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365B1 -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365B1
KR102326365B1 KR1020207024779A KR20207024779A KR102326365B1 KR 102326365 B1 KR102326365 B1 KR 102326365B1 KR 1020207024779 A KR1020207024779 A KR 1020207024779A KR 20207024779 A KR20207024779 A KR 20207024779A KR 102326365 B1 KR102326365 B1 KR 10232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unit
cleaning member
member hol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784A (ko
Inventor
요시무네 요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Publication of KR2020011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5/00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5/003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 B41F35/005Cleaning arrangements or devices for screen printers or parts thereof for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0Wiping devices
    • B41P2235/24Wiping devices using rolls of cleaning cl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50Selection of materials or products for clea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Screen Printer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청소 유닛은,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에 대해 점성 유체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 이용된다. 이 청소 유닛은,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시키는 청소 위치와 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청소 위치에서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헤드와, 청소 부재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과 제2 축을 지지하고 청소 헤드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 부재 홀더와, 청소 부재 홀더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고정 위치와 베이스부로부터 떼어내어지고 외부로 반출 가능한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청소 부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 이동부와, 청소 부재 홀더의 제1 축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이 제1 축을 권취 구동하는 청소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본 명세서에서는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를 개시한다.
종래, 예를 들면, 기판 등의 인쇄 대상에 대해 스크린(screen) 마스크를 이용하여 점성 유체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마스크의 이면에 맞닿는 접촉부가 형성된 맞닿음 부재를 가지는 청소 유닛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청소 유닛은, 스퀴지의 단면 청소 처리와 스크린 청소 처리와의 양방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5-016571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청소 유닛에서는,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는 소모품이며, 교체가 필요하지만, 그 교체에 대해서는 특히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청소 부재의 교체는, 예를 들면, 로봇 등에 의해 자동으로 행할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구조는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본 개시는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쇄 장치에 이용되는 청소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는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는 상술의 주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택한다.
본 개시의 청소 유닛은,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에 대해 점성 유체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 이용되는 청소 유닛으로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시키는 청소 위치와 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청소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헤드와, 상기 청소 부재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과 제2 축을 지지하고, 상기 청소 헤드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 부재 홀더와,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고정 위치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떼어내어지고 외부로 반출 가능한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 이동부와, 상기 청소 부재 홀더의 상기 제1 축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이 제1 축을 권취 구동하는 청소 구동부를 구비한 것이다.
이 청소 유닛에서는,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과 제2 축을 지지하고, 청소 헤드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 부재 홀더가 고정 위치에서 베이스부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 유닛은, 스크린 마스크의 청소시에는, 청소 부재 홀더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청소 헤드가 청소 부재를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시키고, 청소 구동부에 의해 청소 부재를 권취 구동하는 등을 하여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한다. 또한, 청소 유닛은, 청소 부재의 교환시에는, 청소 구동부를 접속부에서 접속 해제하고, 청소 부재가 제1 축 및 제2 축에 걸쳐 건네져 지지된 청소 부재 홀더를 홀더 이동부가 교체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 청소 헤드는, 개구부를 통과하여 청소 부재 홀더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청소 부재 홀더가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청소 유닛에서는, 청소 부재 홀더와 함께 청소 부재를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 장치에 이용되는 청소 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인쇄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품을 실장하는 기판이나 입체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점성 유체」로서는, 땜납 페이스트(paste)나 도전성 페이스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청소 부재」로서는, 청소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실장 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청소부(4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청소부(40)의 측면으로부터 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인쇄 장치(11)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청소부(4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청소부(40)의 청소 부재 홀더(43)를 교환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다른 청소 구동부(46B)의 접속부(62B)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례인 인쇄 장치(11)를 포함하는 실장 시스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2는 청소부(4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2A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가 사시도이다. 도 3은 청소부(40)의 측면으로부터 본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인쇄 장치(11)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장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부품을 기판 S에 실장하는 시스템이다. 이 실장 시스템(10)은, 인쇄 장치(11)와, 실장 장치(12)와, 수납 장치(14)와, 관리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18)를 구비하고 있다. 실장 시스템(10)은, 인쇄 장치(11)의 하류측에 부품을 기판 S에 실장하는 복수의 실장 장치(12)가 배치된 실장 라인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좌우 방향(X축), 전후 방향(Y축) 및 상하 방향(Z축)은, 도 1~3, 도 5, 6에 나타낸 대로 한다.
