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01B1 -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01B1
KR102328401B1 KR1020197019636A KR20197019636A KR102328401B1 KR 102328401 B1 KR102328401 B1 KR 102328401B1 KR 1020197019636 A KR1020197019636 A KR 1020197019636A KR 20197019636 A KR20197019636 A KR 20197019636A KR 102328401 B1 KR102328401 B1 KR 102328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emple
lenses
no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521A (ko
Inventor
노리오 세키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세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세키 filed Critical 노리오 세키
Publication of KR2019009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08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fold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A, B)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를 연결하는 브릿지부(2)와, 템플부(temple)(3)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2)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5)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3)의 폭(W)을, 렌즈들(A, B)의 중심들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구조이다.

Description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본 발명은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구분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형으로 일체 형성한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에 상이한 종류의 렌즈를 배치하여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안경으로서는, 원근 양용 안경이 있다. 이것은 1장의 렌즈의 상부를 원시용으로, 그 하부를 근시용으로 구성하고, 안경의 장착자가 안구의 방향이나 보는 각도를 바꾸어, 멀리 있는 것을 볼 때에는 눈을 치떠서, 가까이에 있는 것을 볼 때에는 눈을 내리떠서 보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특히 가까이에 있는 것을 보는 경우, 시선이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물건을 보기 때문에, 물건을 보는 데 정시하는(렌즈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킨 시선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러운 데 대하여, 부자연스러운 보기, 부자연스러운 사용법으로 무리가 생기기 쉬워, 눈의 피로를 유발하기 쉽게 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하방의 근시용 영역을 눈의 위치에 근접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가깝게 하기 위한 제안이나, 안경 자체를 반전시키는 제안, 또는 안경 자체의 높이를 코 패드 위치의 상하 높이 조절에 의해 눈의 위치에 근접시키는 제안 등이 많이 있다.
이 중에서, 안경 자체를 상하 반전시키는 제안의 것으로서,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가 있고, 이것은, 상하용의 귀 패드부가 그대로인 형상으로 단순히 일체화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안의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귀 패드부가 상하에 있어, 미관이 나쁘며 또한 위화감이 있는 것이 되어, 실용성이 부족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렌즈를 통하여 보는 경우, 시선을 아래의 렌즈의 중심을 향하면, 아래의 렌즈의 중심선(수평선)에 대하여, 앞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각도가 생기기 때문에, 시선을 정시 상태로 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었다.
한편, 판형의 종이나 합성 수지제의 간이한 안경형의 프레임이며, 또한,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간이한 안경형의 프레임은 지금까지는 없었다.
또한, 종이제이며 렌즈가 1종류인 것은, 많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42921호,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71416호,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5983호 등이 있다. 이들은, 2종류의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또한, 그 렌즈 등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발상도 없는 것이었다. 또한 렌즈와 웨어러브 단말 글라스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발상도 없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03199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4292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성1-17141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5983호 공보
본 발명은, 상하 반전시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간단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종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판형으로 일체 형성시킴으로써, 컴팩트하게 경량화되며, 저렴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 등의 중심(광축)을 눈의 위치(또는 시선)에 합치시켜, 정시하는 자연스러운 상태로 만듦으로써, 안정 피로가 경감되며, 그리고 종이나 합성 수지 등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한,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현재의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즉,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의 폭을, 렌즈들의 중심들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구조이다. 또한, 코 패드부는,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브릿지부에 접착시켜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템플부의 상하 한쪽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키고, 템플부의 상하 다른쪽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다른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킨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같이,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전체가 평면형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관리가 용이한 것이 된다. 특히, 템플부를 절첩하였을 때에는, 전체가 박판형이 되어, 포켓 속에 넣거나, 책 등의 사이에 끼우는 것도 가능하여, 휴대할 때에 매우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품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상이한 종류의 렌즈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으로서 간단하게 구분 사용이 가능한 것이 되며, 그 구분 사용을 간단하고 신속하며 그리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더욱 렌즈의 사용 범위(시선의 이동 범위)가 넓은 것이 된다. 더구나, 본 발명의 프레임을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절이나 미조절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는, 통신, 게임, 운동이나 건강 상태의 기록, 전자 결제 등에 사용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용도는 넓어지게 된다.
또한, 템플부의 폭을, 렌즈들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함으로써, 렌즈 등의 중심(광축)을 눈의 위치에 대략 합치시켜, 시선을 정시 상태에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안정 피로가 경감되게 된다. 더구나 템플부의 폭을, 렌즈 등의 중심 위치로부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상하변에 근접시켜, 템플부의 폭을 넓혀 감에 따라, 렌즈 등의 면이 경사져 간다. 이 경사각은, 단일 렌즈의 종래품과 동일한 사용 상태가 된다. 즉, 전방 20 m 전후의 위치에 눈이 자연스럽게 가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앞으로 경사시켜 제작된다. 이때의 렌즈 등의 중심(광축)과 눈의 위치가 대략 합치하게 된다(도 5 참조).
