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218B1 -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 Google Patents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218B1
KR102328218B1 KR1020190156097A KR20190156097A KR102328218B1 KR 102328218 B1 KR102328218 B1 KR 102328218B1 KR 1020190156097 A KR1020190156097 A KR 1020190156097A KR 20190156097 A KR20190156097 A KR 20190156097A KR 102328218 B1 KR102328218 B1 KR 10232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endar
education
dimensional
weather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621A (ko
Inventor
성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언스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언스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언스존
Priority to KR102019015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2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DRAILWAY OR LIKE TIME OR FARE TABLES; PERPETUAL CALENDARS
    • G09D3/00Perpetual calen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단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별 날씨 변화를 학습할 수 있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일면에 지도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도부재;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날짜가 프린트된 달력부재; 및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개구를 차폐하며, 일면에 상기 달력부재의 날짜와 대응되는 기단(air mass) 정보가 제공되는 기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Three-dimensional calendar for weather education and planar figure the same}
본 발명은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단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별 날씨 변화를 학습할 수 있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교나 학원 등에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air mass)에 대하여 공부할 때 사용되는 학습교재는 평면의 종이에 그림이나 글씨를 프린트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교재의 경우 일시적인 흥미나 교육적 효과를 줄 수는 있지만 단조로움 및 내용상 한계로 인해, 새로운 것을 원하는 학습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고 일회적인 사용에 그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656호(2008.02.28 공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는 달력부재를 회전시켜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날짜를 매칭시킬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별 날씨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1 달력부재 및 제2 달력부재를 회전시켜 현재의 날짜와 동일하게 매칭시킬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반영구적인 달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학습자가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를 직접 자르고 접어 교육용 입체 캘린더를 만들어볼 수 있게 함으로써 높은 체험 교육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일면에 지도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도부재;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날짜가 프린트된 달력부재; 및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개구를 차폐하며, 일면에 상기 달력부재의 날짜와 대응되는 기단(air mass) 정보가 제공되는 기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달력부재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12의 숫자가 표기된 제1 달력부재와,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달력부재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31의 숫자가 표기된 제2 달력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달력부재는 상기 숫자가 표기된 부위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제2 달력부재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제1 달력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기단 정보를 색 정보로 나타낼 수 있도록 안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부재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 추가 구비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 축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축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축의 양단에는 상기 바디부 및 달력부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캡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계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점선이 프린트된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 및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점선이 프린트된 제1 지도부재와, 상기 제1 지도부재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도부재를 포함하는 지도부재;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12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1 메인부와, 상기 제1 메인부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달력부재;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31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2 메인부와, 상기 제2 메인부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달력부재; 및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에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점선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면에 지도 그림이 프린트된 국가부재와, 상기 국가부재의 양측부로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지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부재의 지도 그림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입체 지도부재의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달력부재는 상기 숫자가 프린트된 부위 사이마다 제3 점선이 형성되고, 상기 숫자가 프린트된 부위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점선 사이마다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바디부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각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접착부와, 상기 제1 지도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지도부재의 각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도부재의 타단 및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3 접착부와, 상기 제1 메인부의 일단 및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메인부의 타단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4 접착부와, 상기 제2 메인부의 일단 및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메인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5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지도부재와, 상기 제1 달력부재와, 상기 제2 달력부재, 및 상기 기단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종이에 프린트되고, 각각의 테두리 부위에는 절취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달력부재를 회전시켜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날짜를 매칭시킬 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별 날씨를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제1 달력부재 및 제2 달력부재를 회전시켜 현재의 날짜와 동일하게 매칭시킬 있으므로,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를 반영구적인 달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학습자가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를 직접 자르고 접어 교육용 입체 캘린더를 만들어볼 수 있으므로, 높은 체험 교육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바디부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지도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제1 달력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제2 달력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기단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에 구비된 입체 지도부재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는 바디부(110)와, 지도부재(120)와, 달력부재(130)와, 기단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회전 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축(10)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바디부(110)의 양단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축(10)을 잡고 바디부(110)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바디부(110)는 회전 축(1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10)가 회전 축(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회전 축(10)의 양단에는 고정 캡(11)이 제공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개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0a)는 바디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모서리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가 7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구(110a)는 7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옆면에 제공될 수 있다.
