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600A -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600A
KR20080087600A KR1020070030064A KR20070030064A KR20080087600A KR 20080087600 A KR20080087600 A KR 20080087600A KR 1020070030064 A KR1020070030064 A KR 1020070030064A KR 20070030064 A KR20070030064 A KR 20070030064A KR 20080087600 A KR20080087600 A KR 2008008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level
washing
level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336B1 (ko
Inventor
켄이치 시모데라
류중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3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히터의 동작유무에 따라 저수위 감지를 다르게 하여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분사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갖춘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른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를 미리 정해진 저수위와 비교하여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 후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재차 감지하는 단계; 및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A dish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a dish 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측면에 설치된 에어브레이크와 수위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감지장치를 갖는 수위감지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 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 : 세척조 11 : 순환펌프
17 : 히터 20 : 에어브레이크
26 : 분지구 30 : 수위감지실
33 : 급수구 40 : 수위감지장치
41 : 플로트 42 : 마이크로스위치
50 : 급수장치 51 : 급수관
53 : 급수밸브 55 : 유량계
62 : 제어부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의 동작유무에 따라 저수위 감지를 다르게 하여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조에 적정량의 세척수를 급수하여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밸브와,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통과, 세척수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와, 세척수를 세척조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노즐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는 세척조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위(히터안전수위인 최소수위)까지 급수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세척조에 급수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유입되는 수위감지실(float실)을 세척조(구체적으로, 집수통)와 연통되게 별도로 마련하고, 이 수위감지실에는 내부 수위 변화에 따라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수위감지장치는 수위감지실 내부의 수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floater)와, 이 플로트와의 접촉에 의해 온 또는 오프되는 저수위 스위치를 설치하여 플로트의 상승에 의해 저수위 스위치가 온 되면 히터안전수위까지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히터의 동작으로 세척수를 가열하여 가열된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는 순환 운전으로 식기를 세척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저수위 스위치가 오프되어 히터안전수위 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순환펌프를 일정시간 정지시켰다가 다시 수위를 체크하여 저수위 스위치에서 재차 오프 감지되면 배수 후 재급수를 실시하여 순환 운전을 재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세척조 내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세척조와 연통하게 별도로 마련된 수위감지실은 세척조에 비해 체적이 상당히 적기 때문에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에 따라 수량 편차가 크므로 저수위 스위치가 온 되어도 세척조 내의 수위가 히터안전수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히터가 노출되어 히터 과잉 가열로 인한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의 동작유무에 따라 저수위 감지를 다르게 하여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수위를 감지하는데 있어 히터를 사용하는 공정과 히터를 사용하지 않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히터 과잉 가열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예 방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분사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갖춘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른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를 미리 정해진 저수위와 비교하여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 후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재차 감지하는 단계; 및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가 온 인 경우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수위 이상이 되더라도 일정수량의 세척수를 더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가 오프인 경우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수위 이상이 되면 세척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수위는 상기 세척조의 수위가 히터안전수위 이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센서 출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가 열하는 히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식기에 분사하는 순환펌프;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른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킨 후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세척수의 수위를 재차 감지하며,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세척수를 급수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저수위 이상이 되더라도 일정수량의 세척수를 더 급수하여 히터안전수위 이상으로 급수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세척조에 급수된 물의 수위가 히터안전수위 이하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저수위 감지용 마이크로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식기세척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케이스(1a)와, 외측케이스(1a)와 마찬가지로 전방이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외측케이스(1a)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내장되어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가 마련되는 내측케이스(1b)로 구성되고, 세척조(2)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3)가 본체(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된다. 세척조(2) 내부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된 상부식기바구니(4a) 및 하부식기바구니(4b)가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식기바구니(4a, 4b)는 그 외부에 롤러(5a, 5b)를 각각 구비하여, 세척조(2) 측벽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안내레일(6a,6b)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슬라이딩 이동한다. 또, 상부식기바구니(4a)의 상부 및 하부식기바구니(4b)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7; 7a, 7b, 7c)이 설치되며, 상기 각 분사노즐(7)에는 세척수를 순환 공급하는 순환관(8)이 마련된다.