본 발명과 같이,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한 쌍의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절첩 가능하게 부착되는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전체가 평면형이기 때문에, 운반이나 관리가 용이한 것이 된다. 더구나 상하 반전시키는 것만으로, 조절이나 미조절을 할 필요가 없어, 취급이 매우 간단한 것이 되는 것이다.
또한, 템플부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도면 중의 2점 쇄선 또는 1점 쇄선)과 합치시킴으로써, 렌즈 등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시하는 자연 상태가 되어, 안정 피로가 경감되게 된다. 또한, 렌즈와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상하 위치에서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공장 등에 있어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작업 공정상의 정보 등을 표시시키고, 그것을 보면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면, 확실한 작업이 되어, 품질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와 확대용 렌즈를 렌즈 유지 프레임부에 접착하면, 정밀한 조립 작업이나 정밀 부품의 제조 작업 등에 있어서, 확대한 상태로 작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 패드부가,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브릿지부에 접착하여 형성됨으로써, 간단하게 코 패드 위치의 결정을 할 수 있으며, 연질인 블록 부재를 적절하게 잘라내어, 코 패드 위치의 조절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별도의 실시형태의 코 패드부가 이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a∼도 1c,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품은 1장의 종이 또는 합성 수지의 박판 등으로 전체가 일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품을 절곡하여 고글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는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A, B)을 접착하여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는, 구멍이 2개 뚫려 있고,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는, 종이나 합성 수지의 박판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의해 유지되는 판형의 렌즈로서는, 오목 렌즈나 볼록 렌즈가 역할을 달성하는 것, 판유리(투명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의 형상으로서는, 도 1a∼도 1c, 도 2 등의 도면 중에 나타내는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렌즈들(A, B)은 개별이 아니고, 1장의 렌즈에 일체화시킨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2점 쇄선은 렌즈(A)의 중심을 나타내고, 1점 쇄선은 렌즈(B)의 중심을 나타낸다.
브릿지부(2)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1) 사이를 연결한다. 한 쌍의 템플부(3)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베이스부측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템플부(3)의 폭(W)으로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들(A, B)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상하 방향의 치수)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에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도 1a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를 형성하면, 템플부(3)의 가장자리(31)가, 렌즈(A) 또는 렌즈(B)의 중심과 합치하는 위치에 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템플부(3)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직각으로 절곡하여 이용한다. 또한, 도 1b나 도 1c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를 형성하면, 본 발명품을 장착하였을 때, 렌즈 유지 프레임부(1)가 앞으로 기울고(도 5 참조), 그 경사각(θ)으로서는, 5도∼20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각(θ)이 20도 이상이 되면, 렌즈의 광축과 시선이 비스듬히 교차하기 때문에, 난시가 섞일 우려를 발생시킨다. 이 경사각(θ)은, 템플부(3)의 폭(W)을 넓히면, 커진다. 이때,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이 원하는 폭(W)에 대응할 수 없는 경우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을 넓힌다.