지도부재(120)는 일면에 지도 정보가 제공되고, 개구(110a)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바디부(110)의 수용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부재(1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 추(20)가 구비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회전 축(10)이 관통하는 관통 홀(120a)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 축(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도부재(120) 내에 무게 추(20)가 구비됨에 따라 바디부(110)를 회전시키더라도 지도부재(120)는 바디부(110) 내에서 회전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무를 수 있다.
지도부재(120)는 일면에 입체 지도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 지도부재(150)는 지도부재(120)에 프린트된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지도부재(120)로부터 개구(110a)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도부재(120)에 입체감을 부여하여 현실감을 주기 위함이다.
달력부재(130)는 회전 축(10)에 연결되어 바디부(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날짜가 프린트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달력부재(130)는 제1 달력부재(131)와, 제2 달력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달력부재(131)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측이 바디부(1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12의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달력부재(131)는 일측이 개방된 12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옆면에는 각각 1 내지 12의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면 중앙에는 회전 축(10)이 관통하여, 회전 축(10)을 잡고 제1 달력부재(131)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1 달력부재(131)는 회전 축(1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달력부재(132)는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달력부재(131)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31의 숫자가 표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달력부재(132)는 타측이 개방된 16각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15개의 옆면에는 각각 1 내지 30의 숫자가 2개씩 쌍을 이루어 인쇄되고, 마지막 1개의 옆면에는 31의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면 중앙으로 회전 축(10)이 관통하여, 회전 축(10)을 잡고 제2 달력부재(132)에 일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2 달력부재(132)는 회전 축(10)으로부터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달력부재(131) 및 제2 달력부재(132)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현재 날짜에 맞게 제1 달력부재(131) 및 제2 달력부재(132)를 회전 및 정지시키면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를 반영구적인 달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달력부재(131)는 숫자가 표기된 부위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제2 달력부재(132)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달력의 월이 표시된 부위에 날짜 지시부(31)가 형성됨에 따라, 제2 달력부재(132)를 회전시켜 현재의 날짜와 대응되는 숫자를 날짜 지시부(31)와 마주보게 배치시키면, 외부에서 보았을 때 보다 정확히 현재의 날짜를 인식할 수 있다.
기단부재(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바디부(110)의 개구(110a)를 차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단부재(140)가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제공됨에 따라, 바디부(110) 내에 배치된 지도부재(120)는 기단부재(140)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게 된다.
