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893B1 -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 Google Patents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893B1
KR101159893B1 KR1020090025995A KR20090025995A KR101159893B1 KR 101159893 B1 KR101159893 B1 KR 101159893B1 KR 1020090025995 A KR1020090025995 A KR 1020090025995A KR 20090025995 A KR20090025995 A KR 20090025995A KR 101159893 B1 KR101159893 B1 KR 101159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variable
guide
variable fender
wha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736A (ko
Inventor
최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8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두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가변 휀더(120)와, 상기 가변 휀더를 안내하는 안내수단(110)과, 상기 가변 휀더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130)과, 상기 구동수단을 해수면 높이에 따라 작동시키도록 해수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40)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5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수차에 따른 수면의 변화에 따라 휀더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두와 선박의 충돌로 인한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Variable Fender Apparatus of the Quay}
본 발명은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에 접안되는 선박이 부두의 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두 안벽에 설치되는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두의 안벽에는 선박이 부두의 벽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휀더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휀더는 고정형 휀더로서 고무재 등으로 되어 있다. 제철공장 등에서는 원료를 수송하는 선박이 부두에 접안하여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휀더는 부두와 선박의 충돌로 인한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한다.
그런데, 조수차가 작은 부두에서는 고정형 휀더로 충분하지만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차(T)가 심한 부두에서는 수면이 낮아지게 되면 부두(1)의 안벽(1a)에 설치된 고정형 휀더(2)에서 선박(S)이 벗어나게 되어 선박의 전복 등의 대형사고를 유발할 위험성도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갑문 등을 설치하려고 하면 설치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관리의 어려움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고정형 휀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수차에 따른 수면의 변화에 따라 휀더가 가변되는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는, 부두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가변 휀더와, 상기 가변 휀더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가변 휀더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해수면 높이에 따라 작동시키도록 해수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부두의 안벽에 고정되며 상기 가변 휀더가 안내되는 안내부가 형성된 고정 휀더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가변 휀더가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회동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가변 휀더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와, 상기 가변 휀더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바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안내바의 하단에는 상기 감지수단이나 제어수단의 오동작시 상기 가변 휀더가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변 휀더에는 상기 안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이 착탈가 능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에 의하면, 조수차에 따른 수면의 변화에 따라 휀더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부두와 선박의 충돌로 인한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를 나타내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두(10)의 안벽(11)에는 안내 수단(11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 수단(110)에는 가변 휀더(120)가 상하로 이동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변 휀더(120)는 구동수단(130)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구동수단(130)은 해수면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수단(140)의 신호를 받는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안내 수단(110)은, 상기 부두(10)의 안벽에 고정되며 상기 가변 휀더(120)가 끼워져 안내되는 안내부(111a)가 형성된 고정 휀더(111)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111a)에는 상기 가변 휀더(120)가 끼워져 용이하게 슬라이딩 하도록 다수의 회동 롤러(1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11a)는 수직방향으로 파인 다수의 홈띠로 되어 있다. 상기 안내 수단(110)은, 상기 가변 휀더(120)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113)와, 상기 가변 휀더(120)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바(113)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브라켓(114)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회동 롤러(112)는 안내 부(111a)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양측의 안내바(113)의 상부는 지지대(11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15)에는 후술하는 로프를 안내하는 안내롤(116)이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바(113)의 상단은 고정부(117)에 의해 상기 부두(10)에 안벽(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바(113)의 하단에는 상기 감지수단(140)이나 제어수단(150)의 오동작시 상기 가변 휀더(120)가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1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브라켓(114)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가변 휀더(120)의 본체(121)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변 휀더(120)는, 고무재로 된 본체(121)의 상단에 후술하는 로프가 연결되는 고리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21)의 후면에는 상기 안내부(111a)에 끼워져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123)에는 상기 회동 롤러(112)에 접하여 슬라이딩하는 이동 레일(124)이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 레일(124)은 도시하지 않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이동 레일(124)은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가변 휀더(120)의 재질과 동일한 고무재 등으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마모시 갈아 끼울 수 있으므로 수리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124)은 회동 롤러(112)에 접하여 슬라이딩하므로 안내부(111a)의 마모를 줄인다.