세척조(2)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통(9; sump)이 형성된다. 이 집수통(9)에는 집수통(9)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수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이물질이 함유된 세척수를 후술할 에어브레이크로 바이패스(bypass)하기 위해 에어브레이크와 연통되는 제1연결구(9a)가 마련된다.
또한, 세척조(2) 내부의 수위와 후술할 수위감지장치의 수위가 동일하게 되도록 수위감지장치와 연통되는 제2연결구(9b)가 마련된다.
또한, 집수통(9)에 공급된 세척수는 순환펌프(11)에 의해 순환관(8)으로 공급되고, 순환관(8)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분사노즐(7)을 통해 식기바구니(4a, 4b)에 수납된 식기에 분사된 후, 세척조(2)의 바닥면에 형성된 집수구(12)로 흘러 들어가고 집수통(9)에 설치된 필터(13)를 거쳐 다시 집수통(9)에 모인 후 다시 세척 또는 헹굼 작용에 사용된다.
세척 또는 헹굼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사용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4)이 집수통(9)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수관(14)에는 배수밸브(15) 및 배수펌프(16)가 설치된다.
또한, 세척 또는 헹굼 동작 시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7)가 집수통(9)에 설치되어 일련의 공정 동작에 따라 상기 히터(17)가 온 또는 오프된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측면에 설치된 에어브레이크와 수위감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본체(1)의 내측케이스(1b) 외측면에는 세척조(2)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세척조(2) 내부의 압력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에어브레이크(20)가 설치되고, 에어브레이크(20)의 측면 하부에는 세척조(2) 내부로 공급된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40)가 설치되며, 에어브레이크(20)의 하부에는 세척조(2) 내부로 공급되는 물(세척수)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브레이크(20)는 하부에 후술할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세척수)이 유입되는 급수호스연결구(22)와, 집수통(9)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집수통(9) 내부의 수압 상승으로 세척수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이물질이 함유된 집수통(9) 내부의 세척수를 에어브레이크(20) 측으로 바이패스(bypass)하여 세척수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집수통(9)의 제1연결구(9a)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된 집수통 급수연결구(2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세척조(2) 내부의 압력평형과 건조행정 시에 더운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공기통과구(23)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세척조(2)와 연통되어 공기가 통과되거나 또는 급수호스연결구(22)에 의해 유입된 수돗물과 집수통 급수연결구(21)에 의해 유입된 세척수가 에어브레이크(20) 내에 형성된 급수유로(24)를 따라 상승하다 세척조(2)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세척조연결구(25)가 형성된다.
에어브레이크(20)의 측면에는 급수유로(24)의 일부를 분기하여 수위감지실(30)로 소량의 물을 공급하는 분지구(26)가 형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실(30)에는 집수통(9)과 연통되어 수위감지실(30)로 유입되는 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세척조(2)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감지장치(40)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후에 설명한다.