실장 장치(12)는, 인쇄 장치(11)에 의해 땜납 페이스트 등의 점성 유체가 인쇄된 기판 S에 부품을 장착하는 장치이다. 수납 장치(14)는, 인쇄 장치(11)에서 이용되는 교환 대상물을 수납하고, 인쇄 장치(11)와의 사이에서 교환 대상물의 반입, 반출을 행하는 장치이다. 수납 장치(14)는, 인쇄 장치(11)의 전방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수납 장치(14)는, 수납고 내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리프트(lift)(15)(도 4, 6 참조)에 의해, 교환 대상물의 반입, 반출을 행한다. 여기서, 「교환 대상물」에는, 예를 들면, 스크린 마스크 M 외에, 점성 유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cartridge)(33), 스퀴지(squeegee)(25), 스크린 마스크 M의 청소에 이용되는 청소 부재(41) 및 인쇄 대상을 고정하는 지지 부재(기판 지지 부재)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청소 부재(41)를 자동 교환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 PC(18)는, 실장 시스템(10)의 각 장치의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이 관리 PC(18)는, 실장 라인의 각 장치의 진척 상황 등을 관리하고 있다. 실장 시스템(10)의 각 장치는, 관리 PC(18)와 정보를 교환하고, 다른 장치의 진척 상황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인쇄 장치(11)는, 도 1, 4에 나타내듯이, 스퀴지(25)를 이용하여 스크린 마스크 M 상의 땜납을 스크린 마스크 M에 형성된 패턴 구멍에 밀어 넣음으로써 그 패턴 구멍을 통해 하방의 인쇄 대상으로서의 기판 S에, 점성 유체로서의 땜납을 도포(인쇄)하는 장치이다. 「인쇄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부품을 실장하는 기판 S나 입체물 등을 들 수 있다. 「점성 유체」로서는, 땜납 페이스트(paste)나 도전성 페이스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판 S와 땜납을 일례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인쇄 장치(11)는, 제어부(21)(도 4 참조)와, 인쇄부(22)와, 마스크 작업부(26)와, 기판 처리부(30)와, 공급부(32)와, 청소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중심으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서 구성되어 있고 인쇄 장치(11)의 전체를 제어한다.
인쇄부(22)는, 인쇄 장치(11)의 상단에 배설되어 있고, 스크린 마스크 M을 이용하여 점성 유체를 기판 S 상에 인쇄 처리하는 유닛이다. 인쇄부(22)는, 인쇄 헤드(23)와, 인쇄 이동부(24)와, 스퀴지(squeegee) 승강부와, 스퀴지(25)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 이동부(24)는, 인쇄 헤드(head)(23)를 소정의 인쇄 방향(여기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전후 방향에 형성된 가이드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slider)와, 슬라이더를 구동하는 모터(motor)를 구비하고 있다. 스퀴지(25)는, 인쇄 헤드(23)의 하면측에 배설되고, 스퀴지 승강부에 의해 승강된다. 인쇄부(22)는, 전후 방향에 각각 이용되는 2개의 스퀴지(25)를 가지고 있다. 마스크 작업부(26)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인쇄부(22)와 기판 처리부(30)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고, 스크린 마스크 M을 고정 보유하는 유닛이다. 마스크 작업부(26)는, 도 4에 나타내듯이, 마스크 고정부(28)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크 고정부(28)는, 스크린 마스크 M을 위치 결정하여 수평인 자세로 지지 고정한다. 기판 처리부(30)는, 도 2에 나타내듯이, 마스크 작업부(26)의 하방에 배설되고, 기판 S를 반입하고, 반입한 기판 S를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고, 스크린 마스크 M에 접촉, 이간시키는 유닛이다. 기판 처리부(30)는, 기판 S를 좌우 방향으로 반송하는 기판 반송부(31)와, 기판 S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기판 지지 부재와 기판 처리부(30) 전체나 기판 지지 부재를 승강시키는 기판 승강부를 구비한다. 공급부(32)는, 카트리지(33)에 수용된 땜납을 스크린 마스크 M 상에 공급하는 유닛이다. 공급부(32)는, 인쇄 헤드(23)의 전방에 배설되어 있다. 공급부(32)는, 카트리지(cartridge)(33)에 압력을 가하여 카트리지(33)로부터 땜납을 토출시킨다.