상기 이동 레일(124)이 없이 상기 슬라이딩부(123)가 직접 상기 안내부(111a)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123) 또는 이동레 일(124)에 걸림턱부가 길이방향(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부(111a)에는 이 걸림턱부가 걸려 가변 휀더(120)가 수평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안내바(113)와 슬라이딩 브라켓(114)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상기 가변 휀더(120)의 본체(121) 상단에 연결된 로프(131)와, 상기 로프(131)가 감기고 풀리는 드럼(132)과, 상기 감지수단(14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드럼(132)을 구동하여 상기 로프(131)를 통해 상기 가변 휀더(1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어모터(1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131)는, 와이어 로프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21)에 두 줄로 연결되어 본체(121)가 평형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드럼(132)과 제어모터(133)를 부두에 설치하는 구조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감지수단(140)은 조수차에 따라 해수면을 감지하도록 상부센서(141) 및 하부센서(142)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센서(141) 및 하부센서(142)는 상기 안내바(113)에 연결된 센서 지지부(143)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140)의 상부센서(141) 및 하부센서(142)와, 제어 모터(133)는 제어수단(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에서, 해수면이 내려가면,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센서(141) 및 하부센서(142)의 감지신호를 받는 제어수단(150)의 제어에 따라 제어모터(133)가 구동하여 드럼(132)이 회전하여 로프(131)가 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변휀더(120)가 하강하여 선박이 안 전하게 접하게 한다.
해수면이 올라가면, 상기 제어모터(133) 및 드럼(132)이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로프(132)가 드럼(132)에 감기게 되어 가변휀더(120)가 상승하여 선박이 안전하게 접하게 한다.
도1은 종래 부두에 설치된 고정형 휀더와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안내수단 111 : 고정휀더
112 : 회동 롤러 113 : 안내바
114 : 슬라이딩 브라켓 118 : 스토퍼
120 : 가변휀더 124 : 이동레일
130 : 구동수단 140 : 감지수단
150 : 제어수단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부두의 안벽에 상하로 이동가능케 설치된 가변 휀더와,
    상기 가변 휀더를 안내하는 안내수단과,
    상기 가변 휀더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해수면 높이에 따라 작동시키도록 해수면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부두의 안벽에 고정되며 상기 가변 휀더가 안내되는 안내부가 형성된 고정 휀더를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가변 휀더가 용이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회동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가변 휀더의 양측에 설치된 안내바와, 상기 가변 휀더에 고정되어 상기 안내바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브라켓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바의 하단에는 상기 감지수단이나 제어수단의 오동작시 상기 가변 휀더가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스토퍼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5.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휀더에는 상기 안내부에 끼워져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이 착탈가능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KR1020090025995A 2009-03-26 2009-03-26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KR101159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95A KR101159893B1 (ko) 2009-03-26 2009-03-26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5995A KR101159893B1 (ko) 2009-03-26 2009-03-26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36A KR20100107736A (ko) 2010-10-06
KR101159893B1 true KR101159893B1 (ko) 2012-06-25

Family

ID=4312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995A KR101159893B1 (ko) 2009-03-26 2009-03-26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220A (zh) * 2014-10-30 2015-03-04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靠船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12B1 (ko) * 2012-06-08 2014-0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101382300B1 (ko) * 2012-07-25 2014-04-07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상하 이동식 가변형 방충재
CN104120684B (zh) * 2014-07-25 2016-11-23 江苏省交通科学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橡胶护舷装置
KR102570695B1 (ko) * 2021-09-24 2023-08-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부두 완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4596U (ko) * 1977-05-12 1978-12-05
JPH0527123U (ja) * 1991-09-09 1993-04-09 大成建設株式会社 防舷装置
KR20030048897A (ko) * 2001-12-13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4596U (ko) * 1977-05-12 1978-12-05
JPS5634011Y2 (ko) 1977-05-12 1981-08-12
JPH0527123U (ja) * 1991-09-09 1993-04-09 大成建設株式会社 防舷装置
KR20030048897A (ko) * 2001-12-13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220A (zh) * 2014-10-30 2015-03-04 成都聚智工业设计有限公司 靠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736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893B1 (ko)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KR10147438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시스템
KR102329504B1 (ko) 선체 외판 청소작업용 설비
KR20170109591A (ko) 동작 센서 및 드라이브 배열을 구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그 라인 가이드 장치를 구비한 권취 장치
US9863109B2 (en) Cable management for marine barriers and gate systems
KR20120119335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CN211107924U (zh) 一种吊升式水上浮体连续收放装置
KR101654588B1 (ko)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KR101310836B1 (ko) 선박용 접안장치
US20100196097A1 (en) Device for pulling out a ship
KR101149318B1 (ko) 선박 계류시설
CN110949611A (zh) 一种系泊装置、船舶及该系泊装置的布置方法
KR101016638B1 (ko) 소형 선박 인양장치
KR101877774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JP3950840B2 (ja) エレベータの乗降ステージ装置
KR102466590B1 (ko) 톱니형 부두
KR100758478B1 (ko) 조수간만차에 따라 선박접안이 가변되는 가변형 휀더장치
CN211943655U (zh) 一种系泊装置及船舶
KR101225995B1 (ko)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KR20100004733U (ko) 고소작업용 자동이동형 안전윈치장치
KR101149500B1 (ko) 선박 이접안 시스템
US8336478B2 (en) Self-propelled boat dock system
KR101658615B1 (ko) 재해예방을 위한 도교 인양 장치
KR101702515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2032639B1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