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427B1 -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427B1
KR102326427B1 KR1020210035787A KR20210035787A KR102326427B1 KR 102326427 B1 KR102326427 B1 KR 102326427B1 KR 1020210035787 A KR1020210035787 A KR 1020210035787A KR 20210035787 A KR20210035787 A KR 20210035787A KR 102326427 B1 KR102326427 B1 KR 102326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upport
main
berthing
mai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석
원광희
장근영
최용석
박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민중공업
Priority to KR102021003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01D15/20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collapsible, expandable, inflatable or the like with main load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nly of non-rigi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6Pontoons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 브릿지 및 연결 브릿지가 해상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면서 선박이 육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Floating marine structures for berthing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이 육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 해상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상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구조물을 통칭하여 해양구조물이라고 하며, 해저지반과의 연결 방법에 따라 고정식, 착저식 및 부유식으로 분류한다.
저수심 해역일 경우 고정식 해양시설물이 유리하나, 고수심 해역에서는 부유식 구조물이 잔교식이나 매립식 같은 고정식 구조물과 비교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부유식 구조물은 부유체를 해상에 띄운 후 돌핀, 계류선 등의 계류장치로 위치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현재 부유식 교량, 유류저장기지, LNG터미널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부유식 구조물은 고정식 구조물과 달리, 파랑, 조류, 바람 등과 같은 해양외력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45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유식 구조물은 특성상 파랑과 같은 해양외력에 의한 요동이 발생하고, 부유식 액체저장기지의 경우 구조물의 요동으로 인해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진동하며, 액체에 의해서 구조물 내부 벽체에 매우 큰 압력을 발생시켜 부유식 구조물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해상구조물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파랑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제안한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45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 브릿지 및 연결 브릿지가 해상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면서 선박이 육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브릿지,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메인 브릿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에 설치되는 기어부 및 상기 지지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부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는 해상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안 모드와,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가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접혀지는 정박 모드 중에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안 모드에서는,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가 ‘ㄱ’ 자, ‘ㄴ’ 자, ‘ㄷ’ 자 및 ‘一’ 자와 같은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되고, 선박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는, 상기 메인 브릿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부유체 및 상기 연결 브릿지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유체는, 상기 제 2부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제 2부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모터로 이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펌프 및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브릿지, 연결 브릿지 및 부력부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는, 파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부의 하부를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은 메인 브릿지 및 연결 브릿지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선박이 육지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 해상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선박이 접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브릿지 및 연결 브릿지가 선박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인 브릿지, 연결 브릿지 및 부력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부의 하부를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파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해상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된 모습을 나타내는 전체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一’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정박모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연결 브릿지와 제 2부유체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제 2부유체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ㄴ’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ㄱ’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해상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된 모습을 나타내는 전체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一’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정박모드로 접혀진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연결 브릿지와 제 2부유체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기어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제 2부유체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ㄴ’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ㄱ’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접안모드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펼쳐진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해상에 부유하는 해상 구조물로서, 선박이 육상 부두(1A)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100),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브릿지(200),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대(300), 상기 메인 브릿지(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200)에 설치되는 기어부(400) 및 상기 지지대(300)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부력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100)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현지 상황에 맞게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일반 강제를 사용한 종래의 해상 구조물 보다 월등히 가볍고, 일반 강제보다 비중이 작아 자체적인 부력도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브릿지(100)에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양측으로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연결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110)은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높이 중심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110)은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홈(110)은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메인 브릿지(100)와 중첩되지 않도록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의 넓이보다 더욱 큰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홈(110)에는 내측면의 상부로 고정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연결홈(110)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후술할 기어 돌출부(431)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홈은 후술할 기어 돌출부(431)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홈은 후술할 기어 돌출부(431)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최전방에 설치되어, 육상 부두(1A)와 연결되는 육지 브릿지(120) 및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최후방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접안 브릿지(130)를 포함한다.
상기 육지 브릿지(120) 및 접안 브릿지(130)는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에서 각각 최전방과 최후방에 설치되므로, 상기 육지 브릿지(120) 및 접안 브릿지(130)의 일단부에는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가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육지 브릿지(120) 및 접안 브릿지(130)는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와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되, 후술할 연결 브릿지(200)와 연결되는 타측 방향으로는 수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육지 브릿지(120) 및 접안 브릿지(130)에는 상기 연결홈(110)이 일단부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브릿지(200)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와 동일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메인 브릿지(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반경에 따라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길이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110)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1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육지 브릿지(120)를 서로 연결하거나,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접안 브릿지(1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대(3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원통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부력부(50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 1지지대(31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 2지지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지지대(31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후술할 제 1부유체(51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대(31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에서 복수 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지대(320)는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대(320)의 중심부에는 후술할 제 2부유체(520)에 설치된 후술할 샤프트(524)와 연결될 수 있도록 삽입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지지대(320)는 후술할 제 2부유체(520)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200)에 설치되는 기어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기어부(4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를 연결하면서 동시에,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를 서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부(210)는 상기 지지대(30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선기어(410), 상기 기어부(40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링기어(420) 및 상기 선기어(410)와 상기 링기어(420) 사이에서 지지되면서 물리는 유성기어(430)를 포함한다.
