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9504B1 -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 Google Patents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504B1
KR102329504B1 KR1020210042644A KR20210042644A KR102329504B1 KR 102329504 B1 KR102329504 B1 KR 102329504B1 KR 1020210042644 A KR1020210042644 A KR 1020210042644A KR 20210042644 A KR20210042644 A KR 20210042644A KR 102329504 B1 KR102329504 B1 KR 102329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upport plate
plate
hull support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호
Original Assignee
이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호 filed Critical 이문호
Priority to KR102021004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안벽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체를 지지하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선체 받침부재, 및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APPARATUS FOR CLEANING OUTER HULL OF VESSEL}
본 발명은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으로서 유압 또는 윈치를 이용하고, 선체 상하 이동시, 감지부가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며, 제어부에서는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여 각 아암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으며,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 위에 잔류하는 해수 또는 세척액은 배수 홀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 안으로 유입되며, 청수 분사기는 청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표면에는 해초나 따개비(Barnacle) 등의 해양오염 물질(bio-fouling)이 부착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해 시 물과의 마찰저항을 증대시켜 선박의 항해 속도를 떨어뜨리고, 연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선박 하부에 부착된 생물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물이 빠질 때를 기다렸다가 선박을 육지에 근접한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고압수로 세척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운항하는 선박을 계류장으로 이동하여 육지로 인양한 후 선박 하부를 세척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선체 세척용 선박 인양기는 바닷가의 항구 또는 포구의 선착장에 선박 인양을 주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선체 세척용 선박 인양기는 전체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선체 인양 시 선체가 기울어져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9359호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 방법, 2019.02.2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21565호(선박리프트 플랫폼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 플랫폼의 설치 방법, 2019.10.2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으로서 유압 또는 윈치를 사용하고, 선체 상하 이동시, 감지부가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며, 제어부에서는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여 각 아암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배수 홀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 안으로 유입되며, 청수 분사기는 청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선체 사이즈에 따라 자동으로 선체 중심 조절모듈의 이동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정밀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안벽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선체를 지지하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선체 받침부재; 및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유압 실린더 또는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상기 안벽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가동블록;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지지하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상기 리프팅 유닛; 상기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선체 받침부재를 구동하여서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을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를 상기 안벽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어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을 상하로 이동하는 윈치; 일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받침부재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 및 상기 아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서 유입된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해치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해치를 개방하여 유입된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청수 분사기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세척액 집수 탱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받침부재 위에 상기 선체를 지지할 때에, 상기 선체 받침부재의 중앙에 상기 선체의 하부 중심을 맞추기 위한 선체 중심 조절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벽에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른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해수의 깊이가 마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유닛에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른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해수의 깊이가 마킹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으로서 유압 또는 윈치를 사용하고, 선체 상하 이동시, 감지부가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며, 제어부에서는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여 각 아암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배수 홀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 안으로 유입되며, 청수 분사기는 청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선체 사이즈에 따라 자동으로 선체 중심 조절모듈의 이동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정밀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부, 제어부, 및 선체 받침부재의 제어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선체 지지 플레이트 폴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감지부, 제어부, 및 선체 받침부재의 제어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선체 지지 플레이트 폴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D-D선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안벽(1)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10),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가동블록(120),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선체(10)를 지지하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상부에 설치되어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선체 받침부재(140),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유닛(150)(250),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지지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감지부(160), 및 감지부(16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선체 받침부재(140)를 구동하여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가이드 레일(110)은 안벽(1)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10)의 형상은 "H "형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다음, 업다운 가동블록(120)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가이드 롤러(121)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구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선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선체(10)의 하중을 지지하므로 강철과 같은 강재로 구성되고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표면에는 해수나 세척액에 의해서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식방지용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선체 받침부재(140)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상부에 설치되어 선체(10)를 받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체 받침부재(140)는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선체 받침부재(140)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1),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상부에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10)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142), 및 아암(142)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143)를 포함한다.
이때, 아암(142)은 한 쌍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 실린더(143)가 작동하여 각 아암(142)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10)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암(142)은 힌지(142a)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아암(142)의 끝단에는 롤러(144)가 더 설치되어 선체(10) 표면과의 마찰을 줄여서 선체(1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팅 유닛(150)(250)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150)은, 업다운 가동블록(120)을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 실린더(151), 유압 실린더(151)를 안벽(1)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152), 및 유압 실린더(151)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어기(153)를 포함한다.