청소부(40)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마스크 작업부(26)와 기판 처리부(30)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고, 스크린 마스크 M의 이면을 청소하는 청소 처리를 행하는 유닛이다. 청소부(40)는, 청소 부재(41)를 가지고 있고, 이 청소 부재(41)로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한다. 청소 부재(41)로서는, 예를 들면, 청소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청소부(40)는, 청소 헤드(42)와, 청소 부재 홀더(holder)(43)와, 베이스부(base part)(44)와, 홀더 이동부(45)와, 청소 구동부(46)를 구비하고 있다.
청소 헤드(42)는,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41)를 스크린 마스크 M에 접촉시킴으로써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하는 부재이다. 이 청소 헤드(42)는, X축 방향(좌우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는 직방체의 봉상(棒狀) 부재이다. 청소 헤드(42)는, 헤드 이동부(49)에 의해 청소 위치(도 3의 점선 참조)와 대기 위치(도 3의 실선 참조)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청소 위치에서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한다. 이 청소 헤드(42)는, 승강하여 스크린 마스크 M의 하면측으로부터 청소 부재(41)를 접촉시킨다.
청소 부재 홀더(43)는, 청소 부재(41)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청소 부재 홀더(43)는, 수납 장치(14)의 리프트(lift)(15)에 의해 인쇄 장치(11)로부터 반입, 반출된다. 청소 부재 홀더(43)는, 청소 부재(41)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51)과 제2 축(52)을 지지하고, 청소 헤드(42)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 청소 부재 홀더(43)는, 지지판(47)과, 입벽판(立壁板)(48)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47)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판상 부재이며, 청소 헤드(42)가 통과하는 개구부(53)가 그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입벽판(立壁板)(48)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판상 부재이며, 지지판(47)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입벽판(48)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제1 축(51)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51a)과 제2 축(52)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52a)이 배설되어 있다. 또, 청소 부재 홀더(43)의 지지판(47)에는, 그 전면측에 청소 부재 홀더(43)를 교체하는 리프트(15)의 지지를 받는 교체 지지 부위(54)를 가진다. 교체 지지 부위(54)는, 리프트(15)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다. 또, 이 청소 부재 홀더(43)의 측면측에는, 베이스부(44)에 배설된 고정부(58)를 받는 고정 부위(55)를 가진다. 고정 부위(55)는, 고정부(58)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다.