상기 선기어(410)는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 2지지대(3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링기어(42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링기어(420)는 상기 기어부(40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후술할 유성기어(43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기어(430)는 상기 선기어(410)와 상기 링기어(4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선기어(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기어(420)로 구동력을 전달하면서 회전한다. 상기 유성기어(43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430)에는 상기 유성기어(430)의 상부로 기어 돌출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 돌출부(431)는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상기 메인 브릿지(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111)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4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서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300)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부력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부력부(5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를 해수면에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력부(500)는 부력을 높이고, 파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부의 하부를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부(500)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력부(500)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력부(5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폭과 길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부(500)는 상기 제 1지지대(310)와 연결되는 제 1부유체(510) 및 상기 제 2지지대(320)와 연결되는 제 2부유체(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부유체(510)는 상기 제 1지지대(31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 브릿지(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1부유체(510)는 상기 제 1지지대(31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부유체(520)는 상기 제 2지지대(320)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 브릿지(2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 2부유체(520)는 상기 제 2지지대(3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제 2부유체(520)는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21), 상기 모터(52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고정부(522), 상기 고정부(522)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300)에 결합되는 샤프트(524),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내부에 마련되어,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탱크(525), 상기 오일 탱크(525)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모터(521)로 이송하는 펌프(526) 및 상기 펌프(526)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펌프(526) 및 모터(521)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527)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521)는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 지지대(2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모터(521)는 바람직하게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전기식으로도 작동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522)는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모터(521)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522)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522)에는 양단부로 지지대 고정홈(52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 고정홈(523)은 상기 지지대(300)의 일측면과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522)는 상기 제 2부유체(520) 및 상기 제 2지지대(32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5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한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샤프트(524)는 상기 고정부(522)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2지대(320)와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524)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오일 탱크(525)는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되며, 오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오일 탱크(525)의 내부에는 빈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 탱크(525)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내부 공간 및 상기 제 2부유체(520)의 부력에 따라 크기 및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526)는 상기 오일 탱크(525)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오일을 상기 모터(521)로 이송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즉, 상기 펌프(526)는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관을 통하여 상기 오일을 상기 모터(521)로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527)는 상기 펌프(526)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상기 펌프(526) 및 모터(521)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527)은 상기 펌프(526) 및 모터(521)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터리(527)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527)는 메인용 및 서브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상기 메인용 배터리(527)로 사용하다가, 상기 메인용 배터리(527)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브용 배터리(527)로 상기 펌프(526) 및 모터(521)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한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선박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를 해상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안 모드와,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를 접혀지는 정박 모드 중에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접안 모드에서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ㄱ’ 자, ‘ㄴ’ 자, ‘ㄷ’ 자 및 ‘一’ 자와 같은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되고, 선박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ㄴ’ 자와 같은 모양으로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는, 먼저, 상기 육지 브릿지(120)가 상기 육상 부두(1A)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육지 브릿지(120)는 상기 연결 브릿지(200)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와 연결된다. 이후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접안 브릿지(130)와 연결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육상 부두(1A)를 시작으로, 상기 육지 브릿지(120)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브릿지(200) 및 상기 메인 브릿지(100)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고, 마지막으로 상기 접안 브릿지(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 중에 어느 하나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전체적으로 ‘ㄴ’자와 같은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도 8를 참조하면 ‘ㄴ’자와 같은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ㄷ’자 및 ‘一’자와 같은 모양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선박의 위치에 따라 ‘ㄱ’ 자, ‘ㄴ’ 자, ‘ㄷ’ 자 및 ‘一’ 자와 같은 모양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박 모드에서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접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가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접혀지는 경우는, 먼저, 상기 육지 브릿지(120)가 상기 육상 부두(1A)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육지 브릿지(120)는 상기 연결 브릿지(200)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와 연결된다. 이후로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연속적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 브릿지(200)는 상기 접안 브릿지(130)와 연결된다. 복수 개로 설치되는 상기 메인 브릿지(100) 및 상기 연결 브릿지(200) 중에 어느 하나가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전체적으로 ‘ㄹ’자와 같은 모양으로 배치된다.
