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478B1 -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 Google Patents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478B1
KR100758478B1 KR1020010078944A KR20010078944A KR100758478B1 KR 100758478 B1 KR100758478 B1 KR 100758478B1 KR 1020010078944 A KR1020010078944 A KR 1020010078944A KR 20010078944 A KR20010078944 A KR 20010078944A KR 100758478 B1 KR100758478 B1 KR 10075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variable
ship
sea level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8897A (ko
Inventor
이동근
신영수
김동익
최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7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47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3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원,연료를 하역하는 선박의 부두접안시 선박 및 부두의 충돌을 효과적을 방지하면서 조수간만창에 의한 해수면에 높이에 접안위치가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변형 휀더장치(1)는, 부두(10)의 벽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메인 휀더(20);와, 상기 부두(10)에 형성된 피트(14)내에 설치된 구동수단(40)으로서 상기 메인 휀더(20)의 중앙에서 승,하강토록 제공되는 가변휀더(60); 및, 상기 메인 휀더(20)의 측부에 설치되고,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변 휀더(6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가변휀더(60)와 연결된 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80);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수간만차에 의하여 선박의 부두 접안시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선체에 휀더가 걸이어 발생하는 선박 전복과 같은 대형 사고를 방지하고, 선박의 부두접안을 항상 해수면 높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역작업, 선박, 휀더, 가변형 휀더장치, 조수간만, 해수면

Description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A VARIABLE TYPE FENDER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부두의 선박 접안용 휀더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조수간만의 차에 의하여 선체에 휀더가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구동수단을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위치조정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조립 상태도
(b)는 분해 사시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변형 휀더장치 10....부두
12.... 선박 14.... 피트
20.... 메인휀더 22.... 고정대
24.... 안착부 26.... 가이드홈
28.... 실린더 40.... 구동수단
42.... 구동모터 44.... 와이어 드럼
46.... 작동 와이어 60.... 가변 휀더
62,... 가이드레일 80.... 위치조정수단
82.... 부유구 84.... 안내파이프
86.... 센서 88.... 센서박스
90.... 투명판
본 발명은 선박이 부두에 접안할때, 선박과 부두의 충돌을 방지하여 선박 및 부두의 파손을 방지하는 선박 접안용 휀더(FENDER)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제철 공장의 원,연료를 하역하는 선박의 부두접안시, 조수간만차에 의하여 해수면이 낮아지는 경우 고정형 휀더가 선체보다 높이 위치되면서 선체 상부에 휀더가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휀더를 조수간만차에 의한 해수면에 따라 접안위치가 가변되도록 한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의 원료,부원료등의 선박 하역작업을 하기 위하여는 먼저, 선박을 부두에 접안시키어야 하는데,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은 다량의 수송물을 선적하고 있기 때문에, 부두에 안전하게 접안하더라도 해수면의 이동에 따라 부두와 지속적으로 충돌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선박과 부두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충돌방지용 휀더를 부두에 설치하는 데, 이와 같은 휀더는 도 1 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두(100)에는 선박(110)과 부두(100)사이에 생고무로 만들어진 휀더(120)를 설치하여 선박(110)의 접안시 그 충격을 흡수하게 설치가 되어 있고, 또한 이와 같은 휀더(120)는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그리고, 선박(110) 하역작업시 선박(110)이 상,하로 유동할때, 선박(110)의 파손을 방지시킨다.