기단부재(140)는 일면에 달력부재(130)의 날짜와 대응되는 기단(air mass)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단 정보는 대한민국의 겨울인 12월, 1월, 2월에 영향을 미치는 시베리아 기단과, 초봄인 3월에 영향을 미치는 시베리아 기단 + 양쯔강 기단과, 봄인 4월, 5월에 영향을 미치는 양쯔강 기단과, 초여름인 6월에 영향을 미치는 오호츠크해 기단과, 여름 장마철인 7월에 영향을 미치는 오호츠크해 기단 + 북태평양 기단과, 여름인 8월, 9월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기단 + 적도 기단과, 가을인 10월, 11월에 영향을 미치는 양쯔강 기단으로 분류되어, 각각의 기단부재(140)에 프린트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단부재(140)에 달력부재(130)의 날짜와 대응되는 기단 정보가 제공됨에 따라, 달력부재(130)를 회전시켜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날짜를 매칭함으로써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기단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계절별 날씨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달력부재(130)의 날짜와 기단 정보의 매칭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바디부(110) 및 제1 달력부재(131)의 표면에는 기단 정보를 색 정보로 나타낼 수 있도록 안료가 코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에 작용하는 시베리아 기단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시베리아 기단 주변에 위치한 바디부(110) 및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는 12월, 1월, 2월이 프린트된 제1 달력부재(131)에는 파란색의 안료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봄과 가을에 작용하는 양쯔강 기단은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양쯔강 기단 주변에 위치한 바디부(110) 및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는 4월, 5월, 10월, 11월이 프린트된 제1 달력부재(131)에는 노란색의 안료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만약, 초봄인 3월과 같이 시베리아 기단과 양쯔강 기단이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제1 달력부재(131)의 3월이 프린트된 부위를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파란색의 안료를 코팅하고, 나머지에는 노란색의 안료를 코팅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오호츠크해 기단은 주황색으로, 북태평양 기단은 빨간색으로, 적도 기단은 진한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바디부(110) 및 제1 달력부재(131)에는 이에 해당하는 색상의 안료가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달력부재(131)를 회전시켜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날짜를 매칭할 때, 제1 달력부재(131)의 색 정보와 바디부(110)의 색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면 보다 용이하게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날짜를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부(110)의 타측면에는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계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베리아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14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겨울"이란 글자가 프린트될 수 있고, 시베리아 기단 정보 및 양쯔강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14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초봄"이란 글자가 프린트되고, 양쯔강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14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봄" 또는 "가을"이란 글자가 프린트되고, 오호츠크해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14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초여름"이란 글자가 프린트되고, 오호츠크해 기단 정보 및 북태평양 기단 정보와, 북태평양 기단 정보 및 적도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14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여름"이란 글자가 프린트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은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구성 요소들의 전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각 구성 요소들의 전개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바디부(110)의 전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점선(11a)이 프린트된 제1 바디부(111)와, 제1 바디부(111)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바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1)는 제1 점선(11a)에 의하여 7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1 점선(11a)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11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디부(11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7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바디부(111)의 양 측부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1 점선(11a)을 따라 제1 바디부(111)를 접으면 제1 바디부(111)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7각 기둥 형태로 형성된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2 바디부(112)를 제1 바디부(111)의 양측 단부측으로 접으면 바디부(110)는 양측 단부가 폐쇄된 7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1) 및 제2 바디부(112)에는 제1 접착부(11b) 및 제2 접착부(12b)가 구비되어 있어 전개도를 접은 후 제1 바디부(111) 및 제2 바디부(11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부(11b)는 제1 바디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점선(11a) 사이마다 제공되어 한 쌍의 제2 바디부(112)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접착부(12b)는 제2 바디부(112)의 각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바디부(111)의 타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착부(11b) 및 제2 접착부(12b)의 일면에 양면 테이프를 제공하거나 풀과 같은 접착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12)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지도부재(120)의 전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부재(120)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 및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점선(12a)이 프린트된 제1 지도부재(121)와, 제1 지도부재(121)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도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도부재(121)는 제2 점선(12a)에 의하여 5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도부재(12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5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지도부재(121)의 양측부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2 점선(12a)을 따라 제1 지도부재(121)를 접으면 제1 