수위감지실(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개구를 덮는 상부덮개(31)가 설치된다. 이 상부덮개(31)는 수위감지실(30)의 상부 일측에 수위감지실(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급수구(33)가 형성되어 수위감지실(30) 상부 전체를 덮도록 설치된 것이 아니라 수위감지실(30)의 상부 일측은 덮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때 급수구(33)가 형성된 상부덮개(31)가 수위감지실(30) 상부 전체를 덮도록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위감지실(30)은 에어브레이크(2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되, 에어브레이크(20)의 분지구(26)와 수위감지실(30)의 급수구(33)의 중심(C)이 일치되도록 설치하여 분지구(26)에서 공급되는 물이 자연낙하에 의해 급수구(33)로 바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 수위감지실(30)의 하부에는 집수통(9)의 제2연결구(9b)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배수구(35)가 형성되어, 급수 중에는 수위감지실(30) 내부의 수위와 세척조(2) 내부의 수위를 연동되게 하고, 배수 시에는 수위감지실(30) 내부의 물을 집수통(9)으로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수위감지실(30) 내부에는 케이스(30)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물에 의해 수위감지장치(40)의 스위치가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감지실(30) 내부로 공급된 물과 수위감지실(30) 측면에 위치한 수위감지장치(40)의 스위치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이격부(37)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장치(50)는 에어브레이크(20)를 통해 세척조(2)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1)과, 상기 급수관(51)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53)와, 급수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계(55)를 포함한다. 통상 유량계(55)는 오차가 4.5Lㅁ0.4L로 수량 편차가 크므로 이러한 유량계(55)를 이용하여 에너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급수의 중심치를 캐비테이션(cavitation) 한계수위(히터안전수위인 저수위측)에 맞추어야 하고, 캐비테이션 발생에 대해서 저수위 감지로 보완하여 편차를 보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위감지장치를 갖는 수위감지실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수위감지장치(40)는 수위감지실(50)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로트(floater,41)와, 이 플로트(41)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스위치(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플로트(41)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위감지실(30) 내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배수되어 수위감지실(30)에 저수된 수위가 변함에 따라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한다.
급수구(33)가 형성된 수위감지실(30)의 반대편 측면 상부에는 플로트(41)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42)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42)는 스위치레버(42a)와 스위치단자(42b)가 형성되어 스위치레버(42a)가 스위치단자(42b)와 접촉여부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저수위 감지용 마이크로스위치이다. 이때, 마이크로스위치(42)는 수위감지실(30)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저수위(히터안전수위인 최소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소정의 저수위 이상일 때 온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마이크로스위치(42)를 수위감지실(30)의 측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플로트(41)와 마이크로스위치(42) 간에 동작력을 전달해 주는 수단으로 수위감지실(30)의 상부에 힌지점(43a)을 두고 결합되는 방식, 즉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회동레버(43)가 설치된다. 이 회동레버(43)는 대략 직선형상으로 상부덮개(31)에 형성된 구멍(31a)을 관통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수위감지실(30) 내측에 위치하여 플로트(41)가 소정 높이 상승하는 경우에 플로트(41)의 상면(41a)과 접촉하는 회동레버(43)의 일단에는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플로트(41)의 상승력을 확실히 전달받도록 "U"자형을 이루는 곡선부(43b)가 형성된다. 또한, 수위감지실(30)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동레버(43)의 타단은 두 부분으로 분기되는데 상부덮개(31)의 상면에 힌지 결합되어 플로트(41)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회동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회동부(43c)와, 플로트(41)가 상승하여 회동레버(43)가 회동하는 경우에 마이크로스위치(42)의 스위치레버(42a)를 스위치단자(42b)로 가압하는 가압부(43d)로 분기된다.
또한, 상부덮개(31)의 하면에는 수위감지실(30) 내부의 수위가 고수위까지 상승함에 따라 물에 잠기면 통전되고, 물에 잠기지 않으면 통전되지 않도록 (+)(44a)극과 (-)(44b)극으로 형성된 도체인 전극센서(pole sensor,44)가 설치된다. 이 전극센서(44)의 설치위치는 수위감지실(30)로 급수된 물이 수위감지실(30) 상부에 형성된 급수구(33)에 이르기 전에 전극센서(44)를 통전되도록 하여 급수구(33)로 넘쳐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구(33)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전극센서(44)의 두 개의 전극(44a,44b)는 상부덮개(31)를 관통하여 상부덮개(31)의 하면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전극(44a,44b)와 연결된 센싱부(미도시)는 수위감지실(30) 내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물에 의해 영향을 받아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덮개(31)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센서(44)는 수위감지실(30)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고수위 미만일 때 오프되고 소정의 고수위 이상일 때 저수된 물과의 접촉에 의해 두 개의 전극이 통전되어 온 되도록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제어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장치 이외에 입력부(60), 제어부(62) 및 표시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6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다양한 세척코스(예를 들어, 표준 세척코스, 수동 세척코스, 자동 세척코스 등)와 세척수온도,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제어부(62)에 입력한다.