이때, 유압 제어기(153)가 유압 라인(153a)을 따라 유압을 제공하여, 유압 실린더(151)의 로드(151a)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업다운 가동블록(120)을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그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설치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감지부(160)는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지지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감지부(160)는 기울기 센서, 진동 센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60)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혹은 선체 받침부재(14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선체 받침부재(140)를 구동하여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제어부(170)는 조정실(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동으로 작동하거나 조정실에서 작업자가 모니터링 하면서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에서는,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선체(10)를 지지하며, 리프팅 유닛(150)(250)을 작동하여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종방향으로 업다운 가동블록(120)을 이동함에 따라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선체(10) 세척 작업 시,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선체(10)를 지지한 상태에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상방으로 이동하며, 선체(10) 세척 완료 후에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하방으로 이동한다.
선체(10) 상하 이동시, 감지부(160)는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지지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한다.
제어부(170)는 감지부(16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선체 받침부재(140)를 구동하여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즉, 유압 실린더(143)가 작동하여 각 아암(142)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10)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아암(142)의 끝단에는 롤러(144)가 더 설치되어 선체(10) 표면과의 마찰을 줄여서 선체(10)의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250)은, 업다운 가동블록(120)을 상하로 이동하는 윈치(251), 일단부는 윈치(251)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와이어(252), 및 와이어(25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253)를 포함한다.
윈치(251)가 와이어(252)를 풀거나 당겨서 선체지지 플레이트(1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치(251)가 와이어(252)를 풀거나 당겨서 업다운 가동블록(120)을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그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설치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의 변형 예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 폴딩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선택적으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수직으로 폴딩하기 위하여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힌지 샤프트(H)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 폴딩유닛(180)의 구성을 살펴보면, 힌지 샤프트(H)에는 피동기어(181)가 동심으로 설치되고, 피동기어(181)에는 구동기어(182)가 치합되며, 구동기어(182)는 구동모터(183)의 동력에 의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힌지 샤프트(H)를 중심으로 선체 지지 플레이트(110)를 수평이나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피동기어(181)에 홀(181a) 및 홀(181a)과 결합하고 선체지지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연결부(18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선체지지 플레이트(130)를 폴딩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하측 방향으로 폴딩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방향으로 폴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다수의 배수 홀(131a)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131), 및 상부 플레이트(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수 홀(131a)을 통해서 유입된 오염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면(132a)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132)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2)의 일측에는 청수 분사기(133)가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132)의 타측에는 세척액 집수탱크(134)가 설치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하는 경우,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배수 홀(131a)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1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1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선체지지 플레이트(130)를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유압 실린더 또는 윈치)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한 후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위에 잔류하는 세척액은 배수 홀(131a)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1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1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청수 분사기(133)는 청수를 분사하여 하부 플레이트(132) 내 잔류하는 해수나 세척액을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134)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230)는 다수의 격자형 배수 홀(231a)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231), 및 상부 플레이트(231)의 하부에 설치되고 배수 홀(231a)을 통해서 유입된 오염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면(232a)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232)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32)의 일측에는 청수 분사기(233)가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232)의 타측에는 세척액 집수탱크(234)가 설치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2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하는 경우, 선체 지지 플레이트(230)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격자형 배수 홀(231a)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2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2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선체지지 플레이트(230)를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2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한 후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230) 위에 잔류하는 세척액은 격자형 배수 홀(231a)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2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2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청수 분사기(233)는 청수를 분사하여 하부 플레이트(232) 내 잔류하는 해수나 세척액을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234)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330)는 다수의 해치(331b)를 갖는 상부 플레이트(331), 및 상부 플레이트(331)의 하부에 설치되고 해치(331b)를 통해서 유입된 오염수를 가이드하기 위한 경사면(332a)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332)로 구성될 수 있다.
해치(331b)는 힌지(331c)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해치(331b)가 힌지(331c)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경우 해치 배수 홀(331a)이 마련된다.
하부 플레이트(332)의 일측에는 청수 분사기(333)가 설치되고, 하부 플레이트(332)의 타측에는 세척액 집수탱크(334)가 설치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3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하는 경우, 해치(331b)를 개방하여 선체 지지 플레이트(330)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해치 배수 홀(331a)을 통해 하부 플레이트(3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3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선체지지 플레이트(330)를 해수면 위로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선체 지지 플레이트(330)가 해수면 위로 상승한 후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330) 위에 잔류하는 세척액은 해치 배수 홀(331a)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332) 안으로 유입되며, 이때 경사면(332a)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청수 분사기(333)는 청수를 분사하여 하부 플레이트(332) 내 잔류하는 해수나 세척액을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334)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세척액 집수탱크(134, 234, 334)에는 정수 시스템이 추가로 구비되어 세척액을 정수하는 기능을 마련할 수 있고, 정수된 세척액을 청수 분사기(133, 233, 333)의 청수로 재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예에 따른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는 테두리 부분에 격벽(500)이 설치되어 세척 후 발생하는 세척수가 해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벽(1) 쪽 부분을 제외한 3면의 테두리 부분에 격벽(500)을 설치할 수 있다.