지도부재(121)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5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2 지도부재(122)를 제1 지도부재(121)의 양측 단부 측으로 접으면 지도부재(120)는 양측 단부가 폐쇄된 5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도부재(121) 및 제2 지도부재(122)에는 제3 접착부(13b)가 구비되어 있어 전개도를 접은 후 제1 지도부재(121) 및 제2 지도부재(122)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접착부(13b)는 제1 지도부재(121)의 일단 및 제2 지도부재(122)의 각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도부재(121)의 타단 및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도부재(122)의 중심부에는 회전 축(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홀(120a) 또는 관통 홀 형성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축(10)의 뾰족한 부분을 관통 홀(120a)에 삽입시키거나 관통 홀 형성부(미도시)를 뚫고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지도부재(120)는 회전 축(10)에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제1 달력부재(131)의 전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달력부재(131)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12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1 메인부(131a)와, 제1 메인부(131a)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인부(131a)는 제3 점선(13a)에 의하여 12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3 점선(13a) 사이마다 1월 내지 12월의 글자가 프린트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31b)는 12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메인부(131a)의 일측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3 점선(13a)을 따라 제1 메인부(131a)를 접으면 제1 메인부(131a)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12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1 지지부(131b)를 제1 메인부(131a)의 일측 단부측으로 접으면 제1 달력부재(131)는 일측 단부가 폐쇄된 12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메인부(131a)에는 제4 접착부(14b)가 구비되어 있어 전개도를 접은 후 제1 메인부(131a) 및 제1 지지부(131b)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접착부(14b)는 제1 메인부(131a)의 일단 및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메인부(131a)의 타단 및 제1 지지부(131b)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131b)의 테두리에도 제4 접착부(14b)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1 메인부(131a)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제2 달력부재(132)의 전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달력부재(132)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31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2 메인부(132a)와, 제2 메인부(132a)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인부(132a)는 제4 점선(14a)에 의하여 16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4 점선(14a) 사이마다 1 내지 31의 숫자가 2개씩 쌍을 이루어 프린트될 수 있다. 이때, 마지막 숫자 31은 단독으로 프린트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132b)는 16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메인부(132a)의 일측에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4 점선(14a)을 따라 제2 메인부(132a)를 접으면 제2 메인부(132a)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16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2 지지부(132b)를 제1 메인부(131a)의 일측 단부측으로 접으면 제2 달력부재(132)는 일측 단부가 폐쇄된 16각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인부(132a)에는 제5 접착부(15b)가 구비되어 있어 전개도를 접은 후 제2 메인부(132a) 및 제2 지지부(132b)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접착부(15b)는 제2 메인부(132a)의 일단 및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메인부(132a)의 타단 및 제2 지지부(132b)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132b)에도 제5 접착부(15b)를 더 구비함으로써 제2 메인부(132a)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기단부재(140)의 전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재(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에 기단 정보가 프린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단부재(140)는 제5 점선(15a)에 의하여 7등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5 점선(15a) 사이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7개의 기단 정보가 프린트될 수 있다. 이러한 기단부재(140)는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여 제5 점선(15a)을 커팅함으로써 7개로 구획될 수 있고, 접착제를 통하여 개구(110a) 주변의 바디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에 구비된 입체 지도부재(150)의 전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지도부재(150)는 지도부재(120)에 프린트된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면에 지도 그림이 프린트된 국가부재(151)와, 국가부재(151)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체 지도부재(150)는 지도부재(12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부재(120)의 지도 그림 상부 및 하부에는 절개 홀(120b)이 형성되고, 이 절개 홀(120b)에 연결부재(152)가 끼워져 지도부재(120) 및 입체 지도부재(15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가부재(151)는 한반도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152)는 제6 점선(16a)에 의하여 2등분으로 나누어져 절개 홀(120b)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52)가 제6 점선(16a)에 의하여 2등분됨에 따라, 연결부재(152)가 절개 홀(120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6 점선(16a)을 접으면 연결부재(152)는 지도부재(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디부(110)와, 지도부재(120)와, 제1 달력부재(131)와, 제2 달력부재(132), 및 기단부재(14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종이에 프린트되고, 각각의 테두리 부위에는 절취선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위 또는 칼을 이용하여 종이에 프린트된 절취선을 따라 커팅하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전개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의 조립 및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바디부(110)의 전개도 일면에 기단부재(140)를 부착시켜 바디부(110)의 개구(110a)를 기단부재(140)가 차폐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제1 바디부(111)에 프린트된 제1 점선(11a)을 따라 접어 7각 기둥 형상을 만든 후, 제2 접착부(12b)를 이용하여 한 쌍의 제2 바디부(112) 중 하나를 제1 바디부(111)의 일단에 겹합시킨다.