상기 세척코스는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모드, 급수 후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모드,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기 전에 세척과 헹굼에 적정한 온수로 가열하는 가열모드, 세척 후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드, 세척 후 세척 완료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모드로 이어지는 각 행정의 과정을 순서대로 동작시키는 표준 세척코스와, 사용자가 사용상황에 맞게 각 행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수동 세척코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62)는 입력부(6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식기세척기를 운전시켜 세척, 헹굼 및 건조행정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서, 세척과 헹굼 행정 시 급수밸브(53)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에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모드, 급수 후 히터(17)를 동작하여 급수된 세척조(2)내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모드, 급수 후 순환펌프(11)를 구동하여 급수된 세척조(2) 내의 세척수 또는 가열된 세척수를 분사시켜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모드, 세척 후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하여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드를 각각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2)는 급수모드, 가열모드, 세척모드, 배수모드 시 마이크로스위치(42)와 전극센서(44)를 통해 각 모드별로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세척조(2) 내의 이상 수위를 판단하고, 이상 수위 발생 시 각각의 에러상태(예를 들어, 과급수 에러, 급수 에러, 누수 에러 등)를 표시부(64)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각각 모드에 맞게 식기세척기의 오작동,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오작동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2)는 세척조(2) 내의 저수위를 감지하는데 있어 가열모드(히터를 사용하는 세척 순환 운전)와 가열모드 이외(히터를 사용하지 않는 세척 순환 운전)의 공정으로 구분하여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표시부(64)는 제어부(62)의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식기세척기의 동작상태와 에러 등을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식기세척기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에서, 초기상태에서는 수위감지실(30) 내부에 물이 저수되어 있지 않아 플로트(41)가 하강된 상태, 즉 회동레버(43)가 플로트(41)에 의해 회동력을 전달받지 못하여 회동레버(43)의 가압부(43d)가 마이크로스위치(42)의 스위치레버(42a)를 스위치단자(42b) 측으로 가압하지 못해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off)가 된다. 이는 세척조(2)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거나 배수되어 저수위에 도달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B에서, 급수 시 수위감지실(30)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플로트(41)가 상승하다가 회동레버(43)의 곡선부(43b)와 접하면 플로트(41)의 상승력이 회동레버(43)에 전달된다.
동시에, 회동레버(43)는 힌지부(43c)가 결합된 힌지점(43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43d)가 마이크로스위치(42)의 스위치레버(42a)를 스위치단자(42b) 측으로 가압하면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on) 상태가 되는데 이는 급수 시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어 저수위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하지만, 세척조(2) 내에 세척수가 정상 급수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스위 치(42)가 오프(off)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되었다가 다시 오프상태로 전환되게 되는데, 이는 급수 시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공급되지 않았거나 공급되었다 하더라도 저수위 미만으로 공급되었거나 저수위까지 급수되었다고 하더라도 외부 누수요인에 의해 급수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2)는 급수모드 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 중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급수 시의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급수 에러로 판단한다. 급수 에러로 판단되면, 표시부(64)를 통해 급수 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밸브(53)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또한, 정상 급수 후 세척 중에 누수가 발생하면, 수위감지실(30)내의 수위가 하강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플로트(41)가 하강하면 상기 스위치레버(42a)를 가압하고 있던 가압부(43d)가 상기 스위치레버(42a)로부터 이격되게 되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Off)상태가 되는데 이는 세척 중에 세척조(2) 내부의 세척수위가 저수위 미만으로 낮아졌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2)는 세척모드 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세척 중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세척 시의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에는 누수 에러로 판단한다. 누수 에러로 판단되면 표시부(64)를 통해 누수 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순환펌프(11)를 정지시켜 세척을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또한, 세척 후 배수 시 수위감지실(30)내의 세척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한다. 하지만,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정상 배수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오프상태로 전환된 후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는 배수 시 세척조(2) 내부의 세척수의 수위가 저수위 이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2)는 배수모드 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오프된 후 다시 온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배수 중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세척 시의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가 저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배수 에러로 판단한다. 배수에러로 판단되면 표시부(64)를 통해 배수 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개방 중인 배수밸브(15)의 개방상태를 계속 유지함과 동시에 구동 중인 배수펌프(16)를 계속 구동시킨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도 5C에서, 플로트(41)가 회동레버(43)의 의해 상승이 멈춘 상태에서 수위감지실(30) 내부로 물이 계속하여 공급되어 수위가 고수위까지 상승하여 상부덮개(31)의 하부에 설치된 전극센서(44)의 (+)(44a)극과 (-)(44b)극에 이르면 전극센서(44)는 통전된다.