베이스부(44)는, 청소 부재 홀더(43)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부재이다. 베이스부(44)는, 사방에 벽부를 가지고, 이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청소 부재 홀더(43)가 비집고 들어가는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베이스부(44)는, 그 공간의 중앙 부분에 청소 헤드(42)가 승강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44)는, 이동벽부(57)와, 고정부(58)를 가지고 있다. 이동벽부(57)는, 청소 구동부(46)가 배설되고 청소 부재 홀더(43)에 근접, 이간하는 부재이다. 이 이동벽부(57)는, 청소 구동부(46)의 액츄에이터인 구동부(65)(도 5 참조)에 의해, 구동 위치와 구동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후술 도 5A, 도 5B 참조). 고정부(58)는, 이동벽부(57)에 형성되고 청소 부재 홀더(43)의 일부(고정 부위(55))와 계합하여 청소 부재 홀더(43)의 위치 결정 및 고정을 행하는 부재이다. 이 베이스부(44)에서는, 이동벽부(57)가 구동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청소 부재 홀더(43)가 승강 가능하고, 이동벽부(57)가 구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청소 부재 홀더(43)가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모터(61)의 구동력이 접속부(62)를 통해 제1 축(51)에 전달 가능하게 된다.
홀더(holder) 이동부(45)는, 베이스부(44)의 고정 위치와 베이스부(44)로부터 떼어내어지고 외부로 반출 가능한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청소 부재 홀더(43)를 이동시키는 것이다(후술 도 5B, 도 5C 참조). 홀더 이동부(45)는, 도시하지 않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43)를 승강시킨다. 이 홀더 이동부(45)는, 청소 부재 홀더(43)와 접촉하는 흡착부(60)를 가지고 있다. 흡착부(60)는, 예를 들면, 자력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를 고정(흡착)한다. 이 홀더 이동부(45)는 청소 부재 홀더(43)를 승강하여 고정 위치와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청소 구동부(46)는, 제1 축(51)을 권취 구동하는 것이다. 이 청소 구동부(46)는, 모터(61)와, 접속부(62)와, 구동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61)는, 접속부(62)를 통해 제1 축(51)을 회전 구동한다. 접속부(62)는, 청소 부재 홀더(43)의 제1 축(51)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기구이다. 이 접속부(62)는, 예를 들면, 도 2B에 나타내듯이, 모터(61)에 직결한 회전 부재의 접촉면(63)과, 제1 축(51)에 직결한 회전 부재의 벽면(64)이 접촉하여 모터(61)의 구동력을 제1 축(51)에 전달한다. 이 접속부(62)는, 마찰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톱니바퀴 기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구동부(65)는, 이동벽부(57)를 이동하는 액츄에이터이다. 구동부(65)가 이동벽부(57)를 구동 위치로 이동하면, 접속부(62)가 접속되어 모터(61)의 구동력이 제1 축(51)에 전달된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구성된 인쇄 장치(11)의 동작, 특히 청소부(4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청소부(4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A가 접속 해제 위치에 이동벽부(57)가 있는 도이고, 도 5B가 고정 위치에 청소 부재 홀더(43)가 있고 접속 위치에 이동벽부(57)가 있는 도이고, 도 5C가 교체 위치에 청소 부재 홀더(43)가 있는 도이다. 또, 도 6은 청소부(40)의 청소 부재 홀더(43)를 교환하는 설명도이다. 청소부(40)는, 초기 위치에서는, 청소 부재 홀더(43)가 고정 위치에 있고 이동벽부(57)가 접속 해제 위치에 있다(도 5A). 제어부(21)는, 인쇄 처리를 행하고, 소정의 청소 타이밍(timing)에 이르면, 구동부(65)를 구동시키고, 이동벽부(57)를 접속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청소부(40)에서는, 고정부(58)가 고정 부위(55)에 삽입되고, 청소 부재 홀더(43)가 위치 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 모터(61)가 접속부(62)를 통해 제1 축(51)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헤드 이동부(49)에 의해 청소 헤드(42)를 청소 위치로 이동시키고(도 5B), 스크린 마스크 M의 하면을 청소시킨다. 또, 제어부(21)는, 청소 부재(41)의 사용이 종료하면, 청소 부재 홀더(43)와 함께 새로운 것으로 교환시킨다. 제어부(21)는, 구동부(65)에 의해 이동벽부(57)를 접속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홀더 이동부(45)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43)를 교체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6). 이 때에 청소 헤드(42)는, 개구부(53)를 통과하여 청소 부재 홀더(43)로부터 배제된다. 