이후 지도부재(120)의 전개도에 프린트된 제2 점선(12a)을 따라 접어 5각 기둥 형태로 만든다. 그리고, 지도부재(120)의 내부에 한 쌍의 무게 추(20)를 안착시킨 후 제3 접착부(13b)를 이용하여 지도부재(120)의 내부를 차폐함으로써 무게 추(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회전 축(10)이 제2 바디부(112) 및 지도부재(120)의 양단을 통과하도록 하여 지도부재(120)가 바디부(11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 후, 제1 접착부(11b)를 이용하여 나머지 제2 바디부(112)를 제1 바디부(111)의 타단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제1 달력부재(131)의 전개도에 프린트된 제3 점선(13a)을 따라 접은 후 제4 접착부(14b)를 이용하여 제1 메인부(131a) 및 제1 지지부(131b)를 결합시킨다. 이후 제1 지지부(131b)에 형성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31)가 바디부(110)의 반대 측을 향하도록 배치시킨 후 회전 축(10)이 제1 지지부(131b)를 관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달력부재(132)의 전개도에 프린트된 제4 점선(14a)을 따라 접은 후 제5 접착부(15b)를 이용하여 제2 메인부(132a) 및 제2 지지부(132b)를 결합시킨다. 이후 회전 축(10)을 제2 지지부(132b)에 관통시킨 후 제2 달력부재(132)의 일단이 제1 달력부재(131)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한 쌍의 고정 캡(11)을 회전 축(10) 양단에 끼워줌으로써 바디부(110) 및 제2 달력부재(132)가 회전 축(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를 직접 자르고 접어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를 만들어볼 수 있으므로, 높은 체험 교육의 효과가 있다.
또한, 완성된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100)를 사용하는 경우, 기단의 종류에 따른 계절별 날씨 변화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높은 체험 교육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달력부재(131) 및 제2 달력부재(132)를 회전시켜 현재의 날짜와 동일하게 매칭시킬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달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바디부
111: 제1 바디부
112: 제2 바디부
120: 지도부재
121: 제1 지도부재
122: 제2 지도부재
130: 달력부재
131: 제1 달력부재
132: 제2 달력부재
140: 기단부재
150: 입체 지도부재
151: 국가부재
152: 연결부재

Claims (14)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회전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바디부;
    일면에 지도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도부재;
    상기 회전 축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날짜가 프린트된 달력부재; 및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의 개구를 차폐하며, 일면에 상기 달력부재의 날짜와 대응되는 기단(air mass) 정보가 제공되는 기단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개구를 차폐한 상기 기단부재를 통해 바디부의 내부 수용 공간에 배치된 상기 지도부재가 외부에서 보이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력부재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타측이 상기 바디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12의 숫자가 표기된 제1 달력부재와,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달력부재의 개구부에 일부가 삽입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1 내지 31의 숫자가 표기된 제2 달력부재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달력부재는 상기 숫자가 표기된 부위의 일측 둘레를 따라 제공되고, 상기 제2 달력부재가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 및 상기 제1 달력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기단 정보를 색 정보로 나타낼 수 있도록 안료가 코팅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부재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무게 추가 구비된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 축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 축에 지지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의 양단에는 상기 바디부 및 달력부재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캡이 제공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타측면에는 상기 기단 정보와 대응되는 계절 정보가 제공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8.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점선이 프린트된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 및 폭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점선이 프린트된 제1 지도부재와, 상기 제1 지도부재의 양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도부재를 포함하는 지도부재;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12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1 메인부와, 상기 제1 메인부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달력부재;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1 내지 31의 숫자가 프린트된 제2 메인부와, 상기 제2 메인부의 일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다각형의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달력부재; 및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 재질로 형성되고, 일면에 기단 정보가 프린트된 기단부재;
    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점선들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국가의 지도 그림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고, 일면에 지도 그림이 프린트된 국가부재와, 상기 국가부재의 양측부로 각각 연장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입체 지도부재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부재의 지도 그림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입체 지도부재의 연결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절개 홀이 형성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달력부재는 상기 숫자가 프린트된 부위 사이마다 제3 점선이 형성되고, 상기 숫자가 프린트된 부위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삼각 형상의 날짜 지시부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점선 사이마다 제공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바디부 중 하나에 부착될 수 있는 제1 접착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각 테두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바디부의 타측에 부착될 수 있는 제2 접착부와,
    상기 제1 지도부재의 일단 및 상기 제2 지도부재의 각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지도부재의 타단 및 양측면에 부착될 수 있는 제3 접착부와,
    상기 제1 메인부의 일단 및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메인부의 타단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4 접착부와,
    상기 제2 메인부의 일단 및 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메인부의 타단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5 접착부를 포함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지도부재와, 상기 제1 달력부재와, 상기 제2 달력부재, 및 상기 기단부재는 하나 또는 복수의 종이에 프린트되고, 각각의 테두리 부위에는 절취선이 제공되는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의 전개도.