격벽(500)은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에 설치되는 제1 격벽(510)과 그 제1 격벽(510)에 슬라이딩 가능한 제2 격벽(520)으로 구성되는 다중 격벽이 될 수 있다. 제1 격벽(510)과 제2 격벽(520)은 더브테일 구조(512)로 구성되어 상호 간의 움직임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때, 격벽(500)은 선체지지 플레이트(13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511)로 설치될 수도 있다.
수중에서 선체(10)를 선체 받침부재(140)로 지지할 때에는 선체(10) 하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 선박의 진입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격벽(500)을 힌지(511)를 통해 회전시켜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의 하방으로 위치하게 하여 선박의 진입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체 세척 시, 격벽(500)을 수직으로 세워 세척액이 해양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격벽(510)과 제2 격벽(520)으로 구성되는 다중 형태의 격벽으로 하여 세척수가 가둬지는 양(격벽의 높이)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다중 형태의 격벽(500)을 대신하여 텔레스코픽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안벽(1)에는 선체지지 플레이트(130)의 위치에 따른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수의 깊이가 추가로 마킹될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안벽(1)을 대신하여, 리프팅 유닛(150, 250)에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수의 깊이가 마킹될 수 있다. 리프팅 유닛(150)의 경우, 가이드 레일(110)에 해수의 깊이가 마킹될 수 있으며, 리프팅 유닛(250)의 경우, 와이어(252)에 해수의 깊이가 마킹될 수 있다.
또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에 수심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하여, 제어부(170)와의 연동을 통해, 선체의 크기 등으로 고려하여 선박의 진입 시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알려줄 수 있는 알람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알람수단은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면 특별히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고등, 신호등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선박의 진입 시 간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박의 진입 시 간섭의 발생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평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안벽(1)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10),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가동블록(120), 업다운 가동블록(120)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선체(10)를 지지하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상부에 설치되어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선체 받침부재(140),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유닛(150),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지지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감지부(160), 및 감지부(16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선체 받침부재(140)를 구동하여서 선체(10)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2, 5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는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며, 다만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을 더 구비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의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은 선체 받침부재(140) 위에 선체(10)를 지지할 때에, 그 선체 받침부재(140)의 중앙에 선체(10)의 하부 중심을 정확하게 맞추어 균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은 안벽(1)이나 선체 지지 플레이트(130)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선박의 사이즈별로 가동범위가 상이하게 조절되어 선체 받침부재(140)의 중앙에 선체(10)의 하부 중심을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선체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710)와, 그 유압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끝단에 선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720)로 구성될 수 있다. 유압에 의해서 로드(711)가 신축되면서 가이드 부재(720)를 선체(10) 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720)의 끝단부에는 선체(10)에 접촉할 때에 선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탄성재질(730),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 부재(720)는 펜더(fender)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로드(711)는 유압에 의해서 신장되거나 축소하면서 가이드 부재(720)를 선체(10)에 밀착시켜, 선체 받침부재(140)의 중앙에 선체(10)의 하부 중심이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압 실린더(710)를 사용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구조로 하여 가이드 부재(720)를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선체 사이즈에 따라 가이드 부재(720)의 이동범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술한 제어부(170)에 선체(10) 폭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의 이동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압실린더 구조의 경우, 유압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신축 이동 범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선체 중심 조절모듈(700)은 안벽(1)에 설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선체지지 플레이트(130)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선체지지 플레이트(130) 위에 설치되는 경우 유압 실린더(710)와 그 유압 실린더(710)의 로드(711)의 끝단에 선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720)은 선체지지 플레이트 상에 수직 가이드 부재를 별도로 마련하고, 수직 가이드 부재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가이드 부재(720)와 유압 실린더(7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추가로, 선체 길이 