그리고, 수납 장치(14)로부터 리프트(15)가 교체 지지 부위(54)에 삽입되고, 청소 부재 홀더(43)는 수납 장치(14)에 수납된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청소 부재 홀더(43)는, 리프트(15)에 지지되어 이동하고, 흡착부(60)에 의해 고정되어 홀더 이동부(45)에 의해 고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청소부(40)에서는, 청소 부재(41)가 리프트(15)에 의해 자동 교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본 개시의 구성 요소와의 대응 관계를 분명히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청소 부재(41)가 청소 부재에 상당하고, 청소 헤드(42)가 청소 헤드에 상당하고, 청소 부재 홀더(43)가 청소 부재 홀더에 상당하고, 베이스부(44)가 베이스부에 상당하고, 홀더 이동부(45)가 홀더 이동부에 상당하고, 청소 구동부(46)가 청소 구동부에 상당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의 청소부(40)에서는,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하는 청소 부재(41)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51)과 제2 축(52)을 지지하고, 청소 헤드(42)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53)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 부재 홀더(43)가 고정 위치에서 베이스부(44)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부(40)는, 스크린 마스크 M의 청소시에는, 청소 부재 홀더(43)에 형성된 개구부(53)를 통과하여 청소 헤드(42)가 청소 부재(41)를 스크린 마스크 M에 접촉시키고, 청소 구동부(46)에 의해 청소 부재(41)를 권취 구동하는 등을 하여 스크린 마스크 M을 청소한다. 또한, 청소부(40)는, 청소 부재(41)의 교환시에는, 청소 구동부(46)를 접속부(62)에서 접속 해제하고, 청소 부재(41)가 제1 축(51) 및 제2 축(52)에 걸쳐 건네지고 지지된 청소 부재 홀더(43)를 홀더 이동부(45)가 교체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에 청소 헤드(42)는, 개구부(53)를 통과하여 청소 부재 홀더(43)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청소 부재 홀더(43)가 자유로운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청소부(40)에서는, 청소 부재 홀더(43)와 함께 청소 부재(41)를 교체 가능하기 때문에, 인쇄 장치(11)에 이용되는 청소 부재(41)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또, 청소 부재 홀더(43)는, 개구부(53)가 형성된 지지판(47)과, 지지판(47)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제1 축(51)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51a)과, 제2 축(52)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52a)이 형성된 입벽판(48)을 가진다. 이 청소부(40)에서는, 지지판(47) 및 입벽판(48)을 가지는 청소 부재 홀더(43)에 의해, 청소 부재(41)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또한, 베이스부(44)는, 청소 구동부(46)가 배설되고 청소 부재 홀더(43)에 근접, 이간하는 이동벽부(57)와, 이동벽부(57)에 형성되고 청소 부재 홀더(43)의 일부와 계합하여 위치 결정 및 고정을 행하는 고정부(58)를 가진다. 이 청소부(40)에서는, 고정부(58)를 가지는 이동벽부(57)의 근접, 이간에 의해 청소 구동부(46)의 접속 및 접속 해제와 청소 부재 홀더(43)의 고정 및 위치 결정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청소 부재 홀더(43)는, 청소 부재 홀더(43)를 교체하는 리프트(15)의 지지를 받는 교체 지지 부위(54)를 가진다. 이 청소부(40)에서는, 리프트(15)에 의해 청소 부재(41)를 교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청소 구동부(46)는, 모터(61)에 직결한 회전 부재의 접촉면(63)과 제1 축측의 벽면(64)이 접촉하여 제1 축(5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접속부(62)를 가진다. 이 청소부(40)에서는, 접속부(62)에 있어서의 면의 접촉에 의해, 청소 구동부(46)의 구동력을 제1 축(51)에 전달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 홀더 이동부(45)는, 청소 부재 홀더(43)를 자력에 의해 흡착하는 흡착부(60)에 의해, 이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하여 이동시킨다. 이 청소부(40)에서는, 흡착부(60)를 이용하여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하기 때문에, 청소 부재 홀더(43)를 이동할 때에 위치 어긋남 등을 보다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청소부(40)에서는, 흡착부(60)에 의해 고정, 해제하기 쉽기 때문에, 청소 부재 홀더(43)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또한, 청소 헤드는, 승강하여 스크린 마스크 M의 하면측으로부터 청소 부재(41)를 접촉시키고, 청소 부재 홀더(43)는, 승강하는 청소 헤드(42)가 통과하는 개구부(53)를 가지고, 홀더 이동부(45)는, 청소 부재 홀더(43)를 승강하여 고정 위치와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청소 구동부(46)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속부(62)가 제1 축(51)에 접속 및 접속 해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청소부(4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또, 인쇄 장치(11)에서는, 상술한 청소부(40)를 구비하기 때문에, 인쇄 장치(11)에 이용되는 청소 부재(41)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가 있다. 또, 이 인쇄 장치(11)에서는, 상술의 채용한 청소부(40)의 태양에 따른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아무런 한정될 것은 없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부재 홀더(43)는, 지지판(47)과 입벽판(48)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제1 축(51)이나 제2 축(52)을 지지 가능하면 특히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부(44)는 이동벽부(57)와 고정부(58)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의 어느 하나 이상을 생략해도 좋다.