KR1020190156097A 2019-11-28 2019-11-28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KR10232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97A KR102328218B1 (ko) 2019-11-28 2019-11-28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97A KR102328218B1 (ko) 2019-11-28 2019-11-28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21A KR20210066621A (ko) 2021-06-07
KR102328218B1 true KR102328218B1 (ko) 2021-11-23

Family

ID=7637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097A KR102328218B1 (ko) 2019-11-28 2019-11-28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2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8119A (ja) 2006-06-07 2007-12-20 Hideyuki Ueda 地球儀の型紙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585A (ja) * 1994-04-04 1995-10-27 Itoki Crebio Corp 複合学習装置
GB2291531B (en) * 1994-07-14 1998-07-15 Peter Mansi Educational aid
KR200438656Y1 (ko) 2007-01-29 2008-02-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상 대비용 학습 도구
TWM338416U (en) * 2008-04-08 2008-08-11 Ying-Nai Wang DIY teaching card with marks of acupuncture points for health keeping and protection
KR20110025943A (ko) * 2011-02-24 2011-03-14 마승우 학습용 별자리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8119A (ja) 2006-06-07 2007-12-20 Hideyuki Ueda 地球儀の型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WM338416 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2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122B2 (en) Word isolating educational tool
CA2267822A1 (en) Book with rotating cut-out portion
KR102328218B1 (ko) 기상 교육용 입체 캘린더 및 이의 전개도
US3744154A (en) Teaching device
JP3134310U (ja) 語学教材
KR101866148B1 (ko) 학습용 미니북 및 미니북 편집구조
US2824389A (en) Education device
CN211555203U (zh) 便于展示的易拆组货币展示册
Ligon et al. Preparing Students for Standardized Testing: One District's Perspective.
KR200355674Y1 (ko) 곤충모형 접기용 종이
US6454307B1 (en) Reading device with a movable binding which alternately allows access to one or two sets of pages
US3478440A (en) Teaching device
CN209790872U (zh) 一种儿童智力开发用磁吸式积木拼图盒
JP3216603U (ja) 英語の辞書引きのための学習用付箋紙
KR101468333B1 (ko) 그림연습용 교재
JP6725796B2 (ja) テンプレート定規及びそのガイド
CN210553738U (zh) 一种自行拼接立体书
JP3207760U (ja) 色見本
KR100473648B1 (ko) 문자학습카드와 이를 구비한 문자학습교재
KR200288951Y1 (ko) 학습 인쇄물 스케치북
KR200336723Y1 (ko) 탈부착 기립형 학습자료 표시판부재
KR20150051874A (ko) 투명필름을 이용한 한자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자학습방법
Tsai English development and policy in Taiwan: A guide for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JP2012133283A (ja) 学習用具
KR200194001Y1 (ko) 캐릭터 스티커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