물론, 상기 정박 모드에서는, 상기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이 상기 육상 부두(1A)와 가장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며, ‘ㄹ’자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10)은 해상 방향으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면서 선박이 육상 부두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1A : 육상 부두
100 : 메인 브릿지
110 : 연결홈
120 : 육지 브릿지
130 : 접안 브릿지
200 : 연결 브릿지
300 : 지지대
310 : 제 1지지대
320 : 제 2지지대
400 : 기어부
410 : 선기어
420 : 링기어
430 : 유성기어
431 : 기어 돌출부
500 : 부력부
510 : 제 1부유체
520 : 제 2부유체
521 : 모터
522 : 고정부
523 : 지지대 고정홈
524 : 샤프트
525 : 오일 탱크
526 : 펌프
527 : 배터리

Claims (5)

  1.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
    상기 메인 브릿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홈;
    상기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메인 브릿지를 서로 연결하되, 상면에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연결 브릿지;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의 하부로 돌출되는 지지대;
    상기 메인 브릿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브릿지에 설치되는 기어부; 및
    상기 지지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부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브릿지는,
    상기 메인 브릿지의 최전방에 설치되어, 육상 부두와 연결되는 육지 브릿지; 및
    상기 메인 브릿지의 최후방에 설치되어,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접안 브릿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메인 브릿지의 일측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 1지지대; 및
    상기 연결 브릿지의 양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제 2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 2지지대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선기어;
    상기 기어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링기어; 및
    상기 선기어와 상기 링기어 사이에서 지지되면서 물리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는,
    상기 유성기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 브릿지와 결합되는 기어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부는,
    상기 메인 브릿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지지대와 연결되는 제 1부유체; 및
    상기 연결 브릿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지지대와 연결되는 제 2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부유체는,
    상기 제 2부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제 2부유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내부에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탱크;
    상기 오일 탱크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오일을 상기 모터로 이송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펌프 및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유성기어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기어 돌출부에 연결된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가 서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부력부는, 파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부력부의 하부를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는 해상 방향으로 펼쳐지는 접안 모드와,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가 ‘ㄹ’ 자와 같은 모양으로 접혀지는 정박 모드 중에 어느 하나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접안 모드에서는, 상기 메인 브릿지 및 상기 연결 브릿지가 ‘ㄱ’ 자, ‘ㄴ’ 자, ‘ㄷ’ 자 및 ‘一’ 자와 같은 모양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배치되고, 선박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릿지, 연결 브릿지 및 부력부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35787A 2021-03-19 2021-03-19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102326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87A KR102326427B1 (ko) 2021-03-19 2021-03-19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787A KR102326427B1 (ko) 2021-03-19 2021-03-19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427B1 true KR102326427B1 (ko) 2021-11-15

Family

ID=7850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787A KR102326427B1 (ko) 2021-03-19 2021-03-19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218A (zh) * 2021-11-24 2022-04-08 德清县建豪造船有限公司 一种餐饮趸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22Y1 (ko) 2003-04-16 2003-08-25 이창환 부유식방파제
KR200474540Y1 (ko) * 2013-03-29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표준 모듈화된 스퍼드캔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20170031953A (ko) * 2015-09-14 2017-03-22 김재호 선개교
JP6158908B2 (ja) * 2012-03-16 2017-07-05 クルーズ、ベンチャーズ、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Cruise Ventures As 浮動通路装置及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22Y1 (ko) 2003-04-16 2003-08-25 이창환 부유식방파제
JP6158908B2 (ja) * 2012-03-16 2017-07-05 クルーズ、ベンチャーズ、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Cruise Ventures As 浮動通路装置及びその使用
KR200474540Y1 (ko) * 2013-03-29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표준 모듈화된 스퍼드캔을 갖는 부유식 구조물
KR20170031953A (ko) * 2015-09-14 2017-03-22 김재호 선개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1218A (zh) * 2021-11-24 2022-04-08 德清县建豪造船有限公司 一种餐饮趸船
CN114291218B (zh) * 2021-11-24 2023-09-19 德清县建豪造船有限公司 一种餐饮趸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2546B2 (en) Liquid storage, loading and offloading system
CN104321247B (zh) 一种环翼式浮式平台
US7993176B2 (en) Submersible mooring system
ES2785674T3 (es) Estructura base de lecho marino y método para la instalación de la misma
KR102326427B1 (ko) 선박 접안용 부유식 해상 구조물
ES2711408T3 (es) Estructura flotante para perforación de petróleo
RU2133688C1 (ru) Буй для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на мелкой воде
CN102050208A (zh) 一种液化天然气储运系统及其浮式接收平台
US6718900B2 (en) Variable storage vessel and method
US4067080A (en) Sea terminal
TWI689446B (zh) 具有隨深度改變之水平截面之浮動支撐結構
US8734195B2 (en) Mooring buoy assembly
US3556033A (en) Semi-submersible floating structure with dynamic positioning
RU2198110C2 (ru) Погрузо-разгрузоч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погрузки или выгрузк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US20200354030A1 (en) System for providing stability to a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259089B1 (ko) 해상 시설물 설치용 선박
US3372409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fluids from a marine bottom to a floating vessel
CN113148039A (zh) 模块化超大型浮式平台
MX2011002653A (es) Aparato litoral de aguas profundas y metodo de ensamblaje.
US4107803A (en) Sea terminal
WO1984001554A1 (en) Floating, semi-submersible structure
US6899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offshore platforms
JPS5828157B2 (ja) 単一点浮き繋留装置
KR102117386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계류 시스템
WO1996040549A1 (en) Buoyant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