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해도 청소 부재(41)를 보다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부재 홀더(43)에는 리프트(15)가 삽입되는 교체 지지 부위(5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교체 지지 부위(54)가 리프트(15)를 받는 것으로 하면, 특히 이 삽입 구멍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체 지지 부위는, 리프트(15)를 받는 홈부(groove part)로 해도 좋다. 혹은, 청소 부재 홀더(43)에 있어서, 교체 지지 부위(54)를 생략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구동부(46)는, 면접촉하는 접속부(6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다른 청소 구동부(46B)의 접속부(62B)의 설명도이다. 접속부(62B)는, 모터(61)에 직결한 회전 부재에 접속 핀(pin)(6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축(51) 측에는 접속 핀(63B)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6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62B)에 의해도, 모터(61)를 접속, 접속 해제할 수가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홀더 이동부(45)는, 자력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하는 흡착부(60)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지만,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 가능하면,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흡착부는, 부압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혹은, 홀더 이동부(45)는, 흡착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부재끼리의 계합 등에 의해 청소 부재 홀더(43)를 고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청소 유닛으로서의 청소부(40)를 구비한 인쇄 장치(11)로서 설명하였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청소 유닛만으로 유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는 부품을 실장 처리하는 장치의 기술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10 : 실장 시스템 11 : 인쇄 장치
12 : 실장 장치 14 : 수납 장치
15 : 리프트(lift) 18 : 관리 PC(Personal Computer)
21 : 제어부 22 : 인쇄부
23 : 인쇄 헤드(head) 24 : 인쇄 이동부
25 : 스퀴지(squeegee)
26 : 마스크(mask) 작업부 28 : 마스크 고정부
30 : 기판 처리부 31 : 기판 반송부
32 : 공급부 33 : 카트리지(cartridge)
40 : 청소부 41 : 청소 부재
42 : 청소 헤드(head) 43 : 청소 부재 홀더(holder)
44 : 베이스부(base part)
45 : 홀더 이동부 46, 46B : 청소 구동부
47 : 지지판 48 : 입벽판
49 : 헤드 이동부
51 : 제1 축 51a : 제1 베어링
52 : 제2 축 52a : 제2 베어링
53 : 개구부
54 : 교체 지지 부위
55 : 고정 부위 57 : 이동벽부
58 : 고정부 60 : 흡착부
61 : 모터(motor) 62, 62B : 접속부
63 : 접촉면 63B : 접속 핀(pin)
64 : 벽면
64B : 삽입 구멍 65 : 구동부
M : 스크린 마스크 S : 기판

Claims (8)

  1.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에 대해 점성 유체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 장치에 이용되는 청소 유닛으로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부재를 상기 스크린 마스크에 접촉시키는 청소 위치와 대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청소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청소하는 청소 헤드와,
    상기 청소 부재가 걸쳐 건네지는 제1 축과 제2 축을 지지하고, 상기 청소 헤드가 빠져나가기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 부재 홀더와,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고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고정 위치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떼어내어지고 상기 인쇄 장치의 외부로서 상기 인쇄 장치의 전방으로 반출 가능한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 이동부와,