방향의 중심을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중앙에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선체 지지 플레이트 길이 방향 중앙에 대응하는 안벽(1) 부분에, 선체 길이 방향의 중심이 위치할 수 있도록 마킹할 수 있으며, 마킹된 안벽(1)의 상단부에 밧줄이나 로프 등을 통해 선박을 추가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와 해당 설비가 설치된 안벽에는 다양한 안전문구를 표시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선체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팅 유닛으로서 유압 또는 윈치를 이용하고, 선체 상하 이동시, 감지부가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며, 제어부에서는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유압 실린더가 작동하여 각 아암을 일정각도로 회동시킴에 따라 선체의 기울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folding)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선체 세척 시, 선체 지지 플레이트 위에 잔류하는 해수는 배수 홀을 통해서 하부 플레이트 안으로 유입되며, 청수 분사기는 청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며, 세척액 집수 탱크에는 세척액이 집수된 후 저장됨으로써,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선체 사이즈에 따라 자동으로 선체 중심 조절모듈의 이동위치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정밀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안벽 110: 가이드 레일
120: 업다운 가동블록
130, 230, 330: 선체 지지 플레이트
131: 상부 플레이트 131a: 배수 홀
132: 하부 플레이트 132a: 경사면
133: 청수 분사기 134: 세척액 집수 탱크
140: 선체 받침부재 141: 베이스 플레이트
142: 아암 143: 유압 실린더
144: 롤러 150: 리프팅 유닛
151: 유압 실린더 152: 고정 브래킷
153: 유압 제어기 160: 감지부
170: 제어부 180: 선체 지지 플레이트 폴딩유닛
181: 피동기어 182: 구동기어
183: 구동모터 250: 리프팅 유닛
251: 윈치 252; 와이어
253: 가이드 롤러 500: 이중 격벽
511: 힌지(hinge) 510: 제1 격벽
520: 제2 격벽 700: 선체 중심 조절모듈
710: 유압 실린더 711: 로드(rod)
720: 가이드 부재 730: 탄성 재질
H: 힌지 샤프트

Claims (14)

  1. 안벽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업다운 가동블록;
    상기 안벽의 내벽 면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선체를 지지하되,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을 가지는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종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을 발생하는 리프팅 유닛;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선체 받침부재;
    상기 선체 받침부재 위에 지지된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선체 받침부재 위에 상기 선체를 지지할 때에, 상기 선체 받침부재의 중앙에 상기 선체의 하부 중심을 맞추기 위한 선체 중심 조절모듈;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선체 받침부재를 구동하여서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선체 받침부재의 중앙에 상기 선체의 하부 중심을 맞추기 위해 상기 선체 중심 조절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받침부재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에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아암, 및 상기 아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에 대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여 상기 아암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선체의 흔들림 및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 힌지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격벽이 더 형성되어, 수중에서 상기 선체가 상기 선체 받침부재로 진입 시 상기 격벽을 상기 힌지를 통해 회전시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위치하게 하고, 상기 선체의 세척 시 상기 격벽을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세워 세척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며,
    상기 선체 중심 모듈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의 끝단에 상기 선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체의 폭을 입력받아, 상기 유압 실린더의 로드의 신축 이동 범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선체의 하부 중심을 상기 선체 받침부재의 중앙에 맞추며,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앙에 대응하는 상기 안벽 부분에, 상기 선체 길이 방향의 중심이 위치할 수 있도록 마킹이 되어 있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유압 실린더 또는 윈치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을 상하로 이동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를 상기 안벽에 고정하는 고정 브래킷; 및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제어기; 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업다운 가동블록을 상하로 이동하는 윈치;
    일단부는 상기 윈치에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러; 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사용 중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사용 후에는 수직으로 폴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을 갖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서 유입된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해치의 개폐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이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해치를 개방하여 유입된 유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청수 분사기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세척액 집수 탱크가 설치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에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른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해수의 깊이가 마킹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에는 상기 선체 지지 플레이트의 위치에 따른 해수의 깊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해수의 깊이가 마킹되는,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KR1020210042644A 2021-04-01 2021-04-01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KR102329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4A KR102329504B1 (ko) 2021-04-01 2021-04-01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644A KR102329504B1 (ko) 2021-04-01 2021-04-01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04B1 true KR102329504B1 (ko) 2021-11-22