귀 패드부(4)는 템플부(3)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코 패드부(5)는 브릿지부(2)의 상하 중앙에 마련되어, 상하로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코 패드부(5)에는, 도 1a∼도 1c, 도 2에 나타내는 V자형으로 절결되는 것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51)를 복수 개 접착시켜 형성한 것이 있다. 상기 블록 부재(51)의 연질재로서는, 스펀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블록 부재(51)를 접착하는 경우는, 얼굴의 크기에 맞추어 접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절입선(6)은,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템플부(3)의 이면이자 그 경계에 낸 골접기의 선이며, 이것은 템플부(3)를 절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품을 제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1장의 두꺼운 종이 또는 합성 수지판의 박판 등을 준비하고, 프레스 등으로 정해진 형상으로 펀칭하며,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와 템플부(3)의 경계에 절입선(6)을 낸다. 이 상태의 것을 다수 매 보관해 두면 좋다. 이때, 합성 수지로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그 후, 용도에 따른 판형의 렌즈 또는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조합하여, 그 조합한 것을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접착하면, 안경이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이때, 렌즈 등의 접착은,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구멍의 이면 측이어도 표면 측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품을 사용할 때에는, 템플부(3)의 베이스부를 절입선(6)을 따라 구부려, 렌즈 유지 프레임부(1)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하고 나서 사용하면 좋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템플부(3)를 절입하여 대략 평면형으로 하여 보관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먼저 도 1a나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템플부(3)의 폭(W)을, 렌즈들(A, B)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템플부(3)의 가장자리(31)는, 렌즈(A) 또는 렌즈(B)의 중심과 합치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본 발명품을 장착시키면, 렌즈(B)의 중심선(수평선)이 눈의 위치와 합치하게 되기 때문에, 물건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어, 눈의 피로를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렌즈(A)를 사용할 때에는, 전체를 상하 반전시켜 다시 장착하면, 렌즈(A)의 중심선(수평선)이 눈의 위치와 합치하게 되기 때문에, 렌즈(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건을 볼 때에 정시할 수 있어, 눈의 피로를 격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도 1c에 나타내는 폭(W)의 템플부(3)의 것을 사용한 경우이고, 이것은 도 4 때와 비교하여, 템플부(3)의 폭(W)이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에 상당하는 것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본 발명품을 장착시키면, 코 패드부(5)의 접촉 위치와 귀 패드부(4)의 위치가 그대로이기 때문에, 템플부(3)는 앞으로 기울며 렌즈 유지 프레임부(1)도 마찬가지로 앞으로 기운다. 이때의 경사각(θ)으로서는, 5도∼20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폭으로, 템플부(3)의 폭(W)을 넓혀도 경사각(θ)이 20도가 되지 않을 때는,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구멍으로부터의 상하폭을 넓혀 대응하면 좋다.
이와 같이 렌즈의 중심을 눈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렌즈를 앞으로 기울여 종래의 안경과 동일한 사용 상태가 된다. 이때의 경사각(θ)은 접착하는 렌즈의 종류에 대응시켜 결정하는 것이 좋다. 그 기준으로서는, 근시용의 렌즈를 세팅할 때는, 경사각(θ)이 15도∼20도의 범위가 되도록, 템플부(3)의 폭(W)을 결정하고, 원시용의 렌즈를 세팅할 때는, 경사각(θ)이 5도∼15도의 범위가 되도록, 템플부(3)의 폭(W)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렌즈의 중심(광축)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눈의 위치에 대략 합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판유리(투명이나 편광판), 착색 유리(선글라스 등), 판형의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 등을 이용할 때는, 경사각(θ)이 없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1)의 상하에 상이한 종류의 렌즈 등을 배치하여 구분 사용하는 구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렌즈(A)로서 선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운전석의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 등을 조작할 때에는, 렌즈(B)측을 이용하고, 그 후, 전체를 반전시켜 장착하면, 렌즈(A)측의 선글라스로 바꾸면, 전방이 흐려지는 일없이, 또한, 눈부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A)로서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를 사용하고, 렌즈(B)로서 볼록 렌즈를 사용하면, 노안용 안경으로서 렌즈(B)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로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을 공장의 제조 라인 등에서 사용하면, 작업을 확인하는 항목이나 사양 내용 등을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표시시키면, 조립 시, 사양에 맞는 제품을 실수없이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을 다종 소량 생산하는 공장 등에서 이용하면, 편리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품을 극장에서 손님에게 나누어 주고, 웨어러블 단말 글라스에, 개요나 등장 인물 및 이들의 해설 등을 표시시키면, 손님을 한층 더 즐겁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집객 수단으로서 유효한 것이 된다.