그러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아주 심한 부두(100)에서는 부두(100)에 설치된 휀더(120)의 높이는 일정한데, 해수면(L)의 높이차이는 상당히 심하고, 특히 다량의 수송물은 선적한 상태의 선박(110)은 해수면에서 보다 내려가기 때문에, 썰물인 경우 해수면이 상당히 내려간 상태에서는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상기 휀더(120)가 선박(110)의 선체(110a) 상측이 갑판측으로 넘어가면서 밀물이 되어 해수면(L)이 높아지면, 선박(110)이 휀더(120)와 해수면(L) 사이에서 선박이 전복되는 대형 사고를 초래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L)이 심하게 차이가 나면, 선박(110)의 안전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선박(110)의 걸이줄 및 기타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선박(110)의 하역작업 자체가 지연될뿐만 아니라,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휀더(120)에 의한 선박(110)의 전복시 기름유출에 의한 해양오염이 발생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물론, 초대형 선박보다는 중,소형 선박일 경우에 전복사고가 발생되기 쉽다. 따라서,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부두에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는 가변형 휀더를 설치하면 선박과 부두사이에 휀더가 걸리면서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박의 부두 접안시 선박과 부두간의 파손을 방지시키는 휀더를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하로 가변토록 설치함으로서, 선박의 부두 접안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선박이 휀더에 걸리면서 전복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을 보호하기 위한 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두의 벽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메인휀더; 와,
상기 부두에 형성된 피트내에 설치된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메인 휀더의 중앙에서 승,하강토록 제공되는 가변휀더; 및,
상기 메인휀더의 측부에 설치되고,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변 휀더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가변휀더와 연결된 구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으로 구성된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서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구동수단을 도시한 요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인 장치에서 위치조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1)는 크게 메인휀더(20)와 가변 휀더(60) 및 가변휀더 위 치조정수단(80)으로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20)(60)(80)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메인휀더(2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메인휀더(20)는, 부두(10)에 접안되는 선박(12)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부두(10)의 벽면(10a)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휀더(20)는, 상기 부두(10)의 벽면(10a)에 수평하게 상,하측에 볼트 고정된 고정대(22)의 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휀더(20)의 중앙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가변휀더(6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메인휀더(20)는 도면에서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생고무가 철피에 감싸진 형태로 형성되어 선박(12) 접안시 상기 생고무가 완충역활을 하고, 상기 메인휀더(20)는 안전설비로서 체인(C)으로 부두(10)에 추가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가변휀더(6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 휀더(60)는, 상기 부두(10)에 형성된 피트(14)내에 설치된 구동수단(40)으로서 상기 메인 휀더(20)의 중앙에서 승,하강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휀더(60)는 생고무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이휀더(20)의 안착부(24)내에 삽입 지지되고, 또한 상기 상기 가변휀더(60)의 양측면에는 그 종방향으로 상기 메인휀더(20)의 안착부 (24) 양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홈(26)에 삽입되는 가이드레일부(62)가 일 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휀더(20)의 안착부 (24) 상측에는 상기 가변휀더(60)이 상기 메이휀더(20)의 안착부(24)에서 가원활하게 승,하강하도록 상기 메인휀더(20)의 안착부(24)를 벌려주는 작동 실린더(28)가 수평하게 연결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작동실린더(28)는 부두(10)측에 설치된 유압 유니트(28a)와 연결되어 있고, 메인 휀더(20)의 안착부(24)를 동시에 양측으로 벌리기 위하여 양측에 로드가 설치된 복동 실린더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 가변휀더(60)의 승하강을 수행토록 하는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부두 피트(14)내에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구동모터(42)가 연결되어 모터 구동시 회전 구동되는 와이어 드럼(44) 및, 상기 와이어드럼(44)에 일단부가 감기고 상기 피트(14)와 가변 휀더(60)상부에 덮힌 덮개판(14a)(60a)에 설치된 가이드롤(14b)(60b)로서 이동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휀더(60)상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46)를 갖추는데, 결국 상기 작동와이어(46)는 모터 구동시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연결된 가변휀더(60)를 메인휀더(20)내에서 승,하강토록 하고, 상기 작동와이어(46)와 가변휀더(60)는 연결링(46a)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와이어(46)를 안내하는 가이드롤(14b)(60b)은 상기 피트(14)와 메인 휀더(20)상에 설치된 덮개판(14a)(60a)상에 설치된 지지블록(14c)(60c)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덮개판(14a)(60a)은 경첩(14a')(60a')으로서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도 3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장치(1)의 상기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 (8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 (80)은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변휀더(60)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80)은, 다시 부유구 안내파이프(84)와 그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박스(88)로 구성되는데, 상기 메인 휀더(20)의 측부에 설치되고,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변 휀더(6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가변휀더(60)와 연결된 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80)의 부유구 안내파이프(84)는 상기 메인 휀더(20)의 일측벽(20a)에 수직 설치되고, 상기 안내파이프(84)의 내부에는 해수면(L)의 높이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1,L2,L3의 위치에 따라 부유되는 부유구(82)가 삽입되는데, 상기 부유구(82)는 해수면에 부유되는 원통 부유물(82a)의 외곽에 다음에 설명하는 센서(86) 작동을 위한 금속링(82b)이 감싼 원판체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 센서박스(88)는 상기 안내파이프(84)의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개구(84a)의 일측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내부에는 상기 부유구(82)를 감지하는 센서 (86)가 실링상태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센서(86)는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 (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수면에 따른 부유구(82)의 센서감지시 구동모터(42)에 의한 드럼(44)의 작동으로 상기 가변휀더(60)는 해수면에 따라 승,하강토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박스(88)는, 그내부에 센서 (86)가 배치되기 때문에, 해수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와 같은 센서박스(88)는 상기 센서(86)가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파이프(84)의 개구 (84a)를 통한 부유구(82)의 센서감지를 위한 투명판(90)이 전면 개구(88a')측에 일체로 접착 고정된 몸체(88a) 와, 상기 몸체(88a)에 실링패드(92)를 개재하여 겹합되는 덮개(88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판(90)은 센서박스 몸체 (88a)의 개구(88a')측에 해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일체로 긴밀하게 접착 결합되어야 하면,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투명판(90)이 실링패드를 개재하여 접착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86)와 구동모터(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94)은 상기 박스몸체(88a)의 상하측에 일체로 용접되고 서로 통하는 안내파이프(96)를 통하여 메인휀더(20)를 통하여 부두 피트(14)내의 구동모터(42)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에서 원,연료를 하역하기 위하여 부두(10)에 선박(12)을 접한할 때에 조수간만에 의한 해수면(L) 및 선박의 적재량애 상관없이 해수면(L)의 상태에 따라 가변적으로 위치조정되는 본 발명의 조 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1)는 다음과 같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가변형 휀더장치(1)의 작동상태를 해수면(L)의 높이(L1-L3)에 따라 각각 도시하고 있는데, 먼저 해수면(L)이 밀물이어서 해수면의 높이가 L1의 위치에 있므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구(82)는 안내파이프 (84)의 내측에서 해수면의 높이로 부유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파이프(84)의 일측으로 상기 최상측 해수면 높이(L1)와 동일선상에 설치된 최상측의 센서박스(88)에 배치된 센서(86)는 상기 부유구(82)를 감지한다.