Family

ID=7871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644A KR102329504B1 (ko) 2021-04-01 2021-04-01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367A (zh) * 2021-12-20 2022-04-05 中国矿业大学 一种液压单元支架的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6946319A (zh) * 2023-09-21 2023-10-27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用清洗设备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387A (ja) * 2001-04-09 2002-10-18 Niigata Eng Co Ltd ボートリフター装置
KR200422480Y1 (ko) * 2006-05-15 2006-07-27 박판석 배수공의 개폐수단을 갖는 배수구의 덮개
KR101304038B1 (ko) * 2011-12-30 2013-09-04 이정상 요트 인양장치
KR20140003514U (ko) * 2012-12-03 2014-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레인 장치
KR101519592B1 (ko) * 2013-11-25 2015-05-12 함명수 야간 관측이 용이한 하천 수위 측정장치
KR101612124B1 (ko) * 2014-04-16 2016-05-02 (주)창성마린 소형 선박의 인양 이동 리프트
KR20170035363A (ko) * 2015-09-08 2017-03-31 송충식 고압 물 분사를 이용한 세차장 배수 처리시스템
KR101834299B1 (ko) * 2015-10-30 2018-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지지 장치
KR20190019359A (ko) 2017-08-17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 방법
KR20190121565A (ko) 2018-04-18 2019-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리프트 플랫폼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 플랫폼의 설치 방법
KR20190139240A (ko) * 2017-04-04 2019-12-17 구이도 바르델리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
JP2020117067A (ja) * 2019-01-23 2020-08-06 村田油圧機械株式会社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2387A (ja) * 2001-04-09 2002-10-18 Niigata Eng Co Ltd ボートリフター装置
KR200422480Y1 (ko) * 2006-05-15 2006-07-27 박판석 배수공의 개폐수단을 갖는 배수구의 덮개
KR101304038B1 (ko) * 2011-12-30 2013-09-04 이정상 요트 인양장치
KR20140003514U (ko) * 2012-12-03 2014-06-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드레인 장치
KR101519592B1 (ko) * 2013-11-25 2015-05-12 함명수 야간 관측이 용이한 하천 수위 측정장치
KR101612124B1 (ko) * 2014-04-16 2016-05-02 (주)창성마린 소형 선박의 인양 이동 리프트
KR20170035363A (ko) * 2015-09-08 2017-03-31 송충식 고압 물 분사를 이용한 세차장 배수 처리시스템
KR101834299B1 (ko) * 2015-10-30 2018-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지지 장치
KR20190139240A (ko) * 2017-04-04 2019-12-17 구이도 바르델리 선박용 부유 및 기동 가능한 선체 세척 및 세정 플랜트
KR20190019359A (ko) 2017-08-17 2019-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장치,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용 플랫폼의 위치인식 및 수평유지 방법
KR20190121565A (ko) 2018-04-18 2019-10-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리프트 플랫폼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 플랫폼의 설치 방법
JP2020117067A (ja) * 2019-01-23 2020-08-06 村田油圧機械株式会社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8367A (zh) * 2021-12-20 2022-04-05 中国矿业大学 一种液压单元支架的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278367B (zh) * 2021-12-20 2024-02-23 中国矿业大学 一种液压单元支架的搬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44357B1 (ko) * 2022-02-10 2024-03-0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6946319A (zh) * 2023-09-21 2023-10-27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用清洗设备
CN116946319B (zh) * 2023-09-21 2023-12-26 山东航宇船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船舶甲板用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504B1 (ko)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CN110719886B (zh) 用于在海上船上使用的运动补偿起重机
CN110114298B (zh) 用在海上船上的对波浪引起的运动补偿的起重机、船及负载传递方法
NL2007761C2 (en) Vessel and crane with full dynamic compensation for vessel and wave motions.
KR101324602B1 (ko)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3232768A (zh) 一种具有波浪补偿功能的海上换乘栈桥及其工作方法
JP2017109819A (ja) 吊りフックの揺れ止め装置
US6979149B1 (en) Vessel transf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9178223A (zh) 一种多功能的自动补偿舷梯
KR101655114B1 (ko)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CN110937077B (zh) 船用洗窗装置
KR101159893B1 (ko)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KR101877774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20160114451A (ko) 프레임이 부력탱크에 매설된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068012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KR101282772B1 (ko)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JP3950840B2 (ja) エレベータの乗降ステージ装置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1149500B1 (ko) 선박 이접안 시스템
CN218537035U (zh) 一种可调节外摆角度的可伸缩式舷梯
KR20210034370A (ko) 안벽 접안 장치
KR200176413Y1 (ko) 선박용 사다리의 회전장치
CN217623966U (zh) 船用控制台
CN216339336U (zh) 一种浮漂式船舶拦截装置
KR20090075285A (ko) 수중 및 수상작업대가 구비된 작업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