    상기 청소 부재 홀더의 상기 제1 축에 접속 및 접속 해제하는 접속부를 가지고 이 제1 축을 권취 구동하는 청소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소 부재 홀더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인쇄 장치의 전방에 배설된 수납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교체하는 리프트의 지지를 받는 교체 지지 부위를 상기 인쇄 장치의 전면측에 가지는 청소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부재 홀더는, 상기 지지판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축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과 제2 축을 지지하는 제2 베어링이 형성된 입벽판을 가지는 청소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청소 구동부가 배설되고 상기 청소 부재 홀더에 근접, 이간하는 이동벽부와, 상기 이동벽부에 형성되고 상기 청소 부재 홀더의 일부와 계합하여 위치 결정 및 고정을 행하는 고정부를 가지는 청소 유닛.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구동부는, 접촉면과 상기 제1 축측의 벽면이 접촉하여 상기 제1 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상기 접속부를 가지는 청소 유닛.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이동부는,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흡착하는 흡착부에 의해 이 청소 부재 홀더를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청소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헤드는, 승강하여 상기 스크린 마스크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청소 부재를 접촉시키고,
    상기 청소 부재 홀더는, 승강하는 상기 청소 헤드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홀더 이동부는, 상기 청소 부재 홀더를 승강하여 상기 고정 위치와 교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청소 구동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축에 접속 및 접속 해제되는 청소 유닛.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청소 유닛과
    상기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인쇄 대상에 대해 점성 유체의 인쇄 처리를 행하는 인쇄부를 구비한 인쇄 장치.
KR1020207024779A 2018-05-25 2018-05-25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KR102326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20152 WO2019225004A1 (ja) 2018-05-25 2018-05-25 清掃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784A KR20200111784A (ko) 2020-09-29
KR102326365B1 true KR102326365B1 (ko) 2021-11-12

Family

ID=6861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779A KR102326365B1 (ko) 2018-05-25 2018-05-25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5831B2 (ko)
EP (1) EP3804994B1 (ko)
JP (1) JP7029528B2 (ko)
KR (1) KR102326365B1 (ko)
CN (1) CN112154070B (ko)
WO (1) WO20192250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34442A (zh) * 2022-03-23 2023-10-03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支撑杆
CN114734638B (zh) * 2022-03-28 2023-11-03 共享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及3d打印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452A (ja) * 2004-01-13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7144689A (ja)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12162042A (ja) 2011-02-09 2012-08-30 Fuji Mach Mfg Co Ltd 印刷作業支援装置
WO2014030212A1 (ja) 2012-08-21 2014-02-2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印刷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用ロール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0440B2 (ja) * 1990-11-29 199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US5701821A (en) * 1996-05-22 1997-12-30 Fuji Machine Mfg. Co., Ltd. Screen cleaning apparatus and screen cleaning method
JP3478958B2 (ja) * 1997-11-28 2003-12-15 株式会社 日立インダストリイズ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並びに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
US6036787A (en) * 1998-07-13 2000-03-14 Dek Printing Machines, Ltd. Stencil cleaning apparatus
US6955121B2 (en) * 2004-02-20 2005-10-18 Speedline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stencil
JP2009012410A (ja) * 2007-07-09 2009-01-22 Ricoh Microelectronics Co Ltd 印刷マスクの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印刷装置
JP5407187B2 (ja) * 2008-06-10 2014-02-05 ソニー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IT1395784B1 (it) * 2009-09-16 2012-10-19 Applied Materials Inc Dispositivo di pulizia per un'apparecchiatura per la stampa serigrafica su un supporto di stampa.