결국, 도 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8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부두 피트(14)내의 구동모터(42)는 가동을 시작하지 않고, 이때 해수면이 낮아져 중앙의 높이 즉, L2까지 하강하면, 상기 안내파이프(84)내의 부유구(82)도 하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파이프(84)의 개구(84a)를 통하여 센서박스(88)내의 센서(86)를 부유구(82)를 감지하고, 상기 중앙의 센서(86)가 작동하면 제어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모터(42)는 작동하여 연결된 와이어드럼(44)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와이어(86)는 풀리게 되고, 이에 가이드롤들을 통하여 연결된 가변 휀더(60)는 그 양측의 가이드레일(62)이 메인휀더 안착부(24)의 가이드홈(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하강하여 가변휀더(60)는 중앙의 해수면(L2)에 맞추어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다.
다음,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여 해수면이 최하 측 위치(L3)까지 내려가면, 안내파이프(84)내의 부유구(82)도 일체로 내려가고, 결국 안내파이프(84)의 일측으로 최하측에 설치된 센서(86)가 부유구(82)를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구동모터(42)를 추가로 가동시키고, 결국 상기 모터와 드럼(44)에 의하여 작동와이어(46)는 더 풀리게 되어 이에 연결된 가변휀더(60)는 최하측 위치(L3)까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메인휀더(20) 내측의 가변휀더(60)가 일체로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종래 고정형의 휀더가 선박에 걸리면서 선박으로 전복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휀더장치(1)는 부두에 설치된 모든 휀더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해수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센서박스(88)를 3개정도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센서박스(88)는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센서(86)가 해수로 부터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되도록 몸체(88a)가 실링패드(92)를 개재하여 긴밀하게 덮개(88b)로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센서박스(88)사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안내파이프(96)도 상기 센서박스(88)상에 해수가 침투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용접하거나 아니면, 실링재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 치에 의하면, 조수간만에 따라 해수면이 낮아져도 해수면의 높이에 따라 휀더가 가변적으로 위치 조정됨으로서, 해수면의 높이와 선박의 선적량에 상관없이 선박을 항상 안정적으로 부두에 접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해수면상태에 따라 선박을 줄걸이 작업을 추가로 할 필요가 없고, 휀더에 의한 선박의 전복사고도 방지되어 선박 전복시의 해양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부두(10)에 접안되는 선박(12)을 보호하기 위한 휀더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부두(10)의 벽면에 고정형으로 설치된 메인 휀더(20);와,
    상기 부두(10)에 형성된 피트(14)내에 설치된 구동수단(40)으로서 상기 메인 휀더(20)의 중앙에서 승,하강토록 제공되는 가변휀더(60); 및,
    상기 메인 휀더(20)의 측부에 설치되고,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상기 가변 휀더(60)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상기 가변휀더(60)와 연결된 구동수단(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변휀더 위치조정수단(80);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휀더(20)는 상기 부두(10)의 벽면(10a)에 볼트 고정된 고정대(22)의 전방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휀더(20)의 중앙에는 상기 사각형상으로 된 가변휀더(6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부(2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휀더 안착부(24)의 양측에는 상기 가변휀더(60)의 양측면에 종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가이드레일부(62)가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홈(2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휀더(60)와 연결된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부두 피트(14)내에 바닥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구동모터(42)가 연결되어 모터 구동시 회전 구동되는 와이어 드럼(44); 및,
    상기 와이어드럼(44)에 일단부가 감기고 상기 피트(14)와 가변 휀더(60)상부에 덮힌 덮개판(14a)(60a)에 설치된 가이드롤(14b)(60b)로서 이동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가변휀더(60)상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46);로 구성되어 모터 구동시 상기 가변휀더(60)는 메인휀더(20)내에서 승,하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80)은, 상기 메인 휀더(20)의 일측벽 (20a)에 수직 설치되고 내부에는 해수면(L)의 높이에 따라 부유되는 부유구(82)가 삽입되는 부유 안내파이프(84); 및, 상기 안내파이프(84)의 상하로 다수개 형성된 개구(84a)의 일측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부유구(82)를 감지하는 센서 (86)가 실링상태로 삽입된 센서박스(88);를 갖추고,
    상기 센서(86)는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수면에 따른 부유구(82)의 센서감지시 구동수단(40)은 가변휀더(60)를 해수면에 따라 승하강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박스(88)는,