이와 같이 전극센서(44)가 통전되면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과공급되어 소정의 고수위를 넘어 범람하기 직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부(62)는 급수모드 시 전극센서(44)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지를 감지하여 급수 중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급수 시의 수위감지실(30) 내의 수위가 고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과급수 에러로 판단한다. 과급수 에러로 판단되면 표시부(64)를 통해 과급수 에러를 경고함과 함께 급수밸브(53)를 폐쇄시켜 급수를 중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배수밸브(15)를 개방시킴과 함께 배수펌프(16)를 구동시켜 배수를 수행한 후 식기세척기의 제어를 중지시킨다. 이때, 과급수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이유는 세척조(2) 내에는 찌꺼기가 가라앉아 있을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세척조(2) 내가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수위제어방법은 가열모드(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 중에 히터가 온 된 경우)에서 저수위 감지하는 경우와 가열모드 이외(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 중에 히터가 오프된 경우)에서 저수위 감지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제어한다.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세척조(2) 내부의 식기바구니(4a,4b)에 수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척코스와 세척수온도, 헹굼 추가 등의 운전정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운전정보가 입력부(60)를 통해 제어부(62)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62)는 입력부(60)로부터 입력된 운전정보에 따라 세척, 헹굼 및 건조 행정 등 일련의 세척과정을 진행하기 시작하는데, 이하에서는 세척 행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세척조(2) 내에 급수 완료된 후, 제어부(62)는 순환펌프(11)를 동작시켜 순환펌프(11)의 펌핑작용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노즐(7; 7a, 7b, 7c)로 순환되어 식기바구니(4a,4b)에 수납된 식기에 고압으로 분사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는 순환 운전을 시작한다(S100).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제어부(62)는 저수위 감지를 위한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여(S102),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이면 세척조(2) 내부에 세척수가 저수위(히터안전수위인 최소수위)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판단한 후 저수위 제어를 위해 세척수 가열을 위한 히터(17)를 사용하는 공정인지를 판단한다(S104).
이는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순환 운전이 온수를 사용하는 가열모드의 순환 운전인지 또는 냉수를 사용하는 가열모드 이외의 순환 운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모드와 가열모드 이외의 순환 운전 시 저수위 제어를 다르게 하여 히터(17) 사용으로 인한 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S104의 판단결과, 히터(17)를 사용하는 공정인 경우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이면 순환펌프(11)와 히터(17)를 정지시킨다(S106).
이는, 수위감지실(30)의 체적이 세척조(2)에 비해 상당히 적기 때문에 순환 운전 시 세척수의 유동으로 세척조(2)의 수위는 정상 저수위임에도 불구하고, 수위 감지실(30)의 수위가 저수위 미만으로 떨어져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되는 상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순환펌프(11)가 정지하면, 수위감지실(30)의 수위가 안정화되어 세척조(2)의 수위와 같아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11)와 히터(17) 정지 후 제1시간(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 시 수위감지실의 저수위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시간, 약 30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08),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2)는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인지를 재차 판단한다(S110).
상기 S110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이면 다시 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S100으로 피드백되어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S110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계속 오프 상태이면 제어부(62)는 배수밸브(15)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S112) 제2시간(세척수 배수를 위한 시간, 약 45초)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4).
제2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2)는 급수밸브(53)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로 세척수를 급수한 후(S116)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8).