KR101639001B1 (ko) * 2009-09-28 2016-07-2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 날 크리닝장치
JP2011189668A (ja) * 2010-03-16 2011-09-29 Panasonic Corp 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700951B2 (ja) * 2010-04-27 2015-04-1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JP5829494B2 (ja) * 2011-11-14 2015-12-09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マスク印刷方法および装置
JP5899434B2 (ja) * 2011-11-16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
JP2013123892A (ja) * 2011-12-16 2013-06-24 Panasonic Corp 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3141752A (ja) * 2012-01-10 2013-07-22 Panasonic Corp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5917941B2 (ja) * 2012-02-21 2016-05-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6124249B2 (ja) * 2012-08-16 2017-05-10 Juki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6194200B2 (ja) 2013-07-09 2017-09-06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及び清掃処理装置
JP6258658B2 (ja) * 2013-10-22 2018-01-1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6824880B2 (ja) * 2015-05-19 2021-02-03 株式会社Fuji 印刷装置
WO2017163360A1 (ja) * 2016-03-24 2017-09-28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6760823B2 (ja) * 2016-11-09 2020-09-23 株式会社Fuji スクリーン印刷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452A (ja) * 2004-01-13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007144689A (ja)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2012162042A (ja) 2011-02-09 2012-08-30 Fuji Mach Mfg Co Ltd 印刷作業支援装置
WO2014030212A1 (ja) 2012-08-21 2014-02-2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印刷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用ロールカセット
JP6080853B2 (ja) * 2012-08-21 2017-02-1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印刷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4994A4 (en) 2021-04-21
US11135831B2 (en) 2021-10-05
CN112154070A (zh) 2020-12-29
JP7029528B2 (ja) 2022-03-03
JPWO2019225004A1 (ja) 2021-05-20
EP3804994B1 (en) 2023-08-23
KR20200111784A (ko) 2020-09-29
US20210206159A1 (en) 2021-07-08
WO2019225004A1 (ja) 2019-11-28
EP3804994A1 (en) 2021-04-14
CN112154070B (zh)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7290A1 (en) Printing apparatus and accommodation apparatus
JP4887324B2 (ja) 印刷装置
US109062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system
KR102326365B1 (ko) 청소 유닛 및 인쇄 장치
JP7375070B2 (ja) 交換装置
KR20140012894A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6586165B2 (ja) 印刷装置
JP2024040319A (ja) 印刷システム
TWI688213B (zh) 用於模板印刷機的雙重作用模板擦拭器組件
JP6118813B2 (ja) 対基板作業システムおよび粘性流体供給方法
WO2022224432A1 (ja) 実装システム
WO2022168145A1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枠交換ユニット
WO2022224430A1 (ja) 交換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WO2022224431A1 (ja) 交換ユニット、印刷装置、実装システム及び交換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H06177586A (ja) 実装機の部品交換装置
JP7289963B2 (ja) 部品種類管理装置
JP7133090B2 (ja) 供給ユニット、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7426800B2 (ja) 部品実装機
JP7216733B2 (ja) ステンシルプリンターのためのエッジ係止アセンブリ
WO2022244042A1 (ja) 交換ユニット、印刷装置、収容ラック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2015219A (ja) 基板支持装置を具備する作業装置
JP2023101693A (ja) 情報管理方法および部品種類管理装置
TW202311061A (zh) 用於模板印刷機的刮刀滴液收集系統
JP2023161610A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2206625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実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