    상기 센서(86)가 내부에 삽입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파이프(84)의 개구 (84a)를 통한 부유구(82)의 센서감지를 위한 투명판(90)이 전면 개구(88a')측에 일체로 접착 고정된 몸체(88a);및,
    상기 몸체(88a)에 실링패드(92)를 개재하여 겹합되는 덮개(88b)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86)와 구동모터(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94)은 상기 박스몸체(88a)의 상하측에 일체로 용접되고 서로 통하는 안내파이프(96)를 통하여 상기 구동모터(4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20010078944A 2001-12-13 2001-12-13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075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944A KR100758478B1 (ko) 2001-12-13 2001-12-13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944A KR100758478B1 (ko) 2001-12-13 2001-12-13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97A KR20030048897A (ko) 2003-06-25
KR100758478B1 true KR100758478B1 (ko) 2007-09-12

Family

ID=2957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944A KR100758478B1 (ko) 2001-12-13 2001-12-13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8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88B1 (ko) 2021-01-07 2022-06-02 (주)화승코퍼레이션 스플릿 타입의 도넛 펜더 및 이를 이용한 도넛 펜더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93B1 (ko) * 2009-03-26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CN104120684B (zh) * 2014-07-25 2016-11-23 江苏省交通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护舷装置
CN109506888B (zh) * 2019-01-03 2024-04-26 上海交通大学 用于浮托安装水池模型试验的纵荡护舷模拟装置
CN111746740B (zh) * 2020-06-30 2021-06-04 扬州市远望橡胶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橡胶护舷
CN114888030B (zh) * 2022-05-17 2023-04-11 山东省水电设备厂 一种调节式清污机护轴挡污装置、清污机及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718U (ko) * 1989-02-27 1990-09-10
JPH0318225A (ja) * 1989-06-15 1991-01-25 Toshiba Corp サージ抑制装置
JPH09189019A (ja) * 1995-10-27 1997-07-22 Toyo Constr Co Ltd 船舶衝撃力吸収装置
US6053664A (en) * 1997-03-03 2000-04-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astomeric composite bumper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high energy impac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2718U (ko) * 1989-02-27 1990-09-10
JPH0318225A (ja) * 1989-06-15 1991-01-25 Toshiba Corp サージ抑制装置
JPH09189019A (ja) * 1995-10-27 1997-07-22 Toyo Constr Co Ltd 船舶衝撃力吸収装置
US6053664A (en) * 1997-03-03 2000-04-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Elastomeric composite bumper system and method for absorbing high energy imp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88B1 (ko) 2021-01-07 2022-06-02 (주)화승코퍼레이션 스플릿 타입의 도넛 펜더 및 이를 이용한 도넛 펜더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897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530A (en) Transport vessel for floating onloading and offloading of cargo
US5501625A (en) Floating terminal
US53854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ment of oil and other pollutants
WO2004099508A3 (en) Berthing method and system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KR101655114B1 (ko) 수직 승하강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US20060086304A1 (en) Rescue ship for disabled vessels, vessels rescue method, and use of a rescue ship
NL2021166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JP2820570B2 (ja) 船舶の係留装置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US4106303A (en) Marine oil storage installation
CN211943655U (zh) 一种系泊装置及船舶
JP5614743B2 (ja) 港口遮断構造
KR20210034370A (ko) 안벽 접안 장치
JP2961096B2 (ja) 浮体式港湾施設
KR101149500B1 (ko) 선박 이접안 시스템
KR200287664Y1 (ko) 항만하역장비의 해양오염방지장치
CN220842856U (zh) 一种柔性船舶舷伸平台波浪阻碍器
KR19980015007A (ko) 선박 접.이안 장치
KR102181192B1 (ko)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장치
KR10244908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JPS60270B2 (ja) 半没水型多胴船
NL1019552C2 (nl) Vaartuig voorzien van ankermiddelen.
JP3028597U (ja) 離岸式船舶係留ラ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