버 내에 삽입되는 열교환 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챔버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세척수는 상기 섬프로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관은, 상기 물 공급 기구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섬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 1 열교환 유로와,
    상기 물 챔버 내에 위치되는 제 2 열교환 유로와,
    상기 물 공급 기구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를 유동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한 세척수를 받는 제 3 열교환 유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는 상기 물 챔버 내에서 1회 이상 절곡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물 챔버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식기 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열교환 유로의 세척수는 상기 섬프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회수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관은 상기 물 챔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 챔버 내로 인입된 후에 상기 물 챔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인출되는 식기 세척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행정은, 세척 행정 또는 헹굼 행정인 식기 세척기.
KR1020100051621A 2010-06-01 2010-06-01 식기 세척기 KR10173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21A KR101735104B1 (ko) 2010-06-01 2010-06-01 식기 세척기
US13/149,149 US9402528B2 (en) 2010-06-01 2011-05-31 Dish washer having a heat exchange passage
CN201180026930.9A CN102939039B (zh) 2010-06-01 2011-06-01 洗碗机
AU2011262466A AU2011262466B2 (en) 2010-06-01 2011-06-01 Dish washer
PCT/KR2011/004022 WO2011152666A2 (ko) 2010-06-01 2011-06-01 식기 세척기
DE112011101880.0T DE112011101880B4 (de) 2010-06-01 2011-06-01 Geschirrspüler mit Wärmetauscher
BR112012030394-5A BR112012030394B1 (pt) 2010-06-01 2011-06-01 lava-louças
EP11790024.1A EP2578132B1 (en) 2010-06-01 2011-06-01 Dish washer
RU2012157051/12A RU2540771C2 (ru) 2010-06-01 2011-06-01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21A KR101735104B1 (ko) 2010-06-01 2010-06-01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25A KR20110131925A (ko) 2011-12-07
KR101735104B1 true KR101735104B1 (ko) 2017-05-12

Family

ID=4550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21A KR101735104B1 (ko) 2010-06-01 2010-06-0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1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7582B2 (en) 2018-01-16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11793388B2 (en) 2020-10-20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rmoelectric heat pump recovery and dish drying system for domestic dishwash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661A (ja) * 2000-09-05 2002-03-19 Zojirushi Corp 食器洗い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661A (ja) * 2000-09-05 2002-03-19 Zojirushi Corp 食器洗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7582B2 (en) 2018-01-16 2022-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driving method therefor
US11793388B2 (en) 2020-10-20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hermoelectric heat pump recovery and dish drying system for domestic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25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62466B2 (en) Dish washer
US8679261B2 (en) Box-type warewasher including heat recovery system for reducing air moisture level at the end of cycle
EP2578133B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035638A1 (en) Dishwasher having a heat exchanger
US20080236630A1 (en) Dish 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5104B1 (ko) 식기 세척기
KR101728165B1 (ko) 식기 세척기
JP5221974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29600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물 공급 장치
EP2750578B1 (en) Dish washer
KR101791688B1 (ko) 식기 세척기
KR101735103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1791687B1 (ko) 식기 세척기
KR20100128862A (ko) 폐열회수장치가 구비된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259153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41186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의 헹굼수 가열장치
KR101295946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20023336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