상기 S118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여도 제어부(62)는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바로 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을 재개하지 않고 일정수량의 세척수를 더 급수하는 급수동작을 실시한 후에(S120) 상기 S100으로 피드백되어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S104의 판단결과, 히터(17)를 사용하는 공정이 아닌 경우 마이크 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이면 순환펌프(11)를 정지시킨다(S130).
상기 순환펌프(11)가 정지하면, 수위감지실(30)의 수위가 안정화되어 세척조(2)의 수위와 같아지게 된다.
상기 순환펌프(11) 정지 후 제1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132), 제1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2)는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오프 상태인지를 재차 판단한다(S134).
상기 S134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이면 다시 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S100으로 피드백되어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한편, 상기 S134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계속 오프 상태이면 제어부(62)는 배수밸브(15)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S136) 제2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38).
제2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62)는 급수밸브(53)를 개방시켜 세척조(2) 내로 세척수를 급수한 후(S140)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42).
상기 S142의 판단결과, 마이크로스위치(42)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62)는 세척을 위한 순환 운전을 재개하기 위해 상기 S100으로 피드백되어 이후의 동작을 진행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에 의하면, 히터의 동작유무에 따라 저수위 감지를 다르게 하여 히터안전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수위를 감지하는데 있어 히터를 사용하는 공정과 히터를 사용하지 않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히터 과잉 가열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분사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갖춘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른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수위를 미리 정해진 저수위와 비교하여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의 정지 후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재차 감지하는 단계; 및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가 온 인 경우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수위 이상이 되더라도 일정수량의 세척수를 더 급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가 오프인 경우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저수위 이상이 되면 세척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위는 상기 세척조의 수위가 히터안전수위 이하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수위감지장치에서 감지한 센서 출력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방법.
  5.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순환시켜 식기에 분사하는 순환펌프;
    상기 세척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 및
    상기 순환펌프의 동작에 따른 세척수의 순환 운전 중에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수위가 미리 정해진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순환펌프를 정지시킨 후 상기 수위감지장치를 통해 세척수의 수위를 재차 감지하며,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히터의 동작상태에 따라 급수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차 감지된 수위가 저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를 배수시킨 후 세척수를 급수하여 급수되는 세척수의 수위가 저수위 이상이 되더라도 일정수량의 세척수를 더 급수하여 히터안전수위 이상으로 급수동작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세척조에 급수된 물의 수위가 히터안전수위 이하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저수위 감지용 마이크로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70030064A 2007-03-27 2007-03-27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KR10126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64A KR101267336B1 (ko) 2007-03-27 2007-03-27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064A KR101267336B1 (ko) 2007-03-27 2007-03-27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600A true KR20080087600A (ko) 2008-10-01
KR101267336B1 KR101267336B1 (ko) 2013-05-23

Family

ID=4015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064A KR101267336B1 (ko) 2007-03-27 2007-03-27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3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8460A1 (en) 2015-09-04 2017-03-08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with increased securit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52942B (zh) * 2017-11-24 2024-01-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洗碗机及其清洗果蔬时的进水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1933B (zh) * 2019-12-06 2021-05-0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位保护开关、洗碗机供水装置以及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3886A (ja) 1998-09-09 2000-03-28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8460A1 (en) 2015-09-04 2017-03-08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with increased securit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52942B (zh) * 2017-11-24 2024-01-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洗碗机及其清洗果蔬时的进水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336B1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093B1 (ko) 식기세척기
US20100043840A1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2764815B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379991B1 (en) Determining whether process water has been added to a sump of an appliance for washing and rinsing goods during interruption of appliance operation
US7836535B2 (en) Dishwash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67336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제어방법
CN103037748A (zh) 餐具清洗机
EP205266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h washer
KR20120022427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67883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52175B1 (ko) 세탁기의 헹굼 방법
KR10244332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749059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CN111643026A (zh) 洗碗机的洗涤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67335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수위감지방법
KR10093972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368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및 수위조절장치
KR101581757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KR20080006230A (ko) 수위감지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054104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CN114808364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KR2008001259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3131221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