1: 렌즈 유지 프레임부 2: 브릿지부
3: 템플부 31: 가장자리
5: 코 패드부 51: 블록 부재
W: 템플부의 폭

Claims (3)

  1.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
    로 적어도 구성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들의 중심들이 장착자의 눈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상기 템플부의 폭을, 상기 렌즈들의 중심들의 간격에 상당하는 거리로부터 상기 렌즈 유지 프레임부의 폭에 상당하는 거리의 범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2. 상하에 배치되는 판형의 렌즈들을 유지하는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와,
    상기 한 쌍의 렌즈 유지 프레임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부와,
    템플부와,
    상하 반전되었을 때에 코에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릿지부에 마련되는 코 패드부
    로 적어도 구성하고, 이들을 판형으로 일체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들의 중심들이 장착자의 눈의 위치에 합치하도록, 상기 템플부의 상하 한쪽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한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키고, 상기 템플부의 상하 다른쪽의 가장자리를, 상하에 배치된 다른쪽의 렌즈의 중심과 합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 패드부는, 코를 지지하기 위한 연질재의 블록 부재를 상기 브릿지부에 접착시켜 형성되는 것인,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KR1020197019636A 2016-12-14 2017-03-17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KR102328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2187A JP6351698B2 (ja) 2016-12-14 2016-12-14 眼鏡状の簡易フレーム
JPJP-P-2016-242187 2016-12-14
PCT/JP2017/010852 WO2018109958A1 (ja) 2016-12-14 2017-03-17 眼鏡状の簡易フレー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521A KR20190091521A (ko) 2019-08-06
KR102328401B1 true KR102328401B1 (ko) 2021-11-18

Family

ID=6255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636A KR102328401B1 (ko) 2016-12-14 2017-03-17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51698B2 (ko)
KR (1) KR102328401B1 (ko)
CN (1) CN110073278B (ko)
WO (1) WO201810995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895Y1 (ko) * 2005-02-28 2005-07-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2014085363A (ja) *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上下反転式遠近両用メガネ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346U (ko) * 1976-07-13 1978-02-01
JPH0143691Y2 (ko) * 1986-01-14 1989-12-19
JPH01142921A (ja) 1987-11-30 1989-06-05 Nec Corp マウス型入力装置
JPH01171416A (ja) 1987-12-25 1989-07-06 Asahi Chem Ind Co Ltd 施肥装置
JPH01142921U (ko) * 1988-03-23 1989-09-29
JPH01171416U (ko) * 1988-05-12 1989-12-05
JPH01172019U (ko) * 1988-05-25 1989-12-06
DE3841939A1 (de) * 1988-12-13 1990-06-21 Stemme Otto Brille
JPH07159733A (ja) * 1993-12-10 1995-06-23 Bunzo Hirano 遠近両用眼鏡
JP2728626B2 (ja) * 1994-03-18 1998-03-18 文三 平野 遠近両用眼鏡
JP3031992U (ja) 1996-05-28 1996-12-13 重成 松江 めがね
US6705724B1 (en) * 2003-05-19 2004-03-16 Darrell Willis Bridge of the nose eyewear support system
JP3105983U (ja) 2004-06-16 2004-12-09 特定非営利活動法人 日本ケアフィットサービス協会 疑似体験用簡易めがね
US7517081B2 (en) * 2006-07-20 2009-04-14 Real D Low-cost circular polarizing eyewear
KR20100009119A (ko) * 2008-07-18 2010-01-27 오태연 안경 브릿지 지지대
JP2010286805A (ja) * 2009-06-10 2010-12-24 Tatsumi Adachi 眼鏡のずれ落ち防止シリコンゴムシール
US8579433B2 (en) * 2010-02-22 2013-11-12 Mark S. Margolis Low-cost eyeglasses
KR20130049641A (ko) * 2011-11-04 2013-05-14 박도찬 안경용 보조패드
JP3180998U (ja) * 2012-07-03 2013-01-24 國憲 中村 眼鏡
KR20140004814U (ko) * 2013-02-20 2014-08-28 이종욱 안경미끌림방지스티커
US9804413B2 (en) * 2013-09-30 2017-10-31 Sandra W. Smith One stem reversible reading glasses
CN104076524A (zh) * 2014-07-21 2014-10-01 东兴华鸿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两用眼镜
JP3202187U (ja) * 2015-11-06 2016-01-21 株式会社ハセガワ・ビコー メガネの鼻当て部のクッション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895Y1 (ko) * 2005-02-28 2005-07-07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2014085363A (ja) * 2012-10-19 2014-05-12 Asakura Plan Kk 上下反転式遠近両用メガ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1698B2 (ja) 2018-07-04
CN110073278A (zh) 2019-07-30
JP2018097186A (ja) 2018-06-21
WO2018109958A1 (ja) 2018-06-21
KR20190091521A (ko) 2019-08-06
CN110073278B (zh)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884B1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20190049869A (ko) 원근 양용 안경형의 프레임
KR102469152B1 (ko) 안경형의 프레임
JP6268247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KR102328401B1 (ko) 안경형의 간이 프레임
CA2306903A1 (en) Optical lens
JP6171033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330090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WO2018047912A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US5680193A (en) Positioning device for eyeglasses having bifocal lenses
JP6276748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210521U (ja) 明視用付加メガネ
US20200409184A1 (en) Pinhole glasses using three-dimensional intersection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comb teeth
JP6407385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6268263B1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US2410141A (en)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spectacles
CN216792613U (zh) 一种可套接墨镜的儿童眼镜
JP6170993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H07261128A (ja) 遠近両用眼鏡
JP2019197121A (ja) 上下反転可能な眼鏡状のフレーム
JP2015232726A (ja) 眼鏡フレーム
JP6379266B2 (ja) 遠近両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191640U (ja) 眼鏡フレーム
JP2019191387A (ja) 上下反転可能な眼鏡状のフレーム
JP3100890U (ja) 検眼用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